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 국민민주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국민민주전선(NDF)은 1973년 4월 24일 창설된 "국가적 자유와 인민의 민주적 권리를 위해 싸우는 필리핀 국민의 혁명적 연합 전선 조직"으로, 필리핀 공산당(CPP)의 정치 기구 역할을 수행했다. NDF는 CPP와 신인민군(NPA) 등 여러 단체로 구성되며, 12가지 강령을 통해 "국가 해방과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DF는 필리핀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항의 활동을 전개했으며, 필리핀 공산당 내부의 조직 개편 시도와 제2차 대수정 운동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공산주의 정당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필리핀의 공산주의 정당 - 신인민군
    신인민군은 필리핀 공산당의 무장 조직으로,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필리핀 정부에 대한 무장 투쟁을 하며 토지 개혁과 농촌 기지 건설 등을 목표로 활동하지만, 테러 조직 지정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필리핀의 역사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필리핀의 역사 - 필리핀 자치령
    필리핀 자치령은 1935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독립을 위해 미국의 타이딩스-맥더피 법에 따라 수립된 10년간의 과도 정부로서, 1935년 헌법 제정과 자치 정부 구성, 국가 방위 체계 구축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으로 중단되었고 종전 후 필리핀 공화국으로 독립하며 해체되었다.
  • 냉전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냉전 - 이란 혁명
    1979년 이란에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의 권위주의 통치와 서구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이란 혁명은, 루홀라 호메이니의 주도 하에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여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에 참여했던 여성들의 인권 억압 문제와 함께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필리핀 국민민주전선
기본 정보
필리핀 국민민주전선 깃발
깃발
신인민군
신인민군
공식 명칭국민민주전선
현지 명칭팜반상 데모크라티콩 프렌테 낭 필리피나스 (Pambansang Demokratikong Prente ng Pilipinas)
로마자 표기Pambangsang Demokratikong Prente ng Pilipinas
약칭NDF
창립일1973년 4월 24일
존속 기간 시작1969년
존속 기간 끝현재
위치필리핀
이념공산주의
국민 민주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마오쩌둥주의
정치적 위치극좌
신문해방 (Liberation)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도부
설립자호세 마리아 시손
피델 아가오일리
루이스 잘란도니
지도자루이스 잘란도니
훌리에타 데 리마-시손
지정
역사 및 활동
주요 사건필리핀 내전
관련 반란CPP-NPA-NDF 반란
협력 단체신인민군
기타 정보
면적300,000
수도마닐라
수도 위치메트로 마닐라
공용어필리핀어
영어
정부 형태인민민주주의
통화페소 (PHP)

2. 역사

NDF는 필리핀 사회의 여러 부문에서 활동을 지속하며, CARP, 필리핀 2000, 주필리핀 미군 주둔 협정 등 "대중의 근본적인 문제"를 악화시킨다고 여겨지는 법률 및 개발 프로그램에 대해 반대했다.[12]

2. 1. 결성 이전

필리핀 공산당(CPP)은 1971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으로 인해 지하로 숨어든 다양한 혁명 단체들을 통합하기 위해 국민민주전선(NDF)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9] NDF가 창설되기 전, 이미 카바타앙 마카바얀과 말라양 킬루산 낭 바고 카바바이한(MAKIBAKA) 등 여러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었다.

2. 2. 창립과 초기 활동 (1973년 ~ 1980년대)

1971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이후, 필리핀 공산당은 지하에서 활동하던 여러 혁명 단체들을 통합하여 국민민주전선(NDFP)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9]

1973년 4월 24일, 준비위원회는 10개항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NDFP를 공식 출범시켰다. NDFP는 "국가적 자유와 인민의 민주적 권리를 위해 싸우는 필리핀 국민의 혁명적 연합 전선 조직"을 표방하며, 필리핀 공산당의 정치 기구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해외에서 외교 관계를 구축하고 평화 협상에 참여하는 역할을 맡았다. NDFP의 주요 업무는 노동자 파업, 학생 시위 등을 통해 도시 지역의 정치 활동을 확대하고, 농촌 지역의 혁명을 지원하는 것이었다.[10]

1980년대, 필리핀 공산당 내 일부 세력은 NDFP를 해체하고 '바공 카티푸난'(새로운 카티푸난)이라는 새로운 조직을 설립하려 했다. 이들은 NDFP와 달리, 필리핀 공산당이 다른 혁명적 대중 조직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 연맹 형태의 조직을 구상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제2차 대수정 운동의 일환으로 결국 실패했다.[11]

2. 3. 조직 개편 시도와 제2차 대수정 운동 (1980년대)

1980년대 CPP의 일부 세력은 국민민주전선(NDFP)을 해체하고 '바공 카티푸난'(새로운 카티푸난)'이라는 조직을 설립하려 했다. 제안된 바공 카티푸난은 NDFP와 달리 CPP가 다른 혁명적 대중 조직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 연맹 형태를 띨 예정이었다. 이 움직임은 결국 제2차 대수정 운동의 일환으로 실패했다.[11]

2. 4. 1990년대 이후 ~ 현재

필리핀 국민민주전선(NDF)은 필리핀 사회의 다양한 부문에서 활동을 이어가며, "대중의 근본적인 문제"를 악화시킨다고 판단되는 CARP, 필리핀 2000, 주필리핀 미군 주둔 협정 및 대반란 프로그램 등에 대해 항의했다.[12]

2. 5. 태평양 전쟁과 필리핀 내전

태평양 전쟁 당시 필리핀후크발라합으로 구성된 공산당 단체였으며, 필리핀미국은 연합하여 일본과 싸웠다. 1942년일본필리핀에서 쫓겨났는데, 이는 필리핀 공산당의 활약이 제일 컸다고 한다.[1]

일본필리핀 영토에서 물러난 후, 후크발라합미국필리핀에 맞서 싸웠으나 미국은 이들을 무장 해제시켰다. 이로 인해 4년간 필리핀 내전이 일어나기도 했고, CPP-NPA-NDF 반란으로 이어졌다.[1] 1969년 냉전 시기에도 CPP-NPA-NDF 반란이 발발하여 2008년까지 계속되었다.[2]

3. 목표 및 강령

국민민주전선(NDFP)은 "진정한 국가적 자유와 민주주의, 지속적인 평화, 진보적인 필리핀을 열망하는 국내외 모든 사회 계층, 부문, 집단 및 개별 필리핀인들에게 광범위한 단결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국가 해방과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다음 12가지 강령을 채택했다.[13][14]

번호내용
1인민 전쟁을 통해 반식민지 및 반봉건적 체제를 전복하고, 국민 민주 혁명을 완수하기 위해 인민을 단결시킨다.
2인민 민주 공화국과 민주 연립 정부를 수립한다.
3인민 혁명군과 인민 방위 체제를 구축한다.
4인민의 민주적 권리를 옹호하고 증진한다.
5미국 및 기타 외세와의 모든 불평등한 관계를 종식한다.
6진정한 농지 개혁을 실시하고, 농업 협동을 증진하며, 농업의 현대화와 농촌 산업화를 통해 농촌 생산과 고용을 증대시키고,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한다.
7미국 및 기타 제국주의자, 대규모 쁘라파도르, 지주들의 경제 지배를 분쇄한다. 국가 산업화를 추진하고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경제를 건설한다.
8종합적이고 진보적인 사회 정책을 채택한다.
9국가적이고, 과학적이며, 인민을 위한 문화를 증진한다.
10모로족, 코르디예라족 및 기타 소수 민족 또는 원주민의 자기 결정권과 민주주의 권리를 옹호한다.
11모든 분야에서 여성의 혁명적 해방을 증진한다.
12적극적이고, 독립적이며, 평화적인 외교 정책을 채택한다.


4. 회원 조직

조직명약칭/설명
필리핀 공산당CPP[4]
신인민군NPA[4]
모로 저항 해방 기구MRLO[16]
카바타앙 마카바얀KM[4]
혁명적 노동조합 평의회RCTU
팜바상 카티푸난 엉 맘부부키드PKM
마카바양 킬루산 엉 바공 카바바이한MAKIBAKA[17]
민족 해방을 위한 기독교인CNL
카티푸난 엉 구루 맠바얀KAGUMA
마카바양 사마한 팡칼루수간MASAPA
리가 엉 아감 파라 사 바얀LAB
루폰 엉 마나낭골 파라 사 바얀LUMABAN
아티스타 앗 마누눌라트 파라 사 삼바야난ARMAS
마카바양 카와닝 필리피노MKP
해외 필리핀인 및 그 가족의 혁명 조직COMPATRIOTS
코르디예라 인민 민주 전선CPDF
루마드 혁명 조직ROL
카티푸난 엉 mga 사마항 망가와KASAMA[15]


5. 상징

필리핀 국민민주전선의 국기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남조선민족해방전선의 국기와 유사하게 윗부분은 붉은색, 아랫부분은 파란색으로 구성되어 있다.[1]

5. 1. 국기

필리핀 국민민주전선의 국기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남조선민족해방전선의 국기와 유사하다. 세 조직 모두 윗부분은 붉은색, 아랫부분은 파란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Philippines designates NDF as terrorist group https://www.gmanetwo[...] 2021-07-19
[2] 웹사이트 Terror council designates NDFP as terror group https://www.bulatlat[...] 2021-07-19
[3] 웹사이트 Resolution Number 21 (2021)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1-07-25
[4] 웹사이트 NATIONAL DEMOCRATIC FRONT OF THE PHILIPPINES http://www.ndfp.org/[...] 2018-03-07
[5] 뉴스 No vacuum in NPA leadership despite Tiamzon couple's arrest –Joma http://www.gmanetwor[...] 2014-03-28
[6] 웹사이트 Philippines designates NDF as terrorist group https://www.gmanetwo[...] 2021-07-19
[7] 웹사이트 Terror council designates NDFP as terror group https://www.bulatlat[...] 2021-07-19
[8] 웹사이트 Resolution Number 21 (2021)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1-07-25
[9] 웹사이트 People's War · NDFP https://www.ndfp.org[...] 2018-07-10
[10] 웹사이트 About NDFP – Liberation http://liberation.nd[...] 2018-07-10
[11] 웹사이트 Requirements for a Revolutionary United Front https://www.bannedth[...] 2024-07-11
[12] 웹사이트 Our Story · NDFP https://www.ndfp.org[...] 2018-07-10
[13] 웹사이트 12 Point Program of the NDFP http://www.ndfp.net/[...] 2012-10-12
[14] 웹사이트 The Twelve Points of the NDF Program https://www.ndfp.org[...] 2018-03-07
[15] 웹사이트 Member Organizations – Liberation http://liberation.nd[...] 2018-07-10
[16] 간행물 Revolutionary Muslim Group MRLO Calls For Intensified Armed Struggle in Mindanao Bulatlat 2015-06-25
[17] 논문 The PKP (Communist Party of the Philippines) and MAKIBAKA (Free Movement of New Women) Revisited: The Place of Women’s Liberation in Revolutionary Theory and Practice 198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