맨위로가기

피에르 비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비레는 오르브 출신의 종교개혁가로, 파리 대학교에서 종교개혁 사상을 접하고 기욤 파렐의 권유로 설교자가 되었다. 그는 스위스, 프랑스 등지에서 종교개혁 운동을 펼치며 로잔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른 정부와의 갈등으로 제네바로 이주하여 제네바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며, 프랑스 개혁 교회의 시노드를 주재하고 나바라 왕국 여왕의 초청으로 베아른에 개혁을 도입했다. 그는 50권이 넘는 저서를 남겼으며, 윤리학자이자 변증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개신교 신학자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개신교 신학자 - 테오도르 드 베즈
    테오도르 드 베즈는 프랑스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개혁 신앙에 귀의하여 제네바 아카데미 교수로 활동하며 칼뱅의 후계자가 되어 제네바 교회를 이끌었고, 칼뱅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1605년에 사망했다.
  • 16세기 스위스 사람 -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는 독일 태생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로, 츠빙글리의 동맹으로서 스위스 종교 개혁에 기여하고 성찬례에 대한 견해를 발전시켰으며, 성경 연구와 바젤의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 16세기 스위스 사람 - 기욤 파렐
    기욤 파렐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개혁가로, 루터교의 영향을 받아 스위스에서 종교개혁을 주도했으며, 제네바에서 장 칼뱅과 협력했으나 이견으로 추방된 후 뇌샤텔에서 목회하며 종교개혁에 크게 기여했다.
  • 스위스의 개신교 신학자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위스의 개신교 신학자 - 칼 바르트
    칼 바르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자유주의 신학 비판과 신정통주의 신학 창시, 나치즘 저항,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정립,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 기여 등으로 알려져 있다.
피에르 비레
기본 정보
피에르 비레
피에르 비레의 초상화
출생1511년
출생지스위스 오르브
사망1571년
사망지프랑스
직업신학자, 개혁교회 목사, 작가
종교개신교
신학
신학적 전통칼뱅주의

2. 생애

피에르 비레는 오르브의 부르주아 출신 재단사이자 포목 가공 기술자인 기욤 비레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비레를 성직자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오르브에서 학업을 마친 뒤 1527년 파리 대학교의 몽테귀 대학으로 유학을 떠났고, 마르틴 루터의 작품을 읽으며 종교개혁 사상을 처음 접했다. 1530년 학업을 마치고 오르브로 돌아온 그는 기욤 파렐의 설득으로 설교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1531년 5월 6일, 고향에서 첫 설교를 시작한 그는 2년 동안 설교자로 활동했다. 이와 동시에 보 지방(Pays de Vaud)을 순회하며 그랑송(Grandson), 아방슈(Avenches), 파예른(Payerne) 등지에서 사도로서 직무를 수행했다. 뇌샤텔에서는 기욤 파렐, 올리베탕(Olivétan), 앙투안 마르쿠르(Antoine Marcourt), 피에르 드 벵글(Pierre de Vingle)과 함께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판하는 벽보 보급, 소책자 발간, 공중 설교, 공개 논쟁 등 네 가지 전략을 수립하여 종교개혁 운동을 펼쳤다.

1536년 초부터 로잔의 목사로 임직을 받은 그는 베른 정부(Leurs Excellences de Berne)의 요청에 응하여 1536년 10월 1일부터 8일까지 로잔 논쟁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논쟁에서 대성당 측의 174명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들에 대항하여 피에르 비레와 기욤 파렐 그리고 장 칼뱅 등 극히 적은 수의 종교개혁자들이 맞섰다. 이 논쟁의 결과 다수의 수도사들과 성당 참사회 의원들이 개혁자들 진영으로 전향하였다. 베른 측은 개혁자들이 승리했다고 간주하고 미사를 금지하는 법을 공포하였다. 이 법령들은 결국 보 지방이 종교개혁 진영으로 전환하도록 만들었다. 이 논쟁 후에 과격분자들은 성당의 대십자가를 파괴하였다. 제단 및 제단 울타리와 오르간은 철거되었다. 대부분의 미사용 기구들은 베른으로 옮겨졌고 거기서 금과 은은 녹여져서 주화 제조에 쓰였다. 비레는 로잔의 차석 목사로 임명되었다.

윌리엄 파렐은 개신교 설교자였으며, 비레가 오르브로 돌아오자 그를 목사로 불렀다. 1531년 5월 6일, 비레는 첫 설교를 했다. 그의 설교는 놀라움과 환호를 받으며 많은 사람들이 개혁 신앙으로 개종했고, 여기에는 비레의 부모님도 포함되었다.[2] 그는 처음에는 오르브와 그랑송, 나중에는 파예른, 뇌샤텔, 제네바에서 설교했으며, 그 후 프랑스에서 선교 여행을 떠나 파리, 오를레앙, 아비뇽, 몽토방, 몽펠리에에서 수천 명의 군중들에게 설교했다. 그의 설교는 부드럽고 매력적이어서 "개혁의 미소"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해부터 비레는 베른 정부가 갓 설립한 신학교인 로잔 아카데미(Schola Lausannensis)의 교수 활동을 시작하였고 후에 수석 목사가 되었다.[1] 벨기에 신앙 고백의 저자인 기 드 브레스도 로잔에서 공부한 사람들 중 한 명이다.

부조로 된 피에르 비레.


그러나 이후에 베른 정부와 피에르 비레 사이에는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다. 비레는 교회가 국가의 보호 아래 자리잡고 있지만 정치 제도로부터 독립적이기를 바랐다. 그는 성만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신앙과 품행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권한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베른 정부는 이 통제권이 자기들에게 속한 것이라고 간주하였다. 교리 문답과 예전에 관해서도 이견들이 드러났다.

1559년 베른의 강압 통치가 끝남과 함께 비레는 생 메르 성(château Saint-Maire)에 사흘 동안 갇혔으며 목사직으로부터 면직되었다. 그는 3월 2일에 제네바로 떠났고 거기서 설교자로 활동하면서 그 해 12월 25일에 장 칼뱅과 함께 제네바 시민권을 받았다. 그와 로잔 학교에서 이주한 다른 교수들과 학생들은 곧 제네바 대학교의 기반이 되었다.[3]

1561년, 비레는 건강상의 이유로 프랑스 남부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1] 몽펠리에에서 목사로 봉사한 후, 1563년 리옹으로 불려가 프랑스 개혁 교회의 시노드를 주재했다.[1] 멜키오르 아담에 따르면 "리옹에서 공개 설교를 통해 수천 명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구원의 믿음으로 이끌었다"고 한다.[4]

1562년에 그는 리용으로 가서 1565년까지 있었다. 1563년에 거기에서 프랑스 개혁교회의 제4차 전국 시노드(Synode)를 주재하였다. 리용의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는 종교개혁 진영을 약화시키고자 하였고 1565년에 비레가 추방당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비레는 당시 기욤 드 나소(Guillaume de Nassau)의 보호 아래 있던 오랑주(Orange) 공국으로 떠났고, 1566년에 몽펄리에(또는 몽펠리에)로 갔다.

2년 후 도시에서 추방된 그는 1567년 나바라 왕국 여왕 잔 다르브레의 초청을 받아 베아른에 개혁을 도입했다.[1]

2. 1. 초기 생애

피에르 비레는 오르브의 부르주아 출신 재단사이자 포목 가공 기술자인 기욤 비레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비레를 성직자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오르브에서 학업을 마친 뒤 1527년 파리 대학교의 몽테귀 대학으로 유학을 떠났고, 마르틴 루터의 작품을 읽으며 종교개혁 사상을 처음 접했다. 1530년 학업을 마치고 오르브로 돌아온 그는 기욤 파렐의 설득으로 설교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1531년 5월 6일, 고향에서 첫 설교를 시작한 그는 2년 동안 설교자로 활동했다. 이와 동시에 보 지방(Pays de Vaud)을 순회하며 그랑송(Grandson), 아방슈(Avenches), 파예른(Payerne) 등지에서 사도로서 직무를 수행했다. 뇌샤텔에서는 파렐, 올리베탕(Olivétan), 앙투안 마르쿠르(Antoine Marcourt), 피에르 드 벵글(Pierre de Vingle)과 함께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판하는 벽보 보급, 소책자 발간, 공중 설교, 공개 논쟁 등 네 가지 전략을 수립하여 종교개혁 운동을 펼쳤다.

2. 2. 종교개혁 활동

1561년, 비레는 건강상의 이유로 프랑스 남부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1] 몽펠리에에서 목사로 봉사한 후, 1563년 리옹으로 불려가 프랑스 개혁 교회의 시노드를 주재했다.[1] 멜키오르 아담에 따르면 "리옹에서 공개 설교를 통해 수천 명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구원의 믿음으로 이끌었다"고 한다.[4]

1562년에 그는 리용으로 가서 1565년까지 있었다. 1563년에 거기에서 프랑스 개혁교회의 제4차 전국 시노드(Synode)를 주재하였다. 리용의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는 종교개혁 진영을 약화시키고자 하였고 1565년에 비레가 추방당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비레는 당시 기욤 드 나소(Guillaume de Nassau)의 보호 아래 있던 오랑주(Orange) 공국으로 떠났고, 1566년에 몽펄리에(또는 몽펠리에)로 갔다.

2년 후 도시에서 추방된 그는 1567년 나바라 왕국 여왕 잔 다르브레의 초청을 받아 베아른에 개혁을 도입했다.[1]

2. 2. 1. 스위스에서의 활동

피에르 비레는 1531년 고향에서 처음으로 설교를 시작하여 2년 동안 설교자로 있었다. 이와 병행하여 그는 보 지방(Pays de Vaud)을 순회하였을 뿐 아니라 그랑송(Grandson)과 아방슈(Avenches) 및 파예른(Payerne)에 이르기까지 그의 사도적인 직무를 수행하였다. 뇌샤텔로 부름을 받아서 그는 기욤 파렐과 올리베탕(Olivétan), 앙투안 마르쿠르(Antoine Marcourt) 및 피에르 드 벵글(Pierre de Vingle)과 함께 로마 가톨릭교회의 잘못을 비판하는 벽보의 보급과 소책자 발간과 공중 설교와 공개 논쟁을 전략으로 삼았다.[2]

1536년 초부터 로잔의 목사로 임직을 받은 그는 베른 정부(Leurs Excellences de Berne)의 요청에 응하여 1536년 10월 1일부터 8일까지 로잔 논쟁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논쟁에서 대성당 측의 174명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들에 대항하여 피에르 비레와 기욤 파렐 그리고 장 칼뱅 등 극히 적은 수의 종교개혁자들이 맞섰다. 이 논쟁의 결과 다수의 수도사들과 성당 참사회 의원들이 개혁자들 진영으로 전향하였다. 베른 측은 개혁자들이 승리했다고 간주하고 미사를 금지하는 법을 공포하였다. 이 법령들은 결국 보 지방이 종교개혁 진영으로 전환하도록 만들었다. 이 논쟁 후에 과격분자들은 성당의 대십자가를 파괴하였다. 제단 및 제단 울타리와 오르간은 철거되었다. 대부분의 미사용 기구들은 베른으로 옮겨졌고 거기서 금과 은은 녹여져서 주화 제조에 쓰였다. 비레는 로잔의 차석 목사로 임명되었다.

이 해부터 비레는 베른 정부가 갓 설립한 신학교인 로잔 아카데미(Schola Lausannensis)의 교수 활동을 시작하였고 후에 수석 목사가 되었다.[1] 벨기에 신앙 고백의 저자인 기 드 브레스도 로잔에서 공부한 사람들 중 한 명이다.

그러나 이후에 베른 정부와 피에르 비레 사이에는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다. 비레는 교회가 국가의 보호 아래 자리잡고 있지만 정치 제도로부터 독립적이기를 바랐다. 그는 성만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신앙과 품행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권한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베른 정부는 이 통제권이 자기들에게 속한 것이라고 간주하였다. 교리 문답과 예전에 관해서도 이견들이 드러났다.

1559년 베른의 강압 통치가 끝남과 함께 비레는 생 메르 성(château Saint-Maire)에 사흘 동안 갇혔으며 목사직으로부터 면직되었다. 그는 3월 2일에 제네바로 떠났고 거기서 설교자로 활동하면서 그 해 12월 25일에 장 칼뱅과 함께 제네바 시민권을 받았다. 그와 로잔 학교에서 이주한 다른 교수들과 학생들은 곧 제네바 대학교의 기반이 되었다.[3]

2. 2. 2. 프랑스에서의 활동

윌리엄 파렐은 개신교 설교자였으며, 비레가 오르브로 돌아오자 그를 목사로 불렀다. 1531년 5월 6일, 비레는 첫 설교를 했다. 그의 설교는 놀라움과 환호를 받으며 많은 사람들이 개혁 신앙으로 개종했고, 여기에는 비레의 부모님도 포함되었다.[2] 그는 처음에는 오르브와 그랑송, 나중에는 파예른, 뇌샤텔, 제네바에서 설교했으며, 그 후 프랑스에서 선교 여행을 떠나 파리, 오를레앙, 아비뇽, 몽토방, 몽펠리에에서 수천 명의 군중들에게 설교했다. 그의 설교는 부드럽고 매력적이어서 "개혁의 미소"라는 별명을 얻었다.

|thumb|right|200px|부조로 된 피에르 비레.]]

1561년, 비레는 건강상의 이유로 프랑스 남부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1] 몽펠리에에서 목사로 봉사한 후, 1563년 리옹으로 불려가 프랑스 개혁 교회의 시노드를 주재했다.[1] 멜키오르 아담에 따르면 "리옹에서 공개 설교를 통해 수천 명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구원의 믿음으로 이끌었다"고 한다.[4]

2년 후 도시에서 추방된 그는 1567년 나바라 왕국 여왕 잔 다르브레의 초청을 받아 베아른에 개혁을 도입했다.[1]

3. 사상과 유산

장마르크 베르토는 "만약 그의 좋은 친구인 존 칼뱅이 완벽한 독단론자이자 해설의 대가였다면, 피에르 비레는 16세기의 가장 훌륭한 윤리학자이자 가장 예리한 변증가로 여겨져야 한다"고 말한다.[4] 로버트 D. 린더는 "비레는 칼뱅과 달리 성경의 권위를 국가에 공개적으로 확대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언급한다.[5] 린더는 "비레는 지금까지, 특히 영어를 사용하는 세계의 역사가들에게 부여된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위치를 종교 개혁의 역사에서 차지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6]

비레는 5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으며,[1] 그 중 다수가 영어로 번역되었다. 번역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영혼의 닻: 사도신경 해설''
  • ''피에르 비레의 교리 문답''
  • ''그리스도인과 치안 판사: 역할, 책임 및 관할권''
  • ''십계명 해설''
  • ''그의 영광스러운 신부''
  • ''예수 그리스도, 믿는 자의 위안과 기쁨''
  • ''박해받는 교회에 보내는 위로의 편지''
  • ''놀라운 삼위일체''
  • ''기독교 신앙의 단순한 해설''
  • ''다른 신은 없다''
  • ''하나님 같은 분은 없다''
  • ''헛되이 그분의 이름을 부르지 마라''
  • ''안식일을 기억하여라''
  • ''네 부모를 공경하라''
  • ''살인하지 말라: 생명을 위한 호소''
  • ''간음하지 말라''
  • ''도둑질하지 말라''
  • ''진실을 옹호하라''
  • ''탐내지 말라''

3. 1. 주요 저작

비레는 5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으며,[1] 그 중 다수가 영어로 번역되었다. 번역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영혼의 닻: 사도신경 해설''
  • ''피에르 비레의 교리 문답''
  • ''그리스도인과 치안 판사: 역할, 책임 및 관할권''
  • ''십계명 해설''
  • ''그의 영광스러운 신부''
  • ''예수 그리스도, 믿는 자의 위안과 기쁨''
  • ''박해받는 교회에 보내는 위로의 편지''
  • ''놀라운 삼위일체''
  • ''기독교 신앙의 단순한 해설''
  • ''다른 신은 없다''
  • ''하나님 같은 분은 없다''
  • ''헛되이 그분의 이름을 부르지 마라''
  • ''안식일을 기억하여라''
  • ''네 부모를 공경하라''
  • ''살인하지 말라: 생명을 위한 호소''
  • ''간음하지 말라''
  • ''도둑질하지 말라''
  • ''진실을 옹호하라''
  • ''탐내지 말라''

4. 평가

장마르크 베르토는 "만약 그의 좋은 친구인 존 칼뱅이 완벽한 독단론자이자 해설의 대가였다면, 피에르 비레는 16세기의 가장 훌륭한 윤리학자이자 가장 예리한 변증가로 여겨져야 한다"고 말한다.[4] 로버트 D. 린더는 "비레는 칼뱅과 달리 성경의 권위를 국가에 공개적으로 확대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언급한다.[5] 린더는 "비레는 지금까지, 특히 영어를 사용하는 세계의 역사가들에게 부여된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위치를 종교 개혁의 역사에서 차지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6]

참조

[1] 간행물 HDS
[2] 서적 'Book V: Struggles of the Reformation, Chapter III: A New Reformer and an Image-Breaker (1531)' https://www.gutenber[...] Longmans, Green, Longman, Roberts, and Green, London
[3] 서적 Calvinism's First Battleground: Conflict and Reform in the Pays de Vaud, 1528-1559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4] 웹사이트 Pierre Viret and the Total Sovereignty of the Word of God https://chalcedon.ed[...] Chalcedon Foundation 2023-01-28
[5] 서적 The Political Ideas of Pierre Viret Librairie Droz, Geneva
[6] 서적 The Political Ideas of Pierre Vir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