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백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백역은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했던 철도역으로, 1957년 3월 10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함백광업소 폐광 이후 쇠퇴하여 1998년 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2006년 역사가 철거되었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복원 추진으로 2008년 복원 공사를 거쳐 재건립되었으나, 2008년 1월 1일부터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현재는 섬식 승강장 1면 1선의 지상역으로, 역과 관련된 역사 전시 공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백선 - 예미역
예미역은 강원도 삼척시 예미읍에 위치한 태백선과 함백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며, 일제강점기 역명 유래와 정선아리랑열차 역사, 그리고 영월역과 민둥산역 사이의 지역 교통 중심지라는 특징을 가진다. - 함백선 - 조동역
조동역은 태백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과거 함백선 열차의 종착역이었으며 예미역과 민둥산역 사이에 있다. - 정선군의 건축물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정선군의 건축물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57년 개업한 철도역 - 예미역
예미역은 강원도 삼척시 예미읍에 위치한 태백선과 함백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며, 일제강점기 역명 유래와 정선아리랑열차 역사, 그리고 영월역과 민둥산역 사이의 지역 교통 중심지라는 특징을 가진다. - 1957년 개업한 철도역 - 서생역
서생역은 1957년 영업을 시작하여 1999년 역사가 철거되고 2007년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으나, 2021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여객 취급이 재개된 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간절곶과 새울원자력본부 인근에 위치한다.
함백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함백 |
읽기 | 함베ク |
로마자 표기 | Hambaek |
부역명 | 해당사항 없음 |
소속 노선 | 함백선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함백로 596 |
역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충북지역관리단 민둥산관리역 |
역 종류 | 무배치간이역 (예미역 관리) |
역 등급 | 해당사항 없음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섬식 1면 1선 |
개업일 | 1957년 3월 10일 |
폐지일 | 해당사항 없음 |
비고 | 해당사항 없음 |
노선 정보 (함백선) | |
역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기점역 | 당역 |
영업 거리 | 예미 기점 5.2 km |
이전 역 | 예미 |
다음 역 | 조동 |
이전 역 간 거리 | 5.2 km |
다음 역 간 거리 | 4.4 km |
2. 역사
1957년 3월 10일 영월역과 예미역 사이 22.6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함백역은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고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74년 12월 20일에는 함백역과 조동신호장 사이 루프 터널인 함백 제1 터널이 착공되었다. 1976년 12월 30일 함백 제1 터널이 완공되어 함백선 전선이 개통되었다.
1993년 8월 31일 함백광업소가 폐광되면서, 함백역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998년 2월 3일에는 역원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4년 4월 1일에는 통일호 열차 운행이 중지되고 하행선 무궁화호 1회만 정차하게 되었다. 2006년 10월 31일에는 함백역사가 철거되었다.
2006년 10월 31일, 정선군의 공문 지시로 지역 주민과의 협의 없이 함백역사가 철거되어 해당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함백역 철거를 정선군에 공문 발송으로만 양해를 구하려 했고, 당초 11월 30일이었던 예정일을 한 달 앞당겨 시행했다. 철거 시 역의 각종 사유, 기록물을 보관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철거 및 파괴하여 비난 여론이 잇따랐다.
2006년 11월 7일 신동면 주민들이 주민회의를 통해 성금을 모아 함백역을 복원하기로 합의하고, 2007년에는 함백역 복원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이후 모금, 지원 운동과 함께 지자체와의 여러 협의를 거쳐 2008년 6월 9일에 기공식을 가졌다. 그러나 때마침 발생한 화물노조의 파업으로 주요 건설 물자 운송에 차질을 입어, 실질적인 착공은 6월 25일 오전 7시 30분에 이루어졌다. 착공 당일 기초 공사를 하던 도중, 1957년 역 건설 당시의 기초 공사가 매우 탄탄하게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당초 함백역은 철거된 지 꼭 2년 만인 2008년 10월 31일에 준공식을 가지려 했으나, 국가기록원으로부터 '기록사랑마을 1호'로 함백역을 포함한 이 일대가 선정되면서 '기록사랑마을 1호'로의 공식 선포식과 함께 병행하기로 하여 2008년 11월 25일에 준공식을 갖게 되었다. 재건립된 역사 내부에는 국가기록원의 주선으로 함백역과 이 지역에 관한 역사 등을 소개하는 전시 공간을 갖추었다.
2004년 4월 1일 통일호 운행 중지 이후 하행선 무궁화호 1회만 정차하였다. 2006년 10월 31일 함백역사가 철거되었으며, 2008년 1월 1일부터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이후 2008년 6월 9일 함백역사 복원공사 기공식이 열렸고, 같은 해 6월 25일 오전 7시 30분에 복원공사가 실질적으로 착공되었다. 2008년 11월 25일, 함백역사 복원 준공식이 기록사랑마을 1호 선포식과 함께 진행되었다.
2. 1. 초기 역사 및 함백선 개통 (1957~1976)
1957년 3월 10일 영월역과 예미역 사이 22.6km 구간이 개통되면서 함백역은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고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74년 12월 20일에는 함백역과 조동신호장 사이 루프 터널인 함백 제1 터널이 착공되었다. 1976년 12월 30일 함백 제1 터널이 완공되어 함백선 전선이 개통되었다.2. 2. 함백광업소 폐광과 역의 쇠퇴 (1993~2006)
1993년 8월 31일 함백광업소가 폐광되면서,[6] 함백역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998년 2월 3일에는 역원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4년 4월 1일에는 통일호 열차 운행이 중지되고 하행선 무궁화호 1회만 정차하게 되었다. 2006년 10월 31일에는 함백역사가 철거되었다.[6]2. 3. 불시 철거와 논란 (2006)
2006년 10월 31일, 정선군의 공문 지시로 지역 주민과의 협의 없이 함백역사가 철거되어 해당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2] 한국철도시설공단은 함백역 철거를 정선군에 공문 발송으로만 양해를 구하려 했고, 당초 11월 30일이었던 예정일을 한 달 앞당겨 시행했다. 철거 시 역의 각종 사유, 기록물을 보관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철거 및 파괴하여 비난 여론이 잇따랐다.[2]2. 4. 복원 추진과 결실 (2006~2008)
2006년 11월 7일 신동면 주민들이 주민회의를 통해 성금을 모아 함백역을 복원하기로 합의하고,[3] 2007년에는 함백역 복원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이후 모금, 지원 운동과 함께 지자체와의 여러 협의를 거쳐 2008년 6월 9일에 기공식을 가졌다.[3] 그러나 때마침 발생한 화물노조의 파업으로 주요 건설 물자 운송에 차질을 입어, 실질적인 착공은 6월 25일 오전 7시 30분에 이루어졌다. 착공 당일 기초 공사를 하던 도중, 1957년 역 건설 당시의 기초 공사가 매우 탄탄하게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3]당초 함백역은 철거된 지 꼭 2년 만인 2008년 10월 31일에 준공식을 가지려 했으나, 국가기록원으로부터 '기록사랑마을 1호'로 함백역을 포함한 이 일대가 선정되면서[4] '기록사랑마을 1호'로의 공식 선포식과 함께 병행하기로 하여 2008년 11월 25일에 준공식을 갖게 되었다.[5] 재건립된 역사 내부에는 국가기록원의 주선으로 함백역과 이 지역에 관한 역사 등을 소개하는 전시 공간을 갖추었다.[5]
2. 5. 여객 취급 중지 (2008~현재)
2004년 4월 1일 통일호 운행 중지 이후 하행선 무궁화호 1회만 정차하였다.[6] 2006년 10월 31일 함백역사가 철거되었으며, 2008년 1월 1일부터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6]이후 2008년 6월 9일 함백역사 복원공사 기공식이 열렸고, 같은 해 6월 25일 오전 7시 30분에 복원공사가 실질적으로 착공되었다.[6] 2008년 11월 25일, 함백역사 복원 준공식이 기록사랑마을 1호 선포식과 함께 진행되었다.[6]
3. 역 구조
4. 역 주변
5. 연혁
1957년 3월 10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고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1976년 12월 30일 조동~함백 간 루프식 터널이 개통되었다. 1974년 12월 20일에는 당역과 조동신호장 간 루프 터널(함백 제1 터널)이 착공되었고, 1976년 12월 30일 함백 제1 터널이 완공되어 함북선 전선이 개통되었다.
1993년 8월 31일 함백광업소가 폐광되었고,[6] 1998년 2월 3일 역원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004년 4월 1일 통일호 열차 운행이 중지되고 하행선 무궁화호 1회만 정차하였다.
2006년 10월 31일 함백역사가 철거되었고, 2008년 1월 1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이후 2008년 6월 9일 함백역사 복원공사 기공식이 있었고, 2008년 6월 25일 오전 7시 30분부터 함백역사 복원공사가 실질적으로 착공되었다. 2008년 11월 25일 함백역사 복원 준공식이 기록사랑마을 1호 선포식과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참조
[1]
뉴스
'전지현-손학규의 추억' 함백역 순식간에 폭삭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6-11-08
[2]
뉴스
정선 50년 `함백역사' 철거 단행 반발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6-11-06
[3]
뉴스
철거된 정선 함백역사 부활의 첫 삽 떴다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08-06-09
[4]
뉴스
정선 함백역 국내 첫 기록사랑마을 지정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8-10-13
[5]
뉴스
정선 함백역 주민들 손으로 복원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11-25
[6]
뉴스
석탄공사 함백광업소 사실상 폐광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93-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