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벵갈루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벵갈루루는 인도 카르나타카 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도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며 IT 산업의 중심지이다. 9세기 기록에서 지명이 확인되며, 1537년 켐페 고우다 1세에 의해 건설되었다. 마이소르 왕국, 영국 동인도 회사, 영국령 인도를 거쳐 1947년 독립 후 마이소르 주의 주도가 되었고, 1956년 주 재편성을 통해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다. 벵갈루루는 IT, 항공우주, 생명공학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2011년 기준 인구 850만 명으로 인도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온화한 기후와 많은 공원으로 "인도의 정원 도시"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크리켓이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벵갈루루 - 인도 과학원
    인도 과학원은 잠세트지 타타와 스와미 비베카난다의 만남으로 설립되어 1911년 첫 학생을 받았으며, 벵갈루루에 메인 캠퍼스를 두고 학부, 석사, 박사 과정을 운영하는 인도의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이다.
  • 카르나타카주의 도시 및 마을 - 마이소르
    마이소르는 인도 카르나타카 주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마이소르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IT 산업, 문화 유산, 다사라 축제로 유명하고, 2014년 마이수루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카르나타카주의 도시 및 마을 - 다바나게레
    카르나타카 주 중앙에 위치한 다바나게레는 "카르나타카의 심장"으로 불리며 농업 중심 경제를 바탕으로 꾸준한 인구 증가를 보이고 있고, 스마트 도시 개발 등을 통해 미래 발전을 모색 중이다.
  • 인도의 주도 - 뭄바이
    뭄바이는 아라비아 해에 위치한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의 주도로, 인도의 경제, 금융, 상업 중심지이며, 과거 봄베이로 불렸고, 뭄바이 교외 철도 등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춘, 인도 영화와 다양한 문화, 스포츠의 중심지이다.
  • 인도의 주도 - 아가르탈라
    인도 트리푸라 주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아가르탈라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힌두 왕국의 수도였으며, 무굴 제국과 영국령 인도 시대를 거쳐 1874~75년 시로 승격 후 계획 도시로 재건, 1947년 인도 독립 이후 급속한 성장으로 다문화 도시가 되었으나, 교통 혼잡, 주택 부족, 환경 오염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벵갈루루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벵갈루루
벵갈루루
벵갈루루
벵갈루루
기본 정보
정식 명칭벵갈루루
공용어 명칭
위치인도 카르나타카 주
하위 행정 구역카르나타카 주
규모
최고 행정 책임자 직함시 관리관(Municipal Commissioner)
최고 행정 책임자B H Anil Kumar
총 면적741 제곱킬로미터
해발 고도920 미터
인구 (2011년)8,425,970명
도시권 인구8,499,399명
시간대IST
협정 세계시와의 시차+5:30
우편 번호560 xxx
지역 번호91-(0)80
차량 번호판KA 01, KA 02, KA 03, KA 04, KA 05, KA 41, KA 50, KA 51, KA 53
공식 웹사이트벵갈루루 시청
지리
위도12.983333
경도77.583333
인구
총 인구8,443,675 (2011년)
인구 밀도12,000 명/제곱킬로미터
광역 인구10,456,000 명
역사
언어
방언칸나다어
기타 정보
웹사이트벵갈루루 시청
지역 전화번호+91-(0)80
발음
로마자 표기
칸나다어 로마자 표기Bengaluru
영어 로마자 표기Bangalore

2. 역사

벵갈루루는 900년경 역사에 처음 등장하지만, 당시에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다. 도시로서의 기록은 1537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속국 영주 켐페 고우다 1세가 진흙 성을 쌓고 도시를 설계하면서 시작된다. 이후 마이소르 왕국의 일부가 되어 수도로 번영하였다.

19세기 영국이 영국령 인도 제국을 세우면서 벵갈루루는 남인도의 군사·행정 거점이자 식민 지배 중심지가 되었다. 타밀인, 텔루구인인도 각지에서 온 노동자들이 칸톤먼트(병영) 건설에 투입되었다.

벵갈루루는 고원에 있어 기후가 온화하고 시원하여 "'''인도의 정원 도시'''"로 불렸다. 1947년 인도 독립 후에는 국영 중공업, 항공 산업, 우주 산업, 방위 산업 공장들이 들어섰다. 인도 경제 자유화 이후 하이테크 산업이 발전하면서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며 2004년 소프트웨어 수출의 35%를 차지했다.[4]

벵갈루루는 인도에서 두 번째로 문해율이 높은 도시이며, 수준 높은 대학과 연구소들이 위치해 있다. 그러나 대기 오염, 교통 혼잡, 범죄, 빈민가 문제 등 개발도상국의 거대 도시들이 겪는 어려움도 겪고 있다.

2005년 12월 11일, 카르나타카 주 정부는 도시 이름을 칸나다어 발음에 맞춘 "'''벵갈루루'''(Bengalūru)"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2006년 11월 1일에 새로운 이름이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인도 내무부의 승인이 늦어져 2014년 11월 1일에 공식적으로 개명되었다.[4]

2. 1. 명칭 유래

"벵갈루루(Bangalore)"는 칸나다어 도시 이름 "벵갈루루(Bengalūru)"의 영어식 이름이다. 벵갈루루라는 지명이 기록에 나타나는 것은 9세기, Western Ganga Dynasty|서방가 왕조영어가 세운 "vīra gallu"(ವೀರ ಗಲ್ಲು, "영웅의 돌")라 불리는 영웅을 기리는 비석의 비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베굴(Begur) 근처에서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이 지역은 890년에 전투가 벌어진 곳이며, 1004년까지 서방가 왕조의 일부였고, 벵가발 우루(Bengaval-uru), 옛 칸나다어로 "'''보호받는 도시'''"라고 불렸다.[12][13]

하지만 더 널리 알려진 지명 유래 설화는 다음과 같다. 남인도의 호이살라 왕조의 왕 비라 발랄라 2세(재위: 1173년~1220년)가 사냥 중에 숲에서 길을 잃고, 굶주리고 지쳐 힘든 상황에서 가난한 노파의 도움을 받아 삶은 콩을 대접받았다. 감사한 왕은 이곳을 "'''삶은 콩의 도시'''"를 의미하는 벤다 카알 우루(benda-kaal-uru, ಬೆಂದಕಾಳೂರು)라 명명하였고, 이후 이것이 "벵갈루루"가 되었다는 것이다.[14][15]

2. 2. 도시 건설

벵갈루루라는 이름은 서기 900년경에 역사에 등장하지만, 당시에는 주민이 거의 없었다. 도시로서의 기록은 1537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속국 영주였던 켐페 고우다 1세가 진흙으로 성을 쌓고 도시를 설계하여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지방 도시로 계획 도시화한 이후부터 나타난다. 이후 벵갈루루는 마이소르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나중에는 수도로 번영하였다.

타밀나두 출신의 촐라 왕조가 이 지역을 1015년부터 1116년까지 지배했고, 그 후에는 마이소르에 일어선 호이살라 왕조가 지배했다.

현대 벵갈루루 시는 비자야나가라 왕국의 봉건 영주 켐페 고우다 1세가 1537년에 건설한 진흙 성벽 도시(Pete, 페테이)에서 시작된다.[15] 그는 처음에 이 도시를 "영웅의 도시"를 의미하는 "gandubhūmi"라고 불렀다.[15] 이 도시는 두 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두 개의 큰 도로가 교차하는 계획 도시였다. 계승자 켐페 고우다 2세는 벵갈루루의 경계를 정하는 네 개의 탑을 건설했다.[16] 비자야나가라 시대에는 이 도시를 "Devarāyanagara" 또는 "Kalyānapura"(길조의 도시)라고도 불렀다.

비자야나가라 왕국이 붕괴되자 벵갈루루는 마라타 왕국, 그 다음에는 무굴 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1687년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마이소르 왕국의 통치자이자 오데야 왕조(Wodeyar)의 왕 치카 데바 라자에게 벵갈루루를 30만인도 루피에 빌려주었고, 이로 인해 이 지역은 마이소르의 지배하에 놓였다.[17] 마이소르 군의 장군 하이데르 알리가 크리슈나 라자 2세로부터 왕권을 빼앗았다. 이로 인해 하이데르 알리가 마이소르 왕국의 사실상 지배자가 되었고, 그의 사후에는 아들인 "마이소르의 호랑이"라고 불린 티푸 술탄이 계승하여 벵갈루루에 궁전을 짓는 등 정비를 했다.

2. 3. 마이소르 왕국과 영국 통치

1537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속국 영주였던 켐페 고우다 1세가 진흙으로 성을 쌓고 도시를 설계하여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지방 도시로 계획 도시화하면서 벵갈루루가 도시로서의 기록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후 마이소르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나중에는 수도로 번영하였다.

현대 벵갈루루 시는 비자야나가라 왕국의 봉건 영주 켐페 고우다 1세가 1537년에 건설한 진흙 성벽 도시(Pete)에서 시작된다. 그는 처음에 이 도시를 "영웅의 도시"를 의미하는 "gandubhūmi"라고 불렀다.[15] 이 도시는 두 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두 개의 큰 도로가 교차하는 계획 도시였다. 계승자 켐페 고우다 2세는 벵갈루루의 경계를 정하는 네 개의 탑을 건설했다.[16] 비자야나가라 시대에는 이 도시를 "Devarāyanagara" 또는 "Kalyānapura"(길조의 도시)라고도 불렀다.

비자야나가라 왕국이 붕괴되자 벵갈루루는 마라타 왕국, 그 다음에는 무굴 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1687년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는 '''마이소르 왕국'''의 통치자이자 오데야 왕조(Wodeyar)의 왕 치카 데바 라자에게 벵갈루루를 30만인도 루피에 빌려주었기 때문에 이 지역은 마이소르의 지배하에 놓였다.[17] 마이소르 군의 장군 하이데르 알리가 크리슈나 라자 2세로부터 왕권을 빼앗았다. 이로 인해 하이데르 알리가 마이소르 왕국의 사실상 지배자가 되었고, 그의 사후에는 아들인 "마이소르의 호랑이"라고 불린 티푸 술탄이 계승하여 벵갈루루에 궁전을 짓는 등 정비를 했다.

1799년 제4차 영국-마이소르 전쟁에서 티푸 술탄이 전사하자, 방갈로르는 일시적으로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받았다. 영국인들은 성벽 도시를 마이소르에 반환했지만, 그 옆에 신도시(칸톤먼트)를 건설하고 사법권을 행사했다. 영국령 인도가 확장되면서 방갈로르는 마드라스 관구(Madras Presidency)에 포함되었다. 마이소르 왕국은 1831년, 고도 마이소르에서 방갈로르로 수도를 옮겼다.[18] 1864년 첸나이(마드라스)와의 철도 개통, 전화 개통이 도시 확장에 박차를 가했다.

19세기, 방갈로르는 쌍둥이 도시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성벽 도시에는 칸나다어를 사용하는 칸나다인이 거주하고, 칸톤먼트에는 영국인과 타밀인이 거주했다.[19] 1898년에는 선페스트가 대유행하여 주민이 급감했고, 전화 회선을 통한 구호 요청과 의사 파견이 도시를 간신히 구했다. 1906년 수력 발전소 건설을 통해 방갈로르는 인도에서 최초로 전기가 보급된 도시가 되었다. 1927년, 번왕 크리슈나 라자 4세의 즉위 25주년을 기념하여 다양한 행사가 열렸는데, 이때 병원 등과 함께 공원이 건설됨으로써 방갈로르는 "인도의 정원 도시"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2. 4. 독립 이후

1947년 인도가 독립한 후, 벵갈루루에는 국영 중공업, 항공 산업, 우주 산업, 방위 산업 공장들이 설치되었다. 인도 경제 자유화 이후 벵갈루루에서의 하이테크 산업의 확립과 성공은 인도의 정보통신 산업(IT 산업)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벵갈루루는 "'''인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정도가 되었고, 2004년 소프트웨어 수출의 35%를 차지하게 되었다.[4] 높은 교육 수준을 자랑하는 대학들과 연구소들의 소재지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 2위의 문해율을 자랑하지만, 개발도상국의 거대화하는 도시의 일반적인 현상으로서, 벵갈루루도 대기 오염, 교통 혼잡, 범죄, 빈민가 등의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

1947년 독립 후, 마이소르 왕국의 영역은 마이소르 주가 되었고, 방갈로르는 주도가 되었다. 1956년에는 주를 언어별로 재편성하는 사업이 시작되어, 마이소르 주는 칸나다어 지역을 통합하는 형태로 재편되었고, 1973년에는 카르나타카 주로 개칭되었다. 마이소르 주 설립 당시, 칸나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 보급과 공공기관 취업이 진행되었고, 1940년대 후반에 칸나다어 지역에서 인구 유입이 시작되면서 도시는 더욱 확장되었다. 1961년에는 인구 120만 명으로 인도에서 6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으며, 자동차 회사와 항공기 회사의 공장 설립으로 인구는 더욱 증가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방갈로르에 부동산 붐이 일어나 전국에서 투자가 집중되었고, 식민지(콜로니얼) 양식의 방갈로는 고층 아파트로 속속 변모했다. 또한 은행과 패스트푸드 등 다국적 기업의 진출도 잇따랐다. 이러한 국내외 자본, 인구, 문화의 유입과 도시 재개발은 지역 언어와 문화의 정체성 위기를 초래했다. 1996년 방갈로르에서 열린 미스 월드 콘테스트 결승전에 여성 단체 등이 반대 운동을 벌여 폭동으로 발전했고, 같은 해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Kentucky Fried Chicken) 매장이 농민 단체에 의해 공격받는 등 서구 문화에 대한 반대가 잇따랐다. 도시 정부는 도시의 국제화에 대응하여 경기장과 고급 콘도미니엄 건설을 추진했지만, 이는 빈곤 지역의 주택과 커뮤니티 파괴와 그들을 교외의 더욱 빈곤한 주택 지역으로 격리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의 닷컴 버블, IT 붐은 소프트웨어 산업의 고용을 증가시켰지만, 다른 산업의 고용은 오히려 감소했다. 2000년대 초에는 빈부 격차와 불완전한 인프라 정비로 인한 열악한 주거 환경 개선을 목표로 인도 최초의 게이티드 커뮤니티도 등장했다.[20]

2005년 12월 11일, 카르나타카 주 정부는 도시 이름을 칸나다어 명칭에 맞춘 "'''벵갈루루'''(Bengalūru)"로 개명할 방침을 밝혔다. 새로운 이름은 2006년 11월 1일에 발효되었지만, 인도 내무부의 허가가 늦어져 2014년 11월 1일, 다른 카르나타카 주 도시들과 함께 "벵갈루루"로의 개명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4]

3. 지리

벵갈루루는 남인도 남서쪽 카르나타카 주, 데칸 고원의 일부인 마이소르 고원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해발 고도는 평균 920m이며, 북위 12도 58분, 동경 77도 34분에 위치한다. 안정된 지각 위에 있어 지진 발생은 거의 없다.

도시 면적은 2,190km²이다. 벵갈루루 도시권은 벵갈루루 노스, 벵갈루루 사우스, 아네칼의 세 탈룩(taluk, 군과 마을 사이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된다. 노스 지역은 평평하고, 사우스 지역은 계곡과 언덕이 많아 지형이 다양하다. 도시 지형은 중앙에 산등성이가 있을 뿐 전반적으로 평평하다. 토양은 붉은 라테라이트와 점토질 토양이 주를 이루며, 활엽수와 코코넛 나무가 많다.

벵갈루루 호수


큰 강은 흐르지 않으며, 켐페 고우다 1세는 벵갈루루 건설 당시 식수를 위해 주변에 많은 호수를 조성했다. 20세기 전반, 마이소르 왕국 재상 미르자 이스마일은 근교에 저수지를 만들고 상수도를 설치했다. 현재도 벵갈루루 시민들은 많은 댐에 식수를 의존하지만, 매년 여름 물 부족이 심각하다.

대기 오염 조사에 따르면, 교통이 혼잡한 지역의 대기 오염은 "심각"으로 분류되지만, 아마다바드, 델리, 콜카타와 같은 심각하게 오염된 도시와 비교하면 벵갈루루와 뭄바이는 중간 정도의 오염 수준으로 평가된다.

북쪽으로 60km 가면 해발 1300m가 넘는 난디 구릉이 있으며, 피서지로 유명하다.

3. 1. 기후

벵갈루루는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사바나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Aw) 지역이다. 고도가 높기 때문에 여름에 불쾌한 열파가 때때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일 년 내내 온화한 기후를 누릴 수 있다.[5]

가장 추운 달은 12월로 평균 최저 기온이 15.4°C이고, 가장 더운 달은 4월로 평균 최고 기온이 32.8°C이다.[6] 벵갈루루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38.9°C(1931년 3월), 최저 기온은 7.8°C(1884년 1월)이다.[7][8]

겨울 기온은 거의 12°C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며, 여름 기온은 거의 34°C~35°C를 넘지 않는다. 벵갈루루는 북동 계절풍과 남서 계절풍의 영향을 모두 받아 강수량을 기록한다. 따라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9월, 10월, 8월이다.[6] 여름철 더위는 비교적 잦은 뇌우에 의해 완화된다. 뇌우는 때때로 정전이나 국지적인 홍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벵갈루루의 기후(평균값: 1981년~2010년, 극값: 1901년~2012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7.9°C30.7°C33.1°C34°C33.3°C29.6°C28.3°C27.8°C28.6°C28.2°C27.2°C26.5°C29.6°C
평균 최저 기온 (°C)15.8°C17.5°C20°C22°C21.7°C20.4°C19.9°C19.8°C19.8°C19.6°C18°C16.2°C19.2°C
월 강수량 (mm)1.9mm5.4mm18.5mm41.5mm107.4mm106.5mm112.9mm147mm212.8mm168.3mm48.9mm15.7mm986.9mm


4. 인구

벵갈루루는 9세기경에는 주민이 거의 없었으나, 1537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속국 영주인 켐페 고우다 1세가 도시를 계획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세기에 영국령 인도 제국의 군사·행정 거점이 되면서 타밀인, 텔루구인, 북인도 노동자들이 유입되었다.

1947년 인도가 독립한 후, 벵갈루루는 중공업, 항공 산업, 우주 산업, 방위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경제 자유화 이후 하이테크 산업이 발전하면서 인도의 IT 산업 성장을 이끌었고, "인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높은 교육 수준을 갖춘 대학교와 연구소가 많지만, 대기 오염, 교통 혼잡, 범죄, 빈민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벵갈루루의 인구는 약 850만 명으로 인도에서 3위, 세계에서 27위이다. 인구 증가율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 46.68%로 인도 주요 도시 중 가장 높다. 벵갈루루 시민은 Bangaloreans 또는 Bangalorites라고 불린다. 칸나다어 사용자가 38%를 차지하며, 타밀나두 주, 케랄라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등 남인도 여러 주 출신들이 많다. 칸나다어가 공용어이지만, 타밀어, 텔루구어, 힌디어도 통용된다. 화이트칼라들 사이에서는 영어가 공통어이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힌두교도가 79.37%, 무슬림이 13.37%, 기독교도가 5.79%, 자이나교도가 1.05%이다. 여성 비율은 인구의 47.5%이며, 읽기 쓰기 능력은 83%이다. 카스트불가촉천민의 비율은 도시의 14.3%이며, 농업 종사자는 6%, 주민의 10%가 슬럼에 거주한다.

인구 성장[29][30]
연도인구
1941406,760
1951778,977
19611,207,000
19711,654,000
19812,922,000
19914,130,000
20015,101,000
20118,425,970


5. 경제

벵갈루루는 1947년 인도 독립 이후 국영 중공업, 항공 산업, 우주 산업, 방위 산업 공장들이 설치되면서 경제 성장의 기반을 다졌다. 인도 경제 자유화 이후 하이테크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인도의 정보통신 산업(IT 산업)을 이끄는 도시가 되었고, "인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정도로 성장했다. 2004년에는 인도 소프트웨어 수출의 35%를 차지했다.[4]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는 벵갈루루에 부동산 붐이 일어나 전국에서 투자가 집중되었고, 식민지 양식의 방갈로는 고층 아파트로 빠르게 변화했다. 또한 은행, 패스트푸드 등 다국적 기업의 진출도 이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외 자본, 인구, 문화의 유입과 도시 재개발은 지역 언어와 문화 정체성의 위기를 초래했다. 1996년 벵갈루루에서 열린 미스 월드 콘테스트 결승전에 여성 단체 등이 반대 운동을 벌여 폭동으로 발전했고, 같은 해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Kentucky Fried Chicken) 매장이 농민 단체에 의해 공격받는 등 서구 문화에 대한 반대도 있었다. 도시 정부는 도시 국제화에 대응하여 경기장과 고급 콘도미니엄 건설을 추진했지만, 이는 빈곤 지역의 주택과 커뮤니티 파괴 및 교외 격리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의 닷컴 버블, IT 붐은 소프트웨어 산업 고용은 증가시켰지만, 다른 산업 고용은 오히려 감소했다. 2000년대 초에는 빈부 격차와 불완전한 인프라 정비로 인한 열악한 주거 환경 개선을 목표로 인도 최초의 게이티드 커뮤니티도 등장했다.[20]

벵갈루루에는 힌두스탄항공(HAL), 바라트중전기(BHEL), 바라트토목공사기계(BEML) 등 인도를 대표하는 군수 기업과 육해공군 연구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1972년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벵갈루루에 설립되면서 항공우주 산업도 발전했다.

벵갈루루 증권거래소는 남인도 최대의 거래소이다.

일본과의 관계로는 혼다의 자회사인 혼다 모터사이클 앤드 스쿠터 인디아가 지역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2013년 오토바이 조립 공장(인도 내 3번째 공장, 연간 생산량 120만 대)을 건설했다.[21] 2014년 볼보 그룹의 UD트럭스가 UD 버스 브랜드 버스 생산 공장을 건설했다.[22]

5. 1. IT 산업

벵갈루루는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도시로, HP, Intel, IBM, 인포시스, Wipro와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을 포함한 IT 기업의 80%(2160개)가 있으며, 세계에서 4번째로 큰 IT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28] 벵갈루루 내의 집중된 IT 전문인력을 활용해 중소기업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 절감을 위한 프로그램 제작 아웃소싱 및 센터가 운영되고, 인도 전체의 총 전자시장 수출률에서 33%가 벵갈루루에서 이루어진다.[28]

벵갈루루의 IT 산업 대표 기업, 인포시스 본사


1984년, 인도 정부는 소프트웨어 제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수입에 대한 관세 우대 등 컴퓨터 산업 우대 정책을 발표했다. 사립 공과대학 설립도 허가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텍사스인스트루먼츠를 비롯한 미국의 주요 정밀 기기 및 소프트웨어 산업이 벵갈루루에 속속 진출했다. 동시에 인도 정부와 주 정부는 경제 자유화의 물결을 이용하여 정보 및 소프트웨어 산업과 그 인력에 대한 규제 완화, 1990년대부터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과 진출 기업에 대한 세금 우대 등 과감한 IT 육성책을 실시했다.

1972년,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우주부 산하에 벵갈루루에 설립되었다. 군수 및 항공우주 산업이 정보 기술에 열정적이라는 점, 우수한 고등 교육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는 점, 이러한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실리콘밸리에서 활약한 인재들이 조국으로 돌아와 뛰어난 두뇌를 활용하여 일할 수 있는 벤처 기업이 이곳에 설립되었다는 점(예: 인도 3위 소프트웨어 기업인 위프로(1980년 설립), 인도 2위인 인포시스(1981년 설립))도 벵갈루루가 IT 산업의 중심이 된 요인이었다.

이처럼 IT 산업이 집적된 남인도 여러 도시 중에서도 벵갈루루는 "인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정도로 인도 소프트웨어 수출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벵갈루루 인근에는 IT 기업 등이 입주하는 우대 조치가 잘 마련된 주요 산업 단지가 3곳 있다.

산업 단지명설명
인도 소프트웨어 기술 공원 (STPI)Software Technology Parks of India, Bangalore
국제 기술 공원 (ITPL)International Technology Park Ltd.
일렉트로닉스 시티Electronics City



이러한 산업 단지에는 정비된 도로, 우수한 정보 인프라, 외국인을 위한 훌륭한 주택과 안전한 서비스업까지 갖추고 있다.

일렉트로닉스 시티에는 인포시스, 위프로와 같은 현지 IT 기업이 본사를 두고 있으며 외국계 IT 기업도 진출해 있지만, 벵갈루루 시가지와 일렉트로닉스 시티를 잇는 호술 로드(Hosur Road)는 인도 전역을 잇는 고속도로인 7번 국도를 겸하고 있기 때문인지 승용차와 장거리 트럭으로 심각한 정체를 빚고 있다. 벵갈루루의 IT 산업 최고 경영자들은 도시 기반 시설 정비를 요구하고 있지만, 카르나타카 주의 농민 표에 의존하는 전통적이고 관료적인 정부와는 항상 대립하고 있다.

5. 2. 항공우주 산업

벵갈루루는 인도 항공우주산업의 수도로서, 전 인도 항공산업 개발 및 생산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힌두스탄항공(HAL), 인도우주연구기구(ISRO) 등 개발생산업체가 벵갈루루에 있다.[28] 1972년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벵갈루루에 설립되었다.

5. 3. 생명공학 산업

벵갈루루는 생명공학 산업의 새로운 성장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인도 내 240여 개의 생명공학 기업 중 100여 개가 벵갈루루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그중 바이오콘(Biocon)은 인도 생명공학 산업을 선도하며 세계 20위권 안에 드는 기업이다.[4]

5. 4. 기타 산업



벵갈루루는 거대한 경제 규모를 바탕으로 인도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했다. 2001년 조사에 따르면, 벵갈루루는 37억 달러의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하여 인도에서 세 번째로 많은 투자를 받은 도시였다. 이는 1940년대 마이소르 번왕국 총리였던 미르자 이스마일 등 현지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제조업 기반이 튼튼하게 구축된 덕분이다.

벵갈루루에는 북인도와 달리 거대 재벌은 없지만, 국영 중공업 기업, 특히 군수 산업 본사가 다수 위치해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인도 최대 군용기 제조업체인 힌두스탄항공(Hindustan Aeronautics Limited), 군사용 정밀 기기 개발 등을 담당하는 바라트중전기(Bharat Heavy Electricals Limited), 전차 개발 등을 담당하는 바라트토목공사기계(BEML, Bharat Earth Movers Limited)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힌두스탄공작기계(HMT, Hindustan Machine Tools), 국립항공우주연구소(National Aerospace Laboratories) 등 인도를 대표하는 군수 기업과 육해공군 연구 시설이 벵갈루루에 집중되어 있다. 1972년에는 인도우주연구기구(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가 우주부 산하에 벵갈루루에 설립되었다.

이러한 군수 및 항공우주 산업의 정보 기술 투자, 우수한 고등 교육 기관, 실리콘밸리에서 활약한 인재들의 귀환은 벵갈루루가 IT 산업 중심지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인도 3위 소프트웨어 기업인 위프로(Wipro, 1980년 설립)와 인도 2위 소프트웨어 기업인 인포시스(Infosys, 1981년 설립) 등이 벵갈루루에서 시작되었다.

1984년 인도 정부는 소프트웨어 제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수입 관세 우대 등 컴퓨터 산업 육성 정책을 발표하고, 사립 공과대학 설립을 허가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텍사스인스트루먼츠를 비롯한 미국의 주요 정밀 기기 및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벵갈루루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부터 인도 정부와 주 정부는 경제 자유화 정책의 일환으로 정보 및 소프트웨어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 진출 기업에 대한 세금 우대 등 IT 산업 육성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벵갈루루는 "인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정도로 인도 소프트웨어 수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벵갈루루 인근에는 IT 기업들을 위한 우대 조치가 마련된 주요 산업 단지가 3곳 있는데, 인도 소프트웨어 기술 공원(STPI, Software Technology Parks of India, Bangalore), 국제 기술 공원(ITPL, International Technology Park Ltd.), 일렉트로닉스 시티(Electronics City)가 그것이다. 이들 산업 단지는 잘 정비된 도로, 우수한 정보 인프라, 외국인을 위한 주거 시설 및 안전한 서비스업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일렉트로닉스 시티에는 인포시스, 위프로 등 현지 IT 기업 본사와 외국계 IT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그러나 벵갈루루 시가지와 일렉트로닉스 시티를 연결하는 호술 로드(Hosur Road)는 인도 전역을 잇는 7번 국도를 겸하고 있어, 승용차와 장거리 트럭으로 인한 심각한 교통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 벵갈루루 IT 산업 최고 경영자들은 도시 기반 시설 정비를 요구하고 있지만, 카르나타카 주의 농민 표에 의존하는 전통적이고 관료적인 정부와 갈등을 겪고 있다.

생명공학 산업 역시 벵갈루루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다. 인도 내 240여 개 생명공학 기업 중 100여 개가 벵갈루루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그중 바이오콘(Biocon)은 인도 생명공학 산업을 이끌며 세계 20위권 안에 드는 기업이다.

벵갈루루 증권거래소는 남인도 최대 규모의 거래소이다.

일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혼다의 자회사인 혼다 모터사이클 앤드 스쿠터 인디아가 벵갈루루에 지역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2013년에는 오토바이 조립 공장(인도 내 3번째 공장, 연간 생산량 120만 대)을 건설했다.[21] 2014년에는 볼보 그룹의 UD트럭스가 UD 버스 브랜드 버스 생산 공장을 건설했다.[22]

6. 교육

벵갈루루의 중등학교는 주립학교와 사립학교로 나뉘는데, 사립학교는 일반적으로 수업에 영어를 사용한다. 중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예술, 상업,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주니어 컬리지(프리 유니버시티라고도 함)에 진학한다. 과정을 수료하면 학생들은 일반 대학이나 전문 대학에 진학한다.

벵갈루루 대표 대학인 인도과학대학(Indian Institute of Science)의 설립자이자 타타 재벌의 창업자인 J.N. 타타 동상


모크샤군담 비슈베슈바라야는 공학자이자 정치가로, 마이소르 왕국 총리(1912년-1919년)를 역임하며 벵갈루루 교육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지도 아래 농업과학대학이 직업 훈련 학교로 개교했으며, 1909년 벵갈루루에 설립된 '''인도과학대학'''(Indian Institute of Science) 설립에도 깊이 관여했다.

벵갈루루에는 인도경영대학 벵갈루루 캠퍼스(IIM-B, Indian Institute of Management Bangalore), 인도국립법과대학(National Law School of India University), 벵갈루루 의과대학(Bangalore Medical College) 등 전국적으로 유명한 대학들이 있다. 세인트 존 의과대학(St. John's Medical College)과 벵갈루루 의과대학은 인도 10대 의과대학에 항상 이름을 올리고 있다.

벵갈루루의 IT 산업 채용은 이 도시의 수많은 공과대학 인재들 중에서 이루어진다.

7. 교통

벵갈루루는 영국령 인도 제국 시절 남인도의 군사·행정 거점으로 식민 지배의 중심지였다. 이 때문에 타밀인, 텔루구인 등 다른 지역 노동자들이 도시 기반 시설 건설을 위해 유입되었다.

벵갈루루의 주요 철도역은 다음과 같다.


  • '''크란티비라 상골리 라야나 벵갈루루 역(Krantivira Sangolli Rayanna Bengaluru, 인도철도 약칭 SBC)''' ('''케에스알벵갈루루 역'''(K.S.R. Bengarulu)으로 약칭)
  • '''예스반트푸르 정션 역(Yesvantapur Junction, 인도철도 약칭 YPR)'''
  • '''칸트먼트 역(Bangalore Cantonment, 인도철도 약칭 BNC)'''
  • '''시르 모크샤군담 비슈베슈와라야 벵갈루루 역(Sir Mokshagundam Vishveshwarayya Terminal Bengaluru, 인도철도 약칭 SMVT)'''


항공 교통으로는 벵갈루루 국제공항(Kempegowda International Airport)이 2008년 5월 11일에 개항하여 벵갈루루의 공항 역할을 하고 있다.

7. 1. 항공

벵갈루루 국제공항(Kempegowda International Airport)은 2008년 5월 11일에 개항한 벵갈루루의 공항이다.[23] 인도의 경제 자유화에 따라 인도 전역에 국내 항공사들이 생겨났고, 저가 항공사들도 벵갈루루에 많이 취항하고 있다. 에어 데칸(Air Deccan)은 벵갈루루에 허브를 두고 있는 항공사로, 벵갈루루를 기점으로 하는 항공편이 가장 많다.

이전에는 HAL 벵갈루루 공항(HAL Bangalore Airport)을 이용했으며, 이 공항은 인도에서 네 번째로 많은 국제선과 국내선 항공편을 운항했다. HAL 벵갈루루 공항은 인도 공항 공사(AAI)가 운영하는 다른 도시의 공항과 달리, 준국영 기업인 힌두스탄 항공기 제조회사(HAL)가 소유 및 관리하는 공항으로, 민간 공항 기능과 인도 공군전투기 제조 및 시험 기지 기능이 공존하고 있었다.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도 불구하고, 기득권을 가진 기업과 군이 민항기 증편에 저항하여 HAL과 카르나타카 주 정부 간의 논의가 장기화되었다. 1991년, 벵갈루루 신국제공항 건설 계획안이 만들어졌지만, 행정 절차와 관련 기업 및 주 정부와의 분쟁으로 계획이 지연되었다. 2.88억달러의 공항 예산은 2004년에 마침내 승인되었고, 유럽 및 미국 기업 등의 참여하에 2005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 2008년 5월, 벵갈루루 국제공항(Kempegowda International Airport)으로 개항했다. 일본에서의 직항편은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일본항공이 2020년에 취항할 예정이었으나, COVID-19의 영향으로 일부 임시편 등을 제외하고 개설이 연기되었다. 그러나 2022년부터 나리타 국제공항과의 정기편이 이틀에 한 번씩 운항하고 있다.[23]

7. 2. 철도

시내의 역에서는 인도 전역으로 향하는 인도철도의 장거리 급행열차가 발착한다. 시가지에는 여러 개의 종착역이 있지만, 가장 큰 역은 '''크란티비라 상골리 라야나 벵갈루루 역'''(Krantivira Sangolli Rayanna Bengaluru, 인도철도 약칭 SBC)이며, 역 이름이 길기 때문에 보통 머리글자를 따서 '''케에스알벵갈루루 역'''(K.S.R. Bengarulu)으로 줄여 부른다. 역 이름에 들어가는 상골리 라야나(Sangolli Rayanna)는 1820년대 당시 종주국 영국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인물로 현지의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과거에는 벵갈루루시티역(Bangalore City)이라고 불렸지만 2016년에 개칭되었다. 인도철도 약칭 SBC 등에는 구칭의 흔적이 남아 있다.[4]

그 외 큰 역으로 시가지 북서쪽에 '''예스반트푸르 정션 역'''(Yesvantapur Junction, 인도철도 약칭 YPR), 동쪽에 '''칸트먼트 역'''(Bangalore Cantonment, 인도철도 약칭 BNC)과 칸트먼트 역의 동쪽에 있는 '''시르 모크샤군담 비슈베슈와라야 벵갈루루 역'''(Sir Mokshagundam Vishveshwarayya Terminal Bengaluru, 인도철도 약칭 SMVT) 등이 있다. 비슈베슈와라야 역도 케에스알역과 마찬가지로 현지에서 활동한 인물인 모크샤군담 비슈베슈와라야(Sir Mokshagundam Srinivasa Shastry Vishveshwarayya)에서 유래하며, 이름이 너무 길어 '''에스엠비티벵갈루루 역'''(S.M.V.T. Bengaluru) 등으로 줄여 부른다.

라지다니 급행(Rajdhani Express) 중 특급열차 벵갈루루 라지다니 급행이 뉴델리와를 잇고 있다. 또한 뭄바이, 첸나이, 콜카타, 하이데라바드, 기타 카르나타카 주 각지의 도시와도 연결되어 있다.

케에스알역

7. 3. 도로

8. 문화

벵갈루루는 기후, 풍부한 녹지, 그리고 라알 바그(Lal Bagh) 식물원, 커본 공원(Cubbon Park) 등 많은 도시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인도의 정원 도시”로 유명하다. 디파왈리(Deepavali, ದೀಪಾವಳಿ|디파왈리kn)는 ‘빛의 축제’로 많은 신자들이 모여 활기찬 축제 분위기를 자아낸다. 다사라(Dussera, ದಸರ|다사라kn)는 과거 마이소르 왕국을 특징짓는 전통적인 축제로 벵갈루루의 중요한 축제이기도 하다.

벵갈루루는 칸나다어 영화 산업의 중심지로, 매년 80편 정도의 칸나다어 영화가 제작된다. 칸나다어 영화의 대부분은 뮤지컬이며, 그 사운드트랙은 도시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칸나다어 영화의 인기는 새로운 유행어인 벵갈루루 칸나다어를 낳았다. 이것은 젊은이 문화에서 생겨난 것으로, 영어와 다른 인도 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칸나다어이다.

또한 벵갈루루는 음식과 차 노점이 많고, 인도 전역의 요리, 채식 요리, 중식과 서양 요리 등 음식도 풍부하며, 채식주의자가 많은 나라이지만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조차 맛볼 수 있다. 클럽, 바, 이 많아 젊은이들의 야간 유흥 선택지가 인도에서 가장 다양하다. 서구의 록 밴드들이 벵갈루루에서 공연을 하는 경우도 많다.

9. 스포츠

크리켓은 벵갈루루에서 압도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볼리우드 영화보다 더 인기가 많다고 평가받는다.[24][25] 엘리트를 위한 클럽도 많은데, 벵갈루루 골프 클럽 외에도 마이소르 왕과 윈스턴 처칠이 회원이었던 벵갈루루 클럽이 있다.

9. 1. 크리켓

크리켓은 벵갈루루에서 압도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24] 가장 상징적인 현대 엔터테인먼트라고도 불리며, 볼리우드 영화보다 인기가 높다고 평가된다.[25]

크리켓 전용 경기장


2008년에 20이닝 경기 형식의 프로리그인 인디언 프리미어리그(IPL)가 개막했고, 벵갈루루에는 로열 챌린저스 벵갈루루가 있다. 홈구장은 크리켓 월드컵 경기장으로 사용된 적이 있는 M. Chinnaswamy Stadium|M. 친나스와미 스타디움영어이다. 2023년 기준으로 IPL 우승은 한 번도 없지만, 3번의 준우승을 경험했다. 2022년 포브스 발표에 따르면, 팀의 자산 가치는 10.25억달러이며, 북미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팀에 필적하는 규모이다.[26] 소속 선수인 비라트 코흘리는 2010년대부터 2020년대를 대표하는 세계 최고 선수 중 한 명이다. 벵갈루루는 국가대표팀 선수 등 인도의 많은 유명 크리켓 선수를 배출하고 있다. 2023년에는 여자 프로 크리켓 리그인 여자 프리미어리그(WPL)가 창설되었고, 벵갈루루에는 Royal Challengers Bangalore (WPL)|로열 챌린저스 벵갈루루 (WPL)영어가 있다.

아이들도 길거리나 공원에서 크리켓 놀이에 열중한다.

9. 2. 기타 스포츠

축구는 벵갈루루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2013년에 프로리그인 인디언 수퍼리그(ISL)가 창설되었고, 벵갈루루에는 벵갈루루 FC가 있다. 벵갈루루 FC는 2018-19 시즌에 ISL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10.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rovisional Population Totals, Census of India 2011 - Cities having population 1 lakh and above http://www.censusind[...] 인도 내무성 2013-08-03
[2] 웹사이트 Provisional Population Totals, Census of India 2011 - Urban Agglomerations/Cities having population 1 lakh and above http://www.censusind[...] 인도 내무성 2013-08-03
[3] 웹사이트 世界の都市圏人口の順位(2016年4月更新) http://www.demograph[...] 2016-10-29
[4] 뉴스 Bangalore, Mysore, Other Karnataka Cities to be Renamed on 1 November http://www.ibtimes.c[...] 2005-05-18
[5] 뉴스 Rise in temperature `unusual' for Bangalore http://www.hindu.com[...] 2005-05-18
[6] 웹사이트 Bangalore http://www.imd.ernet[...]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Government of India 2007-02-07
[7] 뉴스 Set up rain gauges in areas prone to flooding http://www.hindu.com[...] 2006-05-10
[8] 웹사이트 Bangalore weather back again http://www.deccanher[...] 2006-12-17
[9] 웹사이트 Station: Bangalore/Bangaluru Climatological Table 1981–2010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15-01
[10] 웹사이트 Extremes of Temperature & Rainfall for Indian Stations (Up to 2012)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16-12
[11] 웹사이트 Bangalore Climate Normals 197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2] 간행물 The City of Boiled Beans http://www.hindu.com[...] The Hindu Group 2002-07-25
[13] 뉴스 Inscription reveals Bangalore is over 1,000 years old http://www.hindu.com[...] The Hindu Group 2004-08-20
[14] 웹사이트 Many miles to go from Bangalore to Bengaluru http://www.deccanher[...] Deccan Herald
[15] 웹사이트 About Bangalore - History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IT and Biotechnology, Government of Karnataka 2006
[16] 논문 Public Space in Bangalore: Present and Future Projections http://scholar.lib.v[...] Virginia Tech 2004-04-27
[17] 웹사이트 The bean city http://www.hindu.com[...] The Hindu
[18] 웹사이트 Mysore (CAPITAL) http://www.1911encyc[...] Encyclopedia Britannica 1911
[19] 논문 Public Space in Bangalore: Present and Future Projections (Chapter 8, Page 17) http://scholar.lib.v[...]
[20] 서적 インドのことはインド人に聞け 講談社
[21] 간행물 株主通信 ホンダ 2012
[22] 웹사이트 Volvo Group introducing UD bus range https://www.oemoffhi[...]
[23] 웹사이트 東京(成田)-ベンガルール線 魅力あふれるベンガルールに訪れてみませんか? https://www.jal.co.j[...]
[24] 웹사이트 Sports in Karnataka https://www.karnatak[...]
[25] 웹사이트 What India needs is more cricket and less Bollywood https://www.ft.com/c[...]
[26] 웹사이트 Indian Premier League Valuations: Cricket Now Has A Place Among World’s Most Valuable Sports Teams https://www.forbes.c[...]
[27] 뉴스 인도 도시 '방갈로르', '벵갈루루'로 개명 http://www.yonhapnew[...] 2014-11-01
[28] 웹사이트 벵갈루루, 인도 IT 항공우주 바이오산업의 중심지,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 http://www.globalwin[...]
[29] 웹인용 Census population http://www.cicred.or[...]
[30] 웹인용 Provisional population totals, Census of India 2011 http://www.censusind[...]
[31] 웹인용 Station: Bangalore/Bangaluru Climatological Table 1981–2010 https://imdpune.gov.[...] 인도 기상청 2015-01
[32] 웹인용 Extremes of Temperature & Rainfall for Indian Stations (Up to 2012) https://imdpune.gov.[...] 인도 기상청 2016-12
[33] 웹인용 Climatological Information - Bengaluru (43295) https://cdsp.imdpune[...] 인도 기상청
[34] 웹인용 Bangalore Climate Normals 197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35] 웹인용 Normals Data: Bangalore - India Latitude: 12.97°N Longitude: 77.58°E Height: 917 (m) https://ds.data.jma.[...] 일본 기상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