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크발라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이스 타룩을 중심으로 필리핀 루손섬에서 결성된, 일본군에 대항한 게릴라 조직으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토지 제도로 인해 발생한 농민들의 불만을 배경으로 한다. 처음에는 일본군 점령에 저항했으나, 이후 반정부 저항 운동으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군과 협력하여 대일 작전을 수행했으나, 전후 미국의 지원을 받은 필리핀 정부의 탄압을 받았다. 후크발라합은 공산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무장 해제 및 간부 체포 등 탄압을 받았으며, 1954년 루이스 타룩의 항복으로 반란은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좌익 무장 단체 - 필리핀 공산당
    필리핀 공산당은 1968년 호세 마리아 시손을 중심으로 재건된 마르크스-레닌-마오쩌둥주의 정당으로, 민족민주전선과 신인민군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했으며 현재는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장기 인민전쟁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 필리핀의 공산주의 정당 - 신인민군
    신인민군은 필리핀 공산당의 무장 조직으로,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필리핀 정부에 대한 무장 투쟁을 하며 토지 개혁과 농촌 기지 건설 등을 목표로 활동하지만, 테러 조직 지정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필리핀의 공산주의 정당 - 필리핀 국민민주전선
    필리핀 국민민주전선(NDF)은 1973년 4월 24일 창설된 혁명적 연합 전선 조직으로, 필리핀 공산당의 정치 기구 역할을 수행하며, 12가지 강령을 통해 국가 해방과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후크발라합
기본 정보
후크발라합 깃발 (1950년부터)
로마자 표기Hukbong Bayan Laban sa mga Hapon
활동 기간1942년 – 1954년
후신신인민군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반제국주의
정치 성향극좌
본부팜팡가 주
활동 지역중앙루손 지방
지도부
주요 지도자루이스 타루크
카스토 알레한드리노
동맹 및 적대 세력
동맹 세력필리핀 연방 (1942년–1946년)
미국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 재탈환 시기)
(1945년 ~ 1956년)
적대 세력(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 기간)
필리핀 제2공화국 (1943년–1945년)
필리핀 정부
관련 정보
관련 전쟁필리핀의 일본 점령에 대한 저항 운동 (제2차 세계 대전)
후크발라합 반란
상위 조직필리핀 공산당
기타
관련 기념물에시하 마을에 세워질 후크발라합 기념비
팜팡가에 세워진 후크발라합 기념비

2. 역사적 배경

후크발라합 운동은 스페인의 엥코미엔다 제도와 필리핀 지주제에서 비롯된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농민들의 저항에서 기원했다. 엥코미엔다 제도는 1570년에 설립되어 누에바 에스파냐 정복 병사들에게 보상으로 토지를 부여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착취적인 시스템으로 변질되었다.[6] 19세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필리핀 지주제가 등장하여 농민들에 대한 횡포가 더욱 심해졌다.[6]

마닐라 항구 개방 후, 루손 지역 경제는 쌀, 설탕, 담배 등의 수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변화했다. 지주들은 토지를 임대한 농민들에게 임대료 인상, 농작물 판매 수익 요구, 농장 개량 자금을 위한 착취적인 대출 계약 등 더 많은 것을 요구했다.[7]

미국 식민지 시대에도 농민들의 불만은 계속되었고, 이는 후크발라합 운동의 토대가 되었다. 미국은 소작농과 지주 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개혁을 시작했지만,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교육을 통해 농민들의 정치적 의식이 성장하면서 가난한 지도자들 아래 단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조직 중 가장 강력한 조직이 후크발라합이었는데, 처음에는 일본군에 대한 저항 조직으로 시작했지만 결국 반정부 저항 운동으로 이어졌다.

2. 1. 엥코미엔다 제도와 지주제

루이스 타룩 - 판팡가주 산 루이스에 있는 후크발라합 기념비


후크발라합 운동은 1570년 누에바 에스파냐를 정복한 병사들에게 보상하기 위한 토지 부여 제도인 스페인의 ''엥꼬미엔다''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는 착취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19세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필리핀 지주제가 등장하면서 더 많은 횡포가 자행되었다.[6]

마닐라 항구 개방 이후, 루손 경제는 쌀, 설탕, 담배 수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변모했다. 지주들은 토지를 임대한 농민들에게 임대료 인상, 농작물 판매 수익 요구, 농장 개량 자금 조달을 위한 착취적인 대출 계약 등 더 많은 요구를 했다.[7]

2. 2. 미국 식민지 시대의 농민 운동



후크발라합 운동은 1570년에 설립된 누에바 에스파냐를 정복한 병사들에게 보상하기 위한 토지 부여 제도인 스페인의 ''엥꼬미엔다''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착취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19세기 스페인 식민지 시대 아래 필리핀 지주제가 등장하면서 더 많은 횡포가 자행되었다.[6]

마닐라 항구 개방 이후, 루손 경제는 쌀, 설탕, 담배 수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변모했다. 지주들은 토지를 임대한 농민들에게 임대료 인상, 농작물 판매 수익 요구, 농장 개량 자금 조달을 위한 착취적인 대출 계약 등 더 강화된 요구를 하였다.[7]

미국이 들어온 후에야 소작농과 지주 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개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개혁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교육으로 인해 성장하는 정치적 의식으로 농민들은 교육을 받았지만 가난한 지도자들 아래 단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조직 중 가장 강력한 조직은 후크발라합이었는데, 처음에는 일본군에 대한 저항 조직으로 시작했지만 결국 반정부 저항 운동으로 끝났다.

3. 일본군과의 전투 (1942-1945)

후크발라합은 일본군에 맞서 지속적인 게릴라전을 펼쳤다. 초기에는 빠른 성공으로 사기를 높이고 무장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이에 일본군은 1942년 9월 6일과 12월 5일에 두 차례 역공을 가했지만, 후크발라합의 습격 빈도를 줄이지 못하고 오히려 그들의 작전을 강화시켰다. 1943년 3월 5일, 일본군은 누에바 에시하주 카비아오에 있는 후크발라합 본부를 기습 공격하여 많은 간부와 병사들을 체포하기도 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후크발라합은 1,200번의 교전을 통해 약 2만 5천 명의 일본군 사상자를 냈으며, 2만 명의 정규군과 5만 명의 예비군 전력을 보유하게 되었다.[5]

3. 1. 결성과 초기 활동

1942년 2월 6일, 일본군 점령 하의 필리핀 루손섬 산촌에서 루이스 타루크를 지도자로 하여 농민 운동을 모체로 후크발라합이 결성되었다.

후크발라합은 팜팡가주, 타를라크주, 누에바에시하주의 빈농을 주된 구성원으로 하였지만, 5관구로 이루어진 군대 조직과 군사 학교도 가지고 있었다.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적으로 대일본제국 육군을 상대로 성공적인 게릴라전을 전개했으며[5], 지역 주민들도 주거와 음식을 제공하는 등 이들의 활동을 지원했다. 이에 대응하여 일본군은 폭격 등에 의한 대규모 공격을 거듭하는 등 가혹한 보복을 반복했지만 그 세력을 일소하지 못했으며, 필리핀 점령 기간 중 일본군은 지속적으로 후크발라합에 시달렸다.

필리핀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몇 달 전인 1941년 10월 초에 게릴라 조직의 아이디어가 구상되었다.[5] 1941년 초, 저명한 농민 지도자이자 필리핀 공산당(PKP) 당원인 후안 펠레오(Juan Feleo)는 고향인 누에바 에시하에서 전쟁을 대비하여 농민들을 동원하기 시작했다. 필리핀 사회당 창립 멤버인 페드로 아바드 산토스 또한 루이스 타루크에게 팜팡가주에서 병력을 동원하라고 지시했다.[5]

필리핀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마닐라가 함락되자 PKP의 고위 지도자들이 일본군에 체포되었다. 창립자인 크리스산토 에반겔리스타도 체포되어 1942년 처형되었다. 페드로 아바드 산토스 또한 체포되었지만 1943년 석방되었다.[7] 빈센테 라바 박사가 PKP의 지휘를 맡아 당을 재조직하려고 했다.

1942년 2월, 누에바 에시하주 카비아오에서 조직, 전략, 전술을 논의하기 위한 "투쟁 회의"가 열렸다.[5] PKP, 인민 전선당, 민주주의 방위 연맹, KPMP, AMT, KAP 회원들이 모여 일본에 대한 통일된 저항을 위한 구조를 만들었다.[7]

반드시 공산주의자들만이 아니라 가장 광범위한 계층의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통일전선 전술이 합의되었다. 군사, 정치, 경제의 3가지 전선 저항이 합의되었다. 군사적 목표는 일본군을 지속적으로 괴롭히고 균형을 무너뜨려 사람들의 호의를 얻는 데 집중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다. 정치적 목표는 일본이 후원한 필리핀 제2공화국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풀뿌리 수준에서 기능하는 민주주의 개념을 구축하는 것이었고, 경제적 목표는 적의 약탈을 막는 것이었다.[5] 그 결과 일본에 대한 저항을 이끌 조직인 중앙 루손 국(CLB)이 만들어졌다.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7]

부서직책이름
사무총장빈센테 라바
조직부부장마테오 델 카스티요
통일전선부부장후안 펠레오
교육부부장프리미티보 아로간테
재정부부장에메테리오 팀반
군사부부장루이스 타루크
부부장카스토 알레한드리노



이 회의가 시작되자 몇몇 무장 단체들이 즉시 조직되어 중앙 루손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중요한 사건은 1942년 3월 13일 펠리파 쿨랄라(가명 다양다양(Dayang-Dayang))가 이끄는 비행대가 팜팡가주 칸다바의 만딜리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승리한 것이었다.[5] 쿨랄라의 성공적인 공격 소식은 저항군의 사기를 높였다.[8]

1942년 3월 29일, 농민 지도자들이 타를라크주, 팜팡가주, 누에바 에시하주의 교차점에 있는 산 후리안 마을 바윗 지역에 있는 숲 속에서 통일된 조직을 결성하기 위해 만났다. 조직의 이름으로 ''후크봉 바얀 라반 사 므가 하폰''(Hukbong Bayan Laban sa mga Hapon)이 선택되었다. 회의 후, 타룩(최고사령관), 카스트로 알레한드리노(부사령관), 베르나르도 포블레테(탄당 바날), 쿨랄라를 멤버로 하는 군사위원회가 구성되었다. 후크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당 조직인 군사위원회에도 후크발라합 고위 사령부가 합류했다.[5]

CLB는 PKP의 "전시 버전"으로 여겨졌다.[5] PKP 관리들이 후크 구조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았지만, 이 운동은 PKP와 그 관련 조직의 구성원 이상을 포함했다.[8]

로버트 래펌의 보고에 따르면 루이스 타루크 또는 카스토 알레한드리노가 1942년 봄에 캠프 산체스에서 클로드 토프 중령과 만났고, 양측은 협력하고 장비와 물자를 공유하며 미국 측이 훈련관을 제공하는 데 동의했다.[9] 그러나 후크는 일본군과 싸웠지만, 극동 미군 게릴라를 "방해하려고" 했고, "따라서 불충성스럽다고 여겨져 전쟁이 끝난 후 미국의 인정이나 혜택을 받지 못했다."[9]

주 및 연도별 무장 후크발라합 및 비행대 수[8]
무장 후크발라합비행대 수
194219441944
불라칸주3501,00010
누에바 에시하주7503,00022
팜팡가주1,2004,00035
타를라크주3006006
라구나주1003002
기타*1001
총계2,7009,00076
*특수 비행대(비행대 48)는 특정 주가 없었다.



결성 후, 이 단체는 빠르게 성장하여 1943년 여름 말에는 1만 5천 명에서 2만 명의 현역 남녀 전투원과 5만 명의 예비군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전투원들의 무기는 주로 일본군, 필리핀군, 미군이 남긴 전장과 추락한 비행기에서 훔친 것이었다.[7] 그들은 일본군과 싸우고, 일본의 세금 징수 서비스를 방해하고, 일본군에게 보급품을 가로채고, 마르크스주의 사상에 기반한 정치 이론과 군사 전술을 가르치는 훈련 학교를 설립했다. 이 단체가 장악한 지역에서는 지방 정부(Sandatahang Tanod ng Bayan, 바랑가이 통합 방위대)를 설립하고 토지 개혁을 실시하여 가장 큰 토지를 농민들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고 종종 지주들을 죽였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반일 감정에 휩싸인 지주들이 후크 저항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받기도 했다.[7] PKP 조직자들은 후크가 장악한 바랑가이에 BUDC를 설립하기 위해 신속하게 작업에 착수했는데, 이는 저항군으로서의 성공에 기여했다.[5] 그러나 실제로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바랑가이 정부, 일본이 설립한 "이웃 위원회" 그리고 BUDC 간에 중복이 있었다.[8]

후크 운동은 여성 농민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는데, 여성들은 일본군의 전쟁 잔혹 행위(강간과 절단 등)에 대한 소식에 저항하여 운동 참여를 주장했다. 이 여성들 중 많은 수가 싸웠지만, 저항의 대다수는 마을에 남아 보급품과 정보를 수집했다.[7] 숲속 캠프의 여성들은 전투에 참여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7] 응급 처치, 통신/선전, 모병 전술에 대한 훈련을 받았다.[7]

후크는 빠른 성공을 통해 사기를 높이고 무장이 부족한 집단을 위해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공격으로 초기 성공을 거두었다. 일본군은 1942년 9월 6일과 12월 5일에 후크에 대한 두 차례의 역공을 가했다. 두 공격 모두 후크의 습격 빈도를 줄이지 못했고, 후크 작전만 강화시켰다. 1943년 3월 5일, 일본군은 누에바 에시하주 카비아오에 있는 후크 본부를 기습 공격했다. 이 습격으로 많은 CPP 간부와 후크 병사들이 체포되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후크는 1,200번의 교전을 벌였고 약 2만 5천 명의 적군 사상자를 냈다. 후크의 전력은 2만 명의 완전 무장 정규군과 약 5만 명의 예비군으로 구성되었다.[5]

3. 2. 일본군의 탄압

후크발라합은 팜팡가주, 타를라크주, 누에바에시하주의 빈농을 주된 구성원으로 하고 있었지만, 5관구로 이루어진 군대 조직과 군사 학교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일본군의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적으로 일본 육군을 상대로 성공적인 게릴라전을 전개했으며, 지역 주민들은 주거와 음식을 제공하며 이들의 활동을 지원했다. 이에 대응하여 일본군은 폭격 등에 의한 대규모 공격과 가혹한 보복을 반복했지만, 후크발라합의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 필리핀 점령 기간 동안 일본군은 지속적으로 후크발라합에 시달렸다.

4. 미군과의 관계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군은 후크발라합과 협력하여 일본군에 대항했으나, 전후 후크발라합의 공산주의적 성격과 토지개혁 활동을 우려하여 탄압했다. 이러한 탄압은 냉전 시대까지 이어졌다.

한편, 레이 C. 헌트와 같은 일부 미군 관계자들은 후크발라합을 테러리스트적인 집단으로 묘사하기도 했다.[10] 그러나 후크발라합은 자신들이 제2차 세계 대전의 독립투사이자 과거 미군과 필리핀군의 동맹국으로서 전쟁 배상금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했다.

4. 1. 공동 투쟁

태평양 전쟁에서 1944년 10월 24일 레이테 만 전투에서 승리한 미군은 1945년 2월에 마닐라를 탈환하고 필리핀 탈환에 성공했다. 이때 항일 게릴라 조직이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그 중심에는 후크발라합이 있었다. 미군과 후크발라합은 한때 미국 극동 육군 게릴라와 지하에서 연락을 하고 항일 협력을 하며 대일 작전에서 역할 분담을 하는 등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0]

4. 2. 미국의 배신과 탄압

1945년 미군은 마닐라를 탈환하며 필리핀 해방에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후크발라합을 비롯한 항일 게릴라 조직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미국 극동 육군과 후크발라합은 한때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다.[10]

그러나 미국은 전후 미군의 권익 보장과 후크발라합의 공산주의적 성격, 그리고 토지개혁 활동을 우려하여 이들을 무장 해제하고 간부를 체포하는 등 탄압했다. 이러한 탄압은 냉전 시대까지 이어졌다. 이는 한국의 군정기에서 미국조선공산당과 남로당을 막아낸 것과 유사한 사례이다.

5. 전후 필리핀 정부와의 투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우려하여 필리핀 공산당을 중심으로 한 후크발라합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일본 군정에 협력했던 필리핀 유산계급을 신생 공화국 정계에 복귀시키는 등 반공주의 정책을 펼쳤다.

후크발라합은 일시 해산되었으나, 소작료 인하 등 토지 개혁을 요구하는 농민 운동이 정부의 탄압을 받자 1947년 재건되어 무력 항쟁을 이어갔다. 같은 해 루이스 타룩 등 후크발라합 지도자들은 민주 동맹(DA) 소속으로 출마, 당선되었으나 의회 내 보수적인 대지주들은 이들의 의석을 박탈했다. 이는 후크발라합의 봉기를 촉발했고, 그 기세는 공화국 정부를 전복하고 친소 공산 국가 수립 직전까지 이를 정도였다.

1948년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이 평화 협상을 시도했으나, 무기 반납 조건 등의 이견으로 결렬되었다. 1950년 후크발라합은 '''필리핀 인민 해방군'''(후크봉 마파그팔라야 낭 바얀, 'Hukbong Mapagpalaya ng Bayan', 약칭 '''HMB''')으로 개칭하고 정규군 3만 명, 후방 부대 25만 명에 달하는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1951년부터 라몬 막사이사이가 지휘하는 정부군의 공격으로 약화되었고, 1954년 지도자 타룩이 항복하면서 쇠퇴, 1950년대에는 거의 진압되었다.

5. 1. 후크발라합 반란 (1946-1954)

후크발라합 참전용사 카드


전쟁이 끝나고 미군이 필리핀으로 돌아오자, 후크발라합은 자신들의 노력이 인정받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미군은 USAFFE 게릴라와 PC 대원들의 도움을 받아 후크 부대를 강제로 무장 해제하고 다른 게릴라들을 반역죄 등으로 기소했다.[11][8] 1945년 루이스 타룩과 카스토 알레한드리노가 체포되었고, 불라칸주 말롤로스에서 109명의 후크 게릴라가 학살당했다.[8]

1945년 9월,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은 타룩, 알레한드리노 및 기타 후크 지도자들을 석방했다. PKP는 후크 지도자들을 통해 운동을 해산하고 후크발라합 참전 용사 연맹을 결성하여 후크발라합을 정당한 게릴라 운동으로 인정받으려 했다. 알레한드리노는 명목상 의장이었다.[5]

1946년 중부 루손의 농민들은 민주 동맹 회원들을 지지하여 6명의 후보가 상원 의석을 차지했다. 여기에는 루이스 타룩도 포함되었으나, 정부는 이들의 의회 참석을 막았고, 이는 중부 루손 농민들의 불만을 더욱 악화시켰다. 로하스 정부는 평화 프로그램을 시도했지만, "휴전" 며칠 만에 중부 루손에서 다시 폭력이 발생했다. 타룩 등은 민간 경비대와 정부 관리들이 평화 과정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8]

1946년 8월 24일, 펠레오는 누에바에시하주 가판에서 무장한 사람들에게 살해당했다.[8] 이 사건으로 타룩은 농민들과 합류하여 봉기를 재점화했고, 로하스 정부는 1948년 3월 6일 후크발라합을 불법화했다.[5]

1949년, 후크발라합 대원들은 필리핀 적십자사 회장이자 마누엘 L. 케손 대통령의 미망인인 아우로라 케손을 매복하여 살해했다.[12] 이 공격은 후크에 대한 전 세계적인 비난을 불러일으켰다.[12] 1950년 후크는 Hukbong Mapagpalaya ng Bayan|후크봉 마파그팔라야 낭 바얀|인민 해방군fil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후크는 자금과 재산을 몰수하고 작은 마을 조직자들에게 의존했다. 후크 운동은 주로 누에바에시하, 팜팡가, 타를락, 불라칸 중부 지방과 누에바비스카야, 판가시난, 라구나, 바탄, 케손에 퍼져 있었다.

후크에 대한 캠페인에서 중요한 것은 특수 부대의 배치였다. "네니타" 부대(1946-1949)는 후크 제거를 주요 임무로 하는 최초의 특수 부대였으나, 공포 테러 전술은 때때로 후크가 지지자를 얻는 데 도움이 되었다. 1950년 7월, 발레리아노 소령은 엘리트 제7대대 전투팀(BCT)의 지휘를 맡아 더 포괄적인 대반란 전략을 채택했다.

1950년 6월, 냉전 중 미국의 우려로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군사 지원을 승인했다. 1950년 8월 26일, 후크는 라구나주 산타크루스와 타를락의 마카불로스 캠프를 일시적으로 장악했다.[6] 1950년 9월, 라몬 마그사이사이가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마그사이사이는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에게 ''체포영장 금지령'' 정지를 촉구했고, 1950년 10월 18일, 마닐라에서 정치국 사무국을 체포했다.[6]

미국의 지원으로 마그사이사이는 더 많은 BCT를 만들었다. 1951년까지 육군 병력은 60% 증가했다. 제7, 16, 17, 22 BCT가 후크에 대한 주요 군사 공세를 수행했다.

파나이 태스크포스의 "녹아웃" 작전은 비사야스 지역 후크 사령관 길레르모 카파도시아를 기습 공격했다. 카파도시아는 파나이에서 1952년 9월 20일 사망했다.[6]

1954년, 라우레노 마라냐 중령이 제7 BCT의 지휘를 맡았다. 포스 X는 심리전을 사용했다. 1954년까지 후크의 수는 2,000명 미만이 되었고, 1954년 2월부터 9월 중순까지 "썬더-라이트닝 작전"이 실시되어 5월 17일 루이스 타룩이 항복했다. 게릴라 정리 작전은 1955년 내내 지속되었다.

5. 2. 한국과의 역사적 유사성

미국의 후크발라합 탄압은 한국의 군정기에 있었던 대구 10.1 사건, 제주 4.3 사건 등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1] 이는 당시 미국이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취한 정책의 일환이었다. 특히, 제주 4.3 사건은 이승만 정권의 탄압과 학살로 인해 수많은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후크발라합의 경험과 비교될 수 있다.[1]

6. 조직

후크발라합은 필리핀 공산당(PKP)의 지휘를 받았다. 1942년 2월, 누에바 에시하(Nueva Ecija)주 카비아오(Cabiao)에서 열린 "투쟁 회의"에서 PKP, 인민 전선당, 민주주의 방위 연맹, KPMP, AMT, KAP 회원들이 모여 일본에 대한 통일된 저항을 위한 조직인 중앙 루손 국(CLB)을 만들었다.[7] 중앙 루손 국의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았다.[7]

부서직책이름
사무총장빈센테 라바(Vicente Lava)
조직부부장마테오 델 카스티요(Mateo del Castillo)
통일전선부부장후안 펠레오(Juan Feleo)
교육부부장프리미티보 아로간테(Primitivo Arrogante)
재정부부장에메테리오 팀반(Emeterio Timban)
군사부부장루이스 타룩(Luis Taruc)
부부장카스토 알레한드리노(Casto Alejandrino)



1942년 3월 29일, 타락(Tarlac), 판팡가(Pampanga), 누에바 에시하(Nueva Ecija)의 교차점에 있는 산 후리안(San Julian) 마을 바윗(Sitio Bawit) 지역에서 후크발라합이 결성되었다. 루이스 타룩이 최고사령관, 카스트로 알레한드리노가 부사령관으로 군사위원회에 참여했다.[5]

6. 1. 조직 구조

후크발라합은 필리핀 공산당(PKP)이 일본군에 맞서기 위해 조직한 "민중군"이었다.[5] 중앙 루손 사무국(Central Luzon Bureau)이 이끌었으며, 비센테 라바가 서기였다. 후크발라합의 조직 구조는 5개의 위원회로 구성되었다.[7]

  • '''재정 및 보급(Finance and Provisions)''' : 게릴라에게 보급품 및 기타 필수품을 공급했다.
  • '''조직 및 통신(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 지도부와 지지 기반 간의 관계를 조정했다.
  • '''군사 위원회(Military Committee)''' : 게릴라 군대 연대를 담당했다.
  • '''정보 및 교육(Intelligence and Education)''' : 정치 교육 및 적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담당했다.
  • '''통일전선(United Front)''' : 선전 및 지지 동원을 담당했다.


후크의 군사 조직은 중국 인민해방군을 모델로 했다. 100명의 장교와 병사로 구성된 분대와 소대로 구성되었고, 이것들이 중대를 형성했다. 두 개의 중대가 하나의 대대를, 두 개의 대대가 하나의 연대를 형성했다.[5] 그러나 이러한 수치가 항상 지켜지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누에바에시하주 탈라베라(Talavera)에 주둔한 제8중대는 각각 12명의 병사로 구성된 12개의 분대로 이루어져 있었다.[8]

5개의 중대로 편성된 500명의 무장 후크의 초기 병력은 2만 명의 완전 무장 게릴라 부대로 증가했다.[7] 1944년까지 후크의 병력은 76개 중대로 늘었다.[8]

후크 게릴라가 장악한 지역에서는 후크가 치안 유지와 약탈자 및 도둑을 막기 위해 임시 경찰대를 조직했다.[8] 후크는 현장의 후크 부대를 지원하는 지역 정부 역할을 한 ''산다타항 타노드 응 바얀''(Barrio United Defense Corps, BUDC)도 결성했다. BUDC는 후크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조직하고, 일본군으로부터 수확물을 보호하고, 친일 필리핀인들을 공격했다.[7] 후크발라합은 또한 대통령, 부통령, 장관, 재무관, 그리고 5명의 경찰로 구성된 정부를 수립했다. 마을 정부에는 담당자가 이끄는 세 개의 부서가 있었는데, 군사 정보 수집, 다른 마을과 후크 회원 간의 통신, 보급을 담당했다.[8] 후크발라합 정부는 결혼식, 세례식, 장례식 주례와 결혼 증명서 및 출생 증명서 발급과 같은 민정 업무도 수행했다.[8]

6. 2. 군사 조직

중국 인민해방군을 모델로 하여 분대, 소대, 중대, 대대, 연대로 구성되었다.[5] 100명의 장교와 병사로 구성된 분대와 소대가 중대를 형성하고, 두 개의 중대가 하나의 대대를, 두 개의 대대가 하나의 연대를 형성했다.[5] 그러나 이러한 편제가 항상 지켜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누에바 에시하주(Nueva Ecija) 타라베라(Talavera)에 주둔한 제8중대는 각각 12명의 병사로 구성된 12개의 분대로 이루어져 있었다.[8]

초기 500명의 무장 후크는 1944년까지 76개 중대, 2만 명의 완전 무장 게릴라 부대로 성장했다.[7][8]

1944년 주별 무장 후크발라합 및 비행대 수[8]
무장 후크발라합비행대 수
불라칸(Bulacan)1,00010
누에바 에시하(Nueva Ecija)3,00022
판팡가(Pampanga)4,00035
타락(Tarlac)6006
라구나주(Laguna)3002
기타*1001
총계9,00076
*특수 비행대(비행대 48)는 특정 주가 없었다.


7. 평가

후크발라합은 필리핀 독립과 사회 정의를 위해 싸운 농민들의 저항 운동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들의 무장 투쟁 방식과 공산주의 이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0]

7. 1. 부정적 평가

다른 게릴라 지도자들은 후크발라합의 방법을 종종 테러리스트적이라고 묘사했다. 예를 들어, 3,000명의 게릴라 부대를 이끌었던 미국인 레이 헌트는 후크발라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10]

후크들과의 경험은 항상 불쾌했습니다. 제가 알던 그들은 군인보다는 훨씬 뛰어난 암살자들이었습니다. 광신도들이 엄격하게 훈련시킨 그들은 필리핀 지주 몇 명을 살해하고 다른 지주들을 마닐라의 비교적 안전한 곳으로 몰아냈습니다. 그들은 평범한 필리핀 사람들을 약탈하고 고문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고, 다른 모든 게릴라(루손 섬)들의 배신적인 적이었습니다.


그러나 후크발라합은 10년 이상 지속된 게릴라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독립투사이자 과거 미군과 필리핀군 동맹국으로서 전쟁 배상금을 나눠 받을 자격이 있다는 인정을 받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uk Rebellion https://web.archive.[...] 2016-04-29
[2] 서적 No Other Way Ou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 뉴스 Hukbalahap monument to rise in Ecija town https://newsinfo.inq[...] 2019-04-03
[4] 뉴스 Hukbalahap monument unveiled in Pampanga https://newsinfo.inq[...] 2023-10-16
[5] 서적 Communism in the Philippines: An Introductio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990
[6] 서적 He Who Rides the Tiger Geoffrey Chapman Ltd. 1967
[7] 서적 Amazons of the Huk rebellion gender, sex, and revolution in the Philippines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16-09-10
[8] 서적 The Huk Rebellion: A Study of Peasant Revolt in the Philippin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서적 Lapham's Raiders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96
[10] 서적 The Great Raid: Rescuing the Doomed Ghosts of Bataan and Corregidor John Wiley & Sons, Inc. 2002
[11] 논문 #추정.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12] 서적 #추정. 페이지 번호만 제공되었으므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13] 서적 No Other Way Out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