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한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강은 중국의 주요 강 중 하나로, 산시성에서 발원하여 후베이성을 가로질러 얀쯔강과 합류한다. 면수, 양하 등으로도 불리며, 고대에는 하수와 합류하는 지류를 이루기도 했다. 한강 유역은 주요 도시인 한중시, 안캉시, 우한시를 포함하며, 19세기까지 원시림으로 덮여 있었다. 역사적으로는 서경과 가경일통지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 1983년 안캉시의 홍수 피해와 백련교도의 난과 관련이 깊다. 또한, 단장커우 댐 건설과 남수북조 프로젝트에 활용되며, 탕바이허, 샤오칭허 등의 지류를 가지고 있다. 한강은 유역 주민들에게 신성한 강으로 여겨지며, 중국의 화북과 화남을 나누는 경계선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베이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후베이성의 강 - 오강 (강)
오강은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 성과 충칭 시를 흐르는 창장 강 지류로, 험준한 산악 지형을 지나며 수력 발전과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환경 오염과 지질 불안정 문제도 야기한다. - 산시성 (섬서성)의 강 - 자링강
자링강은 중국 간쑤성에서 발원하여 여러 성을 거쳐 충칭에서 양쯔강과 합류하는 총 길이 1,345km의 강으로, 쓰촨 분지를 가로지르는 구불구불한 흐름과 수운 교통로로서의 중요성, 그리고 중국 남서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특징이다. - 산시성 (섬서성)의 강 - 웨이허
웨이허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서 발원하여 황허로 흘러드는 총 길이 818km의 강으로, 중국 문명의 초기 발상지 중 하나이며, 유역은 관중이라고 불린다. - 장강의 지류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장강의 지류 - 황푸강
황푸강은 상하이시를 가로지르며 푸시와 푸둥을 나누는 경계 역할을 하고 창장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상하이의 주요 식수원이자 교통로인 강이다.
한강 (한수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강 |
다른 이름 | 한수이 (汉江/漢江, Hàn Jiāng) |
지리 | |
국가 | 중국 |
지역 | 산시성 (섬서성), 후베이성 |
도시 | 한중시, 안캉시, 스옌시, 샹양시, 셴타오시, 우한시 |
길이 | 1,532 km (북서-남동 방향) |
평균 방류량 | 1,632 m³/s |
최대 방류량 | 33,500 m³/s |
발원지 | 한중시 근처 |
발원지 위치 | 친링산맥, 산시성 (섬서성) |
발원지 좌표 | 33°08′32″N 106°49′42″E |
발원지 고도 | 580 m |
하구 | 장강 |
하구 위치 | 우한시, 후베이성 |
하구 좌표 | 30°33′52″N 114°17′30″E |
하구 고도 | 75 m |
수계 | 장강 유역 |
유역 면적 | 174,300 km² |
왼쪽 지류 | 쉰허, 단강, 바이허 (당바이허), 푸수이강 |
오른쪽 지류 | 두허, 츠강, 난강, 무마강 |
![]() |
2. 명칭
명칭은 '''한''' 외에 '''면'''(沔|miǎn중국어)을 써서 '''면수'''(沔水)라고도 한다. 샹양시(양양) 인근에서는 '''양'''(襄)을 써서 '''양하'''(襄河)라고도 한다. 한편 고대 문헌에서는 장강에서 갈려나와 이 한강에 합류하는 강이 나오는데, 이 강을 '''하수'''(夏水)라 하며 한강과 하수의 합류지 하류 구역을 그대로 하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의 옛 군인 강하군은 한강과 장강의 합류지를 관할하는데, 앞서 말한 한수의 하류를 일컫는 '''하'''수와 장'''강'''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명명했다.
한강은 산시성 남서부 보중산에서 발원하여[2] 산시성 남부를 가로질러 동쪽으로 흐른다.[2] 한강의 고원 계곡은 친링 산맥과 다바 산맥에 의해 나뉘어 보호받고 있으며, 중국어로는 "두 산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강"(''Liangshan Jia Yichuan'')으로도 알려져 있다.[2] 이후 후베이성으로 들어가 후베이성 대부분을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가로지르며, 우한시에서 장강(양쯔강)과 합류한다.[2] 두 강이 합류하면서 우한시는 우창구, 한커우구, 한양구의 세 구역으로 나뉜다.[2] 합류 지점 주변 지역은 장한 평원으로 알려져 있다.[2]
3. 지리
한수(漢水)는 산시성한중시닝창현의 보총산을 수원으로 하며, 동쪽으로 흘러 후베이성으로 들어가 우한시에서 창장(장강)과 합류한다. 지류로는 쉬수이강(中文), 쉰허(中文), 두허(中文)(최대), 단장(中文), 탕바이허(中文) 등이 있다. 한수 상류에는 단장커우 댐(中文)이 있으며, 남수북조 공정(English, 中文)의 수원이다.
『서경・우공(禹貢)』에는 "파총(嶓冢)에서 漾(양)을 이끌어 동쪽으로 흘러 한(漢)이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청대의 『가경일통지(嘉慶一統志)』 한중부(漢中府)・산천(山川)에는 "한수(漢水)는 영강주(寧羌州) 북쪽에 있으며, 파총산(嶓冢山)에서 발원한다. 동쪽으로 흘러 면현(沔縣) 남쪽을 지나고, 또 동쪽으로 포성현(褒城県) 남쪽을 지나며, 또 동쪽으로 부치(府治) 남정현(南鄭県) 남쪽을 지난다...... 동남쪽으로 흥안부(興安府) 석천현(石泉県) 경계로 흘러든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형의 변화 때문에 안강(安康)보다 상류는 항행할 수 없다. 또한 지류는 동절기에는 단류하는 경우가 있다.
한수(漢水)의 중・하류 유역에서는 도시가 하상(河床)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 한수(漢水)의 범람은 큰 재난을 초래한다. 1983년에 안캉은 한수(漢水)의 범람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3. 1. 주요 도시
도시 | 설명 |
---|---|
한중 | 한수이강 상류에 위치한 도시이다. |
안캉 | 한수이강 상류에 위치한 도시이다. |
스옌 | 한수이강 유역의 도시이다. |
난양 | 한수이강 유역의 도시이다. |
라오허커우 | 한수이강 유역의 도시이다. |
샹양 | 한수이강 유역의 도시이다. |
우한 | 한수이강이 창장(장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이다. |
4. 역사
청나라 중기까지 한수(漢水) 상류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고 험준하여 남부에서 중원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건륭제 시대에 인구 증가로 인한 농경지 확장을 위해 이주가 장려되면서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다. 행정력이 부족한 탓에 지역 주민들은 자치 체제를 발전시켰고, 소금 밀매상, 폭력조직 등 불법 조직이 성행했다.[3]
청-버마 전쟁 이후 건륭제는 내부 통제를 강화하면서 한수 상류 지역의 행정력도 강화했다. 이 과정에서 불법 조직 진압을 시도하자 지역 주민들과 마찰을 빚었고, 불만을 품은 주민들을 백련교가 결집시켜 1796년 백련교도의 난을 일으켰다. 백련교도의 난은 험준한 지형을 이용해 8년간 저항했지만, 가경제의 효과적인 진압 전략으로 1804년 진압되었다.[3]
『서경・우공(禹貢)』에는 "파총(嶓冢)에서 漾(양)을 이끌어 동쪽으로 흘러 한(漢)이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청대의 『가경일통지(嘉慶一統志)』에는 한수(漢水)가 영강주(寧羌州) 북쪽 파총산(嶓冢山)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형 변화로 안강(安康) 상류는 항행이 불가능하며, 지류는 겨울에 물이 끊기기도 한다.
한수(漢水) 중・하류 유역은 도시가 강바닥보다 낮아 범람 시 큰 피해를 겪는다. 1983년 안강시(安康市)는 한수(漢水) 범람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4. 1. 고대 ~ 청대
청나라 중기까지 한수(漢水) 상류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고 험준하여 남부에서 중원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건륭제 시대에 인구 증가로 인한 농경지 확장을 위해 이주가 장려되면서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다. 행정력이 부족한 탓에 지역 주민들은 자치 체제를 발전시켰고, 소금 밀매상, 폭력조직 등 불법 조직이 성행했다.[3]청-버마 전쟁 이후 건륭제는 내부 통제를 강화하면서 한수 상류 지역의 행정력도 강화했다. 이 과정에서 불법 조직 진압을 시도하자 지역 주민들과 마찰을 빚었고, 불만을 품은 주민들을 백련교가 결집시켜 1796년 백련교도의 난을 일으켰다. 백련교도의 난은 험준한 지형을 이용해 8년간 저항했지만, 가경제의 효과적인 진압 전략으로 1804년 진압되었다.[3]
『서경・우공(禹貢)』에는 "파총(嶓冢)에서 漾(양)을 이끌어 동쪽으로 흘러 한(漢)이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청대의 『가경일통지(嘉慶一統志)』에는 한수(漢水)가 영강주(寧羌州) 북쪽 파총산(嶓冢山)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형 변화로 안강(安康) 상류는 항행이 불가능하며, 지류는 겨울에 물이 끊기기도 한다.
한수(漢水) 중・하류 유역은 도시가 강바닥보다 낮아 범람 시 큰 피해를 겪는다. 1983년 안강시(安康市)는 한수(漢水) 범람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4. 2. 백련교도의 난 (1796년 ~ 1804년)
청나라 중기까지 산시성, 쓰촨성, 후베이성의 높은 산지로 구성된 한강 상류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고 험준하여 남부로부터 중원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건륭제 시대에 맬서스적 위기에 직면한 청나라는 농경지 확장을 위해 이 지역으로 이주를 장려했다.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지만, 잦은 전쟁과 행정력 부족으로 인해 한수 상류 정착지에는 행정관이 거의 배치되지 않았다.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한 지역 주민들은 자치적 체제를 발전시켰고, 소금 밀매상, 폭력조직 등 불법조직이 성행하며 지역 주민들의 삶에 깊숙이 관여하게 되었다.[3]청-버마 전쟁에서 큰 피해를 본 건륭제는 대외 원정을 줄이고 내부 통제 강화로 정책을 전환했다. 한수 상류 지역에도 행정력이 강화되면서, 지역에 배치된 행정관들은 불법 조직 진압을 시도했고, 이는 불법 조직과 밀접하게 관련된 지역 주민들과의 마찰을 빚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백련교는 불만을 품은 지역 주민과 불법 조직들을 결집하여 한수 상류 산지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고, 1796년 마침내 백련교도의 난을 일으켜 건륭제와 대립하게 되었다.[3]
백련교도의 난은 산지의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진압군에 맞서 8년간 지속되었으나, 건륭제 사후 가경제의 효과적인 진압 전략으로 1804년 진압되었다. 이처럼 백련교도의 난은 한수 상류의 지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3]
5. 수자원 개발
단장커우 댐은 한강 상류에 위치하며, 남수북조 프로젝트(남방의 물을 북방으로 끌어오는 국가 프로젝트)의 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5. 1. 단장커우 댐
단장커우 댐은 1958년 후베이성 북부 한강에 건설되었다. 이후 댐의 높이가 높아졌다. 이로 인해 생성된 단장커우 저수지는 현재 남수북조 프로젝트(남방의 물을 북방으로 끌어오는 국가 프로젝트, English, 中文)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1]6. 지류
- 탕바이허(中文)
- 샤오칭허
- 쉬수이강(中文)
- 쉰허(中文)
- 두허(中文)
- 단장(中文)
- 후자하
7. 한수 유역의 문화
한강(漢江)은 과거 강가에 사는 주민들에게 신성한 강으로 여겨졌다.[2] 또한 중국의 화북과 화남을 나누는 경계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 주로 한수 유역의 지리, 역사, 문화, 민속, 종교 등이 학술 연구 대상이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Medical Anthropology
Springer US
[2]
citation
White Lotus Rebels and South China Pirates
[3]
서적
White Lotus rebels and south China pirates : crisis and reform in the Qing empire
https://www.worldcat[...]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