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니세이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니세이어족은 시베리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들의 어족으로, 현재는 케트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언어가 사멸했다. 전통적으로 북부와 남부로 분류되며, 케트어, 유그어, 콧트어, 아산어, 아린어, 품포콜어 등이 포함된다. 흉노와 훈족의 언어가 이 어족에 속한다는 주장도 있다. 예니세이어족은 복잡한 음운 체계와 형태론적 특징을 가지며, 다른 어족과의 연관성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데네-예니세이어어족, 카라수크어족, 시노티베트어족, 데네-카프카스어족 등과의 연관성이 제기되었지만, 현재까지 널리 인정받는 가설은 아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니세이어족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예니세이어족 - 케트어
    케트어는 러시아 예니세이강 유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굴절어이며 세 개의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으로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며, 예니세이어족에 속한다.
예니세이어족
지도 정보
1600년대의 예니세이어족 언어 분포
1600년대 러시아와 접촉이 시작된 당시의 예니세이계 민족/언어 분포
언어 정보
이름예니세이어족
다른 이름예니세이 방언
예니세이 제어
사용 지역오늘날 예니세이강 연안
역사적으로 시베리아몽골의 넓은 지역
사용자 수156명 (2020년)
어족 색데네-예니세이어족
고대 언어원시 예니세이어
언어학적 분류
계통어족 중 하나로, 다른 주요 어족과의 관계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음
하위 어족케트어
품포콜어군 (사멸)
아린어 (사멸)
코트어군 (사멸)
기타 정보
관련 민족예니세이인
Glotto 코드yeni1252

2. 분류

예니세이어족의 분류는 연구자 및 시대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어 왔다.

'''전통적 분류'''

전통적으로 예니세이어족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9]


  • 원시 예니세이어족 (기원전 500년 이전 분기 추정, 기원후 1년경 남북 분기 추정)[9]
  • * 북부 예니세이어족 (기원후 700년경 분기 추정)
  • ** 케트어

북부 케트어
중부 케트어
남부 케트어

  • ** 유그어 (†사어)
  • * 남부 예니세이어족 (†사어)
  • ** 코트-아산어파 (기원후 1200년경 분기 추정)

코트어 (†사어)
아산어 (†사어)
야스틴어 (†사어)[10][11]
야린어 (†사어)[9][11]
바이콧어 (†사어)[9][11]

  • ** 아린-품포콜어파 (기원후 550년경 분기 추정)

아린어 (†사어)
품포콜어 (†사어)
? 지에어 (†사어)

'''Georg 2007 및 Hölzl 2018 분류'''

Georg (2007)[12]과 Hölzl (2018)[12]은 품포콜어의 위치를 다르게 보는 등 약간 다른 분류를 제시한다.

  • 원시 예니세이어족
  • * 북부
  • ** 예니세이-오스탸크어파 (Yenisei-Ostyak)

케트어
유그어 (†사어)

  • ** 품포콜어? (†사어)
  • * 품포콜어? (†사어)
  • * 남부
  • ** 아산어파

아산어 (†사어)
코트어 (†사어)

'''최근 분류 (Fortescue & Vajda 2022/2024)'''

Fortescue와 Vajda (2022)[13]에 제시되고 Vajda (2024)[14]에서 사용된 보다 최근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원시 예니세이어족
  • * 케트어파
  • ** 케트어

중부 케트어
북부-남부 케트어
* 북부 케트어
* 남부 케트어

  • ** 유그어 (†사어)
  • * 아린어파
  • ** 아린어 (†사어)
  • * 품포콜어족
  • ** 품포콜어 (†사어)
  • ** 지에어? (†사어)
  • * 코트어파
  • ** 코트어 (†사어)

다양한 방언
야스틴어 (†사어)
야린어 (†사어)
바이콧어 (†사어)

흉노훈족의 언어가 남부 예니세이어족에 속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20세기까지 살아남은 언어는 케트어(임바트 케트어)와 유그어(심 케트어) 두 개뿐이었으나, 유그어는 현재 사어이다. 다른 알려진 어족 구성원인 아린어, 아산어, 품포콜어, 코트어는 18세기 또는 19세기에 사멸했다. 바이콧어, 야린어(부클린어), 야스틴어, 아시키쉬팀어(바차트 텔레우트족), 코이발키쉬팀어 등의 집단은 17세기 차르 시대의 모피세 기록에서 예니세이어족으로 확인되지만, 일부 고유 명사를 제외하고는 언어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15]

지명 연구를 통해 예니세이어족 언어가 과거에는 현재보다 훨씬 넓은 지역, 예를 들어 부랴티야, 자바이칼 지방, 몽골 북부 등지에 분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자바이칼 지방의 'ši' 지명은 원시 예니세이어족 단어 '*sēs'(강)와 연관 지어지기도 한다. 일부 예니세이어족으로 추정되는 지명은 헤이룽장 지역까지 발견된다.[6] 바츨라프 블라제크(Václav Blažek)는 서쪽 강 이름에서 발견되는 단어 'šet'을 원시 예니세이어족 '*sēs'(강)와 비교하며 예니세이어족이 과거 더 서쪽까지 분포했을 가능성을 주장한다.[21]

2. 1. 북부 예니세이어족

북부 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의 한 분파로, 남부 예니세이어족과는 기원후 700년경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부 예니세이어족에는 케트어와 유그어가 속한다.

  • '''케트어''': 현재 약 200명의 화자가 남아 있어 예니세이어족 언어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언어이다. 케트족은 17세기부터 예니세이 강을 따라 북쪽으로 이주했으며, 이는 시베리아 정복 당시 러시아 탐험가들의 기록에도 남아있다.[16] 현재 케트어 사용 지역은 이러한 북진 이주의 결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16]
  • '''유그어''': 1990년에 마지막 화자가 사망하면서 사어가 되었다.

2. 2. 남부 예니세이어족

남부 예니세이어족은 크게 두 어파로 나뉜다. 모든 남부 예니세이어족 언어는 사어가 되었다.

남부 예니세이어족 언어 목록
어파 (분기 시점)언어상태사멸 시기
콧트-아산어파 (기원후 1200년경 분기)코트어사어1800년대
아산어사어1800년대
아린-품포콜어파 (기원후 550년경 분기)아린어사어1800년경
품포콜어사어1750년경


2. 3. 기타


  • 원시 예니세이어족 (기원전 500년 이전; 기원후 1세기에 분기)
  • * 북부 예니세이어족 (기원후 700년에 분기)
  • ** 켓어 (화자 200명)
  • ** 유그어† (사어, 1990년)
  • * 남부 예니세이어족
  • ** 콧트-아산어족 (기원후 1200년에 분기)

콧트어† (사어, 1800년대)
아산어† (사어, 1800년대)

  • ** 아린-품포콜어족 (기원후 550년에 분기)

아린어† (사어, 1800년)
품포콜어† (사어, 1750년)

3. 역사

예니세이어족은 고대 에스키모어와의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으며,[64] 베링기아에서 역이주를 나타낸다고 여겨진다.[65] 또한, 흉노 = 훈족의 언어, 의 언어가 예니세이어족이었다는 견해가 있지만 추측일 뿐 근거는 전혀 없다.[66][67]

다음 표는 기본적인 예니세이어 수사와 원형을 재구성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다.[15][9]

수사
의미북부어파품포콜어파아리니어파콧트어파재구성
켓어 방언유흐어품포콜어 아리니어 아산어콧트어
SK스타로스틴
1qūˑs/𐞥χɔˀkχūs/χɔˀkxútaqusejhutʃa/hau-huːtʃa*xu-sa
2ɯ̄ˑnɯ̄nhínɛaŋ ~ hínɛakinainaiːna*xɨna
3dɔˀŋdɔˀŋdóŋatʲoŋa ~ tʲuːŋataŋatoːŋa*doʔŋa
4sīˑksīkciaŋtʃaɡaʃeɡatʃeɡa ~ ʃeːɡa*si-
5qāˑkχākhéjlaŋqalakeɡakeɡa ~ χeːɡa*qä-
6aˀ ~ ààːaɡɡiaŋ ~ áɡiangɨɡaɡejlutʃaχelutʃa*ʔaẋV
7ɔˀŋɔˀŋónʲaŋɨnʲaɡejlinaχelina*ʔoʔn-
8ɨ́nàm bʌ́nsàŋ qōˑbosʲim[29]hinbasiaŋkinamančaugejtaŋaŋxeltoŋa ~ gheltoŋa
9qúsàm bʌ́nsàŋ qōˑdebit[6]xutajamos xajaŋqusamančaugodžibunagiaŋhučabunaga
10qōˑχōxaiáŋ (xajáŋ)qau ~ hioɡaxahahaːɡa ~ haɡa*ẋɔGa
20ɛˀkɛˀkhédiaŋkinthjuŋinkukniːntʰukŋ*ʔeʔk ~ xeʔk
100kiˀkiˀútamsajusjusujaːx*kiʔ ~ ɡiʔ / *ʔalVs-(tamsV)


4. 특징

다음 표는 기본 어휘 몇 가지와 원형을 재구성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다.[15][9]

기타 어휘
   의미   북부 방언군품포콜릭 방언군아리닉 방언군콧틱 방언군재구성
켓 방언유흐품포콜아린아산
SKNKCKVajdaStarostinWerner
낙엽송sɛˀssɛˀsšɛˀšsɛˀstagčitčetšet*čɛˀç*seʔs*sɛʔt / *tɛʔt
sēˑssēˑsšēˑšsēstatsatšetšet*cēˑc*ses*set / *tet
tʌˀstʌˀstʌˀščʌˀskitkesšiššiš*cʰɛˀs*čɨʔs*t'ɨʔs
손가락tʌˀqtʌˀqtʌˀqtʌˀχtokintoto?tʰoχ*tʰɛˀq*tǝʔq*thǝʔq
송진dīˑkdīˑkdīˑkdʲīk???čik*čīˑk*ǯik (~-g, -ẋ)*d'ik
늑대qɯ̄ˑtqɯ̄ˑtiqɯ̄ˑtəχɯ̄ˑtxótuqut(boru ← 투르크어족)*qʷīˑtʰi*qɨte (˜ẋ-)*qʌthǝ
겨울kɤ̄ˑtkɤ̄ˑtikɤ̄ˑtekɤ̄ˑtletelot?keːtʰi*kʷeˑtʰi*gǝte*kǝte
kʌˀnkʌˀnkʌˀnkʌˀn?lum?kin*kʷɛˀn*gǝʔn-
사람kɛˀdkɛˀdkɛˀdkɛˀtʲkitkithethit*kɛˀt*keʔt
ɯ̄ˑnɯ̄ˑnɯ̄ˑnɯ̄nhinkininin*kʰīˑn*xɨna*(k)ɨn
ūˑlūˑlūˑlūrulkululul*kʰul*qoʔl (~ẋ-, -r) 
자작나무ùsùːseùːsəùːʰsutakusuučauča*kʰuχʂa*xūsa*kuʔǝt'ǝ
썰매súùlsúùlšúùlsɔ́ùltsɛlšalčɛgarčogar*tsehʷəl     *soʔol*sogǝl (~č/t'-ʎ) 


4. 1. 음운 체계

시베리아 언어에서는 드물게 성조가 나타난다.

4. 2. 형태론

wikitext

인칭 대명사
rowspan="2" |북부 방언품포콜 방언아린 방언코트 방언
켓어유그어품포콜어아린어코트 방언들아산어
1인칭 단수āˑ(t)ātadaiai/aj~jaaj
2인칭 단수ūˑūuauauau
3인칭 단수būˑádu ~ bu (남성)
*ida (여성)
auuju ~ hatu/xatu (남성)
uja ~ hata/xata (여성)
bari
1인칭 복수ɤ̄ˑt ~ ɤ́tnɤ́tnadɨŋaiŋajoŋajuŋ
2인칭 복수ɤ́kŋkɤ́kŋajaŋauoŋ ~ aoŋavun
3인칭 복수būˑŋbéìŋbuegitaŋuniaŋ ~ xatienhatin



문법적으로는 합성어에 속한다. 시베리아 언어에서는 드물게 성조가 나타난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2008년 이전까지는 소수의 언어학자만이 예니세이어족과 다른 어족 간의 연관성을 인정했지만, 유라시아의 여러 작용-주어 언어와의 먼 관계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주요 가설로는 예니세이어족과 부르샤스키어를 연결하는 카라수크어족 가설[34][35], 시노티베트어족과 연관 짓는 '시노-예니세이어족' 또는 '시노-데네어족' 가설[38][39][40][41][42][43][49][50][51], 북아메리카의 나-데네어족과 연결하는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30]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북카프카스어족, 바스크어 등을 포괄하는 데네캅카스어족 가설도 제안되었다.[54][55][56][57][58][59]

이 가설들 중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은 비교적 최근 언어학계의 주목을 받았지만[31], 여전히 논쟁 중이다.[32][33] 다른 확대 가설(시노카우카시아, 데네캅카스 등)의 타당성은 대부분의 역사언어학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44][45][46][61][62][63]

5. 1. 데네-예니세이어어족

예니세이어족은 결합어·능격 언어적 특징이나 인칭 대명사 등에서 북미 원주민의 나-데네어족이나 히말라야 서쪽의 부르샤스키어와 비슷한 점이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 때문에 이들 언어와 같은 계통이라는 설도 있었지만, 언어학적으로 널리 인정받지는 못했다.

그러나 2008년, 서던 워싱턴 대학교(Western Washington University)의 에드워드 바이다(Edward Vajda)는 시베리아의 예니세이어족과 북아메리카의 나-데네어족(Na-Dené languages) 사이에 계통적 관계가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며 새로운 가설을 제창했다.[30] 이 두 어족을 합쳐 데네-예니세이어족이라는 명칭이 제안되었다.

2010년 당시 바이다의 제안은 마이클 크라우스(Michael E. Krauss), 제프 리어(Jeff Leer), 제임스 카리(James Kari), 하인리히 베르너(Heinrich Werner)를 비롯한 여러 나-데네어족 및 예니세이어족 전문가들로부터, 때로는 신중하게, 호평을 받았다. 버나드 콤리(Bernard Comrie), 요하나 니콜스(Johanna Nichols), 빅터 골라(Victor Golla), 마이클 포티스큐(Michael Fortescue), 에릭 햄프(Eric P. Hamp), 빌 포저(Bill Poser) 등 다른 저명한 언어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31]

하지만 라이얼 캠벨(Lyle Campbell)의 비판적인 검토[32]와 이에 대한 바이다의 반박[33]이 2011년 말 발표되면서, 이 제안이 현재로서는 완전히 확정된 것은 아님이 분명해졌다. 2011년에는 케렌 라이스(Keren Rice)와 재러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에 의해 이 가설에 대한 다른 두 편의 서평과 고지가 실리기도 했다.

5. 2. 카라수크어족

예니세이어족과 부르샤스키어를 연결하는 '카라스크 가설'은 A.P. 덜슨[34]과 V.N. 토포로프[35]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안되었다. 2001년, 조지 반 드리엠은 부르쇼족이 중앙아시아에서 이동하여 인더스 계곡을 정복한 인도유럽인의 일부였다고 주장했다.[36]

알렉세이 카시안은 하티어, 후르리-우라르투어족과 카라스크 문화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하며 일부 어휘 대응을 제안했다.[37]

5. 3. 시노-티베트어족

마티아스 카스트렌(1856), 제임스 번(1892), G. J. 람스테트(1907) 등 초기 연구자들은 예니세이어족이 시노티베트어족의 북쪽 친척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38][39] 이러한 생각은 이후 카이 도너[40]와 칼 보우다[41]에 의해 이어졌다. 2008년에는 예니세이어족과 시노티베트어족 사이의 관계를 뒷받침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한 동족어가 발견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42] 고징이(2014)는 기본 어휘에 속하는 12개의 중국어군과 예니세이어족 공유 어원을 확인했으며, 이것이 단순한 차용어가 아니라고 주장했다.[43]

시노카우카시아어족 가설을 제시한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예니세이어족이 시노티베트어족과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고 보아 이를 '''시노-예니세이어족'''이라고 명명했다. 시노카우카시아어족 가설은 이후 북아메리카의 나-데네어족, 부루샤스키어, 바스크어, 때로는 에트루리아어까지 포함하는 데네카우카시아어족 가설로 확장되기도 했다. 이 중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은 비교적 최근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나머지 확대 가설(시노카우카시아, 데네카우카시아)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역사언어학자들이 회의적이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다.[44][45][46] 게오르기 스타로스틴은 이후 계통수를 업데이트하여 나-데네어족을 시노티베트어족과 묶고, 예니세이어족은 부루샤스키어와 묶는 카라수크어족 가설을 제시했다.[47] 조지 반 드리엠은 시노티베트어족(그는 이를 "트랜스-히말라야어족"이라 부름)과 예니세이어족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대신, 그는 예니세이어족 사용자들이 과거 화북 평원에 살다가 그 지역으로 이주해 온 원시 중국어 사용자들에게 동화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 과정에서 중국어가 여러 민족 언어 집단 사이의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면서 크리올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한다.[48]

한편, 에드워드 사피어나-데네어족과 시노티베트어족 사이의 연관성, 즉 '''시노-데네어족''' 가설을 제안했다. 1920년대경 사피어는 나-데네어족이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어족들보다 시노티베트어족과 더 가깝다고 확신했다.[49] 에드워드 바이다의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 제시는 제프리 카베니(2014)와 같은 언어학자들이 시노-데네 가설을 다시 검토하게 만들었다. 카베니는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 예니세이어족 사이의 연관성은 타당성이 있다고 보았지만, 이들이 캅카스 제어와 관련이 있다는 시노카우카시아어족 및 데네카우카시아어족 가설은 지지하지 않았다.[50]

데이비드 브래들리는 2023년 비교 언어학의 표준 기법을 사용한 분석을 통해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 예니세이어족 간의 먼 유전적 연관성을 지지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브래들리는 시노티베트어족이 먀오야오어족, 알타이 제어(실제로는 언어동조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끄라다이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 다른 동아시아 어족들과 공유하는 유사점은 언어 접촉의 결과이지만,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 예니세이어족은 최근에 접촉한 적이 없으므로 이들 그룹 간의 유사점은 공통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잔류적 특징일 것이라고 주장했다.[51]

종합적으로 볼 때, 예니세이어족과 시노티베트어족이 근연 관계라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나, 아직 명확한 근거는 부족한 상태이다.[68][69]

5. 4. 데네-카프카스어족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여러 연구에서 부다(Bouda)는 예니세이어족과 티베트-중국어족 외에도 북카우카수스어족과 부르샤스키어를 포함하는 언어적 연관성을 제시했다. R. 블라이히슈타이너,[52] O.G. 타유르,[53] 세르게이 A. 스타로스틴,[54] 세르게이 L. 니콜라예프[55] 등은 이러한 연관성을 뒷받침하려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후 J.D. 벵그트손,[56] V. 블라제크,[57] J.H. 그린버그(M. 루렌과 함께),[58] M. 루렌[59] 등은 이 가설을 나데네어족, 시나티벳어족, 바스크어족 등을 포함하는 데네-카프카스어족 가설로 확장했다.[70][71] 조지 스타로스틴은 아버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의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60]

하지만 데네-카프카스어족 가설은 언어학계에서 매우 논란이 많으며,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 속에 소수 의견으로 남아 있거나[70][71]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에게 의심스럽게 여겨지거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61][62][63]

참조

[1]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НАИБОЛЕЕ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2] 문서 Sum of Ket and Yugh speakers in the 2021 Russian census
[3] 문서 Ostyak
[4] 논문 Why the Dene-Yeniseic Hypothesis is Exciting Dene-Yeniseic Symposium 2008
[5] 서적 Yeniseian Peoples and Languages: A History of Yeniseian Studies with an Annotated Bibliography and a Source Guide Routledge 2013
[6] 논문 Yeniseian and Dene Hydronyms https://scholarspace[...]
[7] 논문 Did the Xiong Nu Speak a Yeniseian Language? https://www.academia[...] 2000
[8] 논문 Two Newly Found Xiong-nú Inscriptions and Their Significance for the Early Linguistic History of Central Asia https://www.academia[...] 2020
[9] 서적 Die Jenissej-Sprachen des 18. Jahrhunderts Harrassowitz 2005
[10] 문서 Yastin, Yarin and Baikot are sometimes considered dialects of Kott.
[11] 논문 Assessing the Sino-Caucasian Hypothesis 2013-03-22
[12] 서적 A typology of questions in Northeast Asia and beyond https://google.com/b[...] Language Science Press 2018-08-29
[13] 서적 Mid-holocene language connections between Asia and North America Brill 2022
[14] 논문 8 The Yeniseian language family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4-06-26
[15] 서적 Ket LINCOM Europa 2004
[16] 논문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a Eurasian Language Family https://www.academia[...] 2003-01
[17] 서적 Languages and Prehistory of Central Siberia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4-01-01
[18] 논문 Genomic study of the Ket: a Paleo-Eskimo-related ethnic group with significant ancient North Eurasian ancestry 2016-02-11
[19] 논문 Linguistic Phylogenies Support Back-Migration from Beringia to Asia 2014-03-12
[20] 논문 Postglacial genomes from foragers across Northern Eurasia reveal prehistoric mobility associated with the spread of the Uralic and Yeniseian languages https://www.biorxiv.[...] 2023-10-02
[21] 웹사이트 Toward the question of Yeniseian homeland in perspective of toponymy https://starling.rin[...]
[22] 문서 See Vovin 2000, Vovin 2002 and Pulleyblank 2002
[23] 문서 See Vajda 2008a
[24] 서적 History of Humanity UNESCO
[25] 논문 The consonontal system of old Chinese 1962
[26] 논문 Who were the *Kyet (羯) and what language did they speak? https://www.academia[...] 2016
[27] 문서 See Anderson 2003
[28] 논문 Yeniseic languages and the Siberian linguistic area Rodopi 2008
[29] 문서 Russian loan
[30] 문서 See Vajda 2010
[31] 웹사이트 The languages of the Caucasus http://languagelog.l[...]
[32] 서평 Review of ''The Dene-Yeniseian Connection'' (Kari and Potter) 2011
[33] 서평 A Response to Campbell 2011
[34] 문서 See Dulson 1968
[35] 문서 See Toporov 1971
[36] 문서 Van Driem 2001
[37] 논문 Hattic as a Sino-Caucasian language 2009-2010
[38] 문서 Tailleur 1994
[39] 문서 Werner 1994
[40] 문서 Donner 1930
[41] 문서 Bouda 1963, Bouda 1957
[42] 웹사이트 The Yeniseian Languages of the 18th Century and Ket and Sino-Tibetan Word Comparisons https://www.jstor.or[...] 2008
[43] 웹사이트 Xia and Ket Identified by Sinitic and Yeniseian Shared Etymologies // 確定夏國及凱特人的語言為屬於漢語族和葉尼塞語系共同詞源 https://www.jstor.or[...] 2017
[44] 서적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Smithsonian Institution 1996
[45] 서적 The Dictionary of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0
[46] 웹사이트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47] 이미지 The Preliminary Genealogical Tree For Eurasia (short variant) https://starlingdb.o[...]
[48] 서적 Ethnolinguistic prehistory: the peopling of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genes and material culture Brill 2021
[49]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Na-Dene 1998-11-10
[50] 웹사이트 Sino-Tibetan ŋ- and Na-Dene *kw- / *gw- / *xw-: 1st Person Pronouns and Lexical Cognate Sets 2014
[51] 웹사이트 Ancient Connections of Sinitic 2023-07-24
[52] 문서 Bleichsteiner 1930
[53] 문서 Tailleur 1958, Tailleur 1994
[54] 문서 Starostin 1982, Starostin 1984, Starostin 1991, Starostin & Ruhlen 1994
[55] 문서 Nikola(y)ev 1991
[56] 문서 Bengtson 1994, Bengtson 1998, Bengtson 2008
[57] 문서 Blažek & Bengtson 1995
[58] 문서 Greenberg & Ruhlen, Greenberg & Ruhlen 1997
[59] 문서 Ruhlen 1997, Ruhlen 1998a, Ruhlen 1998b
[60] 문서 Reshetnikov & Starostin 1995a, Reshetnikov & Starostin 1995b, Dybo & Starostin
[61] 서적 The Dictionary of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0
[62]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63] 웹사이트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7-25
[64] 웹사이트 Genomic study of the Ket: a Paleo-Eskimo-related ethnic group with significant ancient North Eurasian ancestry 2016-02-11
[65] 웹사이트 Linguistic Phylogenies Support Back-Migration from Beringia to Asia 2014-03-12
[66] 논문 Did the Xiongnu speak a Yeniseian language? 2000
[67] 논문 Who were the *Kjet (羯) and what language did they speak? 2016
[68] 논문 Traits paléo-eurasiens de la morphologie iénisséienne 1994
[69] 웹사이트 The Yeniseian Languages of the 18th Century and Ket and Sino-Tibetan Word Comparisons https://www.jstor.or[...] 2008
[70] 논문 L'origine linguistique des Amérindiens 1997
[71] 논문 The Origin of the Na-Dene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