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르트비히 가우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르트비히 가우더는 동독의 경보 선수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50km 경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4년 심장병으로 투병 생활을 하다가 심장 이식 수술을 받았고, 이후 파워 워킹을 고안하여 보급에 힘썼다. 2020년 신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의 남자 경보 선수 - 크리스토프 회네
크리스토프 회네는 동독의 경보 선수이자 스포츠 사진작가이며,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 50km 경보 금메달리스트이고,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와 IAAF 세계 경보컵에서도 여러 차례 우승했다. - 동독의 남자 경보 선수 - 페터 프렝켈
페터 프렝켈은 동독의 경보 선수로, 1972년 뮌헨 올림픽 금메달,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km 경보 세계 기록을 두 차례 세우고, 은퇴 후에는 사진작가로 활동했다. - 독일의 남자 경보 선수 - 베른트 카넨베르크
베른트 카넨베르크는 독일의 전직 경보 선수로, 1972년 뮌헨 올림픽 50km 경보에서 금메달, 1973년 경보 월드컵 50km 경보에서 금메달, 1974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20km 경보에서 2위를 기록했다. - 독일의 남자 경보 선수 - 페터 프렝켈
페터 프렝켈은 동독의 경보 선수로, 1972년 뮌헨 올림픽 금메달,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km 경보 세계 기록을 두 차례 세우고, 은퇴 후에는 사진작가로 활동했다. - 동독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롤란트 마테스
롤란트 마테스는 올림픽에서 8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및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도 다수의 금메달을 딴 동독의 전설적인 배영 전문 수영 선수로서, 은퇴 후에는 정형외과 의사이자 사회 활동가로 활동했으며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2019년 사망했다. - 동독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요아힘 슈트라이히
요아힘 슈트라이히는 동독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DDR-오버리가에서 득점왕 4회, 동독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으며, 197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고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감독으로 활동했다.
| 하르트비히 가우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선수 정보 | |
| 이름 | 하르트비히 가우더 |
| 출생일 | 1954년 11월 10일 |
| 사망일 | 2020년 4월 22일 |
| 사망 장소 | 에르푸르트 |
| 출생지 | 바이힝겐안데어엔츠, 서독 |
| 키 | 185cm |
| 몸무게 | 71kg |
| 종목 | 육상 경기 |
| 세부 종목 | 경보 |
| 소속팀 | SC 투르비네 에르푸르트, TSV 에르푸르트 |
| 국가 | → |
| 50km 경보 최고 기록 | 3시간 39분 45초 (1988년) |
| 20km 경보 최고 기록 | 1시간 20분 51초 (1987년) |
| 올림픽 메달 | |
| 1980 모스크바 | 금메달 (50km 경보) |
| 1988 서울 | 동메달 (50km 경보) |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 1987 로마 | 금메달 (50km 경보) |
| 1991 도쿄 | 동메달 (50km 경보) |
|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 |
| 1986 슈투트가르트 | 금메달 (50km 경보) |
| 1990 스플리트 | 동메달 (50km 경보) |
|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메달 | |
| 1981 그르노블 | 금메달 (5km 경보) |
2. 생애
하르트비히 가우더는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파이힝겐안데어안츠에서 태어났지만, 1960년 가족과 함께 동독 튀링겐주의 일메나우로 이주했다. 1978년부터 동독 국가대표 경보 선수로 활동했으며, 주요 국제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 1980 | 올림픽 | 모스크바(소련) | 50km 경보 | 3시간 49분 24초 | |
| 1981 |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그르노블(프랑스) | 5000m 경보 | 19분 08초 59 | |
| 1981 | IAAF 경보 월드컵 | 발렌시아(스페인) | 50km 경보 | 3시간 52분 18초 | |
| 1985 | IAAF 경보 월드컵 | 세인트존스(영국) | 50km 경보 | 3시간 47분 31초 | |
| 1986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서독) | 50km 경보 | 3시간 40분 55초 | |
| 1987 | IAAF 경보 월드컵 | 뉴욕(미국) | 50km 경보 | 3시간 42분 52초 | |
| 198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로마(이탈리아) | 50km 경보 | 3시간 40분 53초 | |
| 1988 | 올림픽 | 서울(대한민국) | 50km 경보 | 3시간 39분 45초 | |
| 1990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플리트(유고슬라비아) | 50km 경보 | 4시간 00분 48초 | |
| 199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일본) | 50km 경보 | 3시간 55분 14초 |
2. 1. 선수 경력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파이힝겐안데어안츠에서 태어났으나 1960년 가족과 함께 동독 튀링겐주의 일메나우로 이주했다.1978년부터 동독 국가대표 경보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 50km 경보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에는 동독의 올림픽 보이콧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다.
가우더는 처음에 20km 경보 선수로 시작하여 1975년과 1976년에 동독 챔피언이 되었고, 1978년에는 트랙에서 20000m 경보 유럽 기록(1시간 24분 22초 7)을 세웠다.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7위를 기록한 후, 50km 경보로 주종목을 바꿨고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동독의 보이콧으로 출전하지 못해 올림픽 2연패 달성에 실패했다.
이후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1988년 서울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독일 통일 후에도 선수 생활을 계속했지만, 1994년 원인 불명의 체력 저하를 겪었다. 양계장 세균 감염에 의한 심장병으로 진단받았고, 심장 이식만이 유일한 치료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97년 심장 이식 수술을 받고 재활을 거쳐 일상생활로 복귀했다.
1996년 심장병을 앓기 시작하여 몇 달 동안 인공 심장을 사용했고, 심장 이식 수술 후 뉴욕 마라톤에 여러 번 출전했다.[4]
2. 2. 투병과 재활
1994년에 가우더는 원인 불명의 체력 저하를 겪었다. 후에 양계장에서 세균에 감염된 것이 원인인 심장병으로 진단받았고, 심장 이식만이 그를 살릴 수 있는 길임이 밝혀졌다. 1996년에 심장병을 앓기 시작하여 몇 달 동안 인공 심장으로 살아왔다. 1997년에 기증자가 나타나 이식 수술을 받았고, 재활을 거쳐 뉴욕 마라톤 대회에 여러번 출전하는등 일상생활에 복귀했다.[4]이후, 자신의 경기 경험과 투병 생활에서의 경험을 살린 파워 워킹을 고안했다. 보급을 위해 일본에도 여러 차례 방문했다.[4]
2020년 4월 22일, 인공 투석 중 신부전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사망했다. 향년 65세[4]
2. 3. 은퇴 이후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가우더는 독일 통일 후에도 선수 생활을 이어갔지만, 1994년 원인 불명의 체력 저하를 겪었다. 이는 양계장 세균 감염으로 인한 심장병으로 진단되었고, 심장 이식만이 유일한 치료법이었다. 1997년 심장 이식 수술을 받고 재활을 거쳐 일상생활에 복귀했다.[4]이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파워 워킹을 고안하여 보급에 힘썼으며, 일본에도 여러 차례 방문했다.
2020년 4월 22일, 인공 투석 중 신부전으로 인한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다. 향년 65세였다.[4]
3. 주요 경기 성적
|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 1980 | 올림픽 | 모스크바 (소련) | 50km 경보 | 3시간 49분 24초 | |
| 1981 |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그르노블 (프랑스) | 5000m 경보 | 19분 08초 59 | |
| 1981 | IAAF 경보 월드컵 | 발렌시아 (스페인) | 50km 경보 | 3시간 52분 18초 | |
| 1985 | IAAF 경보 월드컵 | 세인트존스 (영국) | 50km 경보 | 3시간 47분 31초 | |
| 1986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 (서독) | 50km 경보 | 3시간 40분 55초 | |
| 1987 | IAAF 경보 월드컵 | 뉴욕 (미국) | 50km 경보 | 3시간 42분 52초 | |
| 198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로마 (이탈리아) | 50km 경보 | 3시간 40분 53초 | |
| 1988 | 올림픽 | 서울 (대한민국) | 50km 경보 | 3시간 39분 45초 | |
| 1990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플리트 (유고슬라비아) | 50km 경보 | 4시간 00분 48초 | |
| 199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 (일본) | 50km 경보 | 3시간 55분 14초 |
3. 1. 올림픽
가우더는 1980년 하계 올림픽 50km 경보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 1984년 동독의 올림픽 보이콧으로 인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1984년 하계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1] 1988년 하계 올림픽 50km 경보 부문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1]
3. 2.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 198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로마(이탈리아) | 50km 경보 | 금메달 | 3시간 40분 53초 |
| 199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일본) | 50km 경보 | 동메달 | 3시간 55분 14초 |
3. 3.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986 슈투트가르트에서 금메달, 1990 스플리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2]|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 1986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서독) | 50km 경보 | 금메달 | 3시간 40분 55초 |
| 1990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플리트(유고슬라비아) | 50km 경보 | 동메달 | 4시간 00분 48초 |
3. 4. 기타
하르트비히 가우더는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파이힝겐안데어안츠에서 태어났으나 1960년 가족과 함께 동독 튀링겐주의 일메나우로 이주했다.1978년부터 동독 국가대표 경보 선수로 활동했으며, 1980년 하계 올림픽(모스크바) 50km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에는 동독의 올림픽 보이콧으로 1984년 하계 올림픽(로스앤젤레스)에 참가하지 못했다.
1996년 심장병을 앓아 몇 달간 인공 심장으로 생활을 유지했고, 심장 이식 수술 후 뉴욕 마라톤에 여러 차례 출전했다.
2020년 4월 22일 인공투석 중 신부전으로 인한 심장 마비로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 1980 | 올림픽 | 모스크바 (소련) | 50km 경보 | 3시간 49분 24초 | |
| 1981 |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그르노블 (프랑스) | 5000m 경보 | 19분 08초 59 | |
| 1981 | IAAF 경보 월드컵 | 발렌시아 (스페인) | 50km 경보 | 3시간 52분 18초 | |
| 1985 | IAAF 경보 월드컵 | 세인트존스 (영국) | 50km 경보 | 3시간 47분 31초 | |
| 1986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 (서독) | 50km 경보 | 3시간 40분 55초 | |
| 1987 | IAAF 경보 월드컵 | 뉴욕 (미국) | 50km 경보 | 3시간 42분 52초 | |
| 198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로마 (이탈리아) | 50km 경보 | 3시간 40분 53초 | |
| 1988 | 올림픽 | 서울 (대한민국) | 50km 경보 | 3시간 39분 45초 | |
| 1990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플리트 (유고슬라비아) | 50km 경보 | 4시간 00분 48초 | |
| 199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 (일본) | 50km 경보 | 3시간 55분 14초 |
참조
[1]
Sports-Reference
Hartwig Gauder
https://web.archive.[...]
2018-10-25
[2]
웹사이트
Medienbericht - DDR-Olympia-Held Hartwig Gauder (65) tot!
https://www.bild.de/[...]
2020-04-22
[3]
웹사이트
Olympic race walking gold medallist Gauder dies of heart attack
https://www.insideth[...]
Inside the Games
2020-04-23
[4]
웹사이트
Olympiasieger verstorben: Trauer um Geher-Legende Hartwig Gauder
https://www.leichtat[...]
LEICHTATHLETIK.DE
2020-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