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토가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토가야시는 1889년 기타아다치군에 정으로 성립하여 1967년 시로 승격되었다. 2011년 가와구치시에 합병되어 폐지되었으며, 이는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소멸한 시였다. 하토가야시는 1940년 가와구치시에 편입되었다가 1950년 분리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2001년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개통으로 하토가야역과 미나미하토가야역이 개업했다. 가와구치시와의 합병 과정에서 여러 차례 협의와 주민 투표를 거쳤으며, 지리적으로는 가와구치시에 둘러싸여 있고, 주택 밀집 지역이다. 교통은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버스 노선이 발달했으며, 전통 공예, 묘목 등이 특산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와구치시의 역사 - 기타히라야나기촌
    1889년 사이타마현 기타아다치군에 설치되었던 기타히라야나기촌은 1901년 하토가야정에 편입되어 소멸되었으며, 현재 가와구치시 하토가야 지역의 일부이고, 촌 이름은 지역 무사의 씨족 명칭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바 강과 닛코 오나리 가이도가 위치했다.
  • 가와구치시의 역사 - 미나미히라야나기촌
    미나미히라야나기 촌은 사이타마현 남부에 위치하고 도쿄도와 접했으며, 여러 강이 흐르는 저지대에 닛코 오나리 가도가 관통하는 지역으로, 1889년에 7개 촌이 합병하여 성립되어 1933년 가와구치시로 합병되면서 소멸했다.
  • 1950년 설치 - 평창동
    평창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쪽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평창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고급 주택가와 문화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다양한 문화재와 촬영지가 있는 곳이다.
  • 1950년 설치 - 광장동
    광장동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과 한강에 인접하고 워커힐 쉐라톤 호텔, AX홀 등 다양한 시설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이 있는 지역이다.
  • 2011년 폐지 - 국민중심연합
    국민중심연합은 2010년 심대평에 의해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며, 자유선진당에서 탈당한 심대평이 이회창과의 갈등으로 창당했으나, 지방선거에서 저조한 성적을 거두고 2011년 자유선진당에 통합되었다.
  • 2011년 폐지 - 광주무등경기장
    과거 광주광역시에 위치했던 종합 스포츠 시설인 광주무등경기장은 야구장과 주경기장을 포함하여,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경기와 K리그, FA컵 등의 주요 경기를 개최하고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노후화로 인해 대부분의 시설이 철거되고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가 건립되었다.
하토가야시 - [옛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하토가야 시청
하토가야 시청
공식 명칭鳩ヶ谷市 (하토가야시)
유형폐지된 자치체
다른 이름해당 없음
행정 구역
국가일본
지방간토
사이타마현
해당 없음
역사
설립해당 정보 없음
소멸2011년 10월 11일 가와구치시에 합병
설립자해당 정보 없음
이름 유래해당 정보 없음
정치
시장해당 정보 없음
부시장해당 정보 없음
지리
좌표북위 35° 50′ 동경 139° 44′
면적6.22 km²
인구
인구61,781명 (2011년 4월 1일)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JST
UTC 오프셋+09:00
식별 번호
우편 번호해당 정보 없음
지역 번호해당 정보 없음
주소 및 웹사이트
시청 주소해당 정보 없음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상징
나무목서
카네이션
멧비둘기
추가 정보
비고해당 정보 없음
하토가야시 깃발 (1928–2011)
하토가야시 깃발
하토가야시 문장
하토가야시 문장
사이타마현 내 하토가야시 위치
사이타마현 내 하토가야시 위치

2. 역사

에도 시대에는 닛코 오나리 가도에 하토가야주쿠가 설치되어 역참 마을(宿場町, 슈쿠바마치)과 시장 마을로 발전했다.[3] 원래 교통 수단은 노선 버스밖에 없어 "육지 속의 고립된 섬" 등으로 조롱받았으나,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개통으로 주민들의 오랜 숙원이 이루어졌다. 주변 마을에 비해 개발이 늦어진 덕분에 역참 마을과 시장 마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3]

2001년 3월 28일, 사이타마 고속철도가 개통된 이후 임대 아파트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3]

하토가야시의 역대 시장은 다음과 같다.

이름취임퇴임비고
1히루마 주에몬1967년 3월 1일1990년 9월 22일구 하토가야 정장
2나구라 다카시1990년 9월 23일2006년 10월 26일
3키노시타 타츠노리2006년 10월 27일2011년 10월 10일폐지



1910년 간토 대수해로 정 남부에 큰 홍수가 발생했으며, 1915년에는 전등, 1920년에는 전화선이 개통되었다. 1937년에는 NHK 제2방송소가 준공되었다.

2. 1. 연혁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과 함께 기타아다치군 하토가야 정이 성립하였다.
  • 1901년 5월 3일 - 기타아다치군 기타히라야나기 촌을 편입하였다.
  • 1940년 4월 1일 - 가와구치시에 편입되었다.
  • 1950년 11월 1일 - 가와구치 시로부터 분리되어 하토가야 정이 되었다.
  • 1967년 3월 1일 - 시로 승격되어 하토가야 시가 되었다.
  • 2001년 3월 28일 -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이 개통해 하토가야 역, 미나미하토가야 역이 개업하였다.
  • 2011년 10월 11일 - 가와구치 시와 합병되어 폐지되었다.

2. 2. 가와구치시와의 합병 과정

2000년 (헤이세이 12년), 가와구치시, 소카시, 와라비시, 도다시와 하토가야시로 구성된 "현 남부 5시 도시 만들기 협의회"에서 합병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 후 소카시, 도다시가 이탈하고, 2002년 (헤이세이 14년) 12월 26일 남은 3시가 임의 협의회 "'''가와구치시·와라비시·하토가야시 합병 협의회'''"를 결성, 이듬해 12월 법정 협의회로 전환하였다.[5]

2004년 (헤이세이 16년) 신시 명칭 공모 결과,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가와구치의 이름을 딴 "'''가와구치시'''" 안이 1위가 되었다. 합병 협의회는 이 공모 결과를 바탕으로 6개 안을 검토, "'''가와구치시'''"와 "'''무난시'''"(공모 5위) 2개 안으로 좁혀 의결하였다. 와라비시 위원이 "무난시"를 추천하고 하토가야시 위원 일부가 이에 동조하여 무난시가 신시 명칭으로 선정되었다.

가와구치시 임시 시의회는 이 결과가 민의를 무시한다며 합병 협의 이탈을 요구하는 결의를 하였고, 같은 해 8월 가와구치시가 합병 협의회에서 이탈, 다음 달 합병 협의회가 해산되었다. 이후 하토가야시는 "합병에 관한 전 세대 의향 조사"를 실시, "가와구치시와의 합병"을 요구하는 의견이 과반수, 편입 합병에 대해서도 3할 이상의 찬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가와구치시에 재차 합병 협의를 신청했다. 그러나 가와구치시는 시기상조라며 거부, 2007년 2월 시점에서는 합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9년 1월, 하토가야시가 가와구치시에 재차 합병 협의를 신청, 오카무라 고시로 가와구치시장은 같은 해 7월 정례 시의회에서 연내 가와구치시와 하토가야 2시에서 임의 협의회를 설치할 의향을 표명했다. 11월 2시는 임의 협의회 설치에 합의, 12월 2시의 시의회가 "조기 임의 협의회 설치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가결, 임의 협의회 "가와구치시·하토가야시 임의 합병 협의회"가 설치되었다.

2010년 6월~7월 가와구치시의 합병 찬반 주민 설문 결과, 합병 추진 의견이 과반수를 넘어, 2시의 시의회는 9월 정례 시의회에서 "가와구치시·하토가야시 합병 협의회 설치에 대해" 의안을 가결, 법정 협의회 "가와구치시·하토가야시 합병 협의회"를 설치했다. 제1회 합병 협의회에서 "하토가야시를 폐지하고, 그 구역을 가와구치시에 편입하는 '편입 합병'으로 하고, 합병 기일을 2011년 (헤이세이 23년) 10월 11일로 한다"는 것이 결정, 2011년 1월 28일 합병 협정서가 조인되었다. 이후, 같은 해 8월 12일관보에 총무대신고시가 게재됨으로써 합병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5]

2010년 10월 시장 선거와 시의원 선거에서 시장 선거는 합병 추진파인 기노시타 시장이 재선되었으나, 시의원 선거는 합병 추진파 8명, 신중·반대파 7명으로 팽팽하게 맞섰다. 12월 20일 시의회에서 합병 찬반 시민 단체의 청원 2건을 심의, "합병을 완결시킨다"를 채택하고 "흡수 합병의 가부를 묻는 주민 투표 조기 실시"를 부결했다.

2011년 2월 18일 임시 시의회에서 "가와구치시로의 편입 합병을 현 지사에게 신청하는 의안 등 합병 관련 4의안"과 합병 반대 시민 단체의 "합병의 가부를 묻는 주민 투표 조례안"을 표결, 양 의안 모두 찬성 7·반대 7 동수로 의장 재결을 통해 "합병 관련 4의안"을 가결하고 "합병의 가부를 묻는 주민 투표 조례안"을 부결, 약 61년 만에 가와구치시와의 재합병이 사실상 결정되었다.

하토가야시는 1940년 (쇼와 15년) 황기 2600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가와구치시에 강제 편입되었으나[6],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1950년 (쇼와 25년) 주민 투표를 통해 가와구치시에서 분리, 하토가야 정을 재건했다[6]1957년 (쇼와 32년)에도 현의 권고로 가와구치시와 합병이 추진되었으나, 하토가야 정 의회에서 합병 반대파가 다수 당선되어 무산된 바 있다[6][7]

3. 지리

하토가야시는 주거, 상업, 공업 지구로 나뉘어 있다.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개통을 계기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대규모 아파트와 상업 시설이 건설되고 있다.

교통 면에서는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큐 메구로선과 직결되는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하토가야역미나미하토가야역이 개통되어 도심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하토가야역 주변은 닛코 오나리 가이도의 역참 마을과 시장 마을의 분위기를 간직한 전통 있는 가게들이 늘어서 있다.

노선 버스 운행도 발달하여 JR 게이힌 토호쿠선 와라비역 - 아카바네역까지 각 역으로 이동이 편리하다. 시내 순환 버스 '미니하~토'(2013년 12월 14일 폐지)는 전 구간 어른 100JPY, 어린이 50JPY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국도 122호, 사이타마현도 1호 사이타마 가와구치선, 사이타마현도 58호 다이토 하토가야선(제2산업도로) 등 도로가 많아 자동차 이용객도 많다.

하토가야시 남동부 야와타기 3초메는 도쿄도 아다치구 이리야 9초메와 약 700m 인접해 있으며, 그 외에는 가와구치시에 둘러싸여 있다.

3. 1. 지형

하토가야시의 지형은 남쪽은 평지이지만, 북쪽으로 갈수록 표고가 높아진다. 국도 122호선 바이패스를 경계로 마을 풍경이 나뉜다. 험준한 지형의 북동부에는 오르막길이 이어지는 닛코 오나리미치가 지나가며, 그 길을 따라 상점가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미누마 대용수에 걸린 후키아게 다리 바로 옆의 급경사는 '''오나리자카'''라고 불린다.
오나리자카
반면 시 서쪽의 쓰지 지구는 평탄하지만, 사토 지구는 북쪽으로 갈수록 오르막길이 된다.

지형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주택이 밀집해 있다. 시 서쪽의 쓰지 지구와 사토 지구 등은 쇼와 시대에는 논밭이 산재해 있었지만, 최근 급속도로 택지화되어 거의 전역이 시가지화되었다.

3. 2. 하천

하천


4. 도시화

에도 시대에는 닛코 오나리 가도에 하토가야주쿠가 설치되어 역참 마을과 시장 마을로 발전했다.[3] 원래 교통 수단은 노선 버스 밖에 없어 "육지 속의 고립된 섬" 등으로 조롱받아 온 주민들에게 철도 개통은 오랜 숙원이었다. 반면, 주변 마을에 비해 다소 개발이 늦어진 것이 다행히 역참마을과 시장 마을의 모습을 볼 수 있다.[3]

2001년 3월 28일, 사이타마 고속철도가 개통된 이후 임대 아파트 건설 러시가 일어났다. 주택, 상업, 공업 지구로 나뉘어 있다. 인구는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개통을 계기로 급격히 증가했다. 그로 인해 대규모 맨션과 상업 시설이 건설되고 있다.

교통 면에서는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큐 메구로선으로 직결되는 사이타마 고속철도선하토가야역미나미하토가야역의 개업으로 도심 접근성이 대폭 향상되었다. 또한, 하토가야역에서 출발하는 첫차도 설정되어 있다. 하토가야역 주변은 닛코 오나리 가이도의 역참 마을과 시장 마을이라는 옛 분위기를 강하게 받아 노포가 많이 늘어서 있다.

노선 버스의 운행도 발달하여 JR 게이힌 토호쿠선의 와라비역 - 아카바네역까지의 각 역으로의 접근이 유연하다. 시내 순환 버스 "미니 하~토"(2013년 12월 14일 폐지)는 운임이 전 구간 어른 100JPY, 어린이 50JPY이었다. 또한, 국도 122호와 사이타마현도 1호 사이타마 가와구치선・사이타마현도 58호 다이토 하토가야선 (제2산업도로) 등의 도로가 많기 때문에 자동차로 방문하는 사람도 많다.

5. 교통

에도 시대에는 닛코 오나리 가도에 하토가야주쿠가 설치되어 역참 마을과 시장 마을로 발전했다.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개통 이전에는 대중교통 수단이 버스밖에 없었기 때문에, '육지 속의 고립된 섬'이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2001년 3월 28일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하토가야역미나미하토가야역이 개통되면서 도심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하토가야역에서는 첫차도 운행한다.

택시 영업 구역은 현 남부 중앙 교통권이며, 가와구치시, 사이타마시, 고노스시, 아게오시, 도다시 등과 같은 지역이다.

5. 1. 철도

사이타마 고속철도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하토가야역미나미하토가야역이 있으며, 아카바네이와부치역에서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으로, 메구로역에서 도큐 메구로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또한, 가와구치시에 있는 아라이지쿠역도 하토가야시와의 경계에 가까워 하토가야시 북부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다.[3]

원래 교통 수단은 노선 버스밖에 없어 '육지 속의 고립된 섬'이라는 조롱을 받아온 주민들에게 철도 개통은 오랜 숙원이었다. 2001년 3월 28일 사이타마 고속철도 개통 이후 임대 아파트 건설이 활발해졌다.[3]

5. 2. 도로

종류노선명
일반 국도국도 제122호선 (닛코 오나리 가도)
주요 지방도사이타마현도 제34호 사이다마 소카 선
주요 지방도사이타마현도 제58호 다이토 하토가야 선 (제2산업도로)
일반 현도사이타마현도 제105호 사이타마 하토가야 선
일반 현도사이타마현도 제106호 도쿄 하토가야 선 (하토가야 가도)
일반 현도사이타마현도 제111호 와라비 하토가야 선
일반 현도사이타마현도 제161호 고시가야 하토가야 선 (하토코 선)
일반 현도사이타마현도 제328호 가네아키초 하토가야 선


5. 3. 버스

노선 버스 운행이 발달하여 JR 게이힌 도호쿠선 와라비역 - 아카바네역 간 각 역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시내 순환 버스 "미니 하~토"(2013년 12월 14일 폐지)는 전 구간 어른 100JPY, 어린이 50JPY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3] 국도 122호, 사이타마현도 1호 사이타마 가와구치선, 사이타마현도 58호 다이토 하토가야선(제2산업도로) 등 도로가 많아 자동차 이용객도 많다.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개통 전에는 시내 대중교통 수단이 버스뿐이었다. 그래서 시내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닛코 오나리 가도는 노선 버스를 제외하고 평일·토요일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통행이 금지되었다. 이는 "버스 전용 차선"으로, 편도 1차선 도로에서의 규제로는 전국적으로 드문 사례였다. 규제 초기에는 NHK 뉴스 등에서도 다루어졌다. 현재는 규제가 폐지되어 일반 차량도 통행할 수 있다.

7월 히카와 신사 축제와 12월 오카메 시장 때는 닛코 오나리 가도를 노선 버스와 일반 차량 모두 통행 금지하고 보행자 전용으로 운영한다. 이때 노선 버스는 우회 경로로 국도 제122호선 바이패스를 통행한다.

  • 국제흥업 버스 하토가야 영업소, 국제흥업 버스 가와구치 영업소
  • 도부 버스 센트럴 소카 영업 사무소
  • 하토가야시 순환 버스 "미니 하~토"(하토가야시 시영, 고쿠사이코교 위탁, 2013년 12월 14일 폐지)

6. 경제

하토가야시는 낚싯대 제작, 묘목, 수목, 절화 재배 등 전통 산업과 기계, 식품 공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불독 소스 하토가야 공장이 있었으나 2023년 9월 폐쇄되었다. 도쿄전력 하토가야 변전소가 있으며, 사이타마 리소나 은행 등 여러 금융기관이 있다.

6. 1. 산업


  • 전통 공예로 낚싯대 제작이 있다.
  • 묘목, 수목, 절화가 특산물이다.
  • 기계, 식품 등의 공장이 있다.
  • 불독 소스 하토가야 공장 (2023년 9월 폐쇄)이 있었다.
  • 도쿄전력 하토가야 변전소가 있다.

6. 2. 금융기관

7. 지역

오미야 대지의 비탈면에 파고드는 골짜기가 많은 지형이다.

7. 1. 지명

명확한 유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하토가야(鳩ヶ谷)의 지명 중 '谷(골짜기, 야)'에 대해서는 오미야 대지의 비탈면에 파고드는 골짜기가 많은 지형에서 유래했다. '鳩(비둘기, 하토)'에 대해서는 헤이안 시대의 『와묘쇼』라는 사료에 무사시 국 아다치 군(足立郡) '''핫토고'''(発度郷)라는 지명이 존재하고, 이 핫토고를 하토고(ハト郷) 혹은 핫토고(ハット郷)라고 읽었다는 설이 있으며, 대지의 선단부 즉, '끝(端, 하시)'이라는 음이 '하토'로 변했다고 하는 설도 존재한다. 다른 설에서는, 웅덩이의 의미를 나타내는 'ホト'가 변해서 '하토(鳩)'가 되었고, 주위가 골짜기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谷(야)'가 덧붙여졌다고 한다.

7. 2. 공공시설

가와구치시청 하토가야 청사 (구 하토가야시청)

시민 센터 (애칭: Dove)

하토가야 도서관

공민관

  • 하토가야 공민관
  • 미나미하토가야 공민관
  • 사토 공민관

향토 자료관

커뮤니티 센터

후레아이 플라자 사쿠라

집회소

보육소

  • 사쿠라 보육소
  • 미츠와 보육소
  • 미나미 보육소
  • 사토 보육소

아동관

소방 본부・소방서

수도과

지역 육아 지원 센터

스포츠 시설

  • 하토가야 스포츠 센터
  • 마에다니시 야구장
  • 시영 정구장
  • 시민 풀 (폐쇄 중)
  • 하토가야 무도장

건강 증진 추진과 (보건 센터 내)

복지 센터

키지바토 작업소

환경 센터

8. 인물


  • 小谷三志|고타니 산시일본어 (에도 시대 중기에 활약한 부지도의 지도자)
  • 大場久美子|오바 구미코일본어 (가수, 배우, 전 시 친선 대사)
  • 土肥義弘|도이 요시히로일본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군 투수 코치, 전 시 친선 대사)
  • 池田政和|이케다 마사카즈일본어 (오토레이서, 2002년2005년 상금왕)
  • 小林憲幸|고바야시 노리유키일본어 (에히메 만다린 파이레이츠 투수)
  • 西城正三|사이조 쇼조일본어 (전 WBA 세계 페더급 챔피언)
  • 小熊四個|오구마 시코일본어 (조각가)
  • ねこぢる|네코지루일본어 (만화가)
  • りょう|료일본어 (배우, 모델)
  • 石田勝之|이시다 가쓰유키일본어 (전 중의원 의원, 니혼 대학 강사)
  • 平野清|히라노 기요시일본어 (전 참의원 의원)
  • 三井理峯|미이 리호일본어 (정치 운동가, 만년에는 동 시에 거주. 시의원 선거, 시장 선거에도 출마)
  • 上田浩二郎|우에다 고지로일본어 (만자이 콤비(Hi-Hi 소속), 전 베이스 연주자)
  • 2代目柳亭痴楽|2대 류테이 헤이와일본어 (낙어)

참조

[1] 뉴스 ja:ミニ市2位、埼玉・鳩ケ谷消える 指定市狙い川口に編入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1-10-11
[2] 문서
[3] 뉴스 埼玉高速鉄道の沿線、続々と賃貸マンション 東川口―南鳩ヶ谷間に集中 読売新聞 2002-04-10
[4] 문서
[5] 웹사이트 川口との合併推進を 鳩ヶ谷で市民の会設立へ http://www.47news.jp[...] 埼玉新聞 2015-01-31
[6] 웹사이트 川口市・鳩ヶ谷市の合併について https://www.pref.sai[...] 埼玉県 2015-01-31
[7] 웹사이트 わが街のDNA⑤ わが街・歴史探訪 - 鳩ヶ谷編 http://www.shindo.gr[...] 週刊新藤 2015-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