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연은 초나라의 장군으로, 기원전 225년 진나라의 침략에 맞서 싸웠으나, 기원전 223년 왕전에게 패하여 전사하거나 자결했다. 그는 진나라 멸망 이후 일어난 진승·오광의 난에서 민중의 지지를 받으며 반란 지도자 오광이 자신의 이름을 사칭할 정도로 영웅적인 인물로 추앙받았다. 항연의 아들 항량과 손자 항우는 초 의제를 옹립하고 진나라에 저항하여 진나라 멸망에 기여했다.
항씨 가문은 대대로 초나라의 장군을 지냈으며, 항(項)이라는 읍에 봉해진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 당나라 시대의 『원화성찬』이나 『광운』에 따르면, 항연은 주나라에 분봉된 동족인 희성 항나라의 후예이며, 춘추 시대에 항나라가 노나라에 의해 멸망한 후, 그 국명을 성씨로 삼았다고 한다.
항연은 진나라에 패배하고 죽었으나, 그의 저항은 진나라에 멸망당한 6국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진나라에 대한 저항 운동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예를 들어 진나라 말기 대규모 농민 반란인 진승 · 오광의 난 당시 반란군 지도자 진승과 오광은 각각 진나라 공자 부소와 항연을 자칭하며 민중들을 선동하였다.[12]
[1]
wikisource
『史記』項羽本紀
2. 생애
기원전 225년, 진나라의 이신과 몽념이 20만 대군을 이끌고 초나라를 침공해오자 항연은 이를 맞아 싸웠으나, 기원전 224년 왕전이 이끄는 진나라 60만 대군에게 패하였다. 회남에서 창평군을 초왕으로 옹립하여 반항했으나, 기원전 223년 왕전과 몽무에게 격파당하고, 창평군은 전사, 항연은 전사 또는 자결하여 초나라는 멸망했다.[4]
이후 진승·오광의 난의 지도자 오광이 항연을 사칭한 것은, 초나라 백성들에게 항연이 영웅으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다.[6]
2. 1. 출신
항연의 가문은 대대로 초나라의 장군을 지낸 명문가였다. 항(項)이라는 땅에 봉해졌기 때문에 성을 항씨(項氏)라 하였다.[7] 항씨는 주나라 희성 항나라의 후예로 알려져 있으며, 춘추 시대에 항나라가 노나라에 멸망한 후 국명을 성씨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2. 2. 진나라와의 전쟁
기원전 225년, 진나라의 이신과 몽념이 20만 대군을 이끌고 초나라를 침공하자 항연은 이에 맞서 싸웠다. 이신과 몽념이 성보에서 합류하자 3일 밤낮으로 쉬지 않고 추격하여 이신 군을 대파하고, 두 개의 거점을 함락시키고 7명의 도위를 죽여 진나라 군을 전멸시켰다.[2]
기원전 224년, 진나라의 왕전이 60만 대군을 이끌고 다시 초나라를 공격했다. 왕전은 굳게 지키며 초나라 군과 교전하지 않도록 명령하고, 항연의 방비에 틈이 생기도록 유도한 후 기습하여 초나라 군을 대파했다. 초왕 부추는 포로가 되었지만, 항연은 회남에서 부추의 이복형제이며 과거 진나라의 승상이었던 초나라 공자 창평군을 초왕으로 옹립하여 반항했다.[3]
기원전 223년, 왕전과 몽무는 초나라 군을 격파했고, 창평군은 전사했으며, 항연도 전사(혹은 자결)하여 결국 초나라는 멸망했다.[4] 『사기』 초세가에서는 항연이 죽은 후에 부추가 포로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5]
후에, 진나라가 멸망하는 계기가 된 진승·오광의 난의 지도자 오광은 자신의 이름을 항연이라고 사칭했다. 이는 초나라의 영웅인 항연이 민중에게 널리 지지받았고, 또한 그의 죽음을 많은 사람들이 알지 못하고 믿지 않았기 때문이다.[6]
2. 3. 최후와 초나라 멸망
기원전 223년, 왕전과 몽무는 초나라 군을 격파했고, 창평군은 전사했으며, 항연도 전사(혹은 자결)하여, 결국 초나라는 멸망했다(『사기』 진시황본기에 따른다[4]。『사기』 초세가에서는 항연이 죽은 후에 부추가 포로가 된다[5]).
이후, 진나라가 멸망하는 계기가 된 진승·오광의 난의 지도자 오광은 자신의 이름을 항연이라고 사칭했다. 이는 초나라의 영웅인 항연이 민중에게 널리 지지받았고, 또한 그의 죽음을 많은 사람들이 알지 못하고 믿지 않았기 때문이다[6]).
2. 4. 기록의 모순
항연과 왕전의 전투에 대한 기록은 사료마다 차이를 보인다. 《사기》 진시황본기에는 기원전 224년에 초왕 부추가 사로잡히고, 기원전 223년에 창평군이 격파되어 죽고 항연이 자결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 《사기》 육국연표, 초세가, 백기왕전열전, 몽염열전 등에는 기원전 224년에 항연이 진나라와 싸우다 살해되었고, 기원전 223년에 초왕 부추가 사로잡혔다고 기록되어 있다. 1975년 호북성 운몽현에서 발굴된 《운몽수호지진간》의 〈연기〉에는 진나라가 기원전 223년에 초나라를 공격하고, 기원전 224년에 초왕 부추를 사로잡았다는 기록이 있어, 《사기》 진시황본기의 기록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11]
3. 사후
항연 사후, 그의 아들 항량과 손자 항우는 범증의 조언에 따라 초 의제를 옹립하고 진나라에 대한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항량은 진나라 장군 장한에게 패배하여 죽었지만, 항우는 장한을 굴복시키고 진나라 수도 함양에 입성하여 진왕 자영을 살해함으로써 진나라를 멸망시켰다.[13]
참조
[2]
wikisource
『史記・白起王翦列傳』
[3]
wikisource
『史記・秦始皇本紀』
[4]
wikisource
『史記・秦始皇本紀』
[5]
wikisource
『史記』楚世家
[6]
wikisource
『史記・陳涉世家第十八』
[7]
서적
《사기》 권7 항우본기
[8]
서적
《사기》 권15 육국연표, 《사기》 권40 초세가,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사기》 권88 몽염열전
[9]
서적
《사기》 권15 육국연표, 《사기》 권40 초세가,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사기》 권88 몽염열전
[10]
서적
《사기》 권6 진시황본기
[11]
서적
인간 시황제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7
[12]
서적
《사기》 권48 진섭세가
[13]
서적
《사기》 권7 항우본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