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전자상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산전자상가는 1987년 청계천 세운상가 전자상가들의 이전 계획에 따라 조성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자제품 판매 상가이다. 초창기에는 컴퓨터와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2010년대 스마트폰 보급과 인터넷 쇼핑몰의 발달로 쇠퇴했다. 현재는 원효상가, 전자랜드, 나진상가, 선인상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용산역과 연결되었던 터미널 상가는 철거되고 용산관광호텔이 들어섰다. 과거에는 불친절한 서비스, 가격 문제 등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매월 첫째 주와 셋째 주 일요일에는 벼룩시장이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상점가 - 세운상가
1966년 김현옥 서울시장의 주도로 건설된 세운상가는 '세계의 기운이 모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과거 사회 저명인사들의 선망의 대상이자 전자제품 거래 중심지로 번성했으나 재개발 논의와 침체를 겪은 후 2017년 리모델링을 통해 도시 제조업의 전진기지로 재개장하였다. - 서울 용산구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용산구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전자제품 - 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은 1940년대부터 시작되어 발전해 온 전자 게임으로, 다양한 플랫폼과 장르로 분류되며 긍정적, 부정적 사회적 영향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전자제품 -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는 비디오 테이프에 영상과 음성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장치로, 1970년대 후반 가정용 시장에서 대중화되었으나 DVD 및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2016년 생산이 중단되며 역사의 막을 내렸다.
용산전자상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한국어 이름 | 용산전자상가 |
한자 표기 | 龍山電子商街 |
로마자 표기 | Yongsan Jeonja Sangga |
영문 표기 | Yongsan Electronics Market |
개요 |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
주요 판매 품목 | 전자 제품 컴퓨터 부품 게임 관련 상품 |
특징 | 대규모 전자 제품 전문 상가 |
역사 | |
형성 시기 | 1980년대 후반 |
과거 명칭 | 용산전자랜드 |
발전 과정 | 전자 제품 유통 중심지로 성장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함께 성장 |
시설 | |
구성 |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 다양한 전자 제품 매장 입점 |
주요 건물 | 전자랜드 나진상가 선인상가 |
특징 및 평가 | |
장점 | 다양한 전자 제품 구매 가능 저렴한 가격 전문적인 지식 보유 상인 |
단점 | 복잡한 구조 호객 행위 |
변화 | 온라인 쇼핑 증가로 인한 위기 |
기타 정보 | |
접근 방법 | 지하철 1호선, 4호선 용산역 |
관련 산업 | 전자제품 유통 산업 |
2. 역사
용산전자상가는 청계천 세운상가에 있던 전자상들을 용산역 서부의 청과물 시장 부지로 이전하기로 하는 계획에 따라 만들어졌다. 기존 청과물시장은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으로 옮겨졌고, 그 자리에 1987년 7월 1일 용산전자상가가 조성되었다.[6]
2. 1. 형성 배경
1987년 7월 1일 용산전자상가가 조성되었다.[6] 이는 청계천 세운상가에 있던 전자상들을 용산역 서부에 있던 청과물 시장 부지로 이전하기로 하는 계획에 따른 것이었다. 기존의 청과물시장은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으로 이전되었다.[6]3. 상가 구성
3. 1. 원효상가
용산전자상가의 서부에 위치하며, 4-7동을 담당하고 있다. 주로 전기와 조명기구 등을 취급한다.3. 2. 전자랜드
용산전자상가 서쪽에 있는 대형 쇼핑몰로, 전자기기, 가전제품, 컴퓨터 등 대부분의 제품을 취급한다.[1] 4층과 5층에는 복합상영관인 롯데시네마 용산점(구 랜드시네마)이 있으며,[2] 5층에는 건담 관련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이 있다.3. 3. 나진상가

용산전자상가 중부에 위치하며, 사거리를 끼고 있다. 12, 13동은 휴대전화, 게임기 등 전자기기를 취급하고 있으며, 17-20동은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를 주로 취급한다.
3. 4. 선인상가
선인상가는 용산전자상가의 남쪽에 있으며, 21-2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를 취급하며, 컴퓨터 하드웨어 부분 업그레이드, 교환 시 필요한 부품도 취급한다. 입구에는 작은 컨테이너 건물에 애플 컴퓨터가 전시되어 있는 '용산 컴퓨터 스토리 카페'가 있다. 삼각형으로 된 건물 구조 때문에 처음 방문시 길을 잃기 쉽다. 컴퓨터 부품을 진열하고 보여주는 매장들은 주로 2층에 형성되어 있다.3. 5. 터미널 전자상가 (철거)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역과 연결되어 있던 상가였으나, 2014년 5월경 모두 철거되었다. 기존 통로는 끝부분에 엘리베이터와 계단을 설치하여 접근성을 유지하고 있다.철거 후 그 자리에는 2014년 용산관광호텔 건설이 시작되어 2017년 6월 국내 최대 규모의 용산관광호텔이 완공되어 용산역과 연결되었다.
4. 교통
용산역은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ITX-청춘,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지난다. 신용산역에서는 4호선을, 효창공원앞역에서는 6호선과 경의·중앙선을 이용할 수 있다.
용산전자상가는 1호선 용산역에 위치해 있다. 역에서 용산역 지하상가를 통해 가거나, 지상에서 역 주변을 걸어서 갈 수 있다. 신용산역에서 내려서 갈 수도 있다.
5. 사회적 인식과 문제점
용산전자상가는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각종 전자제품 등을 취급하는 대한민국의 대표 상가로 발돋움하였으나,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사회적 인식이 나빠졌다.
상가 직원들의 불친절, 중고 제품을 신품으로 속여 팔거나 부속품을 비싸게 판매하는 행위, 강매와 협박 등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졌다.[7][8][9][10] 인터넷 쇼핑몰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방문객 수가 감소하고, 상가가 쇠퇴하면서 문을 닫는 점포가 늘어났다.
또한, 일부 상인들의 과도한 호객 행위와 가격 부풀리기, 특히 그래픽 카드 폭리 문제는 소비자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이로 인해 지포스 RTX 3000 시리즈는 유통사가 쿠팡을 통해 직접 판매하는 방식으로 변경되기도 했다.[11]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소비자들은 용산전자상가 판매원을 비꼬는 "용팔이"라는 신조어를 사용하게 되었고,[3][4] 이는 시장 방문을 꺼리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었다.[5]
5. 1. 부정적 인식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각종 전자제품 등을 취급하는 대한민국의 대표 상가로 발돋움하였으나, 상가 직원의 불친절 등으로 인식이 나빠지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덩달아 인터넷 쇼핑몰 등의 발달로 상가 매출이 줄어들자, 일부 매장에서는 매출을 늘리기 위하여 중고를 신품으로 속이거나 전자기기의 부속품을 별매품이라고 하여 비싸게 파는 등의 행위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2007년에는 강매와 협박까지 일삼는 매장이 있다는 것이 KBS 9시 뉴스에 보도되어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7][8] 2008년 9월에는 MBC의 프로그램 불만제로에서 DSLR 카메라 등의 가격을 속여 팔고, 진열품을 재포장하여 판매하며, 각 상인들 간의 수신호를 쓰는 것이 적발되었다.[9]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용산전자상가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이 많아져 방문자 수도 감소하고 있다.[10]인터넷이 보급되기 전에는 지나친 호객 행위로 인해 손님들을 불쾌하게 하는 일이 많았다. 손님들은 보다 저렴하게 물건을 구입하기 위하여 발품을 팔아 많은 가게를 직접 돌아다녀야 했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자 수많은 가게들이 인터넷 판매를 실시하게 되었고, 구입자는 인터넷으로 각 가게의 판매가를 직접 비교해 본 뒤 인터넷으로 선결제를 하고 구입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호객 행위는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 그래픽 카드 출시 초기에 유통사를 거쳐 총판을 통해 공급된 물량을 몇몇 용산전자상가 업자들이 지나치게 비싸게 판매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포스 RTX 3000 시리즈는 출시 후 유통사가 총판과 용산전자상가를 거치지 않고 쿠팡을 통해 직접 그래픽카드를 판매하게 되었다.[11]
2010년대 들어서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용산상가가 쇠퇴하면서 문을 닫는 점포가 늘어 방문자가 크게 줄어들었다. 많은 상점들이 경쟁하고 있으며, 상인들은 보통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보도록 권유한다. 이러한 행태에서 네티즌들은 용산의 판매원을 비꼬는 신조어인 "용팔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3][4] 이는 소비자들이 시장 방문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여론 때문에 현대아이쇼핑몰 사장은 이러한 부당 행위를 개선하고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겠다고 발표했다.[5]
5. 2. 가격 문제
용산전자상가는 1990년대 이후 컴퓨터와 각종 전자제품 등을 취급하는 대한민국의 대표 상가로 발돋움하였으나, 상가 직원에 대한 불친절 등으로 인식이 나빠지기 시작하였다. 덩달아 인터넷 쇼핑몰 등의 발달로 상가 매출이 줄어들자, 일부 매장에서는 매출을 늘리기 위하여 중고를 신품으로 속이거나 전자기기의 부속품을 별매품이라고 하여 비싸게 파는 등의 행위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2007년에는 강매와 협박까지 일삼는 매장이 있다는 것이 KBS 9시 뉴스에 보도되어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7][8] 2008년 9월에는 MBC의 프로그램 불만제로에서 DSLR 카메라 등의 가격을 속여 팔고, 진열품을 재포장하여 판매하며, 각 상인들 간의 수신호를 쓰는 것이 적발되었다.[9]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용산전자상가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이 많아져 방문자 수도 감소하고 있다.[10]대한민국에서 그래픽 카드 출시 초기에 유통사를 거쳐 총판을 통해 공급된 물량을 몇몇 용산전자상가 업자들이 지나치게 비싸게 판매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포스 RTX 3000 시리즈는 출시 후 유통사가 총판과 용산전자상가를 거치지 않고 쿠팡을 통해 직접 그래픽카드를 판매하게 되었다.[11]
많은 상점들이 경쟁하고 있으며, 상인들은 보통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보도록 권유한다. 이러한 행태에서 네티즌들은 용산의 판매원을 비꼬는 신조어인 "용팔이"[3]라는 단어를 만들었다.[4] 이는 소비자들이 시장 방문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5. 3. 개선 노력
용산전자상가의 많은 상점들은 경쟁하고 있으며, 상인들은 보통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보도록 권유한다. 이러한 행태 때문에 네티즌들은 용산의 판매원을 비꼬는 신조어인 "용팔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3][4] 이는 소비자들이 시장 방문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여론 때문에 현대아이쇼핑몰 사장은 이러한 부당 행위를 개선하고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겠다고 발표했다.[5] 영어를 사용하는 상점을 이용하고 각 판매자를 비교해 보는 것이 좋다.참조
[1]
웹사이트
Visit Seoul - Yongsan Electronic Land
http://english.visit[...]
2020-04-08
[2]
웹사이트
용산 전자랜드 - 세상의 모든 즐거움이 있는 곳
https://www.i-etland[...]
2020-04-08
[3]
웹사이트
pali or 파리 literally translates to "a fly"
https://translate.go[...]
[4]
뉴스
인터넷 스타] 용팔이 패러디
http://www.hani.co.k[...]
한겨레21
[5]
뉴스
커버스토리]선진국형 몰 문화 정착시켜 나갈 것
http://www.economy21[...]
이코노미21
[6]
뉴스
용산전자상가 단계적으로 문 열어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87-06-25
[7]
뉴스
용산 전자상가 '강매에 협박까지'
http://news.kbs.co.k[...]
KBS 뉴스 9
2007-05-28
[8]
뉴스
‘손님, 맞을래요?’…용산전자상가 ‘용팔이’ 기승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7-05-29
[9]
웹인용
《불만 제로》 96회 방송분
http://www.imbc.com/[...]
MBC
2008-09-11
[10]
뉴스
전자산업의 메카’ 용산 전자상가, 손님 ‘뚝’ 매출 ‘뚝’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5-01-30
[11]
뉴스
용산 유통망이 낳은 엔비디아 '지포스 대란'
https://zdnet.co.kr/[...]
지디넷코리아
2020-11-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용산 전자상가, AI 거점으로 부활하나
용산 나진상가 복합개발 재원 마련해 사업 재시동
용산 전자상가 일대 첨단산업기지로 재탄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