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93년은 명나라 홍치 6년, 일본 메이오 2년, 후 레 왕조 홍덕 24년에 해당하며, 간지는 계축년이다. 주요 사건으로 성현이 악학궤범을 완성했고, 일본에서 메이오 정변이 일어났으며, 이세 소즈이가 이즈 국을 침공했다. 콜럼버스는 도미니카 연방을 발견하고, 하르트만 셰델의 누른베르크 연대기가 발간되었다. 유럽에서는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고, 콜럼버스가 두 번째 탐험 항해를 시작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즉위했다. 이 해에는 루이 드 부르봉 드 방돔, 올라우스 페트리,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 파라켈수스 등 다양한 인물이 태어났으며, 김시습, 프리드리히 3세, 마르틴 알론소 핀손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3년 - 크르바바 평원 전투
크르바바 평원 전투는 1493년 크로아티아 왕국과 오스만 제국 간에 크르바바 평원에서 벌어진 전투로, 크로아티아 군대의 패배와 사회적 충격을 가져왔으나 크로아티아-헝가리 왕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지속적인 충돌의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493년 |
---|
2. 연호
3. 기년
간지 | 계축 |
---|---|
류큐 왕국 | 쇼신왕 17년 |
명 | 효종 홍치제 6년 |
조선 | 성종 24년 |
후 레 왕조 | 성종 34년 |
일본 | 명응 2년 |
황기 | 2153년 |
단기 | 3826년 |
불멸기원 | 2035년 - 2036년 |
이슬람력 | 898년 - 899년 |
유대력 | 5253년 - 5254년 |
4. 사건
- 성현이 악학궤범을 완성하였다.
- 콜럼버스가 도미니카 연방을 발견하였다.
- 4월 12일 - 안파오 전투: 아스키아 모하마드 1세가 소니 바루를 물리치고 송가이 제국의 왕위를 찬탈하였다.[2]
- 11월 19일 - 콜럼버스가 보린켄 섬 해안에 상륙하여 산후안(오늘날 푸에르토리코)으로 개명하였다.
- 와이나 카팍이 잉카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 (명응 2년 4월 22일) - 명응의 정변, 관령 세가와 마사모토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이대장군 아시카가 요시타네를 몰아내고, 청광(아시카가 요시스미)를 옹립하였다.
- 이마가와 씨 가신 이세 소스이(호죠 소운)의 이즈 국 침공.
- 하르트만 셰델의 누른베르크 연대기 발간
4. 1. 유럽
- 1월 19일 – 바르셀로나 조약: 샤를 8세가 세르다냐와 루시용을 페르디난드 2세에게 반환하였다.[1]
- 3월 1일 – 마르틴 알론소 핀손이 탐험 항해에서 스페인의 바욘 시로 귀환하여 카톨릭 군주들에게 최초로 발견 소식을 전달하였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아소르스 제도의 폭풍으로 지연됨).
- 3월 4일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리스본에 정박하여 2월 15일자 첫 번째 항해에 관한 서한을 완성하여 발견 소식을 전달하였다.
- 3월 15일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와 마르틴 알론소 핀손이 최초 탐험 항해를 시작했던 스페인의 원래 항구인 팔로스 데 라 프론테라로 귀환하였다.
- 5월 4일 – 교황령 인테르 카에테라에서 알렉산드르 6세가 아소르스 제도에서 100리그(또는 그 서쪽) 이상 떨어진 모든 발견된 땅은 스페인의 것이라고 선포하였다.
- 8월 19일 – 막시밀리안 1세가 그의 아버지 프리드리히 3세를 계승하여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되었다.
- 9월 9일 – 남부 크로아티아의 크르바바 전투: 오스만 제국 군대가 크로아티아 왕국 군대를 패배시켰다.
- 9월 24일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카디스를 떠나 두 번째 탐험 항해를 시작하였다.
- 9월 26일 – 알렉산드르 6세가 카톨릭 군주들에게 교황령 두둠 시퀴뎀을 발표하여 인테르 카에테라에서 그들에게 부여한 새로 발견된 땅에 대한 권한을 확대하였다.
- 잉글랜드가 잉글랜드 왕위 계승자를 자칭한 퍼킨 워벡을 지지한 부르고뉴에 제재를 가하였다.[3]
- 제임스 4세가 존 맥도널드 2세의 영토를 장악하여 아일 오브 아일스의 영주의 지위를 종식시켰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최초로 알려진 헬리콥터 설계도를 제작하였다.
5. 탄생
1493년에는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태어났다.
- 1월 2일 - 루이 드 부르봉 드 방돔(Louis de Bourbon de Vendôme), 프랑스 추기경
- 1월 6일 - 올라우스 페트리(Olaus Petri), 스웨덴 성직자
- 1월 9일 - 요한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Johann of Brandenburg-Ansbach), 발렌시아 총독, 독일 귀족
- 1월 25일 - 막시밀리안 스포르차(Maximilian Sforza), 밀라노 공작
- 1월 26일
- * 민빈(Min Bin), 아라칸의 왕
- * 조반니 포조(Giovanni Poggio), 이탈리아 추기경이자 외교관
- * 이폴리타 마리아 스포르차(Ippolita Maria Sforza), 이탈리아 귀족
- 2월 9일 - 헬레네 폰 데어 팔츠(Helen of the Palatinate), 포메라니아 공작 부인
- 3월 15일 - 안 드 몽모랑시(Anne de Montmorency), 프랑스 컨스터블(Constable of France)
- 4월 11일 - 게오르크 1세, 포메라니아 공작(George I, Duke of Pomerania), 그리핀 가문
- 4월 25일 - 조반니 가디(Giovanni Gaddi), 이탈리아 사제
- 5월 5일 - 알레산드로 파스쿠알리니(Alessandro Pasqualini), 이탈리아 건축가
- 5월 6일 - 지롤라모 세리판도(Girolamo Seripando), 가톨릭 추기경
- 6월 5일 - 유스투스 요나스(Justus Jonas), 독일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가
- 6월 10일 - 안톤 푸거(Anton Fugger), 독일 상인
- 9월 28일 - 안젤로 피렌주올라(Agnolo Firenzuola), 이탈리아 시인이자 문학가
- 9월 29일 - 이광식(Yi Gwang-sik), 조선의 무관
- 10월 14일 - 시마즈 다다요시(Shimazu Tadayoshi), 일본 센고쿠 시대의 다이묘
- 10월 17일 - 바르톨로메오 반디넬리(Bartolommeo Bandinelli),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조각가
- 11월 11일 - 베르나르도 타소(Bernardo Tasso), 이탈리아 궁정 시인[4]
- 11월 11일 또는 12월 17일 - 파라켈수스(Paracelsus)(필리푸스 폰 호엔하임(Philippus von Hohenheim)), 스위스 의사이자 과학자[5]
- 11월 17일 - 존 네빌(John Neville), 3대 레이티머 남작, 영국 정치인
- 11월 25일 - 카타로의 오산나(Osanna of Cattaro), 도미니크 수녀, 환시자이자 은둔자
- 12월 9일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Íñigo López de Mendoza), 4대 인판타도 공작
- 12월 25일 - 앙투아네트 드 부르봉(Antoinette de Bourbon), 프랑스 귀족 여성
- 12월 27일 - 요한 페프핑거(Johann Pfeffinger), 독일 신학자
- 12월 30일 - 아사쿠라 타카카게(朝倉孝景), 일본 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 12월 31일 - 엘레오노라 곤자가(Eleonora Gonzaga), 우르비노 공작 부인, 이탈리아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공작 부인
- 5월 13일 - 마르틴 데 아스피쿠에타(Martín de Azpilcueta), 스페인의 르네상스 시대 신학자, 철학자, 법학자
- 11월 13일 - 빌헬름 4세 (바이에른 공작)(Wilhelm IV. (Bayern)), 바이에른 공
- 날짜 불명
- * 요브스트 2세, 호야 백작(Jobst II, Count of Hoya)
- * 지몬 그리나이우스(Simon Grynaeus), 독일 학자이자 신학자
- * 마쓰다이라 시게요시(Matsudaira Shigeyoshi), 일본 장군
- * 장 뒤 벨레(Jean du Bellay), 프랑스 추기경이자 외교관 (추정)
- * 로버트 맥스웰(Robert Maxwell), 5대 맥스웰 경, 스코틀랜드 정치가 (추정)
- * 아카나 미츠키요(赤穴光清),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 * 아소 코레토요(阿蘇惟豊),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아소 씨의 18대 당주
- * 이로부 카츠나가(色部勝長),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 * 키소 요시자이(木曾義在),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 * 난부 야스노부(南部安信),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난부 씨의 23대 당주
- * 호조 겐안(北条幻庵),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 * 미즈노 타다마사(水野忠政),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 * 야나다 타카스케(簗田高助),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 * 야마모토 칸스케(山本勘助),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 * 와타리 무네타카(亘理宗隆),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5. 1. 동아시아
己酉年|기유년중국어 (1492년 12월 20일 ~ 1494년 1월 17일)출생 |
---|
5. 2. 유럽
- 1월 2일 – 루이 드 부르봉 드 방돔(Louis de Bourbon de Vendôme), 프랑스 추기경 (1557년 사망)
- 1월 9일 – 요한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Johann of Brandenburg-Ansbach), 발렌시아 총독, 독일 귀족 (1525년 사망)
- 1월 25일 – 막시밀리안 스포르차(Maximilian Sforza), 밀라노 공작 (1530년 사망)
- 2월 9일 – 헬레네 폰 데어 팔츠(Helen of the Palatinate), 포메라니아 공작 부인 (1524년 사망)
- 3월 15일 – 안 드 몽모랑시(Anne de Montmorency), 프랑스 컨스터블(Constable of France) (1567년 사망)
- 4월 11일 – 게오르크 1세, 포메라니아 공작(George I, Duke of Pomerania), 그리핀 가문 (1531년 사망)
- 4월 25일 – 조반니 가디(Giovanni Gaddi), 이탈리아 사제 (1542년 사망)
- 5월 5일 – 알레산드로 파스쿠알리니(Alessandro Pasqualini), 이탈리아 건축가 (1559년 사망)
- 5월 6일 – 지롤라모 세리판도(Girolamo Seripando), 가톨릭 추기경 (1563년 사망)
- 6월 5일 – 유스투스 요나스(Justus Jonas), 독일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가 (1555년 사망)
- 6월 10일 – 안톤 푸거(Anton Fugger), 독일 상인 (1560년 사망)
- 9월 28일 – 안젤로 피렌주올라(Agnolo Firenzuola), 이탈리아 시인이자 문학가 (1543년 사망)
- 10월 14일 – 시마즈 다다요시(Shimazu Tadayoshi), 일본 센고쿠 시대의 다이묘 (1568년 사망)
- 10월 17일 – 바르톨로메오 반디넬리(Bartolommeo Bandinelli),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조각가 (1560년 사망)
- 11월 11일 – 베르나르도 타소(Bernardo Tasso), 이탈리아 궁정 시인 (1569년 사망)[4]
- 11월 11일 또는 12월 17일 – 파라켈수스(Paracelsus), 필리푸스 폰 호엔하임(Philippus von Hohenheim) 출생, 스위스 의사이자 과학자 (1541년 사망)[5]
- 11월 17일 – 존 네빌(John Neville), 3대 레이티머 남작, 영국 정치인 (1543년 사망)
- 11월 25일 – 카타로의 오산나(Osanna of Cattaro), 도미니크 수녀, 환시자이자 은둔자 (1565년 사망)
- 12월 9일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Íñigo López de Mendoza), 4대 인판타도 공작 (1566년 사망)
- 12월 25일 – 앙투아네트 드 부르봉(Antoinette de Bourbon), 프랑스 귀족 여성 (1583년 사망)
- 12월 27일 – 요한 페프핑거(Johann Pfeffinger), 독일 신학자 (1573년 사망)
- 12월 31일 – 엘레오노라 곤자가(Eleonora Gonzaga), 우르비노 공작 부인, 이탈리아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공작 부인 (1570년 사망)
- 5월 13일 - 마르틴 데 아스피쿠에타(Martín de Azpilcueta), 스페인의 르네상스 시대 신학자, 철학자, 법학자 (1586년 사망)
- 11월 13일 - 빌헬름 4세 (바이에른 공작)(Wilhelm IV. (Bayern)), 바이에른 공 (1550년 사망)
- 12월 30일 - 아사쿠라 타카카게(朝倉孝景),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아사쿠라 씨의 10대 당주 (1548년 사망)
- 날짜 불명
- * 요브스트 2세, 호야 백작(Jobst II, Count of Hoya) (1545년 사망)
- * 지몬 그리나이우스(Simon Grynaeus), 독일 학자이자 신학자 (1541년 사망)
- * 마쓰다이라 시게요시(Matsudaira Shigeyoshi), 일본 장군 (1580년 사망)
- * 장 뒤 벨레(Jean du Bellay), 프랑스 추기경이자 외교관 (1560년 사망) - 추정
- * 로버트 맥스웰(Robert Maxwell), 5대 맥스웰 경, 스코틀랜드 정치가 (1546년 사망) - 추정
- * 아카나 미츠키요(赤穴光清),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1542년 사망)
- * 아소 코레토요(阿蘇惟豊),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아소 씨의 18대 당주 (1559년 사망)
- * 이로부 카츠나가(色部勝長),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1569년 사망)
- * 키소 요시자이(木曾義在),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1558년 사망)
- * 난부 야스노부(南部安信),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난부 씨의 23대 당주 (1541년 사망)
- * 호조 겐안(北条幻庵),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1589년 사망)
- * 미즈노 타다마사(水野忠政), 일본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1543년 사망)
- * 야나다 타카스케(簗田高助),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1550년 사망)
- * 야마모토 칸스케(山本勘助),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1561년 사망)
- * 와타리 무네타카(亘理宗隆), 일본전국 시대의 무장 (1556년 사망)
6. 사망
- 8월 19일 - 프리드리히 3세[6]: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김시습: 조선 초기의 문신
- 투팍 잉카 유판키: 잉카 제국의 제10대 사파 잉카
- 아흐마드 자르룩(Ahmad Zarruq): 모로코 학자이자 수피 성직자
6. 1. 동아시아
1493년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인물들이 사망한 해이다.- 6월 9일 (명응 2년 윤달4월 25일) -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무로마치 막부 관령, 슈고 다이묘. (* 1442년)
- 12월 7일 (명응 2년 10월 29일) - 키쿠치 시게토모: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센고쿠 다이묘, 키쿠치 씨 제21대 당주. (* 1449년)
- 12월 25일 (명응 2년 11월 17일) - 요코가와 케이잔: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임제종 승려. (* 1429년)
- 12월 26일 (명응 2년 11월 18일) - 우에하라 모토히데: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무장, 슈고다이. (* 생년 미상)
- 오토모 치카시게: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슈고 다이묘, 센고쿠 다이묘, 오토모 씨 제15대 당주. (* 1411년)
- 오가사와라 마사히데: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슈고, 센고쿠 다이묘. (* 생년 미상)
- 마사히로: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승려, 가인. (* 1412년)
- 치바 스케타네: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무장. (* 1446년)
- 하타노 젠케이: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유키 나오토모: 무로마치 시대와 센고쿠 시대의 무장, 시라카와 유키 씨 제7대 당주. (* 1410년경)
- 조선 초기의 문신 매월당 김시습
6. 2. 유럽
- 5월 – 피에트로 안토니오 솔라리(Pietro Antonio Solari), 이탈리아 건축가 (출생 1450년)
- 5월 10일 – 콜린 캠벨(Colin Campbell), 1대 아가일 백작(Earl of Argyll), 스코틀랜드 정치인 (출생 1433년경)
- 5월 14일 – 난니나 데 메디치(Nannina de' Medici), 메디치 가문 일원 (출생 1448년)
- 6월 14일 – 에르몰라오 바르바로(Ermolao Barbaro), 이탈리아 학자 (출생 1454년)
- 8월 19일 – 프리드리히 3세[6],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출생 1415년)
- 9월 9일 – 미르코 데렌친(Mirko Derenčin), 크로아티아 지도자
- 10월 11일 – 엘레오노라 나폴리타나(Eleanor of Naples), 페라라 공작 부인 (출생 1450년)
- 10월 22일 – 제임스 더글러스(James Douglas), 1대 모튼 백작(Earl of Morton)
- 11월 6일 – 안드레이 볼쇼이(Andrey Bolshoy), 러시아 왕자 (출생 1446년)
- 날짜 미상
- * 제임스 블런트(James Blount), 잉글랜드 군인
- * 이사벨 브라스 윌리엄슨(Isabel Bras Williamson), 스코틀랜드 상인 (출생 1430년)
- * 마르틴 알론소 핀손(Martín Alonso Pinzón), 스페인 항해사이자 탐험가 (출생 1441년경)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Events for Year 1493 | OnThisDay.com
http://www.historyor[...]
2017-04-22
[2]
백과사전
1493
Helicon Books
1999
[3]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4]
서적
Bernardo Tasso
https://books.google[...]
Ed. di Storia e Letteratura
[5]
서적
Spring
https://books.google[...]
Spring Publications.
[6]
백과사전
Frederick III Holy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