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볼 H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핸드볼 H리그는 대한민국 핸드볼 리그이다.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부는 여러 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산 핸드볼이 남자부에서, 인천시청 여자 핸드볼단, 삼척시청 여자 핸드볼단, SK 슈가글라이더즈가 여자부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핸드볼 - 비치핸드볼
비치핸드볼은 10분씩 2세트로 진행되며, 골키퍼 득점과 창의적인 골은 2점, 일반적인 득점은 1점으로 계산하고, 동점 시 골든 골, 2세트 후에도 동점이면 타이 브레이커를 실시하며, 2021년 복장 규정 변경으로 반바지 착용을 허용한다. - 2011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USL 챔피언십
USL 챔피언십은 2011년에 출범하여 MLS 구단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규모를 확장하고 2017년 2부 리그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동부 및 서부 컨퍼런스로 진행되는 미국의 프로 축구 리그이다. - 2011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F-리그
F-리그는 뉴사우스웨일스주 축구 협회가 관리 및 지원한 호주의 풋살 리그로, 주말 시리즈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남녀 리그 모두 운영되었으나 참가팀 부족으로 2017년 시즌 이후 해체되었다.
| 핸드볼 H리그 | |
|---|---|
| 리그 정보 | |
| 이름 | H 리그 |
| 창립 | 2011년 |
| 국가 | 대한민국 |
| 연맹 | KHF |
| 최근 우승팀 (남자) | 두산 (2023–24) |
| 최근 우승팀 (여자) | SK 슈가 글라이더즈 (2023–24) |
| 최다 우승팀 (남자) | 두산 (12회 우승) |
| 최다 우승팀 (여자) | 인천시청 (4회 우승)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한국어 명칭 | H리그 |
| 후원 금액 | 434억 원 (SK) |
| 일반 정보 | |
| 리그 명칭 | SK 핸드볼 한국 리그 |
| 기본 명칭 | 핸드볼 한국 리그 |
| 가맹국 | 대한민국 |
| 연맹 | 아시아 핸드볼 연맹 |
| 창립 연도 | 2011년 |
| 시작 연도 | 2011년 |
| 주최 | 한국핸드볼연맹 |
| 팀 수 | 남자: 5팀, 여자: 8팀 |
| 리그 레벨 | 1 |
| 지난 시즌 우승 클럽 (남자) | 두산 HB |
| 지난 시즌 우승 클럽 (여자) | SK 슈가 글라이더즈 |
| 최다 우승 (남자) | 두산 HB (6회) |
| 최다 우승 (여자) | 인천시청 (4회) |
| 공식 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시즌 정보 | |
| 현재 시즌 | H리그 2023-24 |
| 종목 | 핸드볼 |
| 팀 수 (남자) | 6팀 |
| 팀 수 (여자) | 8팀 |
| 첫 우승 팀 (남자) | 두산 (2011) |
| 첫 우승 팀 (여자) | 인천시청 (2011) |
| 최근 우승 팀 (남자) | 두산 (2023) |
| 최근 우승 팀 (여자) | 삼척시청 (2023) |
| 최다 우승 팀 (남자) | 두산 (5회) |
| 최다 우승 팀 (여자) | 인천시청 (4회)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참가 구단
핸드볼 H리그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운영된다. 2024년 현재 남자부에는 6개 구단, 여자부에는 8개 구단이 참가하고 있다. 각 구단의 연고지, 홈 경기장, 창단 연도 등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거 리그에 참가했다가 해체된 구단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2. 1. 남자부
wikitext| 팀명 | 연고지 | 홈 경기장 | 창단 연도 |
|---|---|---|---|
| 두산 | 경상남도 창원시 | 마산 실내체육관 | 1991년 |
| 상무 피닉스 | 경상북도 상주시 | 상주 실내체육관 | 1986년 |
| 인천도시공사 | 인천광역시 | 선학핸드볼 경기장 | 2006년 |
| 충남도청 | 충청남도 | 백제 체육관 보령 종합 체육관 서산시민 체육관 | 1995년 |
| 하남시청 | 경기도 하남시 | 구리 체육관 하남 종합 운동장 제2체육관 | 2018년 |
| SK호크스 | 충청북도 청주시 | SK호크스 아레나 경기장 | 2016년 |
2. 2. 여자부
양산 실내체육관통영 체육관
기장체육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