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명숙은 정신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한국여성민우회 회장,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역임하며 여성 운동에 헌신했고, 제16대, 제17대,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여성부 장관, 환경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쳤으나, 뇌물 수수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이 확정되어 의원직을 상실하고 수감되었다. 이후 복권되었으나, 정치자금법 위반 및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영등포초등학교 동문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서울영등포초등학교 동문 - 김정혁 (축구인)
김정혁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선수 시절 '제2의 김주성'이라 불리며 스트라이커로 활약, 1997년 FA컵 우승 및 MVP 수상, 2009년 목포시청 감독 부임 후 2017년 FA컵 4강 진출이라는 이변을 만들었다. - 대한민국의 여성부 장관 - 장하진
장하진은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사회학자이자 여성운동가, 정치인으로,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한국여성개발원 원장을 거쳐 노무현 정부에서 여성부 장관 및 초대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냈으며, 참여정부 이후에도 사회 참여를 지속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여성부 장관 - 지은희 (1947년)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자 여성운동가, 교육자인 지은희는 여성평우회 공동대표,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며 여성 운동에 참여했고, 여성부 장관, 덕성여자대학교 총장, 정의기억재단 이사장, 서울대학교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했다.
한명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명숙 |
로마자 표기 | Han Myeongsuk |
한자 표기 | 韓明淑 |
출생일 | 1944년 3월 24일 |
출생지 | 헤이죠, 일본 제국 조선 |
배우자 | 박성준 |
본관 | 청주 한씨 |
![]() | |
직책 | |
소속 정당 | 새정치국민회의 (2000년 이전) 새천년민주당 (2000년–2003년) 열린우리당 (2003년–2007년) 대통합민주신당 (2007년–2008년) 민주당 (2008년–2011년) 민주통합당 (2011년–2014년) 민주당 (2014년–2015년) 무소속 (2015년–현재) |
국무총리 | 제37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국무총리 임기 시작 | 2006년 4월 19일 |
국무총리 임기 종료 | 2007년 3월 7일 |
환경부 장관 | 환경부 장관 |
환경부 장관 임기 시작 | 2003년 2월 27일 |
환경부 장관 임기 종료 | 2004년 2월 16일 |
여성부 장관 | 여성부 장관 |
여성부 장관 임기 시작 | 2001년 1월 29일 |
여성부 장관 임기 종료 | 2003년 2월 26일 |
민주통합당 대표 | 민주통합당 대표 |
민주통합당 대표 임기 시작 | 2012년 1월 16일 |
민주통합당 대표 임기 종료 | 2012년 4월 12일 |
학력 | |
학력 사항 | 이화여자대학교 불문학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 석사 |
정치 경력 | |
대통령 | 노무현 (국무총리) 김대중 (여성부 장관) |
총리 | 고건 (환경부 장관) 이한동, 장상, 전윤철, 장대환, 김석수 (여성부 장관) |
국무총리 전임자 | 이해찬 한덕수 (총리 권한대행) |
국무총리 후임자 | 권오규 (총리 권한대행) 한덕수 |
환경부 장관 전임자 | 김명자 |
환경부 장관 후임자 | 곽결호 |
여성부 장관 전임자 |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직책 신설) |
여성부 장관 후임자 | 지은희 |
민주통합당 대표 전임자 | 원혜영 이영선 (공동대표) |
민주통합당 대표 후임자 | 문성근 (대표 대행) |
기타 | |
종교 | 개신교(한국기독교장로회)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사이트 |
2. 생애
본관은 청주 한씨이다.[19] 정신여고와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후 한신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9] 1967년 대학교수 박성준과 결혼했다.
1974년부터 한국신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성심여자대학교 등에서 여성학 강사로 활동했다.[19] 같은 해 남편 박성준이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투옥되었고, 본인 역시 유신체제 하에서 민주화 운동을 위한 여성 지도자 양성에 힘쓰던 중 1979년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으로 체포되어 2년간 수감되는 시련을 겪었다.
석방 이후 여성 운동과 시민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989년부터 1994년까지 한국여성민우회 회장과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를 역임했으며, 1994년에는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맡았다. 이 시기 여성의 정치·사회 참여 확대와 가족법 개정, 성폭력 예방 및 모성보호 관련 법률 제정 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2. 1. 생애 초반
1967년 대학교수 박성준과 결혼했다. 1974년부터 한국신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성심여자대학교 등에서 여성학 강사로 활동했다.[19]남편 박성준은 1974년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체포되어 10년 이상 복역했다. 한명숙 본인 또한 유신체제 하에서 민주화 운동을 위한 여성 지도자 양성에 힘쓰던 중, 1979년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반공법 위반)으로 중앙정보부(KCIA)에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2년간 투옥되었다.
이후 여성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989년부터 1994년까지 한국여성민우회 회장,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를 역임했으며, 1994년 결성된 시민운동 단체 참여연대의 공동대표를 지냈다. 여성의 정치·사회 참여 확대와 가족법 개정을 일관되게 주장했으며, 성폭력 예방 및 모성보호 관련 법률 제정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2. 1. 1. 출생과 유년기
본관은 청주 한씨이다.[19] 1944년 평양에서 태어났으며,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부모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왔다. 이후 서울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고, 서울영등포초등학교에 입학하였다.[61] 초등학교 시절에는 달리기를 잘하여 마라톤 선수로 활동했으며, 늘 릴레이 선수로 뽑혔다고 한다.[62]2. 1. 2. 학창 시절
1957년 서울영등포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정신여자중학교에 진학했다. 1960년 정신여자중학교를 졸업하고 정신여자고등학교로 진학하여 1963년에 졸업했다.[61]1967년 2월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후, 대학원은 한신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으로 진학했다. 1977년 2월 한신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다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1985년 2월 여성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9] 그 뒤 미국으로 유학하여 1999년 8월에는 뉴욕유니온 신학대학교에서 객원연구원 과정을 마쳤다.
2. 2. 운동 참여
이화여자대학교 재학 중 남편 박성준이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투옥된 후,[63][64] 1970년 대학 기숙사 사감으로 일하며 학생들의 시위를 지원하다 사직했다.[65] 이후 한국 크리스천 아카데미에서 활동하며 본격적으로 한국 민주화 운동과 여성 운동에 뛰어들었다.[65] 초기에는 소외계층 여성의 인권 문제 해결에 집중했으며, 1974년 크리스천 아카데미 여성분과 간사를 맡았다.[65]유신체제 하에서 민주화 운동을 이끌 여성 지도자 양성에 힘쓰던 중, 1979년 크리스천 아카데미 사건에 연루되어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다.[65][66] 이 과정에서 중앙정보부로부터 고문을 받았으며,[3][4] 이는 허위 자백으로 이어졌다.[3] 광주교도소에서 2년 6개월간 수감 생활 후 1981년 광복절 특사로 석방되었다.[67][65][66] 2001년 정부 위원회는 한명숙의 민주화 운동 경력을 인정하고 당시 자백이 고문에 의한 것이었음을 확인하며 무죄를 선언했다.[4]
석방 이후 여성 운동과 시민 운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한국여성민우회 회장,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를 역임했으며, 1994년 결성된 시민운동 단체 참여연대의 공동대표를 맡았다. 이 시기 여성의 정치·사회 참여 확대와 가족법 개정, 성폭력 예방 및 모성보호 관련 법률 제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2. 1. 정계진출 이전
본관은 청주 한씨이다.[19] 정신여고 졸업 후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진학했다.[19]대학 재학 중 남편 박성준을 만나 1967년 결혼했으나, 결혼 6개월 만에 남편이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되어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박성준은 아내 한명숙을 포섭하려 했다는 혐의도 받았다.[63] 한명숙은 1981년 남편이 석방될 때까지 13년간 옥바라지를 했다.[64]
남편 옥바라지를 하며 대학 졸업 후 1970년 이화여자대학교 기숙사 사감으로 재직하던 중, 학생들의 시위를 지원했다는 이유로 사감직을 그만두었다.[65] 이후 한국 크리스천 아카데미로 자리를 옮겨 한국 민주화 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65] 여성운동 초창기에는 소외계층 여성의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했으며, 1974년 한국 크리스천 아카데미 여성분과 간사를 맡았다.[65] 1974년부터 한국신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성심여자대학교 등에서 여성학 강사로 활동했다.[19] 1977년에는 한신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65]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대학원에서 여성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9]
유신체제 하에서 민주화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될 여성 지도자 양성에 힘쓰던 중, 1979년 체제 비판적인 이념 서적을 학습하고 유포한 혐의(크리스천 아카데미 사건, 반공법 위반)로 이우재, 신인령 등 동료 간사들과 함께 구속되었다.[65][66] 이 과정에서 중앙정보부(KCIA)로부터 고문을 받았으며,[3][4] 이는 이후 친공산주의 사상을 가르쳤다는 허위 자백으로 이어졌다.[3] 한명숙은 광주교도소에서 2년 6개월간 수감 생활을 했다.[65][66]
1981년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석방되었다.[67] 석방 후, 13년째 수감 중이던 남편의 석방 운동을 벌였고, 같은 해 크리스마스에 지학순 주교의 도움으로 특별사면된 남편과 재회했다.[67] 2001년, 정부 위원회는 한명숙의 민주화 운동 경력을 인정하고 당시 자백이 고문에 의한 것이었음을 판결하며 무죄를 선언했다.[4]
석방 이후 여성 운동과 시민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한국여성민우회 회장과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를 역임했다. 1994년 결성된 시민운동 단체 참여연대에서는 공동대표를 맡았다. 이 시기 여성의 정치·사회 참여 확대와 가족법 개정, 성폭력 예방 및 모성보호 관련 법률 제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2. 2. 2. 교육 활동
1974년부터 한국신학대학교 (현 한신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성심여자대학교 등에서 여성학 강사로 활동을 시작했으며,[19] 1977년에는 한국신학대학교 강사로 출강했다.[61] 유신체제 하에서 민주화 운동을 위한 여성 지도자 양성에 힘쓰던 중, 1979년 기독교 학원 사건으로 KCIA에 의해 체포되어 2년간 투옥되었다.[19] 당시 KCIA는 한명숙이 노동자, 농민, 저소득 여성들에게 친공산주의 사상을 가르쳤다는 자백을 받아냈으나,[3] 이는 고문에 의한 허위 자백으로 밝혀졌고, 2001년 정부 위원회는 그녀의 무죄를 선언했다.[4]
석방 후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에서,[68] 1988년에는 성심여자대학교에서 다시 여성학 강사로 활동했다.[61]
1994년 학업을 위해 남편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으나, 1997년 미국 유니언 신학교 객원 연구원으로 가게 되면서 학업을 중단했다.[69]
2. 3. 정계 입문 초반
1999년, 김대중 정부의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당선, 국회의원이 되었다.국회의원 당선 이후, 2001년에는 신설된 여성가족부의 초대 장관으로 발탁되어 활동했으며, 2003년부터 2004년까지는 참여정부에서 환경부 장관을 역임했다. 2004년에는 우리당 상임중앙위원을 지냈고, 같은 해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경기도 고양시 지역구에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2. 3. 1. 정치입문부터 16대 국회의원까지
1999년 2월 미국 체류 중 참여연대 공동대표직을 수락했으나, 같은 해 9월 이재정 당시 성공회대 총장과 김대중 대통령의 권유로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회 여성분과위원장을 맡으며 정계에 입문했다. 이로 인해 참여연대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이 일자 공동대표직에서 사퇴했다.[70] 한명숙은 자신의 정치 참여 이유에 대해 "여성의 정치 참여나 남녀 평등 수준이 후진국과 다름없다고 느꼈다. 25년간 재야 운동을 했지만, 가장 효율적인 길은 정치 참여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71]2000년, 새천년민주당의 비례대표 5번으로 제1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활동하며 미군 송유관 문제, 비정규직 문제, 공단의 국립공원 훼손 문제 등을 제기하여 성실하고 차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72]
같은 해 국정감사에서는 환경부를 상대로 새만금 사업의 경제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2011년 완공까지 7000억원가 더 드는 사업인데 경제 수익이 보장되지도 않는 상황에서 그동안 들인 1조원이 아깝다며 건설을 강행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지적했다. 또한 노사정위원회에 주 5일 근무제 실시와 더불어 주 5일 수업제, 여가 시설 확충 등을 함께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이외에도 경기도 남한강 정비 사업의 환경 문제,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알선한 장애인의 높은 이직률, 반월·시화공단의 높은 다이옥신 농도, 급증하는 미성년자 불법 고용, 산업재해 지정병원의 산재 환자에 대한 진료비 과다 청구, 공공기관의 국립공원 훼손 등을 지적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뉴스메이커, 문화일보, 국감연대 등에서 국정감사 우수 의원으로 선정되었고, 월간 '말'지에서도 국감 스타 5인 중 한 명으로 뽑혔으며, 법률연맹 국감모니터단 역시 국감 우수 의원으로 선정했다.
2001년, 김대중 정부의 초대 여성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국회의원직을 사퇴했고, 의원직은 박양수에게 승계되었다.
2. 3. 2. 여성부 장관 시절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2001년 1월 29일, 여성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초대 여성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당시 백경남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김중권 민주당 대표와 한광옥 청와대 비서실장이 당내 인사를 중용하고자 한명숙을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73] 대부분의 여성단체는 한명숙의 장관 임명을 환영했지만,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백경남 위원장이 임명되지 못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74]여성부 장관 재임 기간 동안, 한명숙은 이전에 자신이 직접 발의했던 모성보호 관련 법안 통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남녀차별개선위원회를 통해 성희롱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으며[75], 호주제 폐지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76] 자신의 원칙에 따라 정책을 추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77]
한편, 장관 재임 중이던 2001년에는 과거 투옥(1979-1981) 사건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정부 위원회는 당시 한명숙이 고문에 의해 허위 자백을 했음을 인정하고 무죄를 선언했으며, 이는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의 희생으로 인정받게 되었다.[3][4]
2. 3. 3. 환경부 장관 시절
2003년 2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당선과 함께 참여 정부가 출범하면서, 한명숙은 초대 내각 발표 전까지 여성부 장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환경부 장관으로 발탁되었다.[82] 당시 노무현 후보의 환경 공약은 다른 대선 후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아, 참여 정부 초기 환경 정책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83]환경부 장관으로서 한명숙은 핵 폐기장 관련 논의에서 배제되거나,[84] 새만금 사업 및 독도 개발 특별법 등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다른 부처와 마찰을 겪기도 했다.[85]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그는 "국무회의 등에서 환경정책을 지지해주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며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86]
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한명숙 장관이 이끈 환경부는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안,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 야생동식물 보호법 등의 제정을 추진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정부업무평가에서 최우수 부처로 선정되기도 했다.[87] 특히 한명숙은 중앙일보가 실시한 장관 리더십 평가에서 1위에 오르기도 했다.[88][89][90]
한편, 방송에 출연하여 수질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던 중 "식수의 경우 정수장 물은 1급수인데 문제는 하수관거가 노후화해서..."라고 발언하여 상수도와 하수도를 혼동하는 모습을 보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환경 모르는 환경장관'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에 대해 한 장관은 "환경분야 전문가는 아니지만 요즘 열심히 환경공부를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91]
한명숙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환경부 장관을 역임했다.[5]
2. 4. 정치 활동
1999년 김대중 정부의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했으며, 2001년에는 신설된 여성가족부의 초대 장관으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이후 2003년부터 2004년까지 환경부 장관을 지냈다.2004년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하여 상임중앙위원을 역임했으며, 같은 해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경기도 고양시 지역구에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17대 국회의원 활동 및 국무총리 역임 등 상세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2011년 말, 민주당, 시민통합당, 한국노총이 합당하여 창당한 민주통합당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다.[32][33] 2012년 1월 15일 전당대회에서 당원과 시민, 대의원의 지지를 받아 초대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34]
대표 취임 초기에는 당 지지율이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이후 새누리당으로 당명 변경)을 앞서는 등 기대를 모았으나, 국무총리 시절 추진했던 한미 FTA에 대한 재협상 입장 발표, 2012년 총선 과정에서의 공천 논란[35] 등으로 인해 리더십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3월 20일 발표된 총선 비례대표 명단에서 15번을 배정받아[36] 19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4월 11일 총선에서 민주통합당은 수도권에서 선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에 제1당 자리를 내주며 사실상 패배했다. 한명숙은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4월 13일 당 대표직 사퇴를 선언했으며,[37] 이후 당 상임고문으로 활동했다.
2. 4. 1. 17대 국회의원 시절
2004년 2월 15일 환경부 장관직을 사임하고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여 17대 총선 출마를 준비했다. 3월 4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갑선거구에 공천이 확정되었고, 4월 15일 선거에서 탄핵을 주도했던 한나라당의 5선 중진 홍사덕 당시 총무를 꺾고 당선되어 17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당시 홍사덕은 선거 전 자신의 패배 시 정계 은퇴를, 승리 시 노무현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하며 선거 결과를 대통령의 거취와 연관시켜 주목받았다.[92] 한명숙은 당선 후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국정 질서를 바로잡고 경제 회생에 주력하라는 주민들의 염원이 나타났다"고 밝혔다.[92]국회의원 시절, 2005년 5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 국회 표결에서는 찬성 당론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과의 협상 과정에서 법안 내용이 후퇴했다는 이유로 기권하며 과거사 문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또한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를 '독재자의 딸'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다.[93] 반면, 2005년 쌀 협상 비준안과 2004년 자이툰 부대의 이라크 파병 동의안 표결에서는 당론에 따라 찬성표를 던졌다.[93]
17대 국회 임기 동안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위해 노력했다. 이 기간 동안 당 내에서는 신행정수도 건설특별위원회 위원장을, 가정법원에서는 가사·소년제도개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 4. 2.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
국회의원 당선 후 한명숙은 당의장으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결국 열린우리당 내에서 청와대의 국정 수행을 지원하는 국정과제수행특별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94] 고건 국무총리의 후임으로 김혁규 국회의원이 거론되던 중 2004년 6월 5일 재보궐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이 참패하자 그 대안으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6월 8일 이해찬 의원이 먼저 총리로 지명되었다. 당시 한명숙을 총리에 지명하지 않은 것은 노무현 대통령이 당시 당 지도부였던 신기남-천정배 체제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당 내에 견제세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95]2005년 1월 2일, 열린우리당 이부영 당의장을 비롯한 지도부가 4대 개혁 법안 처리 무산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한명숙도 함께 상임중앙위원직을 사퇴했다. 이후 새 지도부의 당의장 후보로 문희상 의원과 함께 이름이 거론되다가 갑자기 의장 경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 과정에서 교육부총리 물망에도 올랐으나 본인이 고사하여 제외되기도 했다.[96] 하지만 당의장 경선에서 친정동영(정동영계) 측이 지지 의사를 밝힌 뒤 다시 경선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이에 따라 박영선, 김희선 의원 등 당내 여성 의원들은 모임을 갖고 한명숙 의원으로 후보를 단일화하기로 결정했다. 4월 3일 전당대회 결과 문희상이 당의장으로, 한명숙은 4명의 상임중앙위원 중 한 명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여성 의원 1명을 상임중앙위원회에 포함시킨다"는 당규에 따른 배제투표가 시행된 결과 10.7%의 득표에 그쳐 그 의미는 다소 퇴색되었다.[97] 특히 여성 대의원이 30%였다는 점에서, 이러한 낮은 득표율은 여성 표마저 유일한 여성 후보를 외면했다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98]
2005년 4월 30일 재보궐선거 결과 열린우리당은 5곳 모두에서 당선자를 내지 못하는 참패를 겪었고, 이에 따라 한명숙을 위원장으로, 유시민을 부위원장으로 하는 당혁신위원회가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 인선에 대해 염동연 의원은 지도부가 이상주의에 동조하는 것이라며 반발하여 상임중앙위원직에서 사퇴했다.[99] 이후 염동연 의원은 호남 홀대론을 주장하며 유시민 의원이 추진한 기간당원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는 등[100] 열린우리당 내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결국 2005년 10월 26일 재선거에서도 열린우리당이 4개 선거구 모두에서 패배하자, 10월 28일 문희상 의장과 한명숙 의원 등 지도부는 출범 6개월 만에 전격 사퇴하게 되었다.
2. 4. 3. 대한민국 국무총리
2006년 3월 24일, 노무현 대통령은 이해찬 전 총리의 후임으로 한명숙을 국무총리로 지명했다.[5] 이는 장상에 이어 두 번째 여성 총리 지명이었다.[3] 당시 한나라당은 2006년 5월 31일 지방선거의 공정한 관리를 위해 신임 총리가 당적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인사청문회 보이콧 가능성을 내비쳤다. 또한 한나라당 소속 윤두환 의원은 청문회 전 대정부질문에서 "한명숙 총리 지명자 남편은 대한민국 전복을 기도한 공산주의 조직의 핵심이었다"고 주장하며 공세를 펴기도 했다.[101]2006년 4월 17일과 18일 양일간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한명숙의 당적 정리 문제, 국정 수행 능력, 이념적 편향성 등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4월 19일 국회 본회의에서 임명 동의안이 가결되었으며,[5] 이튿날인 4월 20일 취임 선서를 통해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국무총리가 되었다.[5]
총리 재임 중 김병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거취 문제나 인터넷 로또 발행 취소 등 여러 현안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는 평가를 받았다.[102]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위대에 대한 강경 대응을 방관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03]
2006년 10월 9일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자, 한 총리는 "포용정책이 핵실험을 막는 데 실패했다고 자인한다"며 "전반적인 포기라고는 할 수 없지만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에 왔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완상 당시 대한적십자사 총재는 "국무총리가 그런 말을 한 것 자체가 국민을 굉장히 불안하게 한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2007년 1월, 노무현 대통령이 제안한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에 대해 한 총리는 개헌지원추진단을 구성하며 적극 호응했다. 국회에서 비판이 제기되자 이전과 달리 공격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 한나라당은 이를 두고 대통령 선거 출마를 염두에 둔 정치적 행보라고 비난했다.[104]
2007년 3월 7일, 한명숙은 총리직에서 물러나 열린우리당으로 복귀했으며, 후임 총리로는 한덕수가 임명되었다. 퇴임하며 '앞으로 정치인으로서 나라의 발전과 국민의 행복을 생각하며 일하겠다'는 내용의 편지를 남겼다.
2. 4. 4. 이해찬과의 대선후보경선 단일화
열린우리당으로 복귀한 후, 한명숙은 민주당과의 통합 작업에 참여하는 한편 대선 주자로 나서기 위한 준비를 진행했다. 2007년 3월과 4월에 걸쳐 대선 출마 의지를 내비쳤으며[105][106], 6월 18일 대선 경선 참여를 공식 선언했다.당시 범여권에서는 김두관, 김영환, 김원웅, 김혁규, 문국현, 손학규, 신기남, 유시민, 이인제, 이해찬, 정동영, 추미애, 천정배, 한명숙 등 14명이 대선 출마를 선언한 상태였다. 이 중 한명숙, 이해찬, 유시민, 김혁규는 친노 계열 주자로 분류되었으나[107], 한명숙 본인은 "나를 ‘친노’로 분류한 것은 언론"이라며 이러한 분류에 동의하지 않았다.[108]
8월 7일, 한명숙은 친노 주자 간 후보 단일화를 제안하며, 예비경선 이전에 자신과 이해찬, 유시민 세 주자가 여론조사를 통해 단일 후보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시 선두권 주자였던 손학규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세 후보 모두 각자 예비 경선에 등록했다. 예비 경선 토론회에서 한명숙은 참여정부 실패론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소통 부족의 과오는 인정하지만 깨끗한 선거 문화 정착, 국가균형발전, 정경유착 근절, 권위주의 해체 등의 성과를 강조했다. 9월 5일 예비경선 결과, 한명숙은 9명의 후보 중 5위(9.42%)로 본경선에 진출했다. 상대적으로 저조한 득표율은 당시 언론과 당내 관심이 이해찬-유시민 경쟁 구도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었다.[109]
본경선이 시작된 후, 예비경선 3, 4, 5위였던 이해찬, 유시민, 한명숙은 각자 자신을 중심으로 단일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1, 2위 주자인 손학규, 정동영을 상대로 공세를 펼쳤다. 결국 9월 14일, 한명숙은 이해찬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경선 후보직을 사퇴했다. 그는 "유시민 후보도 결국 단일화를 통해 정통성이 있는 후보가 승리하는 대의에 합류하게 될 것"이라며 유시민의 동참을 촉구했다.
유시민은 처음에는 "다른 후보가 이명박 후보를 꺾을 수 있다면 얼마든지 돕겠지만, 확신이 서지 않는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나, 다음 날인 9월 15일 이해찬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단일화에 합류했다. 이러한 빠른 단일화 과정에 대해 일각에서는 외부의 영향력, 소위 "보이지 않는 손"이나 청와대의 개입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후보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이해찬은 10월 16일 최종 경선에서 정동영에게 패배하여 대통합민주신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지 못했다.
2. 4. 5. 18대 국회의원선거 낙선 및 그 이후
대선 패배 이후 대통합민주신당은 지도부 구성을 놓고 갈등을 겪었다. 2007년 당 대표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후보 지명에는 실패했고, 정동영을 지지했다. 2008년 1월 10일 손학규가 대표로 선출되자 친노계열로 분류되던 이해찬, 유시민은 한명숙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대통합민주신당에서 탈당했다.[110] 한명숙은 당에 남았고, 3월 10일 고양시 일산동구 선거구(구 일산구 갑선거구)에 통합민주당 후보로 18대 총선 공천을 받았다.고양 일산동구 선거구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의 인수위 행정실장을 지낸 한나라당 백성운 후보와 경쟁하였는데, 이는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간의 상징적인 대결로 여겨졌다.[111] 총선을 19일 앞둔 여론 조사에서는 한명숙이 백성운보다 약 10%p 높은 지지율을 보였으나[112], 선거 사흘 전 한명숙의 선거운동원이 지역 사회단체장에게 식사를 대접하며 지지를 부탁한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는 일이 발생했다.
선거 결과, 43.8%의 득표율을 기록한 한명숙은 47.1%를 얻은 백성운 후보에게 아쉽게 패배했다. 이처럼 박빙의 승부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은 백성운에게 "죽다 살아났지"라고 언급하기도 했다.[113]
총선 낙선 이후, 2009년 4월 29일 재보선을 앞두고 김근태와 함께 민주당의 홍영표 후보를 지원하기 위한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선거 운동 중 한명숙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공천 탈락에 반발해 탈당한 정동영과 신건을 겨냥하여 "이번 선거는 반드시 민주당이 승리해야 한다. 무소속 한두 명이 당선돼 복당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한 말을 전하기도 했다. 홍영표 후보는 선거에서 승리했지만, 민주당은 전북 지역에서 정동영, 신건 두 무소속 후보에게 모두 패배했다.
2010년에는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에게 0.6%p 차이라는 매우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2012년 1월 15일, 민주통합당 창당대회에서 24.5%의 지지율로 당 대표(최고위원회 의장)로 선출되었다.[12][13][14] 이로써 당시 새누리당(구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와 함께 대한민국 주요 양당의 대표가 모두 여성이 되는 시기를 맞았다. 같은 해 4월 제1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비례대표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당은 여당을 상대로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한명숙은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2012년 4월 16일 민주통합당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2. 4. 6. 뇌물죄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2009년 12월, 한명숙은 국무총리 재직 중이던 2007년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인사청탁 명목으로 50000USD(당시 환율 약 4500만원)를 받았다는 뇌물수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권오성)의 수사를 받게 되었다. 한명숙은 이를 부당한 수사로 규정하고 검찰 소환에 불응했으나, 체포 영장이 발부되어 같은 달 18일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사무실에서 체포되었다.[115] 조사 과정에서 곽영욱과의 대질신문이 있었으나 한명숙은 묵비권을 행사했다.[116]이 수사와 관련하여 검찰이 곽영욱의 불법 주식거래 혐의를 무혐의로 종결한 것을 두고, 한명숙에 대한 진술을 얻기 위한 거래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17] 한명숙 측 변호인단은 공판준비기일에서 곽영욱 수사 기록 공개를 요구했으나, 검찰은 본 사건과 무관한 별건이라며 거부했다.[118]
재판 과정에서 검찰 측 증인으로 출석한 곽영욱은 검찰 진술과는 달리 돈을 직접 건네지 않고 의자에 놓고 나왔다고 증언했으며, 심장병을 앓는 자신에게 새벽까지 이어진 검찰 조사가 가혹했다고 토로했다.[119] 검찰은 또한 2002년 한명숙이 장관 시절 곽영욱에게 고가의 골프채를 선물 받았다고 주장했으나, 재판장은 평일 근무 시간에 장관이 골프 매장에 간 것이 이례적이지 않냐고 물었고 곽영욱은 "모르겠다"고 답했다. 변호인단은 곽영욱 진술의 신빙성, 특히 금품 액수가 번복된 점(3만 달러 → 준 적 없음 → 5만 달러)을 집중적으로 문제 삼았다.[120] 검찰의 수사 방식에 대해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매우 졸렬하다", "법관의 심증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며 비판하기도 했다.[121]
2010년 4월 9일, 1심 재판부는 곽영욱 진술의 일관성 부족과 신빙성 결여를 이유로 한명숙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검찰이 제출한 나머지 증거만으로는 합리적 의심을 해소하기 불충분하다고 판단했다.[122] 이후 항소심에서도 증인들의 진술 번복이 이어져 증언의 신빙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123] 한명숙은 2012년 1월 13일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고,[124] 2013년 3월 14일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가 확정되었다.[136]
한편, 곽영욱 뇌물수수 혐의 1심 무죄 판결 직후 검찰은 별건으로 한만호 전 한신건영 대표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9.4억원여만원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한명숙을 2010년 7월 추가 기소했다. 한명숙은 최후진술에서 "검찰의 기소는 서울시장 선거 출마를 막거나 낙선시킬 의도"였다며, "뇌물혐의 무죄판결 하루 전날 정치자금법 족쇄를 채웠고 0.6% 차이로 선거에서 졌기에 결과적으로 검찰 의도는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만호의 돈을 받은 사실이 없으며, 돈을 받았다는 시점(2007년)에는 한만호를 만난 적도 없고, 인지도 높은 정치인이 운전사도 따돌리고 직접 운전해 고액 수표를 받았다는 공소사실은 상식 밖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2년 전 국민에게 했던 '인생을 그렇게 살아오지 않았습니다'는 말은 지금도 유효하고, 양심의 법정에서 여전히 저는 자유"라며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덧붙였다.[137]
이 재판 과정에서는 한명숙의 여동생 한 씨가 전세자금으로 사용한 1억원 수표의 출처가 쟁점이 되었다. 검찰은 이 돈이 한만호가 한명숙에게 건넨 불법 정치자금의 일부라고 주장했다.[140] 여동생 한 씨는 언니를 통해 알게 된 지인 김 모 씨에게 개인적으로 빌린 돈이며 출처는 몰랐다고 증언했다. 그는 적금을 깨는 것보다 잠시 빌리는 것이 낫다고 판단해 수표를 받았고, 해당 수표가 한신건영 관련 자금이라는 것은 언론 보도를 통해 알았다고 말했다.[140] 한명숙 측 변호인은 불법 자금을 추적이 용이한 수표로 바꾸어 사용하고, 빌리고 갚는 과정 모두 수표를 사용했다는 점이 상식적이지 않다고 반박했다.[140] 검찰은 여동생 한 씨의 당시 재산 상황상 굳이 돈을 빌릴 필요가 없었고, 이자 손해도 미미했으며(검찰 12만원, 변호인 70만원 주장), 언론 보도 후 돈을 빌려준 김 씨가 아닌 언니 한명숙과 먼저 상의한 점 등을 들어 의혹을 제기했다.[140] 여동생 한 씨는 과외 등으로 번 돈을 현금으로 보관하는 자신만의 방식이 있으며 언니 돈을 관리한 적은 없다고 반박했으나, 현금 보관 장소 등 구체적인 질문에는 증언을 거부하기도 했다.[141] 함께 기소된 측근 김 씨는 한만호에게 3억원을 빌린 것은 남편 사업 자금 목적이었으며, 이 중 1억원을 한 씨에게 개인적으로 빌려준 것이고 한명숙은 이 사실을 나중에 알았다고 주장했다.[142]
한만호는 법정에서 검찰에서의 진술을 번복하며 돈을 한명숙에게 준 것이 아니라 사업 목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거나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2011년 10월 31일, 1심 재판부(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 김우진 판사)는 한명숙에게 무죄를 선고했다.[125][137] 재판부는 한만호의 검찰 진술이 비록 강압 수사 없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빼앗긴 회사를 되찾으려는 이해관계가 개입되어 허위 진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법정에서의 번복된 진술 역시 신빙성을 인정하지 않았다.[138] 재판부는 한명숙과 한만호의 친분 관계 수준, 정치자금 공여 장소로 지목된 집과 집 근처 도로의 개방성 등을 고려할 때 거액의 불법 정치자금을 주고받았다는 공소사실에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138]
검찰의 항소로 진행된 2심에서 2013년 9월 16일, 서울고등법원 형사6부(정형식 부장판사)는 원심을 깨고 한명숙에게 징역 2년과 추징금 8.8억원여만원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한만호의 검찰 진술이 법정에서 번복되었더라도 다른 증거들을 통해 신빙성이 인정된다며 유죄로 판단했다. 다만 현직 국회의원인 점 등을 고려해 법정구속은 하지 않았다.[139] 한명숙은 "정치적 판결"이라며 상고 의사를 밝혔다.
2015년 8월 20일,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 판결(징역 2년, 추징금 8.8억원여만원)을 확정했다.[127] 이 판결로 한명숙은 국회의원직을 상실했으며, 전직 국무총리 중 처음으로 금품 관련 비리로 실형이 확정되어 수감되었다. 한명숙은 판결 직후 "정치탄압의 굴레에 묶인 죄인이 되고 말았다"며 결백을 재차 주장했고,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문재인은 "사법부에 대한 기대가 무너져 참담하다"는 입장을 밝혔다.[16] 한명숙은 8월 24일 서울구치소에 수감되었고,[45] 2년의 형기를 마치고 2017년 8월 23일 의정부교도소에서 만기 출소했다. 출소 현장에는 문희상, 이해찬 등 지지자 100여 명이 마중 나왔다.[46]
2020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한명숙이 "고압적인 수사와 사법농단의 피해자"라며 재수사를 요구하기도 했다.[47]
2021년 12월 24일, 문재인 정부는 신년 특별사면 대상에 한명숙을 포함시켜 복권 조치했다.[48] 그러나 당시 추징금 8.8억원여만원 중 7억원 정도가 미납 상태였기 때문에, 법조계에서는 애초 사면 대상이 될 수 없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49]
2. 4. 7. 제5회 지방선거 낙선
2009년 총리 재직 시절의 부정부패 의혹으로 기소되었으나,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직후인 2010년 4월 21일, 6월에 열릴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하였다. 출마 기자회견에서 지난 이명박·오세훈 시장 재임 8년간의 시정을 비판하며, 주요 공약으로 고용 창출과 복지 확대, 교육 예산 증액, 불필요한 토목 및 건설 예산의 대폭 삭감을 내세웠다. 또한 무상급식 전면 시행, 무상 보육 및 교육 비율 확대, 방과 후 교육 대폭 확대 등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했다.[24]5월 6일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서 이계안 전 의원을 누르고 후보로 확정되었다.[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5월 14일에는 민주노동당의 이상규 후보와 단일화에 합의하여, 민주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창조한국당 등 야4당의 단일 후보가 되었다.[26]
선거 초반에는 현직 시장이던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에게 지지율에서 15% 이상 뒤처지는 등 불리한 상황이었으나,[27] 이명박 정부의 국정 운영에 비판적인 20~40대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가 늘면서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최종 개표 결과, 오세훈 후보에게 0.6%p라는 근소한 차이로 아쉽게 패배했다.[28][29]
선거 후 한명숙 후보는 “나는 패했지만 국민은 승리했다”는 메시지를 통해[30] 이명박 정부의 실정에 대한 국민적 심판이 이루어졌음을 강조하며, 정부가 민심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후 오세훈 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부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치러진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의 유력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참여연대 출신의 박원순 변호사와의 후보 단일화를 위해 출마를 포기했다(9월 13일).[31]
2. 4. 8. 2010년 이후
2009년 총리 재직 시절의 부정부패 의혹으로 기소되었으나,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24] 이 판결 직후인 2010년 4월 21일, 6월에 치러질 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시장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128][24] 출마 기자회견에서 이명박·오세훈 시정 8년을 비판하며, 공약으로 고용과 복지, 교육 예산 증액, 불필요한 토목 및 건설 예산 감축을 내세웠다. 또한 무상 의무 급식 시행, 무상 보육 교육 비율 확대, 방과 후 교육 확대 등도 약속했다.[24]2010년 5월 6일, 100% 여론조사로 진행된 민주당 당내 경선에서 이계안 전 국회의원을 누르고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확정되었다.[129][25]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5월 14일에는 민주노동당 후보 이상규와 단일화에 합의하여, 민주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창조한국당 등 야당 4당의 단일 후보가 되었다.[26]
선거 초반에는 현직 시장이자 한나라당 후보인 오세훈에게 지지율에서 15% 이상 뒤처졌으나,[27] 이명박 정부의 국정 운영에 비판적인 20~40대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가 늘면서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최종 개표 결과, 오세훈 후보에게 0.6%p 차이로 아쉽게 패배했다.[28][29] 한명숙은 선거 결과에 대해 “나는 패했지만 국민은 승리했다”[30]는 입장을 밝히며, “국민은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정에 대해 확실한 심판을 내렸다. 정부는 민심을 직시하고 국민의 심판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2011년, 무상급식 주민투표 무산의 책임을 지고 오세훈 시장이 사퇴하면서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한명숙은 민주당의 유력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참여연대 출신 변호사이자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인 박원순 후보와의 단일화를 위해 9월 13일 불출마를 선언하고 박원순 후보 지지를 밝혔다.[31]
2012년 1월 15일,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이 합당하여 창당된 민주통합당의 첫 당대표 선거에서 24.5%의 지지를 얻어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12][13][14] 이로써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와 함께 대한민국 주요 양당의 대표를 모두 여성이 맡게 되었다. 4월 총선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민주통합당이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하자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2012년 4월 16일 당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3. 논란
민주통합당 대표 등으로 활동하였으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2012년 4월 13일 대표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2015년 대법원에서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최종 유죄 판결을 받고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3. 1. 검찰 수사 논란
불법 정치자금 관련 의혹 수사 과정에서 검찰은 한명숙 전 총리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 모 씨를 출국금지 조치했다.[130] 김 씨는 한 전 총리의 국회의원 시절 비서를 지냈고 총리 공관에서도 근무했으며, 검찰은 김 씨가 2007년 건설업체 전 대표 한만호 씨가 한 전 총리에게 건넨 9억원의 자금을 관리하는 데 깊이 관여했다고 보았다.[130] 김 씨는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에게서 5만달러를 받았다는 의혹 수사 재판 과정에서도 이름이 거론되었으며, 한만호와 한명숙을 연결하는 핵심 인물로 지목되었다.[130]이에 한 전 총리 측은 검찰 수사가 별건 수사라며 강하게 반발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130] 한 전 총리 측은 "검찰이 반성과 성찰은커녕 날조된 기획·조작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비판하며, "검찰이 곽영욱 전 사장 재판 때와 똑같이 피의 사실을 공표하고 있다"며 형사 고소를 경고했다.[130] 이후 서울특별시장 선거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수사는 잠시 미뤄졌다.
그러나 관련 의혹은 계속 보도되었고, 2010년 4월 14일 한명숙 전 총리는 검찰을 고소하고 일부 언론사를 상대로 민사 소송을 제기하기로 결정했다.[131] 한명숙 전 총리 공동대책위원회는 "검찰이 반성과 성찰은커녕 날조된 기획·조작 수사로 다시 '제2의 한명숙 죽이기'에 나섰다"고 주장하며, 검찰이 "곽영욱 재판 때와 똑같이 구속된 사기범에 대한 강압협박으로 사건을 날조하고, 역시 불법적으로 피의사실을 언론에 흘리는 방법으로 정치공작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131]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 뇌물 수수 의혹2009년 12월 4일, 국무총리 재임 중이던 2007년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5만달러를 받고 한국전력공사 자회사 사장 취임을 알선했다는 뇌물 의혹이 보도되었으나, 한 전 총리는 이를 부인했다. 같은 달 9일과 11일, 검찰의 자진 출석 요구를 거부했으며, 12월 18일 결국 체포되었다. 이에 대해 당시 야당인 민주당은 "정치 공작"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2010년 4월 10일, 1심 재판부는 이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이 판결을 두고 일각에서는 검찰의 기소가 이명박 정부의 의중에 따라 야당의 유력 정치인을 겨냥한 악의적인 수사였다는 시각을 제기하기도 했다. 1심 무죄 판결 직후 한 전 총리는 서울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고, 비록 근소한 차이로 낙선했으나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에 따라 선거 후 수사를 재개하겠다던 검찰의 방침 역시 불투명해졌다는 관측이 나왔다.
한만호 전 한신건영 대표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한편, 5만달러 뇌물 사건과 별개로, 건설회사 한신건영 전 대표 한만호로부터 9억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했다는 혐의로 2010년 7월 추가 기소되었다. 2011년 5월 재판 과정에서 한 전 총리 변호인 측은 공소제기 이후에도 계속되는 검찰의 일방적 수사 방식과 증거 등사 요구 거부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검찰은 "한 전 총리 동생 등이 어떤 진술을 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증언을 탄핵하기 위해서였다."고 주장했다. 2011년 10월 31일, 1심 재판부는 이 사건에 대해서도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2013년 9월 16일, 서울고등법원은 항소심에서 1심 무죄 판결을 뒤집고 징역 2년의 실형과 추징금 8.8억원을 선고했다. 한 전 총리는 "정치적 판결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며 대법원에 상고할 뜻을 밝혔다.
2015년 8월 20일, 대법원은 한명숙 측의 상고를 기각하고 징역 2년과 추징금 8.8억원의 원심을 확정했다. 이로써 한 전 총리는 대한민국 헌정사상 처음으로 금품 관련 비리로 실형을 선고받고 수감된 전직 국무총리가 되었다. 판결 확정 후 한 전 총리는 보도자료를 통해 "정치탄압의 굴레에 묶인 죄인이 되고 말았다"며 다시 한번 결백을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문재인도 "사법부에 대한 기대가 무너져 참담한 심정이다"라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8월 24일 서울구치소에 수감되었고, 2017년 8월 23일 2년의 형기를 마치고 의정부교도소에서 만기 출소했다. 출소 현장에는 문희상 전 국회부의장, 이해찬 전 총리 등 지지자 약 100여 명이 마중 나왔다.
2020년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고압적인 수사와 사법농단의 피해자"라고 발언하며 재수사를 요구했다.
2021년 12월 24일, 문재인 정부는 12월 31일자 신년 특별사면·감형·복권 조치에 한명숙을 포함시키기로 결정하여 복권되었다. 하지만, 추징금 8.8억원 중 7억원 정도는 아직 미납이었기 때문에, 문재인 정부의 방침에서는 애초에 사면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법조계가 지적했다.
3. 2. 언론 보도 관련 논란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검찰 수사 과정에서, 한명숙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2010년 4월 14일 검찰이 별건수사를 통해 피의사실을 공표했다며 형사고소할 것이라고 밝혔다.[132] 공대위는 또한 검찰이 공표한 피의사실을 그대로 보도한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언론사를 상대로 명예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경고했다.[132] 공대위는 언론이 검찰의 불법에 동조하는 보도를 계속한다면 법적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으며, 언론의 '받아쓰기'는 언론의 책임과 사명에 대한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132] 나아가 언론이 아무런 검증 없이 받아쓰기를 하고 있다며, 무분별한 보도가 계속될 경우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31]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기사 보도를 계속하자, 공대위는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2010년 5월 9일, 법원은 4월 동아일보가 보도한 기사에 대해 취재원 공개를 요구하기도 했다.[133]
한편, 한명숙 전 총리는 2009년 12월 4일자 조선일보의 '수만 달러 수수 의혹' 보도로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조선일보와 취재기자, 국가를 상대로 1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보도는 검찰이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한 전 총리에게 2007년 무렵 수만 달러를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해 수사 중이라는 내용이었다.[134] 한 전 총리는 검찰의 피의사실 공표와 조선일보의 허위사실 보도를 주장했으나,[134] 1심 재판부는 "검찰이 관련 내용을 제공했다는 증거가 없고, 조선일보는 뇌물 의혹 수사 진행 상황을 전달했을 뿐 허위 보도로 보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 판결했다. 2심에서도 한 전 총리의 항소는 기각되었고, 대법원에서 원심이 확정되었다.[134] 또한 2012년 1월 6일, 동아일보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도 패소했다.[135]
3. 3. 말 바꾸기 논란
한명숙은 참여정부 시절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과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143] 그러나 이명박 정부 시기에는 이들 정책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이 때문에 새누리당 등 다른 정당들로부터 입장을 바꿨다는 비판을 받았다.[143]3. 4. 태극기 관련 논란
한명숙 전직 국무총리가 2011년 5월 23일 노무현 전직 대통령 서거 2주년 추도식에서 태극기를 밟고 올라가 헌화하였다. 이를 두고 국가 상징에 대한 모독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44]4. 가족 관계
(내용 없음)
5. 학력
- 서울영등포초등학교 졸업
- 정신여자중학교 졸업
- 정신여자고등학교 졸업
-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 학사
- 한국신학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 신학 석사과정 수료[19]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 석사[19]
-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 대학원
6. 상훈 경력
7. 저서
- 사랑은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김영사, 2007년 8월 10일)
- 첫째도 교육 둘째도 교육 (도서출판 밈, 2007년 8월 30일)
- 한명숙: 부드러운 열정 세상을 품다 (행복한책읽기, 2010년 2월 25일)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선거구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00년 | 제16대 총선 | 새천년민주당 | 비례대표 | 6,780,625 (35.90%) | 비례대표 5번 | 당선 | 초선 |
2004년 | 제17대 총선 | 열린우리당 | 고양시 일산구 갑 | 48,286 (49.00%) | 1위 | 당선 | 재선 |
2008년 | 제18대 총선 | 통합민주당 |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 37,902 (43.83%) | 2위 | 낙선 | |
2010년 | 지방 선거 | 민주당 | 서울특별시 | 2,059,715 (46.83%) | 2위 | 낙선 | 민선 5기 |
2012년 | 제19대 총선 | 민주통합당 | 비례대표 | 7,777,123 (36.45%) | 비례대표 15번 | 당선 | 3선 |
참조
[1]
뉴스
문, 한명숙 당적정리 요청…'문안 공동비대위' 부상
https://news.kbs.co.[...]
KBS News
2015-12-11
[2]
뉴스
Han Myeong-sook wins comfortably in DUP leadership election; Han steps down as DUP head after defeat
The Hankyoreh/Hani.co.kr, Koreas JoongAng Daily
2012-01-16
[3]
뉴스
South Korean President Nominates New Prime Minister
https://web.archive.[...]
VOA News
[4]
뉴스
South Korea Nominates First Female Prime Minist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5]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opm.go.kr[...]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6]
뉴스
Airport Flag Used to Represent Korea
http://english.donga[...]
Dong-a Ilbo
[7]
뉴스
S. Korea plans more UAE investments
https://web.archive.[...]
Gulf News
2006-09-24
[8]
뉴스
Kazakhstan, South Korea Vow To Boost Ties
https://web.archive.[...]
BakuTODAY
2006-09-24
[9]
뉴스
Kazakh Leader to Visit South Korea Next Year
http://asia.news.yah[...]
Yahoo! Asia News
[10]
뉴스
South Korea, Uzbekistan Sign Uranium Deal
http://www.rferl.org[...]
RadioFreeEurope/RadioLiberty
[11]
뉴스
South Korean prime minister resigns amid media speculation she may run for president
http://www.iht.com/a[...]
IHT
[12]
뉴스
Han to head main opposition party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1-15
[13]
뉴스
Former P.M. Han takes DUP helm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2-01-15
[14]
뉴스
Ex S. Korean PM Elected Leader of Main Opposition Party
http://english.cri.c[...]
CRI
2012-01-15
[15]
웹사이트
민주당사람들 한명숙
http://minjoo.kr/mem[...]
민주당 홈페이지
[16]
뉴스
韓明淑元首相に懲役2年…元首相で初の実刑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5-08-20
[17]
웹사이트
내 이름은 한이명숙호주제 폐지 위해 노력하겠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1-02-13
[18]
웹사이트
부모 성 모두 쓰는 첫 국회의원 나온다…與 양이원영 개명
https://www.hankyung[...]
한경닷컴
2020-05-21
[19]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www.rokps.or.kr
2022-03-13
[20]
뉴스
韓明淑前首相、大統領選出馬を表明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06-18
[21]
뉴스
大統領選:民主新党予備選をめぐるさまざまな噂(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09-17
[22]
뉴스
民主新党の大統領候補予備選では鄭東泳が勝利し、李海瓚は孫鶴圭にも遅れをとる3位に留まった。
[23]
뉴스
総選挙:統合民主党、大物議員の落選で激震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4-10
[24]
뉴스
韓明淑元首相、ソウル市長選挙への出馬を表明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0-04-21
[25]
뉴스
民主党公認のソウル市長候補、韓明淑元首相に確定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0-05-06
[26]
뉴스
ソウル市長選野党候補、韓明淑元首相に一本化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0-05-14
[27]
뉴스
선거 D-5…‘한나라당 쏠림’가속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0-05-27
[28]
뉴스
ソウル市長選で与党辛勝、民主党躍進の地方選挙に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0-06-03
[29]
뉴스
≪解説≫第5回統一地方選挙、勝敗の要因は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0-06-03
[30]
뉴스
6·2지방선거 한명숙 나는 졌지만 국민은 승리 머니투데이
http://news.joins.co[...]
マネートゥデイ
2010-06-03
[31]
뉴스
韓明淑元国務総理 ソウル市長選は不出馬
http://rki.kbs.co.kr[...]
KBSワールドラジオ
2011-09-13
[32]
뉴스
民主統合党の代表選 予備選挙に15人が候補登録
http://rki.kbs.co.kr[...]
KBSワールドラジオ
2011-12-23
[33]
뉴스
民主統合党 予備選挙で指導部候補9人を選出
http://rki.kbs.co.kr[...]
ワールドラジオ
2011-12-27
[34]
뉴스
민주통합당 대표에 한명숙(民主統合党代表に韓明淑)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2-01-15
[35]
뉴스
위기의 민주통합당… 왜?(危機の民主統合党・・・なぜ?)
http://www.seoul.co.[...]
서울新聞
2012-03-01
[36]
뉴스
민주 비례1번 `전태일 누나' 전순옥..한명숙 15번(民主比例1番‘全泰壱の姉’全順玉..韓明淑15番)
http://www.yonhapnew[...]
2012-03-22
[37]
뉴스
韓国最大野党代表 総選挙敗北の引責で辞任
http://japanese.yonh[...]
2012-04-13
[38]
뉴스
韓元首相に汚職疑惑 韓国 検察捜査、本人は否定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09-12-17
[39]
뉴스
逮捕状の韓国元首相、任意情聴を拒否
https://web.archive.[...]
読売新聞社
2009-12-17
[40]
웹사이트
한명숙 전 국무총리 무죄 법원 곽영욱 진술 신빙성 의심
http://www.ohmynews.[...]
2010-04-10
[41]
웹사이트
우뚝 선 한명숙…검찰은 ‘속앓이’
http://www.hani.co.k[...]
2010-06-03
[42]
웹아카이브
https://archive.is/X[...]
[43]
뉴스
검찰, 정권반대세력 수사 ‘연전연패’(検察、政権反対勢力捜査‘連戦連敗’)
http://www.hani.co.k[...]
2011-12-23
[44]
뉴스
한명숙 前총리 항소심서 징역 2년…법정구속 안해(韓明淑前総理控訴審で懲役2年・・・法廷拘束せず)
http://www.yonhapnew[...]
2013-09-16
[45]
뉴스
韓国の女性元首相を収監 「私は潔白」野党は反発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산경신문
2015-08-25
[46]
뉴스
韓国初の女性首相が出所「過酷な2年耐えることができ感謝」
http://japanese.yonh[...]
2017-08-25
[47]
뉴스
【社説】今が朝鮮時代なのか…過去に執着する与党=韓国
https://japanese.joi[...]
2020-06-03
[48]
뉴스
韓国 朴槿恵前大統領を特別赦免=李明博氏は対象外
https://jp.yna.co.kr[...]
2021-12-24
[49]
웹사이트
"추징금 안내면 사면 없다" 文원칙, 7억 안낸 한명숙 발목 잡나
https://www.chosun.c[...]
2023-10-19
[50]
웹사이트
https://news.v.daum.[...]
1944-03-24
[51]
뉴스
경향신문
1980-01-30
[52]
뉴스
이해찬-한명숙, '이해찬' 단일화
http://imnews.imbc.c[...]
문화방송
2007-09-14
[53]
뉴스
“님 지키지 못해 통탄” 한명숙 조사에 울음바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5-29
[54]
뉴스
한명숙 前 총리, '5만 달러 수수' 혐의 무죄 확정
http://www.lawtimes.[...]
법률신문
2013-03-14
[55]
뉴스인용
[데스크에서] 한명숙의 거짓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5-08-22
[56]
웹사이트
한나라당 김성식 의원 “검찰 ‘한명숙 별건수사’ 중단해야”
http://www.hani.co.k[...]
2010-04-10
[57]
웹사이트
한명숙 ‘무죄’, 정치검찰 다시 쥐구멍?
http://www.mediatoda[...]
2011-10-31
[58]
웹사이트
한명숙 유죄판결한 항소심, 1심과 비교해 보니
http://www.naeil.com[...]
2013-09-17
[59]
뉴스인용
'9억 불법정치자금' 한명숙 의원 실형 확정…의원직 상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8-20
[60]
뉴스인용
역대 총리 수난사…한명숙, 실형 사는 첫 총리 불명예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5-08-20
[61]
웹인용
한명숙의 웹둥지
http://hanms.thoth.k[...]
2012-02-17
[62]
뉴스
한명숙 총리 취임 "초등교땐 마라톤 선수" "남편이 아침 챙겨줬다"
경향신문
2006-04-21
[63]
뉴스인용
신영복,
http://www.ggilbo.co[...]
2018-02-06
[64]
웹사이트
미니자서전 2 - 긴 연애, 짧은 결혼
http://blog.happyhan[...]
[65]
웹사이트
이대학보 - 한명숙 동문 국무총리로 지명
http://inews.ewha.ac[...]
[66]
웹사이트
“한명숙 지명자, ‘크리스챤 사건’때 북방송 청취” 논란일듯
http://www.hani.co.k[...]
[67]
웹사이트
미니자서전 7 - 노란손수건
http://blog.happyhan[...]
[68]
웹사이트
벅찬 승리였고 시린 상처였다
http://h21.hani.co.k[...]
[69]
웹사이트
국회의원 학력검증 - 수강은 ‘수료’ 중퇴는 ‘졸업’
http://smg.or.kr/tik[...]
[70]
뉴스
한명숙 참여연대 공동대표 / 신당창당 참여로 사표제출
한겨레신문
1999-09-07
[71]
뉴스
신당 추진인사 릴레이 인터뷰(4) - 韓明淑 여성위원장
서울신문
1999-10-16
[72]
뉴스
이사람 한명숙 의원/'모성보호' 일관성 성실.차분함 돋봬
한겨레신문
2000-10-31
[73]
뉴스
1.29補閣 뒷얘기-김중권.한광옥 막후 윈윈게임?
경향신문
2001-01-30
[74]
뉴스
'여성부 첫 장관 환영합니다' / 여성단체 '성차별 개선' 기대
한겨레신문
2001-01-30
[75]
뉴스
여성부 출범 1년(상)/달라진 제도,안달라진 현실
경향신문
2002-01-28
[76]
뉴스
호주제 없애고 가족簿로 대체 추진
동아일보
2002-11-27
[77]
뉴스
노무현 정부 첫 내각 프로필
한겨레신문
2003-02-28
[78]
뉴스
모성보호법 시행연기 여성·재계 반응
서울신문
2001-04-25
[79]
뉴스
모성보호법 시행 1년… 실태와 문제점/"모성보호, 아직 먼 얘기"
한국일보
2002-11-01
[80]
뉴스
육아휴직급여 10만원 올려 月40만원
동아일보
2004-02-18
[81]
뉴스
경총 "육아휴직급여인상 반대"
한국일보
2004-01-12
[82]
뉴스
12~13개부처 장관 오늘 발표
한겨레
2003-02-27
[83]
뉴스
한겨레가 만난 사람 / 한명숙 환경부 장관
한겨레
2003-04-15
[84]
뉴스
<기자메모>핵폐기장 논의 환경부 왕따
경향신문
2003-04-24
[85]
뉴스
새만금 간척사업 논란 재연 / "강행" vs "반대" 國政혼란
동아일보
2003-05-22
[86]
뉴스
뒤로 가는 환경정책…팔당주변 건축제한 유보
동아일보
2003-07-31
[87]
웹사이트
환경부, 2002년도 최우수기관 시상
http://me.korea.kr/g[...]
[88]
웹사이트
중앙일보·成大 신완선 교수팀 공동 장관 평가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3-12-16
[89]
웹사이트
장관 성적표- 잡음 많았던 부처장관 낮은 평가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3-12-16
[90]
기타
[91]
웹사이트
환경 모르는 환경장관
https://news.naver.c[...]
[92]
뉴스
4.15민심/ 여의도에 ‘여풍’ 예고…16대 갑절 당선
한겨레신문
2004-04-16
[93]
뉴스
한나라당 ‘한명숙 카드’ 견제
동아일보
2006-03-23
[94]
뉴스
열린우리당 진로는 - 鄭의장 곧 사퇴… 당분간 ‘신기남 체제’
동아일보
2004-05-17
[95]
뉴스
노무현, 분양원가 공개 ‘공개적 반대’
한겨레
2004-06-11
[96]
뉴스
교육부총리 김진표씨 검토
동아일보
2005-01-27
[97]
뉴스
<정치 읽기> '全大후유증' 몸살앓는 한명숙
경향신문
2005-04-05
[98]
뉴스
<이광훈 칼럼> 여성의 적은 여성인가
경향신문
2005-04-07
[99]
뉴스
與상임중앙위원 전격사퇴 염동연의원 인터뷰
동아일보
2005-06-10
[100]
웹사이트
염동연,"생각은 다르지만 유시민을 비난하지는 않겠다"
http://www.cbs.co.kr[...]
[101]
뉴스
여야 대정부질문 대신 약점잡기 기싸움
한겨레
2006-04-11
[102]
뉴스
盧정권 임기말 총리-靑비서실장 동반교체…‘실무내각+친위비서실’ 밑그림
동아일보
2007-03-06
[103]
뉴스
[시론]한명숙 국무총리님께
한겨레신문
2006-12-07
[104]
뉴스
여야정 협의체 제안-목포공항 주변 고도제한 완화… “韓총리 행보 정치적 냄새”
동아일보
2007-02-15
[105]
웹사이트
한명숙 "시대적 요청 회피하지 않겠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06]
뉴스
한명숙 "시대적 요청 회피하지 않겠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07]
뉴스
靑 "범여권이라니..." 손학규도 손보나, 盧대통령 눈밖의 주자들 '솎아내기'공세
경향일보
2007-05-04
[108]
뉴스
‘친노’ 진영도 분화 조짐
한겨레
2007-06-14
[109]
뉴스
1·2위 0.29%P 차이 ‘초박빙’..“예상 깨졌다.” 긴장감
한겨레
2007-09-06
[110]
뉴스
쇄신 대상 이해찬, 탈당 ‘선수치기’
동아일보
2008-01-11
[111]
뉴스
한나라 vs 민주 속속 드러나는 총선 대진표
동아일보
2008-03-12
[112]
뉴스
총선 D-19 / 본보-MBC, 관심지역 15곳 여론조사
동아일보
2008-03-21
[113]
뉴스
李대통령, 당 내 계보정치 종식 강조 “어느 당에도 내 경쟁자 없다.”
동아일보
2008-04-23
[114]
웹사이트
新뽕빨이너뷰 한명숙을 만나다(1)
http://www.ddanzi.co[...]
2009-10-07
[115]
뉴스인용
"이성 잃은 정치검찰 놔두면 또 희생자 나온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12-18
[116]
뉴스인용
"검, 한명숙-곽영욱 대질신문"
http://stock.mt.co.k[...]
머니투데이
2009-12-18
[117]
뉴스인용
‘한명숙 뇌물’ 진술과 빅딜 의혹… 검찰, 곽영욱 불법 주식거래 무혐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1-15
[118]
웹인용
한명숙 공판준비기일 해설서
http://blog.tomoon.k[...]
2010-03-21
[119]
뉴스인용
곽영욱, "검찰 심야조사...생명 위협 느꼈다"
http://www.ytn.co.kr[...]
YTN
2010-03-21
[120]
뉴스인용
한명숙 前총리 4차공판… 인사 청탁-돈 액수 싸고 또 신빙성 공방
http://kr.news.yahoo[...]
동아일보
2010-03-16
[121]
뉴스인용
이회창 “검찰의 한명숙 별건 수사 매우 졸렬”
http://news.nate.com[...]
중앙일보
2010-04-10
[122]
뉴스인용
[표]'한명숙 무죄' 판결 요지
뉴시스
2010-04-09
[123]
뉴스
증인들 말 바꾸기… 한명숙 재판 혼전
http://news.nate.com[...]
경향신문
2011-01-13
[124]
뉴스
한명숙 前총리 항소심에서도 뇌물수수 무죄
http://www.lawtimes.[...]
법률신문
2012-01-13
[125]
뉴스
이번에도 물증 없이 기소… 검찰 관행에 ‘제동’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10-31
[126]
뉴스
한명숙 징역 2년 확정, 의원직 상실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5-08-20
[127]
뉴스인용
대법, 한명숙 '9억 불법정치자금' 사건 징역 2년 확정…의원직 상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5-08-20
[128]
뉴스인용
한명숙, 서울시장 출마선언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4-21
[129]
뉴스인용
일사천리로 끝난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경선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5-06
[130]
뉴스
한명숙 전 총리 측근 출국금지..."검찰 고소"
http://www.ytn.co.kr[...]
YTN
[131]
뉴스
한명숙, '피의사실 공표 혐의' 검찰 고소하기로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132]
뉴스
한명숙공대위 "檢 형사고소…조선·동아 손배訴" 경고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0-04-14
[133]
뉴스
동아일보, 한명숙 보도 취재원 밝힐까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134]
뉴스인용
한명숙, 조선일보 상대 손배소 패소 확정
http://www.newsis.co[...]
2011-07-23
[135]
뉴스
한명숙, 동아일보 상대 손배訴 패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36]
뉴스
대법원, 한명숙 전 총리 뇌물수수 혐의 무죄 확정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03-14
[137]
뉴스
한명숙 전 총리 '무죄'… 1차 사건과 '판박이'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1-10-31
[138]
뉴스
한명숙 前총리 ‘정자법 위반’ 무죄. “9억 줬다… 안줬다… 한만호 진술 신빙성 없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39]
뉴스
'9억수수' 한명숙 前총리 항소심 징역 2년
http://news.chosun.c[...]
뉴시스(조선일보)
2013-09-16
[140]
뉴스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141]
뉴스
검찰, "한명숙 전 총리 동생 통해 자금 관리" 주장
http://www.lawtimes.[...]
로이타임즈
[142]
뉴스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143]
뉴스
(제목 없음)
http://www.fnnews.co[...]
파이낸셜 뉴스
2012-03-02
[144]
뉴스
(제목 없음)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1-12-14
[145]
뉴스
‘한명숙 無罪’에 공감하기 어려운 이유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1-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