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미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에 있는 철도역이다. 1914년 일제가 지역 통합 때 여미산을 예미산으로 변경하면서 역명으로 사용되었다. 1957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한국철도공사 태백선과 함백선이 분기하는 역으로, 무궁화호와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백선 - 조동역
조동역은 태백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과거 함백선 열차의 종착역이었으며 예미역과 민둥산역 사이에 있다. - 함백선 - 함백역
함백역은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했던 철도역으로, 1957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8년 간이역으로 격하되고 2008년 복원되었지만, 2008년 여객 취급이 중지된 섬식 승강장 1면 1선의 지상역이다. - 정선군의 건축물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정선군의 건축물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태백선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태백선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예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명 | 예미역 |
한자 표기 | 禮美驛 |
로마자 표기 | Yemi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함백로 55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충북지역관리단 민둥산관리역 |
개업일 | 1957년 3월 10일 |
승강장 | 섬식 1면 2선 |
단말기 | 119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1 | 태백선 |
기점역 1 | 제천 |
영업 거리 1 | 52.1 km |
이전 역 1 | 석항 |
역간 거리 1 | 3.1 |
다음 역 1 | 조동 |
역간 거리 2 | 6.6 |
소속 노선 2 | 함백선 |
기점역 2 | 당역 |
영업 거리 2 | 0.0 km |
다음 역 2 | 함백 |
역간 거리 3 | 5.2 |
이미지 | |
![]() | |
![]() | |
![]() |
2. 역명 유래
1914년 일제가 지역을 통합할 때 여미산을 예미산으로 바꿔 부르면서 붙여진 이름에서 유래하였다.[1]
1957년 3월 10일 예미역은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2] 1977년 9월 5일 역사 준공,[3] 1994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9년 4월 30일 피난선 철거, 2013년 11월 14일 제천 기점 52.1km로 변경되었다.[4] 2015년 1월 22일 정선아리랑열차(A-Train) 운행이 시작되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현재는 운행이 중지된 상태이다. 2020년 3월 2일부터 영동선 무궁화호(청량리 ~ 동해)가 운행을 시작하였다.
3. 역사
3. 1. 연혁
4. 역 구조
태백선 예미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상행으로는 영월역 방면, 하행으로는 민둥산역 방면으로 연결된다.
4.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4. 2. 시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5. 이용 가능한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