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인티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 인 티롤은 오스트리아 티롤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스브루크에서 동쪽으로 10km 떨어져 있다. 1232년 소금 채취장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1256년 현재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13세기부터 소금 광산이 주요 산업을 이루었고, 1477년 조폐국이 메란에서 이전해 오면서 조폐 도시로서 명성을 얻었다. 1486년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생산했으며, 15~16세기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1938년부터 1974년까지 졸바트 홀로 불렸으며, 1973년 구시가지 재활성화가 시작되었다. 2013년 세계 유산 임시 목록에 등재되었으나, 권고에 따라 심의 전에 추천이 철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할인티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 |
| 공식 명칭 | Hall in Tirol |
| 유형 | 지방 자치체 |
| 위치 | 오스트리아 티롤 주 인스브루크란트 행정구역 |
| 행정 | |
| 시장 | Eva-Maria Posch (ÖVP) |
| 지리 | |
| 면적 | 5.54 km² |
| 해발 고도 | 574 m |
| 인구 | |
| 인구 (최신) | 14,240명 |
| 인구 밀도 | auto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CET |
| 여름 시간대 | CEST |
| UTC 오프셋 | +1 |
| UTC 오프셋 (여름) | +2 |
| 차량 등록 번호 | IL |
| 우편 번호 | 6060 |
| 지역 번호 | 05223 |
| 웹사이트 | www.hall-in-tirol.at |
2. 역사
티롤 백국의 홀 인 티롤은 1232년 문서에서 타우어 성 근처의 ''살리나''(소금 채취장)로 처음 언급되었다.[5] 현재 이름은 125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할레, 할라인, 슈베비슈 홀, 할슈타트와 마찬가지로 소금을 뜻하는 켈트어에서 유래되었다.
13세기부터 마을 북쪽의 홀 계곡에 있는 압삼의 소금 광산은 마을과 주변 지역의 주요 산업을 형성했다. 최초의 갱도는 1272년 카린티아 공작 메인하르트 2세의 명령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염수는 1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홀의 증발 연못으로 연결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티롤 백작마인하르트의 명령에 따라 만들어진 10km의 목재 파이프라인으로 인 강을 따라 증발 연못으로 인도되었으며, 제조된 소금은 티롤 이외에 스위스나 슈바르츠발트, 라인 계곡으로 출하되었다.[4] 스위스, 검은 숲, 라인 계곡까지 상품을 수출하는 소금 산업의 중요성은 홀의 문장에 반영되어 있으며, 두 마리의 사자가 소금 통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1303년, 케른텐 공 겸 티롤 백작 오토에 의해 소금 판매권을 포함하여 인스브루크와 완전히 동일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할의 소금은 인 강, 도나우 강의 수운을 통해 티롤 북부의 주요 시장으로 출하되었다.[4] 도시가 되었다. 이와 관련된 권리, 그리고 인강과 다뉴브 강을 따라 홀에서 내려가는 무역과 관련된 사업은 이곳을 티롤 북부 지역의 주요 시장이자 무역 장소로 만들었다.
1447년, 상부 도시 지역의 상당 부분이 화재로 소실되면서 개발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했다. 화재로 시가지의 상당 부분이 피해를 입어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그 후의 복구에 호경기가 겹쳐 재건 붐이 수십 년이나 이어졌으며, 재건이 완료될 무렵에는 300채 이상의 건물이 있었다.[4]
1477년, 티롤 조폐국이 메란에서 홀로 이전하면서 주조 권한을 얻었다. 오스트리아 대공지기스문트에 의해 조폐소가 메란에서 할로 이전되었다. 인근의 슈바츠에서의 은 생산을 예상한 것이라고 한다.[6] 1486년, 이 조폐국은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생산했다. 고품질의 탈러 은화가 할의 하제크 성에서 만들어졌다. 16세기, 홀의 조폐국은 세계 최초의 자동화된 주화 기계를 도입하기도 했다. 오늘날 이 혁신적인 기계의 재건물은 부르크 하세그의 홀 조폐 박물관[2]에서 볼 수 있다.
15세기와 16세기에 홀은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이 시기에 오늘날에도 도시의 모습을 형성하는 많은 교회, 수도원 및 수녀원이 건설되었다. 15세기부터 16세기를 통해, 할은 오스트리아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 시기에 구시가지의 교회와 수도원이 많이 건설되었다. 이 때문에, 할의 오래된 거리 풍경은 오스트리아의 서부에서 최대 규모가 되었다.[4] 오늘날 홀은 오스트리아 서부에서 가장 온전하게 보존된 구시가지를 가지고 있다.
합스부르크 군주국 시대에 홀에 군대가 주둔했다. 이는 대규모 화물 열차역과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규모 폭격의 대상이 되었으며, 열차역은 파괴되었지만 구시가는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 1858년에 철도(쿠프슈타인 - 인스브루크 선)가 개통되어, 이 이후 인 강을 이용한 수운이 쇠퇴했다.[4]
1809년에 조폐소 건물이 해체되었고, 조폐 기능의 일부가 뮌헨으로 이전되었다. 1938년부터 1974년까지 이 마을은 '''졸바트 홀'''이라고 불렸다. 1967년 소금 광산이 폐쇄된 지 몇 년 후,[4] "졸바트"는 마을 이름에서 삭제되었다.
1973년에 구시가지의 재활성화가 시작되었으며, 그 후 수십 년 동안 300채 이상의 가옥이 복구되었다.[4] 1975년에는 조폐소가 재개되었고, 1976년 동계 올림픽인스브루크 대회를 기념하여 100 실링 동전을 발행했다. 그 후에도 100실링과 500실링 동전을 발행했으며, 오스트리아가 유로로 이행하게 되자 2001년에 기념 주화로 1486년 이래의 굴디나 은화를 발행했다.[5]
2013년 2월 1일, 할 인 티롤은 세계 유산의 임시 목록에 선정되었으나,[5] 자문 기관인 ICOMOS가 실시한 2014년 9월부터의 실지 조사 결과 "미등록"으로 권고되었다.[7] 이 때문에 오스트리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2015년 제39회 세계 유산 위원회에 의한 심의 전에 추천이 철회되었다.[8]
2. 1. 기원과 초기 발전
티롤 백국의 홀 인 티롤은 1232년 문서에서 타우어 성 근처의 ''살리나''(소금 채취장)로 처음 언급되었다.[5] 현재 이름은 125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할레, 할라인, 슈베비슈 홀, 할슈타트와 마찬가지로 소금을 뜻하는 켈트어에서 유래되었다.13세기부터 마을 북쪽의 홀 계곡에 있는 압삼의 소금 광산은 마을과 주변 지역의 주요 산업을 형성했다. 최초의 갱도는 1272년 카린티아 공작 메인하르트 2세의 명령에 따라 건설되었으며,신성 로마 제국의 티롤 백작마인하르트의 명령에 따라 만들어진 10km의 목재 파이프라인으로 인 강을 따라 증발 연못으로 인도되었으며, 제조된 소금은 티롤 이외에 스위스나 슈바르츠발트, 라인 계곡으로 출하되었다.[4] 염수는 10km(6마일)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홀의 증발 연못으로 연결되었다. 스위스, 검은 숲, 라인 계곡까지 상품을 수출하는 소금 산업의 중요성은 홀의 문장에 반영되어 있으며, 두 마리의 사자가 소금 통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1303년, 케른텐 공 겸 티롤 백작 오토에 의해 소금 판매권을 포함하여 인스브루크와 완전히 동일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할의 소금은 인 강, 도나우 강의 수운을 통해 티롤 북부의 주요 시장으로 출하되었다.[4] 도시가 되었다.
1447년, 상부 도시 지역의 상당 부분이 화재로 소실되면서 개발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했다. 화재로 시가지의 상당 부분이 피해를 입어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그 후의 복구에 호경기가 겹쳐 재건 붐이 수십 년이나 이어졌으며, 재건이 완료될 무렵에는 300채 이상의 건물이 있었다.[4] 1477년, 티롤 조폐국이 메란에서 홀로 이전하면서 주조 권한을 얻었다. 1477년에 오스트리아 대공지기스문트에 의해 조폐소가 메란에서 할로 이전되었다. 인근의 슈바츠에서의 은 생산을 예상한 것이라고 한다.[6] 1486년, 이 조폐국은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생산했다. 16세기, 홀의 조폐국은 세계 최초의 자동화된 주화 기계를 도입하기도 했다. 오늘날 이 혁신적인 기계의 재건물은 부르크 하세그의 홀 조폐 박물관[2]에서 볼 수 있다.
15세기와 16세기에 홀은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이 시기에 오늘날에도 도시의 모습을 형성하는 많은 교회, 수도원 및 수녀원이 건설되었다. 15세기부터 16세기를 통해, 할은 오스트리아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 시기에 구시가지의 교회와 수도원이 많이 건설되었다. 이 때문에, 할의 오래된 거리 풍경은 오스트리아의 서부에서 최대 규모가 되었다.[4]
2. 2. 중세 시대의 번영
홀 인 티롤은 1232년 문서에서 타우어 성 근처의 ''살리나''(소금 채취장)로 처음 언급되었다.[5] 현재 이름은 125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할레, 할라인, 슈베비슈 홀, 할슈타트와 마찬가지로 소금을 뜻하는 켈트어에서 유래되었다.13세기부터 마을 북쪽의 홀 계곡에 있는 압삼의 소금 광산은 마을과 주변 지역의 주요 산업을 형성했다. 최초의 갱도는 1272년 카린티아 공작 메인하르트 2세의 명령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염수는 1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홀의 증발 연못으로 연결되었다. 스위스, 검은 숲, 라인 계곡까지 상품을 수출하는 소금 산업의 중요성은 홀의 문장에 반영되어 있으며, 두 마리의 사자가 소금 통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티롤 백국의 마인하르트의 명령에 따라 만들어진 10km의 목재 파이프라인으로 인 강을 따라 증발 연못으로 인도되었으며, 제조된 소금은 티롤 이외에 스위스나 슈바르츠발트, 라인 계곡으로 출하되었다.[4]
1303년, 케른텐 공 겸 티롤 백작 오토에 의해 소금 판매권을 포함하여 인스브루크와 완전히 동일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할의 소금은 인 강, 도나우 강의 수운을 통해 티롤 북부의 주요 시장으로 출하되었다.[4] 도시가 되었다.
1447년, 상부 도시 지역의 상당 부분이 화재로 소실되면서 개발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했다. 화재로 시가지의 상당 부분이 피해를 입어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그 후의 복구에 호경기가 겹쳐 재건 붐이 수십 년이나 이어졌으며, 재건이 완료될 무렵에는 300채 이상의 건물이 있었다.[4] 1477년, 티롤 조폐국이 메란에서 홀로 이전하면서 주조 권한을 얻었다. 오스트리아 대공지기스문트에 의해 조폐소가 메란에서 할로 이전되었다. 인근의 슈바츠에서의 은 생산을 예상한 것이라고 한다.[6] 1486년, 이 조폐국은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생산했다. 16세기, 홀의 조폐국은 세계 최초의 자동화된 주화 기계를 도입하기도 했다. 오늘날 이 혁신적인 기계의 재건물은 부르크 하세그의 홀 조폐 박물관[2]에서 볼 수 있다. 고품질의 탈러 은화가 할의 하제크 성에서 만들어졌다.
15세기와 16세기에 홀은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이 시기에 오늘날에도 도시의 모습을 형성하는 많은 교회, 수도원 및 수녀원이 건설되었다. 오늘날 홀은 오스트리아 서부에서 가장 온전하게 보존된 구시가지를 가지고 있다. 15세기부터 16세기를 통해, 할은 오스트리아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 시기에 구시가지의 교회와 수도원이 많이 건설되었다. 이 때문에, 할의 오래된 거리 풍경은 오스트리아의 서부에서 최대 규모가 되었다.[4]
2. 3. 조폐 도시로서의 명성
티롤 백국의 홀 인 티롤은 1477년 메란에서 조폐국이 이전되면서 주조 권한을 얻었다.[2] 오스트리아 대공지기스문트는 인근 슈바츠에서의 은 생산을 예상하여 조폐소를 이전하였다.[6] 1486년, 이 조폐국은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생산했다.[2] 고품질의 탈러 은화는 할의 하제크 성에서 만들어졌다. 16세기, 홀의 조폐국은 세계 최초의 자동화된 주화 기계를 도입하기도 했다.[2] 이 기계의 복제품은 할 화폐 박물관(구: 하제크 성)에 전시되어 있다. 1809년에 조폐소 건물이 해체되었고, 조폐 기능의 일부가 뮌헨으로 이전되었다. 1975년에는 조폐소가 재개되었고, 1976년 동계 올림픽인스브루크 대회를 기념하여 100 실링 동전을 발행했다. 그 후에도 100실링과 500실링 동전을 발행했으며, 오스트리아가 유로로 이행하게 되자 2001년에 기념 주화로 1486년 이래의 굴디나 은화를 발행했다.[5]2. 4. 근대와 현대
티롤 백국의 홀 인 티롤은 1232년 문서에서 타우어 성 근처의 ''살리나''(소금 채취장)로 처음 언급되었다.[5] 현재 이름은 125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할레, 할라인, 슈베비슈 홀, 할슈타트와 마찬가지로 소금을 뜻하는 켈트어에서 유래되었다. 13세기부터 마을 북쪽의 홀 계곡에 있는 압삼의 소금 광산은 마을과 주변 지역의 주요 산업을 형성했다.[4] 최초의 갱도는 1272년 카린티아 공작 메인하르트 2세의 명령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염수는 10km(6마일)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홀의 증발 연못으로 연결되었다.[4] 스위스, 검은 숲, 라인 계곡까지 상품을 수출하는 소금 산업의 중요성은 홀의 문장에 반영되어 있으며, 두 마리의 사자가 소금 통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1303년, 도시가 된 홀은 인스브루크와 완전히 동일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인강과 다뉴브 강을 따라 홀에서 내려가는 무역과 관련된 사업은 이곳을 티롤 북부 지역의 주요 시장이자 무역 장소로 만들었다.[4]1447년, 상부 도시 지역의 상당 부분이 화재로 소실되면서 개발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했지만, 그 후 복구와 함께 재건 붐이 수십 년간 이어졌다.[4] 1477년, 티롤 조폐국이 메란에서 홀로 이전하면서 주조 권한을 얻었다.[6] 1486년, 이 조폐국은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생산했다. 16세기, 홀의 조폐국은 세계 최초의 자동화된 주화 기계를 도입하기도 했다. 오늘날 이 혁신적인 기계의 재건물은 부르크 하세그의 홀 조폐 박물관[2]에서 볼 수 있다. 15세기와 16세기에 홀은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이 시기에 오늘날에도 도시의 모습을 형성하는 많은 교회, 수도원 및 수녀원이 건설되었다. 오늘날 홀은 오스트리아 서부에서 가장 온전하게 보존된 구시가지를 가지고 있다.[4]
합스부르크 군주국 시대에 홀에 군대가 주둔했다. 이는 대규모 화물 열차역과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규모 폭격의 대상이 되었으며, 열차역은 파괴되었지만 구시가는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 1858년에 철도(쿠프슈타인 - 인스브루크 선)가 개통되어, 이 이후 인 강을 이용한 수운이 쇠퇴했다.[4]
1938년부터 1974년까지 이 마을은 '''졸바트 홀'''이라고 불렸다. 1967년 소금 광산이 폐쇄된 지 몇 년 후,[4] "졸바트"는 마을 이름에서 삭제되었다. 1973년에 구시가지의 재활성화가 시작되었으며, 그 후 수십 년 동안 300채 이상의 가옥이 복구되었다.[4] 1975년에는 조폐소가 재개되었고, 1976년 동계 올림픽인스브루크 대회를 기념하여 100 실링 동전을 발행했다. 2013년 2월 1일, 할 인 티롤은 세계 유산의 임시 목록에 선정되었으나,[5] 2015년 제39회 세계 유산 위원회에 의한 심의 전에 추천이 철회되었다.[8]
3. 인구
할인티롤의 인구는 1869년 5,333명에서 2011년 12,695명으로 증가했다. 1971년 12,873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1981년과 1991년에는 소폭 감소했다가 2001년에는 11,492명까지 줄었다. 2011년 1월에는 약 12,700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 연도 | 인구 |
|---|---|
| 1869 | 5,333 |
| 1880 | 5,657 |
| 1890 | 5,982 |
| 1900 | 6,438 |
| 1910 | 7,365 |
| 1923 | 7,454 |
| 1934 | 8,657 |
| 1939 | 9,349 |
| 1951 | 10,075 |
| 1961 | 10,811 |
| 1971 | 12,873 |
| 1981 | 12,614 |
| 1991 | 12,368 |
| 2001 | 11,492 |
| 2011 | 12,695 |
3. 1. 인구 변화
할인티롤의 인구는 1869년 5,333명에서 2011년 12,695명으로 증가했다. 1971년 12,873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1981년과 1991년에는 소폭 감소했다가 2001년에는 11,492명까지 줄었다. 2011년 1월에는 약 12,700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연도 | 인구 |
|---|---|
| 1869 | 5,333 |
| 1880 | 5,657 |
| 1890 | 5,982 |
| 1900 | 6,438 |
| 1910 | 7,365 |
| 1923 | 7,454 |
| 1934 | 8,657 |
| 1939 | 9,349 |
| 1951 | 10,075 |
| 1961 | 10,811 |
| 1971 | 12,873 |
| 1981 | 12,614 |
| 1991 | 12,368 |
| 2001 | 11,492 |
| 2011 | 12,695 |
4. 지리
할인티롤은 인스브루크에서 동쪽으로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5] 해발 고도는 574m이다.
==== 기후 ====
할인티롤의 기후는 겨울이 길고 매우 추우며, 짧고 맑은 날씨와 적은 강수량(주로 눈), 낮은 습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할인티롤의 기후는 "Dfc" (대륙성 아한대 기후)에 속한다.[3]
4. 1. 기후
할인티롤의 기후는 겨울이 길고 매우 추우며, 짧고 맑은 날씨와 적은 강수량(주로 눈), 낮은 습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할인티롤의 기후는 "Dfc" (대륙성 아한대 기후)에 속한다.[3]5. 문화
할인티롤 시의 문장은 소금 통을 든 두 마리의 사자를 디자인했다.
5. 1. 갤러리
6. 자매 도시
할 인 티롤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9]
- 이절론, 독일 (1967년~)
- 빈터투어, 스위스
- 솜마캄파냐, 이탈리아
- 아르코, 이탈리아
- 브릭센/브레사노네, 이탈리아
7. 주요 인물
- 블라지우스 아몬 (1558–1590), 오스트리아 출신 프란체스코 수도회 수사이자 가톨릭 사제, 작곡가이자 가수
- 크리스토프 그리엔베르거 (1561–1636), 예수회 천문학자

- 히폴리투스 구아리노니 (1571–1654), 트리엔트 의사이자 박식가, 지역 거주
- 클로틸데 카이너스토르퍼 (1833–1897), 오스트리아 작곡가로 피아노와 오르간을 위한 종교 작품 작곡
- 오토 스톨츠 (1842–1905), 오스트리아 수학자, 수학적 분석 및 무한소 연구
- 베르너 피르히너 (1940–2001), 오스트리아 작곡가이자 재즈 음악가
- 잉그리페 펠리페 (1978년 출생), 오스트리아 녹색당 소속 정치인, 2013년부터 티롤주 부지사
- 클라우디아 기너 (1985년 출생), 오스트리아 팝 가수
- 크리스티안 추군날 (1988년 출생), 오스트리아 드러머, 작곡가 및 작가

7. 1. 스포츠
할인티롤 출신 스포츠 선수로는 여러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있다. 클라우스 디비아시는 세 번의 올림픽 다이빙 금메달을 획득했다. 안드레아스 펠더는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스키 점프 선수이며, 에른스트 베토리는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및 팀 은메달을 획득했다. 크리스토프 빌러는 2006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노르딕 복합 스키 선수이다.미하엘 슈트라이터는 오스트리아에서 452경기 출전, 34골을 기록한 축구 선수이자 코치였다. 안드레아스 슈로트는 270경기 이상 출전한 축구 감독이자 선수였다.
안드레아스 링거와 볼프강 링거는 2006년 동계 올림픽 및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팀 금메달을 획득한 루지 선수들이다. 페터 펜츠와 게오르크 피슐러는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팀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다비드 글라이르셔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금메달리스트이다. 야닌 플록은 스켈레톤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ressetexte
https://www.hall-in-[...]
2024-10-02
[2]
웹사이트
Hall Mint Museum
http://www.muenze-ha[...]
[3]
웹사이트
Climate Summary for Hall in Tirol
http://www.weatherba[...]
[4]
웹사이트
Hall in der Geschichte
https://www.hall-in-[...]
Stadtamt Hall
2023-01-30
[5]
웹사이트
Hall in Tyrol – The Mint
https://whc.unesco.o[...]
世界遺産委員会
2023-01-31
[6]
문서
山之内
[7]
문서
ICOMOS
[8]
문서
World Heritage Centre 2015b
[9]
웹사이트
Partnerstadt und befreundete Städte
https://www.hall-in-[...]
Stadtamt Hall
202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