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드리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드리슈는 독일의 생물학자이자 철학자로, 1867년에 태어나 1941년에 사망했다. 그는 성게 배아 실험을 통해 초기 배아의 세포가 전체 유충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생물의 일부가 결손되어도 정상적으로 조정되는 조화 등능계 개념을 제창했다. 또한, 생명의 자율성을 설명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엔텔레키 개념을 도입하여 생기론을 주장했다. 드리슈는 나치 정권에 의해 교수직에서 해임되었으며, 초심리학 연구에도 관심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생학자 - 빌헬름 루
    독일의 발생학자이자 해부학자인 빌헬름 루는 발생 기계론의 창시자로서 배아 발생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 세포 분화 결정론을 제시하고 조직 배양의 원리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이름은 생리학의 기본 법칙인 '루의 법칙'에도 남아 있다.
  • 발생학자 - 한스 슈페만
    한스 슈페만은 독일의 발생학자로서, 배아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발생학 발전에 기여하여 193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라인란트팔츠주 출신 - 프란츠 브렌타노
    프란츠 브렌타노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를 바탕으로 심적 현상의 의도성 개념을 도입하고 현상학, 분석철학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드문트 후설,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 라인란트팔츠주 출신 - 말루 드라이어
    말루 드라이어는 독일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2013년부터 라인란트-팔츠주의 총리를 맡아 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으며, 독일 연방상원 라인란트팔츠 주 대표와 ZDF 이사회 의장 등 다양한 직책을 수행하며 높은 지지율로 2016년과 2021년 주 선거에서 승리했다.
  • 프로이센 출신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로서, 종교사회학, 정치 체제 등을 연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권위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을 강조했다.
  • 프로이센 출신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스 드리슈 - [인물]에 관한 문서

2. 초기 생애 및 교육

한스 드리슈는 1867년 10월 28일 바트크로이츠나흐에서 태어났다. 요하네움 학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886년 아우구스트 바이스만 아래에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887년에는 에른스트 헤켈, 오스카 헤르트비히, 크리스티안 에른스트 슈탈 아래에서 예나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888년에는 뮌헨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공부했다. 1889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장 연구 여행과 강연 투어를 위해 플리머스, 인도, 취리히, 라이프치히를 방문했으며, 1894년에는 ''유기적 발달의 분석 이론''을 출판했다. 그의 관심사는 생물학뿐만 아니라 수학, 철학, 물리학을 포함했다. 마르가레테 렐퍼슈나이트와 결혼했으며, 부부는 두 자녀를 두었다. 1891년부터 나폴리의 해양 생물 연구소에서 연구했다.

3. 실험 발생학 연구

드리슈는 적절한 이론적 개요를 찾기 위해 고전 및 현대 철학을 연구했고[3], 결국 아리스토텔레스목적론적 엔텔레키 이론을 채택했다. 이후 생물학에서 철학으로 전향했다.

드리슈의 결과는 스벤 호르스타디우스에 의해 더 정밀하게 확인되었고 실험이 확장되었는데, 그는 성게 배아 세포 간의 등가성에 대한 결론이 지나치게 단순화된 것이었음을 보여주었다.

3. 1. 성게 배아 실험과 전능성 개념

1891년부터 드리슈는 나폴리의 해양 생물학 연구소에서 연구했으며, 1901년까지 실험을 계속하고 자신의 결과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려 노력했다.[3] 그는 스승인 헤켈의 영향으로 헤켈의 또 다른 제자인 빌헬름 루의 기계론적 발생학 이론을 시험했다. 드리슈는 성게 배아를 연구했는데, 첫 번째 세포 분열 후 배아의 두 세포를 분리했을 때 각각 완전한 성게로 발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각 세포가 동물의 해당 절반으로 발달할 것이라는 그의 예상과 상반되는 결과였는데, 이는 빌헬름 루가 개구리 배아를 가지고 수행한 이전 연구에 근거한 예측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4세포 단계에서도 나타났는데, 4개의 세포 각각에서 전체 유충이 발생했지만 평소보다 작았다. 1885년까지 드리슈의 성게 배아 실험은 초기 배아의 할구를 섞는 것조차도 결과적인 유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

이러한 발견은 초기 배아의 단일 세포가 발달 중인 유충의 모든 부분을 형성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것은 초기 형성설 아이디어와 빌헬름 루의 후기 모자이크 이론 모두에 대한 중요한 반박처럼 보였고, 이후 수년간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이 결론은 드리슈, 루, 헤켈 사이의 갈등을 야기했다.[4] 드리슈의 발견은 각각 유기체의 모든 세포를 생성할 수 있는 세포와 거의 모든 세포를 생성할 수 있는 세포를 지칭하는 "전능성" 및 "다능성" 세포라는 용어를 채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895년까지 드리슈는 성게의 수정란세포 분열하여 두 개의 세포가 되었을 때, 세포를 떼어내도 나머지 세포는 분열을 계속하여 개체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 생물의 일부가 결손되어도 계통 내부에서 정상적인 것으로 조정되는 조화 등능계의 개념을 제창했다.

4. 생기론과 엔텔레키 철학

한스 드리슈는 애버딘 대학교에서 자연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906년과 1908년에 기포드 강좌에서 ''유기체의 과학과 철학''에 대해 강연했다. 1909년부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자연과학부에서 자연 철학을 가르쳤으며, 10년 동안 3권의 철학 전집을 출판했는데, 그중에는 3부분으로 된 "질서의 교리"를 제안한 ''질서 이론''(1912)이 있다.

1919년 쾰른 대학교의 체계 철학 정교수가 되었고, 1921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철학 교수가 되었지만, 1922-23년에는 난징과 베이징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 1923년 국립 동남 대학교(이후 국립 중앙 대학교와 난징 대학교로 개명)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위스콘신 대학교(1926–27)와 부에노스아이레스(1928)에서도 가르쳤다. 1933년 나치 정권에 의해 라이프치히 교수직에서 해임되었고, 명예 교수 신분으로 조기 퇴출되었다.[5] 평화주의를 실천하고 나치에 대해 공개적으로 적대적인 입장을 보였기 때문에 최초로 추방된 비유대인 학자가 되었다. 초심리학에 관심을 갖고 텔레파시, 투시, 염력 등에 대해 저술했다.

4. 1. 엔텔레키 개념 도입

한스 드리슈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당시의 개체발생에 대한 기계론적 이론을 훼손한다고 믿었다. 그는 이러한 방해에도 불구하고 배아 발생이 지속되는 현상으로부터 추론한 생명의 자율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빌려온 용어인 엔텔레키(entelechy)에 기인한다고 제안했다. 엔텔레키는 그가 생각하기에 공간적이고 외연적이며 양적인 것이 아닌, 비공간적이고 내포적이며 질적인, 즉 "마음과 같은" 생명력을 나타내는 용어였다.[5]

1895년까지 성게의 수정란세포 분열하여 두 개의 세포가 되었을 때, 세포를 떼어내도 나머지 세포는 분열을 계속하여 개체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 생물의 일부가 결손되어도 계통 내부에서 정상적인 것으로 조정되는 조화 등능계의 개념을 제창했다. 그 후 Entelechie|엔텔레키영어(아리스토텔레스의 "엔텔레케이아"에서 유래)의 개념을 도입했다.

그의 엔텔레키 개념은 과학계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생물학자 J. W. 젠킨슨은 드리슈가 새로운 실체를 "필요 이상으로 발명했다"고 비판하며 "보다 단순한 철학이 과학의 발전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썼다.[6] 동물학자 허버트 스펜서 제닝스는 엔텔레키 개념이 "문제에 대한 이해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논평했다.[7] 그의 생기론적 저술은 역사학자 루스 브랜든에 의해 객관적인 과학적 관점이 아닌 종교적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8]

4. 2. 생기론 주장과 비판

한스 드리슈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당시의 개체발생에 대한 기계론적 이론을 훼손한다고 믿었다. 그는 이러한 방해에도 불구하고 배아 발생이 지속되는 현상으로부터 생명의 자율성을 추론했고, 이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빌려온 용어인 엔텔레키(entelechy)에 기인한다고 제안했다. 엔텔레키는 그가 생각하기에 공간적이고 외연적이며 양적인 것이 아닌, 비공간적이고 내포적이며 질적인, 즉 "마음과 같은" 생명력을 나타내는 용어였다.

드리슈는 애버딘 대학교에서 자연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906년과 1908년에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제시한 강연인 기포드 강좌에서 ''유기체의 과학과 철학''에 대해 발표했다.

그의 엔텔레키 개념은 과학계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생물학자 J. W. 젠킨슨은 드리슈가 새로운 실체를 "필요 이상으로 발명했다"고 비판하며 "보다 단순한 철학이 과학의 발전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썼다.[6] 동물학자 허버트 스펜서 제닝스는 엔텔레키 개념이 "문제에 대한 이해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논평했다.[7]

그의 생기론적 저술은 역사학자 루스 브랜든에 의해 객관적인 과학적 관점이 아닌 종교적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8]

5. 철학 및 초심리학 연구

드리슈는 심령 연구와 초심리학에 깊은 관심을 보여, 관련 서적을 출판하고 심령 연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5. 1. 초심리학 연구

드리슈는 심령 연구와 초심리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1931년 그는 초심리학 연구 방법론(독일어)을 출판했고, 1933년에는 이 주제에 관한 책 《심령 연구: 초자연의 과학》을 출판했다. 1926년부터 1927년까지 그는 심령 연구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1]

6. 저서


  • Die Biologie als selbstständige Wissenschaftde (생물학, 독립 과학으로서, 1893)
  • Lokalisation morphogenetischer Vorgänge, Ein Beweis vitalistischen Geschehensde (형성 과정의 국소화, 생명론적 사건의 증거, 1899)
  • Die organischen Regulationende (유기적 조절, 1901)
  • Analytische Theorie der organischen Entwicklungde (유기적 발생의 분석 이론, 1894)
  • Der Vitalismus als Geschichte und als Lehrede (생명론, 역사로서 그리고 학설로서, 1905)
  • Der Begriff der organischen Formde (유기적 형태의 개념, 1919)
  • Philosophie des Organischende (유기체의 철학, 1928, 제4판)
  • The Science and Philosophy of the Organism: The Gifford Lectures Delivered Before the University of Aberdeen in the Year 1907 and 1908영어 (유기체의 과학과 철학: 1907년과 1908년 애버딘 대학교에서 열린 기포드 강연, 1908) (2권). 런던: 아담 앤 찰스 블랙.
  • The Justification of Vitalism영어 (생기론의 정당성, 1912). 케임브리지 매거진 1 (15): 397.
  • The Problem of Individuality: A Course of Four Lectures Delivered Before the University of London in October 1913영어 (개체성의 문제: 1913년 10월 런던 대학교에서 열린 4개의 강연, 1914). 런던: 맥밀란.
  • The History & Theory of Vitalism영어 (생기론의 역사와 이론, 1914). (C. K. 오그던 역.) 런던: 맥밀란.
  • The Biological Setting of Psychical Phenomena영어 (정신 현상의 생물학적 환경, 1924). 더 퀘스트 15 (7월): 433–456.
  • The Crisis in Psychology영어 (심리학의 위기, 1925). 프린스턴, NJ: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The Possibility of Metaphysics: Four Lectures Delivered Before the University of London in March 1924영어 (형이상학의 가능성: 1924년 3월 런던 대학교에서 열린 4개의 강연, 1925). 런던: 페이스 프레스.
  • The Present Status of Natural Philosophy in Germany영어 (독일 자연 철학의 현재 상태, 1926). 더 모니스트 36 (2): 281–298.
  • Psychical Research and Established Science영어 (심령 연구와 확립된 과학, 1926). 회장 연설. 심령 연구 학회 회보 36(99): 171–186.
  • Psychical Research and Philosophy영어 (심령 연구와 철학, 1927). 칼 머치슨 (편), ''심령적 믿음에 대한 찬반론''. 우스터: 클라크 대학교, 163–178.
  • Psychical Research: The Science of the Super-Normal영어 (심령 연구: 초정상의 과학, 1933). (테오도르 베스터먼 역.) 런던: G. 벨 & 선스.
  • Psychic Medicine and Mental Health영어 (정신 의학 및 정신 건강, 1934). 고대 철학 44: 152. [서평]
  • 生気論の歴史と理論일본어 (생기론의 역사와 이론, 2007) 미모토 마사히라 역, 서적공방 하야마. ISBN 978-4886115041

참조

[1] 서적 Die Philosophie des ausgehenden 19. und des 20. Jahrhunderts: Lebensphilosophie und Existenzphilosphie C.H.Beck 2002
[2] 서적 The stem cell divide : the facts, the fiction, and the fear driving the greatest scientific, political, and religious debate of our time https://archive.org/[...] Amacom
[3] 웹사이트 UXL online biography http://findarticles.[...] 2008-05
[4] 서적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Third Edition, Revised and Expanded CRC Press 2002
[5] 웹사이트 Biography and bibliography http://vlp.mpiwg-ber[...]
[6] 간행물 Vitalism https://archive.org/[...] 1911
[7] 서적 Behavior of the Starfish, Asterias Forreri De Loriol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Zoology 1907
[8] 서적 The Spiritualists: The Passion for the Occult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eidenfeld and Nicolson 1983
[9] 서적 『ヒトと生きものたちの科学のいま』 岩波書店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