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은 해병대가 민간 항공기를 군사 훈련 중 오인하여 사격한 사건이다. 아시아나 여객기가 정상 항로를 비행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했으며, 해병대 초병이 공군 중앙방공통제소에 문의했으나 통신 문제로 인해 오인 사격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군의 대응 문제점과 은폐 의혹을 불러일으켰으며, 민간 항공 안전 문제를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나항공의 항공 사고 - 아시아나항공 991편 추락 사고
아시아나항공 991편 추락 사고는 2011년 7월 28일 인천에서 제주로 향하던 보잉 747-400F 화물기가 화재로 인해 추락하여 기장과 부기장이 사망하고, 정확한 발화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리튬 배터리 항공 운송 안전 기준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아시아나항공의 항공 사고 -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1993년 아시아나항공 733편 여객기가 태풍 속에서 목포공항 인근 운거산에 추락하여 116명 중 68명이 사망했으며, 조종사 과실과 목포공항의 열악한 환경이 원인으로 지목되어 무안국제공항 건설의 계기가 되었다. - 대한민국 해병대의 사건 - 5·16 군사정변
1961년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군부 세력이 일으킨 5·16 군사정변은 제2공화국의 불안정과 혼란을 배경으로, 부패한 민정부 타도와 국가 재건을 명분으로 내세워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독재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 해병대의 사건 - 빈호아 학살
빈호아 학살은 베트남 전쟁 중 1966년 대한민국 해병대 청룡 부대가 베트남 빈호아 마을에서 430여 명의 비무장 민간인을 학살했다고 주장되는 사건으로, 희생자를 추모하는 위령비와 한국군을 증오하는 증오비가 세워졌으며, 2018년 시민평화법정이 열리기도 했다. - 강화군의 역사 - 강화도 조약
강화도 조약은 1876년 일본이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에 군사적 위협을 가하여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조선의 개항을 강요하고 치외법권을 부여하여 조선의 자주성을 훼손하고 일제강점기의 원인이 되었다. - 강화군의 역사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강화도를 침략하여 발생한 무력 충돌로, 조선 개항을 강요하려는 일본의 도발 의혹이 있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침략 발판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 |
---|---|
사고 개요 | |
사고명 |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
![]() | |
발생 일시 | 2011년 6월 17일 |
발생 유형 | 준사고 |
발생 원인 | 해병대 초병의 실수 |
발생 장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 |
항공편 정보 | |
기종 | 에어버스 A321-231 |
소속 | 아시아나 항공 |
등록 번호 | HL7763 |
출발지 | 청두 솽류 국제공항 |
목적지 | 서울 인천국제공항 |
탑승 정보 | |
탑승 승객 | 110명 |
승무원 | 9명 |
사망자 | 0명 |
부상자 | 0명 |
생존자 | 119명 |
2. 사건 개요
3. 사건 발생 과정
3. 1. 해병대 초병의 진술
3. 2. 공군과의 통신 문제
4. 사건 조사 결과
4. 1. 군의 대응 문제점
5. 논란
아시아나 여객기가 정상 항로를 비행하고 있었음에도 해병대가 오인 사격을 하게 된 이유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4] 해당 항로는 지난 10년간 여객기가 지속적으로 운항하던 곳이었다.[4] 조사 결과, 해병대 초소는 사고기가 민항기인지 공군 중앙방공통제소에 문의했고, 공군은 민항기임을 확인해 해병대에 통보하려 했지만, 해병대 초소에서 전화를 받지 않아 오인 사격이 발생했다고 한다.[5]
5. 1. 오인 사격 이유 논란
아시아나 여객기가 정상 항로를 비행하고 있었음에도 해병대가 오인 사격을 하게 된 이유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4] 해당 항로는 지난 10년간 여객기가 지속적으로 운항하던 곳이었다.[4] 조사 결과, 해병대 초소는 사고기가 민항기인지 공군 중앙방공통제소에 문의했고, 공군은 민항기임을 확인해 해병대에 통보하려 했지만, 해병대 초소에서 전화를 받지 않아 오인 사격이 발생했다고 한다.[5]5. 2. 군의 은폐 의혹
6. 사건 이후 영향
6. 1. 군의 대응 체계 개선 노력
6. 2. 민간 항공 안전 문제 제기
7. 관련 사건
참조
[1]
웹사이트
Incident: Asiana A321 near Seoul on Jun 17th 2011, aircraft under fire
http://avherald.com/[...]
[2]
뉴스
해병대, 민항기에 K-2소총 99발 오인사격(종합2보)
https://news.naver.c[...]
[3]
뉴스
CNN-South Korean military apologizes for firing at commercial jet
http://edition.cnn.c[...]
[4]
뉴스
민간 항공기에 소총 99발 발사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11-06-20
[5]
뉴스
14분간 '연락두절'…민항기 오인사격 정황 드러나
http://news.sbs.co.k[...]
SBS
2015-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