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06년은 명나라 정덕 원년, 일본 에이쇼 3년, 조선 연산군 12년/중종 원년 등에 해당하며, 주요 사건, 탄생, 사망 등이 있었다. 9월 18일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즉위했으며,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이 로마에서 발굴되고 바티칸에 스위스 근위병이 도착했다. 또한 헨리 8세가 황금 양모 기사단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카난노르 전투가 벌어졌다. 4월 18일에는 성 베드로 대성당의 기초석이 놓였으며, 5월 20일에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사망했고, 11월 20일에는 연산군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6년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연도 | 1506년 |
| 사건 | |
| 발생 | 1월 24일: 루이 12세와 페르디난도 2세가 동맹을 맺었다. 4월 18일: 성 베드로 대성당의 주춧돌이 놓여졌다. 4월 22일: 마르쿠스의 딸, 마르쿠스의 아내, 루이의 아내 필리피나가 사망했다. 5월 20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죽었다. 6월 7일: 포르투갈과 에스파냐가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다시 한번 맺었다. 8월 7일: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와 오스트리아의 카를 5세의 누이 엘리너가 결혼했다. 9월 25일: 바르바라 자폴리야가 브란덴부르크의 공작 요아힘 1세와 결혼했다. 10월 21일: 교황 율리오 2세가 스위스 용병을 고용하여 교황청 근위대를 설립했다. |
| 기타 |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독일에서 재산권을 확립했다. 폴란드와 몰다비아 사이에 전쟁이 시작되었다. 메르카토르 지도를 처음 만든 제라르두스 메르카토르가 태어났다. 카롤루스 5세의 누나인 오스트리아의 엘레오노레가 태어났다. |
| 문화 | |
| 예술 |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했다. 조르조네가 잠자는 비너스를 그리기 시작했다. |
| 출생 | |
| 주요 인물 | 1월 13일: 막시밀리안 2세,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4월 7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예수회 설립자 7월 1일: 루이 2세 드 부르봉, 몽팡시에 공작 제라르두스 메르카토르, 플랑드르의 지도 제작자 오스트리아의 엘레오노레, 카를 5세의 누이 |
| 사망 | |
| 주요 인물 | 5월 20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이탈리아의 탐험가 필리피나, 루이의 아내 마르쿠스의 아내 마르쿠스의 딸 |
2. 연호 및 기년
- 명나라 : 정덕 원년
- 일본 : 에이쇼(永正일본어) 3년
- 후 레 왕조 : 도안카인(端慶) 2년
- 류큐 : 쇼신왕(尚真王일본어) 30년
- 조선 : 연산군 12년 / 중종 원년
- 간지 : 병인
- 단군기원 : 3839년
- 황기 : 2166년
- 불멸 기원 : 2048년 - 2049년
- 이슬람력 : 911년 - 912년
- 유대력 : 5266년 - 5267년
3. 주요 사건
- 1월 14일 – 고전 시대의 조각상인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이 로마에서 발굴되었다. 줄리아노 다 상갈로와 미켈란젤로의 추천에 따라 율리우스 2세가 이를 구입하여 한 달 후 바티칸 박물관에 공개 전시하였다.
- 1월 22일 – 스위스 근위병이 바티칸 시국에 도착하여 율리우스 2세 교황 휘하에서 상설 의장 및 궁정 경비대 역할을 수행하였다.
- 2월 9일 – 헨리 8세(헨리 왕자)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로부터 황금 양모 기사단 기사 작위를 받았다.
- 2월 15일 – 스코틀랜드 맥케이 족의 족장인 아이 로이 맥케이(Iye Roy Mackay, Strathnaver의 10대)가 현재 서덜랜드 군에 있는 6개 지역에 대한 1504년 토지 부여를 기록하고, 로스 백작 부인 유피미아 2세와의 불화를 시작하였다.
- 3월 16일 – 카난노르 전투: 포르투갈 함대(로렌소 드 알메이다 지휘)가 칼리컷의 자모린 함대를 격파하였다. 수백 척의 함선이 참여했으며, 3,000명의 무슬림 병사가 사망하였다.
- 3월 30일 – 헝가리 국왕 울라슬라프 2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울라슬라프의 딸과 막시밀리안의 아들의 결혼을 위한 조약을 체결하였다.
- 4월 18일 – 율리우스 2세가 로마에 있는 기존의 구 성 베드로 대성당을 대체할 새로운 (현재의) 성 베드로 대성당의 기초석을 놓았다.
- 4월 19일 – 포르투갈에서 3일간의 폭력 사태인 리스본 대학살이 시작되며, 수천 명의 유대인들이 가톨릭교도들에 의해 고문과 살해를 당하였다.
- 4월 30일 – 잉글랜드의 헨리 7세와 부르고뉴 공작 필립 4세 사이의 조약인 ''말루스 인터쿠르수스''가 체결되었다.
- 5월 4일 – 바디 알자만 미르자가 티무르 제국(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일부)의 새로운 에미르가 되었다.
- 5월 28일 – 멕시코 아즈텍 제국의 황제 몬테수마 2세가 아치우티아 동쪽 조졸란의 반란을 진압한 후, 포로들을 신에게 제물로 바쳤다.
- 6월 15일 – 마무드 샤 2세가 케다 술탄국의 술탄이 되었다.
- 6월 27일 –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사이에 비야파필라 조약이 체결되었다.
- 7월 12일 –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1세가 정신 질환을 앓던 아내 후아나 1세와 함께 스페인 카스티야 왕국의 통치자가 되었지만, 장티푸스로 사망하여 2개월 만에 재위가 끝났다.
- 8월 6일 – 클레츠크 전투: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크리미아 칸국의 타타르족을 물리쳤다.
- 8월 19일 – 지기스문트 1세가 그의 형제의 뒤를 이어 폴란드 국왕이 되었다.[1]
- 9월 2일 - 조선에서는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왕위에 올랐다.
- 9월 25일 – 카스티야의 첫 번째 합스부르크 왕이었던 필리프 1세가 장티푸스로 갑자기 사망하였다.
- 10월 6일 –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코르도바에서 귀족과 일반 대중이 스페인 종교재판관 디에고 로드리게스 데 루세로와 대종교재판관 디에고 데 데사에 맞서 봉기했다. 폭도들은 코르도바 감옥에 수감된 사람들을 석방했다.
- 10월 7일 – 율리우스 2세 교황이 이탈리아 도시 국가 볼로냐를 지배했던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를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파문하는 교황령을 발표했다.
- 10월 15일 – 카를 5세가 아버지의 부르고뉴 공작 작위를 계승하고 네덜란드의 군주로 선포되었다.
- 11월 6일 – 율리우스 2세 교황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볼로냐로 진격하여 파문된 폭군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로부터 도시를 탈환했다.
- 12월 8일 – 지기스문트 1세 스타리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이 되었다.
- 트리스탕 다 쿠냐가 섬을 발견하여 트리스탄다쿠냐로 명명했다.
- 명나라에서 택배 시스템의 비용은 역참 노동 대신 토지에 대한 은(銀|은중국어) 부과로 충당되었다.
- 두아르테 바르보사가 리스본으로 귀환하였다.
-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가 뷔르츠부르크에 있는 성 야곱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되었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모나리자 작품의 대부분을 완성하였다.
3. 1. 조선
- 연산군 12년 / 중종 원년
- 9월 18일 - 중종반정이 일어나 연산군이 폐위되어 강화도 교동도에 유배되고 중종이 옹립되었다.[1]
- 11월 20일 - 조선 10대 국왕 연산군 사망[2]
- 신수근 - 신승선의 아들, 연산군의 처남, 단경왕후의 아버지, 진성대군의 아버지 사망[3]
- 연산군의 적장남, 적차남, 폐세자 황, 창녕대군 성, 서장남 양평군 인 사망[4]
3. 2. 유럽
- 1월 14일 - 고전 시대의 조각상인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이 로마에서 발굴되었다. 줄리아노 다 상갈로와 미켈란젤로의 추천에 따라 율리우스 2세가 이를 구입하여 한 달 후 바티칸 박물관에 공개 전시하였다.
- 1월 22일 - 스위스 근위병이 바티칸 시국에 도착하여 율리우스 2세 교황 휘하에서 상설 의장 및 궁정 경비대 역할을 수행하였다.
- 2월 9일 - 헨리 8세(헨리 왕자)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로부터 황금 양모 기사단 기사 작위를 받았다.
- 2월 15일 - 스코틀랜드 맥케이 족의 족장인 아이 로이 맥케이(Iye Roy Mackay, Strathnaver의 10대)가 현재 서덜랜드 군에 있는 6개 지역에 대한 1504년 토지 부여를 기록하고, 로스 백작 부인 유피미아 2세와의 불화를 시작하였다.
- 3월 16일 - 카난노르 전투: 포르투갈 함대(로렌소 드 알메이다 지휘)가 칼리컷의 자모린 함대를 격파하였다. 수백 척의 함선이 참여했으며, 3,000명의 무슬림 병사가 사망하였다.
- 3월 30일 - 헝가리 국왕 울라슬라프 2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울라슬라프의 딸과 막시밀리안의 아들의 결혼을 위한 조약을 체결하였다.
- 4월 18일 - 율리우스 2세가 로마에 있는 기존의 구 성 베드로 대성당을 대체할 새로운 (현재의) 성 베드로 대성당의 기초석을 놓았다.
- 4월 19일 - 포르투갈에서 3일간의 폭력 사태인 리스본 대학살이 시작되며, 수천 명의 유대인들이 가톨릭교도들에 의해 고문과 살해를 당하였다.
- 4월 30일 - 잉글랜드의 헨리 7세와 부르고뉴 공작 필립 4세 사이의 조약인 ''말루스 인터쿠르수스''가 체결되었다.
- 5월 4일 - 아버지이자 37년간 통치한 술탄 후세인 바이카라가 사망한 후 바디 알자만 미르자가 티무르 제국(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일부)의 새로운 에미르가 되었다.
- 5월 20일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바야돌리드에서 사망하였다.
- 6월 27일 -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사이에 비야파필라 조약이 체결되었다.
- 7월 12일 -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1세(필리프 아름다운)가 정신 질환을 앓던 아내 후아나 1세와 함께 스페인 카스티야 왕국의 통치자가 되었지만, 장티푸스로 사망하여 2개월 만에 재위가 끝났다.
- 8월 6일 - 클레츠크 전투: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크리미아 칸국의 타타르족을 물리쳤다.
- 8월 19일 - 지기스문트 1세가 그의 형제의 뒤를 이어 폴란드 국왕이 되었다.[1]
- 9월 25일 - 카스티야의 첫 번째 합스부르크 왕이었던 필리프 1세가 장티푸스로 갑자기 사망하였다.
- 10월 6일 –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코르도바에서 귀족과 일반 대중이 스페인 종교재판관 디에고 로드리게스 데 루세로와 대종교재판관 디에고 데 데사에 맞서 봉기했다. 폭도들은 코르도바 감옥에 수감된 사람들을 석방했다.
- 10월 7일 – 율리우스 2세 교황이 이탈리아 도시 국가 볼로냐를 지배했던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를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파문하는 교황령을 발표했다.
- 10월 15일 – 카스티야의 필립 1세의 아들인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아버지의 부르고뉴 공작 작위를 계승하고 네덜란드의 군주로 선포되었다.
- 11월 6일 – 율리우스 2세 교황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볼로냐로 진격하여 파문된 폭군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로부터 도시를 탈환했다.
- 12월 8일 – 알렉산더 야기에우워의 동생인 지기스문트 1세 스타리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이 되었다. 그는 40년 이상 통치하여 1548년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2월 8일 - 지기스문트 1세 스타리가 세임에서 폴란드 국왕으로 선출되다.
- 트리스탕 다 쿠냐가 섬을 발견하여 트리스탄다쿠냐로 명명하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그의 친구이자 공동 연구자인 토마소 마시니가 피렌체 공화국의 체체리 산에서 비행 실험을 실시하다.
3. 3. 아시아
- 류큐 왕국(琉球) 쇼신왕(尚真王) 30년[1]
- 명나라(明) 정덕제(武宗 正德帝) 원년[1]
- 조선 연산군(燕山君) 12년 / 중종(中宗) 원년[1]
- 후 레 왕조(後黎朝) 레 위목제(威穆帝) 2년[1]
- 9월 2일 - 연산군이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되고 동생인 중종이 즉위하였다.[1]
- 명나라에서 택배 시스템의 비용은 역참 노동 대신 토지에 대한 은(銀|은중국어) 부과로 충당되었다.[1]
- 두아르테 바르보사가 리스본으로 귀환하였다.[1]
3. 4. 기타
- 4월 18일 - 율리우스 2세가 로마에 있는 기존의 구 성 베드로 대성당을 대체할 새로운 (현재의) 성 베드로 대성당의 기초석을 놓았다.[1]
- 4월 19일 - 포르투갈에서 3일간의 폭력 사태인 리스본 대학살이 시작되며, 수천 명의 유대인들이 가톨릭교도들에 의해 고문과 살해를 당했다.[2]
- 4월 30일 - 잉글랜드의 헨리 7세와 부르고뉴 공작 필립 4세 사이의 조약인 ''말루스 인터쿠르수스''가 체결되었다.[3]
- 5월 4일 - 아버지이자 37년간 통치한 술탄 후세인 바이카라가 사망한 후 바디 알자만 미르자가 티무르 제국(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일부)의 새로운 에미르가 되었다.[4]
- 5월 28일 - 멕시코 아즈텍 제국의 황제 몬테수마 2세가 아치우티아 동쪽 조졸란의 반란을 진압한 후, 포로들을 신에게 제물로 바쳤다.[5]
- 6월 15일 - 케다 술탄인 마무드 샤 2세가 아버지 무하마드 지와 자이날 아딜린 1세의 사망 후, 말레이 반도의 무슬림 왕국인 케다 술탄국에서 41년간의 통치를 시작했다.[6]
- 6월 27일 -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사이에 비야파필라 조약이 체결되었다.
- 10월 6일 -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코르도바에서 귀족과 일반 대중이 스페인 종교재판관 디에고 로드리게스 데 루세로와 대종교재판관 디에고 데 데사에 맞서 봉기했다. 폭도들은 코르도바 감옥에 수감된 사람들을 석방했다.
- 10월 7일 - 율리우스 2세 교황이 이탈리아 도시 국가 볼로냐를 지배했던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를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파문하는 교황령을 발표했다.
- 10월 15일 - 6세의 카스티야의 필립 왕의 아들인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아버지의 부르고뉴 공작 작위를 계승하고 네덜란드의 군주로 선포되었다.
- 11월 6일 - 율리우스 2세 교황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볼로냐로 진격하여 파문된 폭군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로부터 도시를 탈환했다.
- 12월 8일 - 알렉산더 야기에우워의 동생인 시기스문트 1세 스타리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이 되었다. 그는 40년 이상 통치하여 1548년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탄생
- 2월 - 조지 뷰캐넌, 스코틀랜드 인문주의 학자 (사망 1582년)[2]
- 2월 2일 - 르네 드 비라그, 프랑스 추기경이자 대수상 (사망 1583년)
- 2월 15일 - 율리아나 폰 슈톨베르크, 독일 백작 부인 (사망 1580년)

- 3월 3일 - 루이스, 포르투갈 왕자 (사망 1555년)
- 4월 7일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스페인의 선교사, 일본에 최초로 기독교를 전파함 (사망 1552년)[3]
- 4월 13일 - 피에르 파브르, 프랑스의 가톨릭 사제, 예수회 창립자 중 한 명 (사망 1546년)
- 7월 1일 - 라요시 2세, 헝가리 왕, 보헤미아 왕 (사망 1526년)
- 8월 12일 - 프란시스쿠스 소니우스, 네덜란드 반종교개혁 신학자 (사망 1576년)
- 10월 - 루이 드 블루아, 플랑드르 신비주의 작가 (사망 1566년)
- 12월 4일 - 토마스 더시, 잉글랜드 궁정인 (사망 1558년)
- 12월 8일 - 파이트 디트리히, 독일 신학자, 작가이자 종교개혁가 (사망 1549년)[4]
- 날짜 불명
- * 비센테 마시프, 스페인 화가 (사망 1579년)
- * 윌리엄 패짓, 잉글랜드 정치가 (사망 1563년)
- * 이이 나오모리, 일본 사무라이 (사망 1560년)
- * 아나야마 노부토모, 센고쿠 시대 무장 (사망 1560년)
- * 이다 오키히데, 센고쿠 시대 무장 (사망 1557년)
- * 이마데가와 키미히코, 센고쿠 시대 공경, 이마데가와 가 당주 (사망 1578년)
- * 조이 나가후사, 센고쿠 시대 센고쿠 다이묘, 조이 씨 제15대 당주 (사망 1588년)
- * 군 빌릭 메르겐 진왕, 오르도스 부락 투멘의 진왕 (사망 1542년)
- * 쿠와와테 케이나가, 센고쿠 시대 무장 (사망 1577년)
- * 코다마 나리타다, 센고쿠 시대 무장 (사망 1562년)
- * 스기 오키유키, 센고쿠 시대 무장 (사망 1551년)
- *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오스만 제국의 그랜드 베지르 (사망 1579년)
- * 히로하시 카네히데, 센고쿠 시대 공경, 히로하시 가 제15대 당주 (사망 1567년)
- * 유라 시게시게, 센고쿠 시대 무장 (사망 1578년)
- 추정
- * 엘리자베스 바턴, 잉글랜드 수녀 (사망 1534년)
- * 마가렛 리, 앤 불린 여왕의 측근 (사망 1543년)
5. 사망
- 5월 20일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이탈리아 탐험가. (바야돌리드에서 사망) [5]
- 11월 20일 - 연산군, 조선 10대 국왕.
- 신수근 - 신승선의 아들, 연산군의 처남, 단경왕후의 아버지, 진성대군의 아버지.
- 연산군의 적장남 폐세자 황, 창녕대군 성, 서장남 양평군 인.
- 장녹수 - 조선 국왕 연산군의 후궁.




- 1월 21일 - 요한 4세 로트(Johann IV Roth), 독일 로마 가톨릭 주교 (1426년 생)
- 5월 4일 - 술탄 후세인 미르자 바이카라(Sultan Husayn Mirza Bayqara), 헤라트의 티무르 왕조 통치자 (1438년 생)
- 8월 15일 - 알렉산더 아그리콜라(Alexander Agricola), 플랑드르 작곡가 (1445년 경 생)
- 8월 19일 - 알렉산데르 야기에우워(Alexander Jagiellon), 폴란드 국왕 (1461년 생)[6]
- 9월 13일 - 안드레아 만테냐(Andrea Mantegna), 이탈리아 화가이자 판화가 (1432년 생)
- 9월 25일 - 카스티야의 왕 필리프 1세(Philip I of Castile) (1478년 생)
- 9월 30일 - 비세우 공작 부인 베아트리체(Beatrice, Duchess of Viseu), 포르투갈 인판타 (1430년 생)
- 11월 8일 - 에드워드 해스팅스(Edward Hastings, 2nd Baron Hastings), 잉글랜드 귀족 (1466년 생)
- 11월 21일 - 네베르 백작 엥겔베르트(Engelbert, Count of Nevers), 장 1세의 차남 (1462년 생)
- 날짜 미상 - 미흐리 하툰(Mihri Hatun), 오스만 시대 시인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Events for Year 1506 | OnThisDay.com
http://www.historyor[...]
2016-06-28
[2]
서적
Macmillan Companion to Scott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1984-11-11
[3]
서적
For the People: A History of St Francis Xavier Universit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4]
서적
The Walther League Messenger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Walther League
[5]
웹사이트
Christopher Columbus Biography, Voyag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1-21
[6]
웹사이트
Alexander king of Poland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