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트어는 러시아의 예니세이강 유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초기에는 팔라스, 카스트렌 등에 의해 연구되었다. 1930년대 집단화 정책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노년층을 중심으로 소수만 사용하며, 세 개의 방언(남부, 중부, 북부)이 존재한다. 음운론적으로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며, 특히 성조의 존재 여부가 논쟁의 대상이다. 문법적으로는 굴절어이며, 동사 접두사와 명사 격 변화, 그리고 결합을 활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1930년대와 1980년대에 각각 라틴 문자 및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 체계가 사용되었다. 예니세이어족에 속하며,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니세이어족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예니세이어족 - 데네캅카스어족
    데네캅카스어족은 일부 언어학자들이 나데네어족, 시노티베트어족, 북캅카스어족 등을 포함하는 가설적인 어족으로 제시하며,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을 근거로 하지만, 조어 재구의 어려움 등으로 비판도 존재한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문화 - 돌간어
    돌간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사하어와 함께 북 시베리아어를 구성하고, 모음 조화, 교착어,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며, 8개의 격과 야쿠트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를 사용하며 키릴 문자로 표기하고 약 1,050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케트어
언어 정보
이름케트어
고유어 명칭
(오스티간나 카)
다른 이름예니세이 오스티야크어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사용자 수60명 (2019–2024년)
민족1,088명 케트족 (2021년)
언어 계통데네-예니세이어족
어족예니세이어족
어파케트어파
방언북부 방언
중부 방언
남부 방언
문자키릴 문자
ISO 639-3ket
GlottoCodekett1243
Lingua43-AAA-a
위협 정도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선접촉 시대의 예니세이어족 언어 지도
선접촉 시대의 예니세이어족 언어 분포도

2. 역사

케트어는 19세기까지 핀우랄어족의 한티족으로 오인되기도 했다. 케트족은 193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집단화 정책과 1950년대와 1960년대 러시아어 기숙 학교 정책으로 인해 세대 간 언어 전승이 중단되는 어려움을 겪었다.[8]

2. 1. 초기 연구

케트어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1788년 페터 지몬 팔라스가 여행 일기(Путешествия по разным провинциям Рус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Puteshestviya po raznim provintsiyam Russkogo Gosudarstvaru)에 출판했다. 마티아스 카스트렌은 코트어를 연구한 마지막 학자 중 한 명이었다. 카스트렌은 칸 강 옆에서 코트족 5명과 함께 살았는데, 이들이 그 언어를 사용하는 마지막 생존자였던 것으로 여겨진다.[1] 1858년 카스트렌은 최초의 문법과 사전(Versuch einer jenissei-ostjakischen und Kottischen Sprachlehre|de)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코트어에 대한 자료도 포함되어 있었다. 19세기 동안 케트족은 핀우랄어족의 한티족으로 오인되었다. 1934년 A. 카르게르는 최초의 문법(Кетский язык|Ketskij jazykru)과 케트어 학습서(Букварь на кетском языке|Bukvar' na ketskom jazykeru)를 출판했으며, 1968년 A. 크레이노비치가 저술한 새로운 연구가 발표되었다.

2. 2. 쇠퇴와 현재

페터 지몬 팔라스는 1788년 여행 일기(Путешествия по разным провинциям Рус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Puteshestviya po raznim provintsiyam Russkogo Gosudarstvaru)에 케트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출판했다.[8] 마티아스 카스트렌은 1858년 코트어 자료가 포함된 최초의 문법과 사전(Versuch einer jenissei-ostjakischen und Kottischen Sprachlehrede)을 출판했다. 19세기 동안 케트족은 핀-우랄어족의 한티족으로 오인되었다. 1934년 A. 카르게르는 최초의 문법(Кетский язык|Ketskij jazykru)과 케트어 학습서(Букварь на кетском языке|Bukvar' na ketskom jazykeru)를 출판했으며, 1968년 A. 크레이노비치가 저술한 새로운 연구가 발표되었다.

케트족은 1930년대 집단화 정책의 영향을 받았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러시아어만 사용하는 기숙 학교로 보내졌으며, 이로 인해 세대 간 언어 전승이 중단되었다.[8] 현재 케트어는 일부 초등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치지만,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노년층에 한정되어 있으며, 자녀에게 이 언어를 가르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러시아의 켈로그만이 현재 케트어를 학교에서 가르치는 유일한 곳이다. 초등학교 2학년부터 4학년까지 특별 교재가 제공되지만, 그 이후 학년에서는 케트 문화를 묘사한 러시아 문학만 읽을 수 있다.[9] 2006년 기준으로 케트어만 사용하는 화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2013년에는 크리스 호튼의 어린이 책 ''A Bit Lost''가 케트어로 번역되었다.[11] 케트족 민요 가수이자 시인이었던 알렉산드르 막시모비치 코투소프는 2019년에 사망했다.[12][13]

현재 케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있는 지역은 켈로그, 수르구티하, 마두이카 세 곳뿐이다. 세르코보와 파쿨리하와 같은 다른 마을들은 20세기 후반에 파괴되었고, 지역 케트족 인구는 인근 도시로 흩어졌다.[15]

3. 방언

케트어는 남부, 중부, 북부 방언으로 나뉜다. 이 방언들은 서로 매우 비슷하여,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케트족 사람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표준 케트어 표기법에는 가장 흔한 남부 방언이 사용되었다.[14]

케트족이 많이 사는 세 지역에서는 각각 다른 방언을 사용한다. 남부 케트어는 켈로그, 중부 케트어는 수르구티하, 북부 케트어는 마두이카에서 사용된다.[15]

4. 음운론

케트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 자음, 성조로 구성된다.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바이다(Vajda)는 케트어가 12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

|

|

| h|ㅎ영어

|-

! 설측

|

| ɮ|영어

|

|

|

|

|}

케트어는 아라파호어, 골리앗어, 오보쿠이타이어, 팔라우어, 에피크어뿐만 아니라 고전 아랍어 및 일부 현대 아랍어 방언과 함께 와 를 모두 결여한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이음(allophony)이 많으며, 케트어 알파벳에 반영된 음성 목록은 아래와 같다.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ㅁ영어n|ㄴ영어ŋ|ㅇ영어
파열음무성t|ㅌ영어k|ㅋ영어q|ㅋ영어
유성b|ㅂ영어d|ㄷ영어
마찰음중앙s|ㅅ영어{{lang|en|ç|}
}

|-

! 유성

| b|ㅂ영어

| d|ㄷ영어

|

| ɡ|ㄱ영어

| ɢ|영어

|

|-

! rowspan="3" | 마찰음

! rowspan="2" | 중앙

! 무성

|

| s|ㅅ영어

| ç|영어

| (x|영어)

| (χ|영어)

| h|ㅎ영어

|-

! 유성

| β|영어

|

| ʝ|영어

| ɣ|영어

| ʁ|영어

|

|-

! colspan="2" | 설측

|

| ɮ|영어

|

|

|

|

|-

! colspan="3" | 탄음

|

| ɾ|영어

|

|

|

|

|-

! colspan="3" | 전동음

|

| r|영어

|

|

|

|

|}

케트어의 모든 비음은 단음절 단어의 끝에서 성문화되거나 하강하는 음조를 가지는 무성 이음(즉, m|ㅁ영어, n|ㄴ영어, ŋ|ㅇ영어가 m̥|영어, n̥|영어, ŋ̥|영어로 바뀜)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ɮ|영어도 동일한 상황에서 ɬ|영어가 된다. 치경음은 종종 설단음으로 발음되며, 구개수음 근처가 아닌 경우 구개음화될 수 있다. q|ㅋ영어는 일반적으로 𐞥χ|영어와 같이 파찰음으로 발음된다.

케트어의 성조 체계는 연구자마다 이견이 있어, 대조되는 성조의 수가 최대 8개에서 최소 0개까지 보고될 정도로 논쟁의 대상이다. 케트어가 성조 언어인지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케트어 전문가인 에드워드 바이다(Edward Vajda)와 스테판 게오르그(Stefan Georg)의 최근 연구는 성조의 존재를 옹호한다.[17][18]

케트어는 모든 음절이 아닌 단어당 하나의 성조를 사용한다. 바이다의 남부 케트어 설명에 따르면, 5가지 기본 성조는 다음과 같다.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ㅁ영어n|ㄴ영어ŋ|ㅇ영어
파열음무성p|ㅍ영어t|ㅌ영어k|ㅋ영어q|ㅋ영어{{lang|en|ʔ|}
성조 이름성문 파열음화높은-평탄상승 하강하강상승 고-하강
성조 윤곽(34’)(5)(13.31)(31)(13.53)
예시кеʼт|케트ket (사람)сюль|슐ket ()сюуль|슈울ket (손 썰매)ӄай|카이ket (엘크)бънтан|번탄ket (청둥오리)



성문 파열음화 성조는 인두 또는 후두 수축, 또는 모음을 방해하는 완전한 성문 파열음을 특징으로 한다.

게오르그는 2007년 케트어 성조를 위와 유사하게 설명했지만, 기본 성조 수를 4개로 줄이고 상승 고-하강 성조와 변종을 다음절 단어에서만 발견되는 성조로 분류했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다음절 단어의 성조 범위는 처음 두 음절로 제한된다. 케트어는 시베리아 언어에서 드물게 성조가 나타난다.[24]

성조 이름성문 파열음높은 평탄조상승 하강조하강조상승 고저 하강조
성조 윤곽(34’)(5)(13.31)(31)(13.53)
예시(사람)()(손썰매)(엘크)(청둥오리)


4. 1. 모음


4. 2. 자음

바이다(Vajda)는 케트어가 12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

|

|

| h|ㅎ영어

|-

! 설측

|

| ɮ|영어

|

|

|

|

|}

케트어는 아라파호어, 골리앗어, 오보쿠이타이어, 팔라우어, 에피크어뿐만 아니라 고전 아랍어 및 일부 현대 아랍어 방언과 함께 /p/와 /ɡ/를 모두 결여한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이음(allophony)이 많으며 자음의 음성 목록은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다. 이는 케트어 알파벳에 반영된 설명 수준이다.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ㅁ영어n|ㄴ영어ŋ|ㅇ영어
파열음무성t|ㅌ영어k|ㅋ영어q|ㅋ영어
유성b|ㅂ영어d|ㄷ영어
마찰음중앙s|ㅅ영어{{lang|en|ç|}
}

|-

! 유성

| b|ㅂ영어

| d|ㄷ영어

|

| ɡ|ㄱ영어

| ɢ|영어

|

|-

! rowspan="3" | 마찰음

! rowspan="2" | 중앙

! 무성

|

| s|ㅅ영어

| ç|영어

| (x|영어)

| (χ|영어)

| h|ㅎ영어

|-

! 유성

| β|영어

|

| ʝ|영어

| ɣ|영어

| ʁ|영어

|

|-

! colspan="2" | 설측

|

| ɮ|영어

|

|

|

|

|-

! colspan="3" | 탄음

|

| ɾ|영어

|

|

|

|

|-

! colspan="3" | 전동음

|

| r|영어

|

|

|

|

|}

또한 케트어의 모든 비음은 단음절 단어의 끝에서 성문화되거나 하강하는 음조를 가지는 무성 이음(즉, m|ㅁ영어, n|ㄴ영어, ŋ|ㅇ영어가 m̥|영어, n̥|영어, ŋ̥|영어로 바뀜)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ɮ|영어도 동일한 상황에서 ɬ|영어가 된다. 치경음은 종종 설단음으로 발음되며, 구개수 자음 근처가 아닌 경우 구개음화될 수 있다. q|ㅋ영어는 일반적으로 𐞥χ|영어와 같이 파찰음으로 발음된다.

4. 3. 성조

케트어의 성조 체계는 연구자마다 이견이 있어, 대조되는 성조의 수가 최대 8개에서 최소 0개까지 보고될 정도로 논쟁의 대상이다. 케트어가 성조 언어인지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케트어 전문가인 에드워드 바이다(Edward Vajda)와 스테판 게오르그(Stefan Georg)의 최근 연구는 성조의 존재를 옹호한다.[17][18]

케트어는 모든 음절이 아닌 단어당 하나의 성조를 사용한다. 바이다의 남부 케트어 설명에 따르면, 5가지 기본 성조는 다음과 같다.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ㅁ영어n|ㄴ영어ŋ|ㅇ영어
파열음무성p|ㅍ영어t|ㅌ영어k|ㅋ영어q|ㅋ영어{{lang|en|ʔ|}
성조 이름성문 파열음화높은-평탄상승 하강하강상승 고-하강
성조 윤곽(34’)(5)(13.31)(31)(13.53)
예시кеʼт|케트ket
'사람'
сюль|슐ket
'피'
сюуль|슈울ket
'손 썰매'
ӄай|카이ket
'엘크'
бънтан|번탄ket
'청둥오리'



성문 파열음화 성조는 인두 또는 후두 수축, 또는 모음을 방해하는 완전한 성문 파열음을 특징으로 한다.

게오르그는 2007년 케트어 성조를 위와 유사하게 설명했지만, 기본 성조 수를 4개로 줄이고 상승 고-하강 성조와 변종을 다음절 단어에서만 발견되는 성조로 분류했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다음절 단어의 성조 범위는 처음 두 음절로 제한된다. 케트어는 시베리아 언어에서 드물게 성조가 나타난다.[24]

성조 이름성문 파열음높은 평탄조상승 하강조하강조상승 고저 하강조
성조 윤곽(34’)(5)(13.31)(31)(13.53)
예시
"사람"

"피"

"손썰매"

"엘크"

"청둥오리"


5. 문자

케트어는 1930년대에 라틴 문자를 바탕으로 한 문자를 사용했고,[25] 1980년대에는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문자로 바뀌었다.[25] 케트어 문자와 국제 음성 기호(IPA)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키릴로마자IPA
А аA aa
Б бB bb
В вV v
Г гG g,
Ӷ ӷ,
Д дD dd
Е еE e,
Ё ёĒ ē, jɔ
Ж жƵ ƶ
З зZ z
И иI ii
Й йĪ īj
К кK kk
Ӄ ӄQ qq
Л лL l; Ļ ļl; lʲ
М мM mm
Н нN n; Ņ ņn; nʲ
Ӈ ӈŊ ŋŋ
О оO oɔ
Ө өŌ ōo
П пP pp
Р рR rr; rʲ
С сS ss; sʲ
Т тT tt
У уU uu
Ф фF ff
Х хH h,
Ц ц
Ч ч
Ш ш
Щ щ
Ъ ъ
ʼ
Ә әƏ ə
Ы ыЬ ьɨ
Ь ь
Э э
Ю юu, ju
Я яa, ja


5. 1. 1930년대 라틴 문자

1930년대에는 라틴 문자를 바탕으로 한 문자를 사용했다.[25] 소련에서 개발되어 사용된 케트어의 라틴 문자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19]

А а ⯠æB вC cD dE eĒ ē
Ә әF fG gH hꜦ ꜧI iĪ īK k
L lĻ ļM mN nN̡ n̡Ŋ ŋO oŌ ō
P pQ qR rS sŞ şT tU uŪ ū
V vZ zƵ ƶЬ ь


5. 2. 1980년대 키릴 문자

1980년대에는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자가 만들어졌다.[25]

에프에이치
제이
에르에스브이엑스이그렉
제트쇼트 이슈차트베르디 즈낙


6. 문법

케트어는 굴절어로 분류되며, 동사접두사를 사용하고 접미사는 드물게 사용한다. 통사적 통합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형태소 간의 구분은 융합에 기반하고 산디 현상도 흔하게 나타난다.[20] 기본적인 단어 순서는 주어-목적어-동사(SOV)이다.[21] 명사 표시는 이자에 방식이며, 술어와 같다.

명사는 기본적인 격인 주격 (주어와 직접 목적어)과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보조 격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남성, 여성, 무생물의 세 가지 명사 종류가 있다. 시베리아의 인접 언어들과 달리 케트어는 동사 접두사를 사용한다. 케트어에는 두 가지 동사 활용이 있는데, 하나는 ''d-''로 접두사가 붙고 다른 하나는 ''b-''로 접두사가 붙는다. 2인칭 단수 접두사는 비자동사에서 이다.

6. 1. 결합

케트어는 결합을 상당히 많이 활용한다. 결합은 명사에만 국한되지 않고 동사, 부사, 형용사, 그리고 결합 요소의 역할에서만 발견되는 제한된 형태소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은 또한 어휘화 과정(동사와 결합어가 별개의 어휘 요소로 취급되어 종종 결합 요소와 관련된 의미를 가짐)과 패러다임적 과정(특정 의미적 및 실용적 효과를 위해 자발적으로 결합이 수행됨)으로 모두 발생한다.[1] 결합 형태는 다음과 같다.

  • '''명사 결합''': 가장 일반적으로 동작의 도구적 부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때로는 환자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도구적 결합은 동사의 타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이러한 형태의 결합이 행위자가 없는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예가 있음), 환자 결합은 타동사자동사로 만들 수 있다. 환자 결합은 일반적으로 동작에 의해 완전히 영향을 받는 환자(예: 그것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에 사용되며, 더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 환자는 중요하게 초점이 흐려지거나 배경화될 때만 결합된다.[2]
  • '''동사 결합''': 더 구체적으로는 동사 부정사 (어근이 아닌)를 동사 복합체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 형태의 결합은 상을 나타내고 사동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결합된 부정사는 자체적으로 결합 요소를 동사로 가져올 수도 있다.[3]
  • '''형용사 결합''': 결합된 형용사가 동작의 대상 또는 최종 상태를 설명한다.[4]
  • '''부사 결합''': 여기서 지역 부사가 움직임의 방향이나 경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5]


케트어 명사 격 변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hīk "남자" (남성 명사)
단수복수
주격hīk-Øhīk-en-Ø
속격hīk-dahīk-en-na
여격hīk-daŋahīk-en-naŋa
수혜격hīk-datahīk-en-nata
탈격hīk-daŋalhīk-en-naŋal
접격hīk-daŋtahīk-en-naŋta
위치격--
전치격hīk-beshīk-en-bes
구격hīk-ashīk-en-as
박탈격hīk-anhīk-en-an
이동격hīk-esaŋhīk-en-esaŋ
호격hīk-óhīk-en-ə́



qīm "여자" (여성 명사)
단수복수
주격qīm-Øqīm-n-Ø
속격qīm-diqīm-n-di
여격qīm-diŋaqīm-n-diŋa
수혜격qīm-ditaqīm-n-dita
탈격qīm-diŋalqīm-n-diŋal
접격qīm-diŋtaqīm-n-diŋta
위치격--
전치격qīm-besqīm-n-bes
구격qīm-asqīm-n-as
박탈격qīm-anqīm-n-an
이동격qīm-esaŋqīm-n-esaŋ
호격qīm-ə́qīm-n-ə́



doˀn "칼" (중성 명사)
단수복수
주격doˀn-Ødón-aŋ-Ø
속격dón-didón-aŋ-di
여격dón-diŋadón-aŋ-diŋa
수혜격dón-ditadón-aŋ-dita
탈격dón-diŋaldón-aŋ-diŋal
접격dón-diŋtadón-aŋ-diŋta
위치격dón-kadón-aŋ-ka
전치격dón-besdón-aŋ-bes
구격dón-asdón-aŋ-as
박탈격dón-andón-aŋ-an
이동격dón-esaŋdón-aŋ-esaŋ
호격--


7. 어휘

케트어에는 러시아어에서 유입된 차용어가 많은데, 예를 들어 mora|모라ket '바다' 등이 있으며, 셀쿠프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도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예를 들어, qopta|콥타ket '황소'라는 단어는 셀쿠프어 qobda|콥다sel에서 유래했다. 케트어에는 몽골어 단어도 있는데, 예를 들어 saˀj|사이ket '차'는 몽골어 tsaj|차이mn에서 왔다. 또한 에벤키어에서 유래한 단어도 있는데, 예를 들어 saˀl|살ket '담배'는 에벤키어 sâr|사르evn '담배'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2]

8. 계통

편의상 "고(古) 시베리아 어족"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다른 시베리아 언어와는 크게 다르다. 다만 튀르크어족으로부터의 차용어로 여겨지는 것이 많다.

교착어·능격 언어적인 특징이나, 인칭 대명사 등에 관해 북미 원주민의 나데네어족이나 히말라야 서쪽의 부르샤스키어 등과 유사한 점이 있어, 이들과 동계통으로 보는 설도 있었지만, 언어학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2008년 에드워드 바이다에 의해 예니세이어족나데네어족이 동계통이라는 가설이 제창되었다. 이는 동사 형태론과 음운 비교에 따른 엄밀한 방법론에 기초한 것으로, 많은 언어학자들로부터 지지를 얻고 있다. 이 두 어족을 합쳐 데네예니세이어족이라는 호칭이 제안되었다.

9. 샘플 텍스트

도탐 케트 요정 이야기[23]
케트어한국어 번역


참조

[1] 웹사이트 Кетский язык {{!}} Малые языки России https://minlang.site[...] 2024-12-15
[2] 웹사이트 Росстат —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https://web.archive.[...] 2023-01-03
[3] 서적 The Linguistic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4]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6-06-03
[5] 웹사이트 Последний бард последнего народа https://trv-science.[...] 2021-04-22
[6] 뉴스 Yug https://www.ethnolog[...] 2018-05-26
[7] 간행물 8 The Yeniseian language family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4-06-26
[8] 웹사이트 Казакевич, О. и др. 2021. Кетский язык. ПостНаука. https://web.archive.[...] 2021-02-27
[9] 논문 The Ket Language: From Descriptive Linguistic 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https://ling.tspu.ed[...] 2013
[10] 서적 Loanwords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11] 웹사이트 A Bit Lost in the Siberian Ket Language https://blog.chrisha[...] 2021-04-22
[12] 웹사이트 Песни последнего кета https://www.sibreal.[...] 2024-12-02
[13] 웹사이트 Последний бард последнего народа https://trv-science.[...] 2021-04-22
[14] 논문 The Ket Language https://www.research[...] 2018
[15] 문서 Vajda, p. xi
[16] 웹사이트 WALS Online – Datapoint Ket / Voicing and Gaps in Plosive Systems http://wals.info/val[...]
[17] 문서 Ian Maddieson, "Tone".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nline. http://wals.info/feature/13
[18] 논문 Tone and Phoneme in Ket https://www.academia[...]
[19] 서적 Языковое строительство в СССР. Процессы создания письменностей народов СССР Наука
[20] 문서 Werner, Heinrich. Die ketische Sprache, раздел «Морфонология»
[21] 문서 Werner, Heinrich. Die ketische Sprache, раздел «Синтаксис», стр. 332
[22] 웹사이트 WOLD - https://wold.clld.or[...] 2021-01-15
[23] 웹사이트 Дотам {{!}} Siberian Lang https://siberian-lan[...] 2024-12-18
[24] 문서 Vajda, Edward J. (2004). Ket. Languages of the World (Munich: Lincom Europa). ISBN 3-89586-221-5.
[25]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