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띠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띠엔은 베트남 키엔장성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에는 캄보디아의 영토였다. 18세기 초 중국인 막 끄우가 개척한 반독립 국가 '항구국'의 영역이었으며, 이후 베트남에 병합되었다. 하띠엔은 지리적으로 오래전부터 정착지와 항구가 존재했던 곳으로, 불교가 캄보디아로 전파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재는 5개의 프엉과 2개의 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치민시, 푸꾸옥섬, 메콩 삼각주의 여러 도시와 버스, 고속선, 페리 노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캄보디아와의 국경 통과 지점이 위치해 있으며, 전자 비자 입국 지점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끼엔장성 - 락자
    락자는 끼엔장성에 위치한 다민족 도시로, 응우옌 왕조에 편입된 과거 캄보디아 영토이며, 민족 영웅 사당과 국가 사적지를 보유하고, 해안 매립 사업으로 경제 성장과 환경 문제를 겪었으며, 교통 요충지이자 해외 투자 유입으로 신도시 개발이 진행 중이고, 지명 유래에 대한 여러 설이 있다.
  • 끼엔장성의 지리 - 락자
    락자는 끼엔장성에 위치한 다민족 도시로, 응우옌 왕조에 편입된 과거 캄보디아 영토이며, 민족 영웅 사당과 국가 사적지를 보유하고, 해안 매립 사업으로 경제 성장과 환경 문제를 겪었으며, 교통 요충지이자 해외 투자 유입으로 신도시 개발이 진행 중이고, 지명 유래에 대한 여러 설이 있다.
  • 끼엔장성의 지리 - 안비엔현
    제공된 정보가 없어 요약할 수 없습니다.
  • 베트남의 도시 - 달랏
    달랏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에 위치하며, "상춘의 도시" 또는 "영원한 봄의 도시"로 불리며, 아르데코 양식과 베트남 전통 건축 양식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가지고 있다.
  • 베트남의 도시 - 꾸이년
    꾸이년은 11세기부터 참파 문화의 영향을 받아 번영했으며, 19세기 후반에 공식적으로 도시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상업 및 관광 중심지로서, 푸깟 공항과 티나이 항을 통해 항공 및 해상 교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띠엔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하티엔시
현지어 명칭Thành phố Hà Tiên (타인포 하티엔)
다른 이름Hà Tiên (하티엔)
Thành phố Hà Tiên (타인포 하티엔)
별칭해당사항 없음
국가베트남
행정 구역끼엔장성
도시 등급3급 도시
행정
시장정보 없음
지리
면적100.49 km²
기후열대 사바나 기후 (Aw)
인구
인구 (2019년)100,56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2. 역사

하띠엔(Hà Tiên)이라는 이름은 한월어에서 유래되었으며, 河僊 또는 河仙에서 유래되어 "강의 정령"을 의미한다.

많은 작품에서 하띠엔을 "판타이마스"라고 잘못 언급하는데, 이는 판다이-마스(크메르어), 폰테아마스(영어), 푸타이맛(พุทไธมาศ|푸타이맛th) 또는 반타이맛(บันทายมาศ|반타이맛th), 폰티아마스 또는 폰테이마스(프랑스어), 폰티아노(로버트 지도, 1751), 판타이-마스, 반타이마스, 폰티아마스, 폰타이마스, 반타이-마스, 반테이 메아스, 폰티아마스, 폰티아마세, 포-타이맛 등 다양한 철자로 표기되었다.[2]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하띠엔은 한때 캄보디아의 영역이었다. 18세기 초기에는 중국인 개척자이자 광남국에 조공한 막끄우(鄚玖)가 개척한 반독립 국가 ‘항구국’(港口國)의 영역이었다. 18세기 말 베트남의 영역이 되었다.[3]

응우옌 왕조 시대 하띠엔 성채 그림


현재 하띠엔 타운이 위치한 곳에는 아주 오래전부터 정착지와 항구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이곳의 도시를 ''아카드라''로 식별했으며, 이 도시는 캄보디아의 ''피토노바스테'' - 반테아이 메아스 지역의 항구였으며, 이는 모두 푸난 왕국의 일부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지역의 수도 또한 반테아이 메아스라고 불렸으며, 해안가에 위치하지 않고, 지앙-타잉 강을 따라 하루 정도 거리에 있었다. ''반테아이 메아스''(បន្ទាយមាស|반테아이 메아스km, บันทายมาศ|반타이맛th; lit: "황금의 성벽")라는 이름은 한때 도시 주변에 사용되었던 대나무 요새를 지칭했다. 하띠엔 타운은 원래 크메르어로 ''피엠'' 또는 ''피암''(ពាម|피엠km, เปียม|피엠th; Pie, Pam, Bam이라고도 함)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크메르어로 "항구", "부두" 또는 "강 어귀"를 의미하며, 베트남어로는 크메르인을 지칭하는 베트남어 용어인 "망"에서 유래된 ''망캄''이라고 불렸다. 415년경 폭풍에 의해 붓다고사를 태운 배가 이곳으로 표류하면서, 이 항구를 통해 불교가 캄보디아에 전파되었다고 한다.[1]

하띠엔은 명나라를 지지하고 청나라에 반대하는, 대부분 남성으로 구성된 소규모의 중국인 집단, 즉 막 꾸우(Mạc Cửu)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들이 Đàng Trong (남부 베트남이 응우옌 군주의 통치를 받던 시대)에 도착했을 때, 응우옌 군주는 캄보디아의 왕(당시 Đàng Trong의 봉신)에게 이 중국인들에게 땅을 하사하도록 명령했다. 이들은 이 지역에 시장을 건설하여 번화한 상업 도시로 만들었다. 베트남인들은 점차 이곳에 도착했다. 이 도시는 나중에 막 꾸우가 그 주권을 응우옌 군주에게 넘겨주면서 베트남 영토로 병합되었다. 막 꾸우는 이후 이 도시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이때 강-타잉 강의 수호신을 지칭하는 이름인 하띠엔(河仙 - "강의 요정")이 응우옌 푹 추 군주에 의해 이 도시에 부여되었다.[3]

2. 2. 막씨 왕조와 항구국

한때 캄보디아의 영역이었다. 18세기 초기에는 중국인 개척자이며, 광남국에 조공한 막끄우(鄚玖)가 개척을 한 반독립 국가였던 ‘항구국’(港口國)의 영역이었다. 18세기말 베트남의 영역이 되었다.[3]

하띠엔 타운이 위치한 곳에는 아주 오래전부터 정착지와 항구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이곳의 도시를 ''아카드라''로 식별했으며, 이 도시는 캄보디아의 ''피토노바스테'' - 반테아이 메아스 지역의 항구였으며, 이는 모두 푸난 왕국의 일부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지역의 수도 또한 반테아이 메아스라고 불렸으며, 해안가에 위치하지 않고, 지앙-타잉 강을 따라 하루 정도 거리에 있었다. ''반테아이 메아스''(បន្ទាយមាស|반테아이 메아스km, บันทายมาศ|반타이맛th; lit: "황금의 성벽")라는 이름은 한때 도시 주변에 사용되었던 대나무 요새를 지칭했다. 하띠엔 타운은 원래 크메르어로 ''피엠'' 또는 ''피암''(ពាម|피엠km, เปียม|피엠th)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크메르어로 "항구", "부두" 또는 "강 어귀"를 의미하며, 베트남어로는 크메르인을 지칭하는 베트남어 용어인 "망"에서 유래된 ''망캄''이라고 불렸다. 415년경 폭풍에 의해 붓다고사를 태운 배가 이곳으로 표류하면서, 이 항구를 통해 불교가 캄보디아에 전파되었다고 한다.[1]

하띠엔은 명나라를 지지하고 청나라에 반대하는, 대부분 남성으로 구성된 소규모의 중국인 집단, 즉 막 꾸우(Mạc Cửu)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들이 Đàng Trong (남부 베트남이 응우옌 군주의 통치를 받던 시대)에 도착했을 때, 응우옌 군주는 캄보디아의 왕(당시 Đàng Trong의 봉신)에게 이 중국인들에게 땅을 하사하도록 명령했다. 이들은 이 지역에 시장을 건설하여 번화한 상업 도시로 만들었다. 베트남인들은 점차 이곳에 도착했다. 이 도시는 나중에 막 꾸우가 그 주권을 응우옌 군주에게 넘겨주면서 베트남 영토로 병합되었다. 막 꾸우는 이후 이 도시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이때 강-타잉 강의 수호신을 지칭하는 이름인 하띠엔(河仙 - "강의 요정")이 응우옌 푹 추 군주에 의해 이 도시에 부여되었다.[3]

2. 3. 응우옌 왕조와 프랑스 식민지 시대

한때 캄보디아의 영역이었다. 18세기 초에는 광남국에 조공한 화교 개척자 막끄우가 개척한 반독립 국가 '항구국'의 영역이었다. 18세기 말 베트남의 영역이 되었다.[3]

하띠엔은 명나라를 지지하고 청나라에 반대하는, 대부분 남성으로 구성된 소규모의 중국인 집단인 막 꾸우(Mạc Cửu)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들이 응우옌 군주의 통치를 받던 Đàng Trong(남부 베트남)에 도착했을 때, 응우옌 군주는 캄보디아의 왕(당시 Đàng Trong의 봉신)에게 이 중국인들에게 땅을 하사하도록 명령했다. 이들은 이 지역에 시장을 건설하여 번화한 상업 도시로 만들었다. 베트남인들은 점차 이곳에 도착했다. 이 도시는 나중에 막 꾸우가 그 주권을 응우옌 군주에게 넘겨주면서 베트남 영토로 병합되었다. 막 꾸우는 이후 이 도시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이때 강-타잉 강의 수호신을 지칭하는 이름인 하띠엔(河仙 - "강의 요정")이 응우옌 푹 추 군주에 의해 이 도시에 부여되었다.[3]

2. 4. 베트남 전쟁과 현대

하띠엔은 과거 캄보디아의 영토였다. 18세기 초, 광남국에 조공한 화교 출신 개척자 막끄우(鄚玖)가 세운 반독립 국가 '항구국'의 영역이었다. 18세기 말 응우옌 왕조에 의해 베트남의 영역이 되었다.[3]

3. 지리

하띠엔은 한월어 河僊, 河仙의 음차로 ‘강의 신령’이라는 뜻이다.

섬 지역을 제외하면 베트남의 남서쪽 끝, 캄보디아와의 국경 지대에 위치한 항구 도시이다.[9] 메콩강쩌우독의 Kênh Vĩnh Tếvi로 연결된다.[9]

4.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31.6°C32.6°C32.3°C33.1°C34.5°C32.6°C32.1°C32.1°C31.7°C32°C32.1°C32°C
평균 기온 (℃)25.6°C26.5°C26.9°C27.9°C28°C27.5°C27°C26.9°C26.7°C26.4°C26.1°C25.4°C26.7°C
평균 최저 기온 (℃)16.1°C19.5°C20°C19.6°C21°C20.2°C20.9°C20.7°C20.9°C20.1°C17.1°C17.1°C
평균 강수량 (mm)22.8mm17.9mm60mm132.7mm202.1mm234.5mm300.7mm289.6mm256.5mm269.6mm151.4mm62.5mm2000.1mm
평균 습도 (%)76.878.778.077.781.281.282.285.081.684.482.180.281.0
출처인도차이나 연감(1928-1933년 평균 기온, 1930-1933년 습도)[4], 베트남 건축 과학 기술 연구소(1992-2022년 강수량) [5]


5. 행정 구역

하띠엔시는 5개의 방(坊)과 2개의 (社)로 구성되어 있다.

방(坊)사(社)


6. 교통

호찌민시에서 버스로 약 8시간, 푸꾸옥섬의 함닌 항, 탄토이 항에서 고속선으로 약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9]

하띠엔 옆 베트남 국경 검문소


베트남 - 캄보디아 국경 통과

6. 1. 도로 교통

호찌민시에서 버스로 약 8시간, 푸꾸옥섬의 함닌 항, 떤타이 항에서 고속선으로 약 1시간 30분이 소요된다.[9] 버스 노선은 하띠엔을 락자, 쩌우독, 껀터, 까마우, 붕따우, 호찌민시 등 메콩 삼각주의 여러 도시와 연결한다.

6. 2. 해상 교통

호찌민시에서 버스로 약 8시간이 소요된다. 푸꾸옥섬의 함닌 항구, 탄토이 항구에서 고속선으로 약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9] 푸꾸옥 섬으로 가는 일일 고속 페리가 운행된다. 우기에는 일반적으로 하루 두 번, 오전 8시에서 8시 30분경, 오후 1시에서 1시 30분경에 운행된다 (시간은 조수 간만/날씨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건기에는 더 자주 운행하며, 최대 3척의 고속선(Superdong)이 매일 최대 3번 왕복 운항한다. 소요 시간은 약 80~90분이다. 현재 하띠엔에서 섬의 북동쪽 모퉁이인 바이톰까지 4척의 자동차 페리가 운행된다. 이 페리는 정해진 시간표 없이 수요에 따라 운행되며, 오전 5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될 수 있다. 소요 시간은 약 2시간 30분이다.

6. 3. 국경 통과

호찌민시에서 버스로 약 8시간이 소요된다. 푸꾸옥섬의 함닌 항, 떤타이 항에서 고속선으로 약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9] 하띠엔 국제 국경 관문이라고 불리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간의 도로 국경 통과는 하띠엔에서 서쪽으로 7km 떨어진 사 시아 마을에 있다. 캄보디아 측에서는 이 국경 통과 지점을 캄폿 주 캄퐁 트라크 구의 프렉 챤 국제 국경 검문소라고 부른다. 이 국경 통과는 2007년에 개통되었으며,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된다. 일반적인 베트남 비자 외에도, 이 국경 통과는 외국인을 위한 베트남 전자 비자 입국 지점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7. 경제

하띠엔에서 남쪽으로 약 22km 떨어진 곳에는 끼엔르엉에 대규모 시멘트 공장이 있다. 이 공장은 남베트남 시기인 1961년 4월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당시 최대 규모의 산업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6]

참조

[1] 간행물 "Notes on the Early Geography of Indo-China" 1897
[2] 서적 "The Princes of Hà-Tiên (1682-1867): the Last of the Philosopher-Princes and the Prelude to the French Conquest of Indochina: a Study of the Independent Rule of the Mac Dynasty in the Principality of Hà-Tiê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of Vietnam" Thanh-long 1983
[3] 서적 "The Princes of Hà-Tiên (1682-1867): the Last of the Philosopher-Princes and the Prelude to the French Conquest of Indochina: a Study of the Independent Rule of the Mac Dynasty in the Principality of Hà-Tiê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of Vietnam" Thanh-long 1983
[4] 문서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2-1933) https://seadelt.net/[...]
[5] 웹사이트 Vietnam Institute for Building Science and Technology https://vjol.info.vn[...]
[6] 서적 Kinh tế Miền Nam Việt nam thời kỳ 1955 - 1975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2004
[7] 웹사이트 Danh Sách Cửa Khẩu Cho Phép Người Nước Ngoài Nhập Cảnh, Xuất Cảnh Bằng Thị Thực Điện Tử (List Of Ports That Allowed Foreigners Enter And Exit Vietnam By Vietnamese E-Visa) https://evisa.xuatnh[...] Vietnam Immigration Department 2019-02-27
[8] 웹사이트 TỔNG QUAN THỊ XÃ HÀ TIÊN – KIÊN GIANG http://hatien.kiengi[...] 2015-04-30
[9] 서적 地球の歩き方 D21 ベトナム '12-'13 ダイアモンド・ビッグ社
[10] 문서 2018년 1월 1일, 정부령 Decision 2475 / QD-BTTTT
[11] 웹사이트 https://www.gso.gov.[...]
[12] 문서 2017년 개정 새 지역 전화번호
[13] 문서 No. 573 / NQ-UBTVQH14, 2018년 9월 11일 https://thuvienphapl[...] 국무 총리직 협의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