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민우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여성민우회는 1987년 창립된 대한민국의 여성 단체이다. 여성의 권익 신장과 사회 참여 확대를 목표로, 여성 노동, 환경, 미디어, 성폭력, 생활 협동 조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1998년 시작된 호주제 폐지 운동을 주도하여 성공적인 제도 개혁을 이끌었다. 전국에 지부를 두고 성폭력 피해 상담, 생활협동조합 운영 등의 사업을 펼치며, 2012년에는 성평등 복지국가 전략보고서를 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 여성의 권리 옹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는 프랑스 혁명 시대를 배경으로 여성의 자연권, 이성적 교육, 사회적 지위, 감수성을 다루며 여성의 이성적 능력을 옹호하고 남녀 동등한 교육 기회를 주장하는 페미니즘의 중요한 저서이다. -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 친섹스 여성주의
친섹스 여성주의는 성적 자유와 다양성을 옹호하며 성적 표현의 전 범위를 수용하는 페미니즘의 한 갈래로, 성적 지향과 젠더를 사회적 구성물로 보고 성매매 합법화, BDSM 활동의 긍정적 측면, 젠더 유동성 존중 등을 지지한다. - 대한민국의 여성단체 -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단체연합은 1987년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을 계기로 설립되어 여성 권익 신장과 성 평등 실현을 위해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여성 단체 연합체로, 주요 여성 정책 의제를 주도해 왔으나 2020년에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여성단체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1987년 설립 - 용산전자상가
용산전자상가는 1987년 청계천의 전자상인들이 이전하여 조성되었으며, 전기·조명 기구, 휴대전화, 컴퓨터 및 주변기기를 취급하며, 용산역과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지하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 1987년 설립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한국여성민우회 | |
|---|---|
| 기본 정보 | |
| 한국어 명칭 | 한국여성민우회 |
| 영문 명칭 | Korean WomenLink |
| 한글 | 한국여성민우회 |
| 한자 | 韓國女性民友會 |
| 일본어 (히라가나) | かんこくじょせいみんゆうかい |
| 일본어 (가타카나) | ハングックヨソンミンウフェ |
| 단체 정보 | |
| 이름 | 한국여성민우회(Korean WomenLink) |
| 약칭 | 해당 없음 |
| 표어 | 성평등한 민주사회, 여성대중운동 |
| 결성 | 1987년 |
| 해산 | 해당 없음 |
| 유형 | NGO |
| 형태 | 사단법인 |
| 목적 | 성평등한 민주사회, 여성대중운동 |
| 본부 | 해당 없음 |
| 위치 | 서울 마포구 성산동 249-10 시민공간 나루 3층 |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 회원수 (2010년) | 27,648 명 |
| 언어 | 한국어 |
| 수장 명칭 | 공동대표 |
| 현재 수장 | 김민문정, 강혜란 |
| 주요 기관 |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미디어운동본부, 성폭력 상담소 |
| 모기관 | 해당 없음 |
| 제휴 기관 | 지역 지부 9개 |
| 직원수 | 해당 없음 |
| 예산 (2011년) | 509,861,400 원 |
| 웹사이트 | 한국여성민우회 웹사이트 |
| 기타 사항 | 해당 없음 |
2. 창립
1983년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여성 지식인을 중심으로 여성평우회가 결성되었다. 1987년 조직을 개편하여 현재의 여성민우회로 창립하였다.[4] 1980년대의 한국 정치 상황으로 인해 여성민우회의 초기 활동은 민주화 운동에 집중되어 있었다. 여성 문제에 관한 활동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5]
한국여성민우회는 전국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성폭력 피해 상담, 생활협동조합, 여성 권익 신장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7] 1987년 민주화 선언 직후인 9월 12일에 200여 명의 주부와 여성노동자에 의해 창립되었으며, 여성 노동자와 주부가 여성, 직장 및 가정, 그리고 사회에서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스스로 조직하고 실천하는 대중 여성 단체이다. 또한, 시민으로서 지속 가능한 사회, 그리고 민주적인 참여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다양한 영역과 이슈를 통해 실천을 하고 있다.
민우회는 1987년, 민주화 선언 직후인 9월 12일에 200여 명의 주부와 여성노동자에 의해 창립되었다. 민우회의 위치는 여성 노동자와 주부가 여성, 직장 및 가정, 그리고 사회에서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스스로 조직하고 실천하는 대중 여성 단체이다. 동시에 시민으로서 지속 가능한 사회, 그리고 민주적인 참여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다양한 영역과 이슈를 통해 실천하고 있다.
3. 활동
3. 1. 주요 활동
한국여성민우회는 여성의 능력 개발과 권익 보호,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통해 여성 발전의 새로운 가치관을 형성하고, 사회 참여를 통한 건전한 사회 조성과 여성 복지 증진을 통해 민주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7]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2012년 3월에는 170여 개의 정책 과제를 담은 '2012 성평등 복지국가 전략보고서'를 발간하였다.[10]
3. 2. 호주제 폐지 운동
한국여성민우회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호주제 폐지 운동은 성공한 제도 개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1998년 '부모성 나란히 쓰기 운동'을 시작으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11] 2005년 국회의 의결을 통과하였다.[12]
한편, 2008년 행정안전부는 공직자윤리법 개정안에서 결혼한 여성 공직자는 시부모의 재산을 등록하라는 내용을 담아 호주제 폐지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13]
3. 3. 기타 활동
한국여성민우회는 여성의 능력 개발과 권익 보호,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통해 여성 발전의 새로운 가치관을 형성하고, 사회 참여를 통한 건전한 사회 조성과 여성 복지 증진을 통해 민주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7]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2012년 3월에는 170여 개의 정책 과제를 담은 '2012 성평등 복지국가 전략보고서'를 발간하였다.[10]
4. 비판
한국여성민우회는 선택적 분노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파 진영의 성 추행에 대해서는 즉각 성명을 내지만, 더불어민주당 등 상습적으로 여성 성범죄자가 많은 곳에 대해서는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6]
5. 주요 인물
- 한명숙: 한국여성민우회 회장(1989년 ~ 1994년), 제37대 대한민국의 총리,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 장례위원장을 역임했다.
- 최영희: 한국여성민우회 초대 부회장, 대한민국 제18대 국회 국회의원 (비례, 통합민주당)을 역임했다.
- 이미경: 한국여성민우회 초대 부회장, 대한민국 제18대 국회 국회의원 (서울 은평갑, 통합민주당)을 역임했다.
- 김상희: 한국여성민우회 초대 부회장, 대한민국 제18대 국회 국회의원 (비례, 통합민주당)을 역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womenlink[...]
[2]
웹사이트
http://www.womenlink[...]
[3]
웹사이트
여성민우회 홈페이지
http://www.womenlink[...]
2009-09-29
[4]
서적
여성정치학 입문
들녘
[5]
서적
서서 오줌누는 여자 치마 입는 남자
무한
[6]
웹인용
야당에만 선택적 분노? 여성단체들, 오거돈 성추행에 침묵
https://news.chosun.[...]
2020-04-24
[7]
웹사이트
여성민우회 주요활동
http://www.womenlink[...]
2009-09-29
[8]
웹사이트
민우회 온라인상담실
http://counsel.women[...]
[9]
웹인용
행복중심 여성민우회 생협
http://www.minwoocoo[...]
2009-09-28
[10]
뉴스
‘성평등 복지국가 전략보고서’ 발간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2-03-02
[11]
서적
21세기에 만나는 여성의 삶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12]
서적
여성정치학 입문
들녘
[13]
뉴스
호주제로 회귀’ 거꾸로 행정안전부
http://media.daum.ne[...]
한겨레신문
2008-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