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완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완상은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운동가, 정치인이다. 1936년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와 에모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박정희 정부 시절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었으며, 김영삼 정부에서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상지대학교 총장을 거쳐 김대중 정부에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으며, 저서로는 《예수없는 예수교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통일원 장관 - 나웅배
    나웅배는 롯데제과, 해태제과, 한국타이어 사장 등을 지낸 기업인 출신으로, 제11대부터 14대 국회의원과 경제기획원 장관, 통일원 장관, 재정경제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통일원 장관 - 최영철 (1935년)
    최영철은 1935년 목포 출생으로 한국일보, 민국일보, 동아일보 기자와 동아일보 정치부 부장을 거쳐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노태우 정부에서 체신부, 노동부 장관과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을 역임하고 통일번영연구원 회장, 서경대학교 석좌교수, 제8대 서경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이상주
    이상주는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관료, 정치인으로서, 여러 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하고 노태우, 김영삼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및 비서실장을, 김대중, 참여정부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및 부총리를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김진표 (정치인)
    김진표는 재무부 관료 출신으로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에서 요직을 맡았고, 17대 국회부터 21대 국회까지 5선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한완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완상
출생일1936년 3월 5일 ()
출생지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당진
국적대한민국
직업대학교수, 정치인
배우자비공개
학력
학력미국 에모리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경력
주요 경력서울대학교 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신한국당 당무위원
상지대학교 총장
제18대 부총리통일원 장관
제43대 부총리교육인적자원부 장관
한성대학교 총장
제24대 대한적십자사 총재
바른정당 고문
정당
소속 정당무소속
통일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
임기 시작1993년 2월 26일
임기 종료1993년 12월 21일
대통령김영삼
국무총리황인성
차관임동원 통일원 차관
송영대 통일원 차관
전임최영철
후임이영덕

2. 생애

1936년 충청남도 당진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모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박정희 정부 시기 민주화 운동에 가담하여 감옥살이를 했다. 1993년 부총리통일원장관, 1999년 상지대학교 총장, 2001년 부총리교육인적자원부장관, 2004년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했다. 2005년에는 대한적십자사 총재로서 북한을 방문하여 평안북도 용천 등을 방문했다.[17]

저서로는 《저 낮은 곳을 향하여》(뉴스앤조이), 《예수없는 예수교회》(김영사)가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6년 3월 5일 충청남도 당진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모리 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2. 2. 민주화 운동 참여

박정희 정부 시기에 민주화 운동에 가담하여 감옥살이를 했다.[5] 1970년 서울대학교 교원이 되었지만, 박정희 정권 하에서 반체제적인 언동으로 인해 두 차례나 서울대학교 교직에서 쫓겨났다.[5][6] 1984년 전두환 정권 하에서 특별 복권되었다.[7]

2. 3. 정치 활동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에게 야권 후보 단일화를 주장했고, 이후 김영삼의 브레인으로 활동했다.[5]

1993년 김영삼 정부에서 부총리통일원 장관에 취임하여[8] 정권 초기의 대북 정책에 관한 대통령 연설의 많은 원고를 작성했지만,[9] 북한에 대해 너무 유연하다는 비판을 받아[10] 10개월 정도 재임 후,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9] 12월 개각에서 해임되었다.[11] 그 후에도 남북 관계에 대해 화해론의 입장에서 발언을 계속했다.[12]

2001년 김대중 정부의 개각에서 부총리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 취임했다.[13] 당시 일본의 역사 교과서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던 시기였는데, 한국 정부가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대책반"을 설치했을 때, 한완상은 "왜곡 부분이 시정될 때까지 대책반은 활동을 계속한다"고 말했고,[14] 더 나아가 한국 국회에서 "각료의 직을 걸고 왜곡 부분의 수정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15] 또한, "능력 중심 사회 실현을 위한 학원 문화 타파 추진 대책"으로 기업의 채용 서류에서 학력란을 제거하는 것을 추진할 것을 국무회의에서 제안했지만, 국무회의의 승인을 얻지 못하고, 한완상은 결국 이를 계기로 사표를 제출하게 되었다.[16]

2002년 대선에서는 노무현을 지원했다.

2. 4. 사회 활동

박정희 정부 시기 민주화 운동에 가담하여 감옥살이를 했다.[5] 1970년 서울대학교 교원이 되었지만, 박정희 정권 하에서 반체제적인 언동으로 인해 두 차례나 서울대학교 교직에서 쫓겨났다.[5][6] 1984년 전두환 정권 하에서 특별 복권되었다.[7]

정치적으로는 원래 김대중에 가까웠으나, 1987년 대선에서 김영삼에게 야권 후보 단일화를 주장했고, 이후 김영삼의 브레인으로 활동했다.[5]

1993년 김영삼 정권에서 부총리통일원 장관에 취임하여,[8] 정권 초기의 대북 정책에 관한 대통령 연설의 많은 원고를 작성했지만,[9] 북한에 대해 너무 유연하다는 비판을 받아[10] 10개월 정도 재임 후,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9] 12월의 개각에서 해임되었다.[11] 그 후에도 남북 관계에 대해 화해론의 입장에서 발언을 계속했다.[1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을 거쳐 1999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2001년 김대중 정권의 개각에서 부총리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 취임했다.[13] 당시 일본의 역사 교과서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던 시기였는데, 한국 정부가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대책반"을 설치했을 때, 한완상은 "왜곡 부분이 시정될 때까지 대책반은 활동을 계속한다"고 말했고,[14] 더 나아가 한국 국회에서 "각료의 직을 걸고 왜곡 부분의 수정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15] 또한, "능력 중심 사회 실현을 위한 학원 문화 타파 추진 대책"으로 기업의 채용 서류에서 학력란을 제거하는 것을 추진할 것을 국무회의에서 제안했지만, 국무회의의 승인을 얻지 못하고, 한완상은 결국 이를 계기로 사표를 제출하게 되었다.[16]

2002년 1월 정권을 떠나, 10월 한성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2002년 대선에서는 노무현을 지원했다. 2004년 12월,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었다. 2005년에는 대한적십자사 총재로서 북한을 방문하여 평안북도 용천 등을 방문했다.[17]

3. 학력

연도학교학과학위
1952년 ~ 1955년경북고등학교
1955년 ~ 1959년서울대학교사회학학사
에모리 대학교 대학원사회학석사
에모리 대학교 대학원정치학박사


4. 경력

기간직함
1970년~1976년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조교수, 부교수
1976년~1990년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총무·회장[4]
1977년~1980년한국기독교학생총연맹 이사장[4]
1984년~1993년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1993년 2월~1993년 12월부총리 겸 제18대 통일원 장관
1994년 9월~1998년 9월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1]
1998년~2001년제4대 한민족아리랑연합회 이사장
1999년제3대 상지대학교 총장
2000년 2월~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통일협회 이사장
2001년 1월~2002년 1월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2002년 10월제4대 한성대학교 총장
2002년 12월노무현대통령후보 사회담당 고문
2004년 12월~2007년 12월제24대 대한적십자사 총재
한민족아리랑연합회 명예이사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통일협회 고문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2018년남북정상회담 원로자문단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


5. 저서


  • 《민중과 지식인》
  • 《서울 예수》
  • 《한국민중교육론》
  • 《한국사회학》
  • 《4.19혁명론 1》
  • 《다시 한국의 지식인에게》
  • 《깊은 신앙 넓은 신학》
  • 《저 낮은 곳을 향하여》
  • 《밖에서 본 자화상》
  • 예수없는 예수교회
  • 《지식인과 허위의식》
  • 《사자가 소처럼 여물을 먹고》

6. 상훈

참조

[1] 웹사이트 金大中政権閣僚人事 http://www.ioc.u-tok[...]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2013-05-21
[2] 문서
[3] 웹사이트 (10)청주 한씨(淸州韓氏)-642,992명 http://www.seoulecon[...] 2014-07-06
[4] 논문 韓国における市民団体経歴保有者について 札幌学院大学
[5] 뉴스 韓完相氏 副首相兼統一院長官に就任する(ニュースの顔) 1993-02-27
[6] 뉴스 軍人排し新顔起用 韓国の金新政権、大胆な人事<解説> 1993-02-26
[7] 뉴스 韓国、1700人に恩赦 在日韓国人政治犯も減刑・釈放 1984-08-13
[8] 뉴스 安企部長に大学教授 内閣には女性閣僚3人 韓国新政権主要ポスト 1993-02-26
[9] 논문 韓国の北朝鮮政策の変化:1988-1994年 —「民族」の利益、「国家」の正当性、国内政治 http://www.jaas.or.j[...] アジア政経学会 2013-05-21
[10] 뉴스 北朝鮮指導部は一族総動員体制 日韓共同取材・南北関係 1994-02-14
[11] 뉴스 韓国、実務型に内閣改造 副首相ら14人交代 在野出身は大幅減 1993-12-22
[12] 뉴스 育つか韓国の融和の芽 食糧危機の中、孤立抜け出せぬ北朝鮮 1996-05-31
[13] 뉴스 韓国政府に「女性省」 内閣改造 2001-01-30
[14] 뉴스 韓国政府が対策班設置 日本の歴史教科書問題 2001-04-12
[15] 뉴스 日本の歴史教科書修正に「職かける覚悟」 韓完相・韓国教育相 2001-06-20
[16] 서적 ありのままの韓国 文芸社 2013-05-21
[17] 웹사이트 韓完相韓赤総裁、北朝鮮の竜川小学校を訪問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5-06-25
[18] 간행물 "CBS 창사 60주년 특별인터뷰 - 박근혜 정부와 한반도 평화" - 한완상 (전 통일부총리) http://www.podbbang.[...] 2014-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