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명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서울특별시와 인접해 있다. 본래 시흥군의 일부였으나, 1981년 시흥군 소하읍에서 광명시로 승격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로 인구가 증가했으며, 2004년 KTX 광명역이 개통되었다. 고구려 시대에는 잉벌노현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금천현으로 불렸다. 현재는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명동굴,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등 관광 명소와 이케아, 코스트코 등의 대형 상업 시설이 위치해 있다. 서울특별시 편입 문제가 지역 사회의 주요 논쟁거리이며, 자매 도시로 독일 오스나브뤼크, 미국 오스틴, 일본 야마토, 중국 랴오칭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명시의 행정 구역 - 소하동
소하동은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소하1동, 소하2동, 소하3동, 학온동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다 광명시 승격과 함께 편입되었고,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과 광명역세권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다. - 광명시의 행정 구역 - 광명동 (광명시)
광명동은 경기도 광명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광명시의 모태가 된 지역으로, 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재개발 사업을 통해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있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1981년 설치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1981년 설치 - 동두천시
경기도 북단에 위치한 동두천시는 고구려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1981년 시로 승격되었고, 한국 록 음악의 발상지이자 소요산, 탑동계곡 등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며, 시 면적의 상당 부분이 미군에 공여되어 미군 기지 이전 및 반환에 따른 개발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광명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시 |
한국어 표기 | 광명시 |
한자 표기 | 光明市 |
로마자 표기 | Gwangmyeong-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Kwangmyŏng-si |
유형 | 시 |
관할 지역 | 경기도 (수도권) |
면적 | 38.5 km² |
인구 (2024년 9월) | 277,564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방언 | 서울 |
시장 | 박승원 (더불어민주당) |
하위 행정 구역 | 18개 마을 |
시청 소재지 | 경기도 광명시 시청로 20 |
홈페이지 | 광명시청 홈페이지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장미 |
시조 | 까치 |
지역 번호 | 02 |
행정 | |
행정 구역 | 19개 행정동, 8개 법정동 |
국회의원 | 갑: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을: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31060 |
상징 | |
![]() | |
![]() | |
기타 | |
기타 정보 | 세계 최대 규모의 이케아 매장 위치 |
2. 역사
- -|]]|섬네일|1919년경 당시 광명시 일대 지도(적색선은 2015년 기준 광명시 행정구역 영역)]]
광명 지역은 원래 시흥군의 일부로, 영등포, 구로, 금천 지역과 마찬가지로 시흥군 서면과 남면에 속해 있었다. 1914년, 두 면이 합쳐져 시흥군 서면이 되었다.
1963년, 광명 지역 북부는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어 주거지역으로 개발되었고, 서울특별시에 행정적으로 편입될 계획이었다. 1974년, 광명리와 철산리는 광명출장소의 관할이 되었고, 1979년 광명 지역 남부는 소하읍이 되었다. 1981년, 서울특별시의 급속한 성장으로 서울 편입 계획은 무산되었고, 광명출장소와 소하읍이 합쳐져 광명시가 설치되었다.[3]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철산동과 하안동에 많은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어 인구가 30만 명까지 증가했다. 1995년, 서울-광명 경계가 조정되어 철산동 일부가 금천구에 편입되었다. 2004년 광명역이 개통되었고, 2010년 소하동에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
2. 1. 고대, 중세
고구려 장수왕 때 잉벌노현(仍伐奴, 순우리말 '늠내')에 속했으며 통일신라 때 곡양(穀壤)현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고려 때는 금주(衿州)가 되었다.[3]2. 2. 조선, 구한말
조선 시대에는 명칭이 금주에서 금천(衿川)으로 바뀌었고 태종 14년(1413년)에 과천과 병합하여 금과현(衿果縣)을 만들었다가 두어 달 만에 혁파하고, 양천과 병합하여 금양현(衿陽縣)으로 만들었는데 한 해 만에 혁파하였다. 태종 16년(1415년)에 금천현(衿川縣)으로 고쳐서 현감을 두었고, 세조 때에 과천과 병합했다가 얼마 못 가서 복구하였다.[17] 이후 금천현은 현내면, 동면, 서면, 남면, 상북면, 하북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18] 지금의 광명시 지역은 금천현 남면과 서면에 속했는데, 남면은 지금의 광명시 서부, 서면은 지금의 광명시 동부에 해당된다.1795년(정조 19) 금천현이 시흥현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고종 32년) 윤 5월 1일, 시흥현이 시흥군으로 개편되어[19] 인천부(仁川府)에 속하였고, 이듬해 다시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
2. 3. 일제강점기, 현대
1914년 행정구역 대개편으로 시흥군 남면과 서면이 서면으로 통합되었다. 이때 여러 마을의 지명이 통폐합되어 지금의 광명동, 철산동, 하안동, 노온사동, 가학동, 소하동, 일직동이라는 지명으로 굳혀졌다.1963년 9월 17일 시흥군 서면 광명리, 철산리, 하안리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건설부 고시 제547호)[20]에 편입되면서 주택지구로 개발되었고, 이로써 현대적인 광명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광명리(지금의 광명동이자 철산1동인 철산리 일부 포함)는 서울 개봉지구의 일부로서 시가지로 개발되었고, 그 대표적인 주택단지가 현재의 광명동 한진아파트 단지 자리인 광명아파트 단지였다. 철산리는 서울 구로공단을 배후로 하는 택지지구로 개발될 계획이었으나 시 승격 이후에 완성되었다. 이 시기에 광명지역은 서울특별시의 통화권(지역번호 02)에 자연스럽게 편입되었다.[21][22] 1970년에 광명리, 철산리 지역이 시흥군 서면 광명출장소로 지정되었고, 1974년에는 시흥군 직할 광명출장소가 되었다. 1979년에는 서면이 소하읍으로 승격되었다. 이 일대(특히 광명동, 철산동)는 서울특별시 산하 기초시로서의 광명시[23] 혹은 당시 서울의 신생 자치구인 구로구에 편입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등[24] 서울특별시로 편입시키는 안이 여러 번 고려되었으나, 전두환 정권의 위성도시 육성 정책[25]으로 인하여 무산되었다.
서울 편입 무산으로 결국 1981년에 시흥군 광명출장소 지역을 포함한 소하읍이 광명시로 승격되었다. 시 승격 이후 서울특별시를 배후로 하는 본격적인 베드타운으로 성장하여 철산동, 하안동 일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으며, 2010년 전후로 소하동에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2. 4. 시 행정구역 연혁
- 1911년 4월 17일 : 시흥군 관내 동리가 통폐합되어 지금의 광명동, 철산동, 하안동, 소하동, 일직동, 노온사동, 가학동이라는 지명이 형성되었다.[27]
- 1914년 4월 1일 : 시흥군 서면과 남면이 시흥군 서면으로 통폐합되었다.[28]
- 1963년 9월 17일 : 시흥군 서면 중 철산리·광명리·하안리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었다.[29]
- 1970년 6월 10일 : 광명리, 철산리를 관할하는 시흥군 서면 산하 광명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4년 : 서면 광명출장소가 시흥군 직할의 광명출장소로 승격되었다.
- 1979년 5월 1일 : 서면이 소하읍으로 승격되었다.
- 1981년 7월 1일 : 시흥군 소하읍(광명출장소 관할구역 포함)이 광명시로 승격하였다.[32]
- 1983년 2월 15일 : 시흥군 소래읍 옥길리 일부(1리·3리)가 광명시로 편입되었다.[34]
- 1995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일부가 금천구로 분리되면서[35] 목감천의 서울-광명 경계가 조정되고, 광명시 철산3동의 안양천 월경지 일부가 금천구로 편입되었다.
- 2000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7호선(신풍~온수)이 연장 개통되었다.
- 2004년 4월 1일 : 경부고속선이 개통되었다.
- 2021년 11월 29일 : 소하2동에서 행정동 일직동을 분동하였다.
3. 지리
광명시는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과 북쪽은 서울특별시, 서쪽은 시흥시와 부천시, 남쪽은 안양시와 접하고 있다. 광명시는 동서간 6.55km, 남북으로 10.32km를 뻗어있으며, 전체 면적은 38.5km2이다. 광주산맥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구름산과 도고내 고개가 시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해발 30m~290m 내외의 낮은 평야지대이다.[36]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지형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이루고 있다.
하안동 지역에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의 월경지가 있는데, 이곳에는 서울안천초등학교와 안천중학교, 서울금천경찰서 관할의 지구대 1개소, 독산1동 주민센터 분소까지 소재하고 있다. 반대로 서울 구로동 지역에는 철산동의 월경지가 있는데, 유수지와 모 대기업의 물류센터가 자리를 잡고 있다.
4. 행정 구역
광명시의 행정 구역은 19개 행정동, 487통, 3,115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33만 9484 명, 12만 7461 가구이다.[37] 면적은 38.5 km2이다. 광명시의 인구는 2012년 6월에 35만 5658 명으로 정점에 이른 후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서울특별시의 인구 추세와 비슷하다.
2016년 12월 31일 기준 광명시의 행정동별 인구 및 세대 현황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 한자 | 영어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광명1동 | 光明1洞 | Gwangmyeong 1 dong | 0.31 | 14,386 | 5,784 |
광명2동 | 光明2洞 | Gwangmyeong 2 dong | 0.28 | 11,237 | 4,854 |
광명3동 | 光明3洞 | Gwangmyeong 3 dong | 0.30 | 10,346 | 4,694 |
광명4동 | 光明4洞 | Gwangmyeong 4 dong | 0.27 | 15,145 | 6,426 |
광명5동 | 光明5洞 | Gwangmyeong 5 dong | 0.44 | 15,733 | 6,230 |
광명6동 | 光明6洞 | Gwangmyeong 6 dong | 2.41 | 15,516 | 5,693 |
광명7동 | 光明7洞 | Gwangmyeong 7 dong | 2.34 | 24,095 | 9,155 |
철산1동 | 鐵山1洞 | Cheolsan 1 dong | 0.52 | 13,979 | 4,603 |
철산2동 | 鐵山2洞 | Cheolsan 2 dong | 0.95 | 16,510 | 7,186 |
철산3동 | 鐵山3洞 | Cheolsan 3 dong | 1.05 | 37,804 | 12,444 |
철산4동 | 鐵山4洞 | Cheolsan 4 dong | 0.32 | 14,770 | 5,708 |
하안1동 | 下安1洞 | Ha-an 1 dong | 3.95 | 28,062 | 9,858 |
하안2동 | 下安2洞 | Ha-an 2 dong | 0.51 | 15,931 | 6,730 |
하안3동 | 下安3洞 | Ha-an 3 dong | 0.53 | 23,079 | 8,915 |
하안4동 | 下安4洞 | Ha-an 4 dong | 0.38 | 14,159 | 5,038 |
소하1동 | 所下1洞 | Soha 1 dong | 3.80 | 32,579 | 10,786 |
소하2동 | 所下2洞 | Soha 2 dong | 3.80 | - | - |
일직동 | 日直洞 | Iljik dong | 3.45 | - | - |
학온동 | 鶴溫洞 | Hagon dong | 12.89 | 2,427 | 1,106 |
광명시 | 光明市 | Gwangmyeong City | 38.50 | 339,484 | 127,461 |
광명시는 19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광명동(1~7동), 철산동(1~4동), 하안동(1~4동), 소하동(1~2동), 일직동, 학온동이 있다.
행정동 | 법정동 |
---|---|
광명1동 | 광명동 |
광명2동 | |
광명3동 | |
광명4동 | |
광명5동 | |
광명6동 | 광명동, 옥길동 |
광명7동 | 광명동 |
철산1동 | 철산동 |
철산2동 | |
철산3동 | |
철산4동 | |
하안1동 | 하안동 |
하안2동 | |
하안3동 | |
하안4동 | |
소하1동 | 소하동 |
소하2동 | |
일직동 | 일직동 |
학온동 | 노온사동, 가학동 |
5. 인구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광명시의 인구는 33만 9484명, 12만 7461가구이다.[37] 2012년 6월에 35만 5658명으로 정점에 이른 후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서울특별시의 인구 추세와 비슷하다.
행정동 | 한자 | 영어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광명1동 | 光明1洞 | Gwangmyeong 1 dong | 0.31km2 | 14,386 | 5,784 |
광명2동 | 光明2洞 | Gwangmyeong 2 dong | 0.28km2 | 11,237 | 4,854 |
광명3동 | 光明3洞 | Gwangmyeong 3 dong | 0.3km2 | 10,346 | 4,694 |
광명4동 | 光明4洞 | Gwangmyeong 4 dong | 0.27km2 | 15,145 | 6,426 |
광명5동 | 光明5洞 | Gwangmyeong 5 dong | 0.44km2 | 15,733 | 6,230 |
광명6동 | 光明6洞 | Gwangmyeong 6 dong | 2.41km2 | 15,516 | 5,693 |
광명7동 | 光明7洞 | Gwangmyeong 7 dong | 2.34km2 | 24,095 | 9,155 |
철산1동 | 鐵山1洞 | Cheolsan 1 dong | 0.52km2 | 13,979 | 4,603 |
철산2동 | 鐵山2洞 | Cheolsan 2 dong | 0.95km2 | 16,510 | 7,186 |
철산3동 | 鐵山3洞 | Cheolsan 3 dong | 1.05km2 | 37,804 | 12,444 |
철산4동 | 鐵山4洞 | Cheolsan 4 dong | 0.32km2 | 14,770 | 5,708 |
하안1동 | 下安1洞 | Ha-an 1 dong | 3.95km2 | 28,062 | 9,858 |
하안2동 | 下安2洞 | Ha-an 2 dong | 0.51km2 | 15,931 | 6,730 |
하안3동 | 下安3洞 | Ha-an 3 dong | 0.53km2 | 23,079 | 8,915 |
하안4동 | 下安4洞 | Ha-an 4 dong | 0.38km2 | 14,159 | 5,038 |
소하1동 | 所下1洞 | Soha 1 dong | 3.8km2 | 32,579 | 10,786 |
소하2동 | 所下2洞 | Soha 2 dong | 3.8km2 | - | - |
일직동 | 日直洞 | Iljik dong | 3.45km2 | - | - |
학온동 | 鶴溫洞 | Hagon dong | 12.89km2 | 2,427 | 1,106 |
광명시 | 光明市 | Gwangmyeong City | 38.5km2 | 339,484 | 127,461 |
광명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는 다음과 같다.
6. 산업
1960년까지 광명시 전체 인구의 70%가 농업에 종사했으나, 시 승격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업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다. 현재는 도시화가 덜 된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우스 재배를 통한 고등채소와 과실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화와 함께 공업화도 진행되어, 1985년 50.7%였던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1990년에는 80.6%로 크게 증가했다. 조립금속, 기계 제조업이 주를 이루며, 섬유류, 화학섬유 공업도 발달했다. 기아 AutoLand 광명을 제외하면 대부분 중소기업이며, 안양천을 사이에 두고 서울 구로디지털산업단지와 인접해 있다.
철산역 인근 상권은 경기도 내 상위권이며, 광명사거리역 주변에는 광명시장이 있다. 2010년 이후 소하동에 이마트 광명소하점, 코스트코 본사 및 광명점, 이케아가 들어섰다.
광명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이케아(IKEA) 매장과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코스트코(Costco) 창고형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광명사거리역과 광명사거리에는 한국식 전통시장인 광명시장이 있다. 현대식 쇼핑몰은 철산역, 하안사거리, 소하동(이마트(E-mart)과 코스트코(Costco))에 있으며, 시민들은 인근 구로구와 금천구의 쇼핑몰(롯데마트(Lotte Mart)과 홈플러스(Homeplus))도 이용한다.
광명시는 규모는 작지만 630개의 기업을 유치하여 11,636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시는 소규모 사업체 육성을 위해 임대료, 토지 비용, 투자 비용 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10]
6. 1. 지역내 총생산
광명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12조원 9,172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26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5조원 7,231억원으로 44.3%를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7조원 1,915억원으로 55.7%를 차지한다.[38]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위성도시로서 도소매업(8.46%), 건설업(8.31%), 부동산업 및 임대업(5.21%), 사업서비스업(4.08%)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8]6.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기준 광명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85,844명으로 경기도 전체 종사자 수의 1.9%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 종사자는 2명으로 매우 적으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종사자는 15,324명(17.9%),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종사자는 70,518명(82.1%)이다. 2차 산업 비중은 경기도 전체(27.1%)보다 낮고, 3차 산업 비중은 경기도 전체(72.9%)보다 높다.[39]3차 산업 중에서는 도소매업(19.5%), 숙박 및 음식점업(11.0%), 교육 서비스업(9.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5%)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39]
6. 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광명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323,653명이고 주간인구는 256,09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79이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2,205명, 유출인구는 87,979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312명, 유출인구는 13,102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출인구가 67,563명 더 많다.[40] 이는 수도권에서 서울과 가깝고 교통이 편리한 곳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7. 교통
광명시는 철도, 버스, 택시, 도로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경부고속선 KTX 광명역과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 철산역)이 지난다. 화영운수를 비롯한 여러 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며, 택시는 서울특별시와 택시사업구역이 통합되어 서울특별시 택시요금체계를 따른다.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등이 지나며, 국도 제1호선과 기아로 등의 일반 국도가 있다.
7. 1. 철도
- 한국철도공사:
- * 시흥연결선·경부고속본선 (서울특별시 금천구 ← 광명역 → (충청남도 아산시)
- * 광명역에서 KTX를 이용할 수 있다.
- 서울교통공사:
- *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특별시 구로구 ← 광명사거리역 - 철산역 → (서울특별시 금천구)
- * 서울 전용 정기권 사용 가능.

경강선 (월곶-판교선)과 신안산선이 KTX 광명역을 경유하는 노선을 계획 중에 있다.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등의 일반 열차를 이용하려면 영등포역으로 가야 한다.
7. 2. 버스 및 택시
; 시내버스
광명시에서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시내버스는 총 16개 노선을, 마을버스는 총 3개 노선을 운영한다. 서울특별시 면허 시내버스들도 광명시내에서 많이 운행하고 있다. 하안동 소재 공영버스차고지는 서울시 버스 회사들이 독차지하고 있다. 광명시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인 화영운수의 본사와 차고지는 광명6동에 있다.
; 택시
1999년(시범 통합), 2004년(영구 통합)에 서울특별시 구로구, 금천구와 동일한 택시사업구역으로 통합되어 택시요금체계는 경기도의 것이 아닌 서울특별시의 것을 따른다.
7. 3. 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일직 분기점, 소하 분기점), 평택파주고속도로 (남광명 분기점,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 ''가학 나들목'', ''광명 분기점''),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 나들목, 일직 분기점, ''광명 분기점'') 등이 광명시를 지난다. 일반 국도로는 국도 제1호선이 있다. 그 외에 기아로 등이 있다.7. 3. 1. 철산대교 만성 체증 문제
철산대교는 서부간선도로 및 서해안고속도로와 직결되어 있어 출퇴근 시간마다 심각한 교통체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에 있는 수출의 다리로 인한 병목현상이 이를 부채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증 문제로 철산대교는 수도권 지역 교통정보 방송에 단골로 나오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내 교통체증 비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다. 이는 경부선 서울시내 구간 지하화의 찬성 근거 중 하나다.8. 교육
베드타운으로 관내에 학교가 많이 있으며, 소하동 택지지구 개발로 여러 학교들이 추가로 신설되었다. 1997년 충현고등학교, 광문고 신설 이전까지는 고등학교 부족 문제가 심각했으며, 이로 인한 중학생의 관외 전출 및 인근 도시로의 통학이 문제가 되었고, 이러한 문제는 2000년대 중후반까지 이어졌다. 일부 서울 접경 지역과 다르게 광명시의 학군은 서울특별시의 학군과 철저히 분리되어 있다.
2013년부터 안산시, 의정부시와 함께 평준화 지역으로 전환되었다.[1]
광명시에는 고등학교 9개, 중학교 10개, 초등학교 21개가 있다. 2013년 이전에는 중학교 학생들이 고등학교 진학을 위해 입시 시험을 치러야 했다. 광명북고등학교와 진성고등학교는 전통적으로 학생들의 학업 능력 수준이 높기로 유명하다.
학교명 | 설립 구분 | 주소 |
---|---|---|
광명고등학교 | 공립 | 광명시 광명로 774번길 10 |
충현고등학교 | 사립 | 광명시 오리로347번길 15 |
광명경영회계고등학교 | 사립 | 광명시 광명로 799 |
운산고등학교 | 공립 | 광명시 성채안로 35 |
진성고등학교 | 사립 | 광명시 가림로145번길 95 |
소하고등학교 | 공립 | 광명시 소하로 151 |
광명공업고등학교 | 공립 | 광명시 광명로 811 |
광휘고등학교 | 공립 | 광명시 안현로 20 |
광문고등학교 | 공립 | 광명시 광이로 37 |
명문고등학교 | 사립 | 광명시 오리로 671 |
광명북고등학교 | 공립 | 광명시 철망산로 6 |
9. 문화 또는 관광
광명역 북쪽에는 이순신 장군(유명한 이순신 장군과 혼동하지 말 것)[8]과 이원익의 묘[9]가 있고, 이원익의 문화재도 전시되어 있다. 광명돔 경륜장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돔 구조물이다. 광명동굴은 과거 금, 은, 아연, 구리를 채굴하던 광산이었으나, 현재는 관광 명소로 광명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
- 광명돔 경륜장
- 오리문화제(梧里文化祭)
- 운산자연공원(雲山自然公園)
- 도덕산자연공원(道徳山自然公園)
9. 1. 도서관
소하도서관, 옹달샘도서관, 광명도서관, 철산도서관, 충현도서관, 하안도서관, 광명 중앙도서관, 철산동 연서도서관(2020년 6월 완공)이 있다.9. 2. 문화재
광명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재가 있다.종류 | 명칭 | 시대 | 비고 |
---|---|---|---|
회화 | 이원익 초상 | 조선 | 보물 제1435호 |
묘 | 영회원 | 조선 | 사적 제357호 |
주요 무형문화재 | 서도소리 | 주요 무형문화재 제29호 | |
회화 | 광명 이원익 초상화 | 조선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4호 |
회화 | 이원익 선생 영정 | 조선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
건축물 | 오리 이원익 영우 | 조선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1호 |
묘 | 이원익 선생 묘 및 신도비 | 조선 | 경기도 기념물 제85호 |
묘 | 가학동 지석묘 | 청동기 | 경기도 문화재 제58호 |
오리 이원익 종택 및 관감당 |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90호 | ||
광명농악 |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0호 |
이순신 장군(유명한 이순신 장군과 혼동하지 말 것)[8]과 이원익의 묘[9]가 광명역 바로 북쪽에 있으며, 이원익의 문화재도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9. 3. 광명동굴

광명동굴은 과거 1912년부터 1972년까지 금, 은, 아연, 구리 등을 채굴하던 수도권 최대 금속 광산이었다. 폐광 이후 한동안 소래포구 젓갈 보관 창고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2011년 광명시는 동굴과 주변 부지를 매입하여 관광지로 개발하였다.[8]
9. 4.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는 업사이클을 주제로 한 복합문화공간으로, 광명시 가학동 광명동굴 인근에 있다.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광명시자원회수시설 홍보동으로 쓰이던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2015년 6월 12일 개관했다. 광명시 문화관광과에서 직영하며, 업사이클을 주제로 전시, 공연, 체험교육, 공모전, 이벤트 등 다양한 친환경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상설 업사이클 아트 전시를 통해 수준 높은 예술 작품을 무료로 감상할 수 있어 광명동굴 관광객을 중심으로 SNS 입소문이 퍼지며 2022년 10월 기준 누적 관람객 120만 명 이상을 기록한 관광명소가 되었다. 6세 이상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업사이클 체험교육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업사이클아트센터 건축 디자인은 김수근건축상을 받은 로랑 페레이라가 담당했다. 페레이라는 영국 BBC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 중 하나로 선정한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설계를 맡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10. 상하수도
광명시의 상수도는 광명시에서 관할하는 노온정수장이 맡고 있다. 해당 정수장은 팔당호에서 취수한 원수를 사용한다.[1] 광명시는 1990년까지는 서울특별시의 수돗물 급수지역에 속했으나 1988년 인천광역시 주도로 노온정수장이 준공되면서 1990년에 서울특별시 급수지역에서 분리되어 인천광역시 수돗물 급수지역에 편입되었다.[1] 노온정수장은 광명시만 관할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과거 인천광역시 산하의 광역 정수장이었다보니 급수지역에는 광명시 뿐만 아니라 부천시 일부, 시흥시 일부도 포함되어 있다.[1] 노온정수장의 관할이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에서 광명시로 넘어간 것은 2009년의 일이다.[1] 광명시 중에서 현재 서울시 수돗물이 공급되는 곳은 광명대교 인근 철산1동 월경지 뿐이다.[1]
예전에 생활하수는 목감천, 안양천으로 그대로 방류되었으나 1987년 서울특별시 안양천하수처리장(현 서남물재생센터) 준공 이후로 1988년 9월 7일 광명시가 서울특별시 하수처리구역에 편입되어 제2경인고속도로 이북 지역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서울특별시에서 위탁처리하고 있다.[1] 일직동은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처리구역이며, 학온동은 하수처리구역이 아니다.[1]
11. 서울특별시 편입 문제
서울특별시의 도시계획에 따라 서울 편입 예정지로 개발되었으나, 전두환 정권의 위성도시 육성책[42]으로 인해 박정희 정부 시절의 서울 추가 확장 계획이 폐기되면서 광명시로 분리 승격되었다.[41]
현재도 광명시는 부천시, 안산시, 시흥시 등 경기도 서부권이 아닌 서울특별시 서남권(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양천구)과 같은 생활권에 속해 있다.[26] 전화, 택시, 시내버스, 지하철, 하수처리 등에서 서울특별시의 인프라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며,[26] 금천구와 고용박람회를 공동개최[43] 했을 만큼 서울 금천구와 동일한 경제권(지역노동시장권)을 이루고 있다.[44] 반면 법원, 검찰청 등 사법 서비스는 가까운 서울시 양천구의 서울남부지방법원·검찰청이 아니라 그보다 훨씬 거리가 먼 안산시의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검찰지청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생활권과 행정구역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서울시에 편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오랫동안 지역사회의 주요 쟁점 중 하나였다.[45] 2015년 여론조사에서도 서울 편입을 원하는 주민 여론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46]
2009년 전직 광명시장 출신의 광명갑 국회의원 백재현이 서울 편입 법안을 발의했으나,[48][49][50] 서울특별시 교통 정책으로 인한 버스 감차 문제, 서울 집중 심화, 도시의 자족 기능 및 광명 지역의 자치성 저해 등의 이유로 반대론이 제기되었다. 당시 이명박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안에서는 광역자치단체 경계 조정이라는 제도적 문제 때문에 광명시의 서울 편입이 고려되지 않았고,[51] 오히려 역사와 생활권이 이질적인 부천시와 통폐합하는 방안이 고려되기도 하였다.[52]
서울 편입 찬성 측은 광명시가 경기도에서 서울의 광명구로 편입됨으로써 대도시 행정 측면에서 생활권과 행정구역 간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편입을 통해 광명시 주민들은 특히 대중교통 분야에서 서울특별시의 도시 서비스와 행정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편입 반대 측은 편입이 광명시의 자치권을 훼손하고 국가 차원에서 비수도권 지역의 균형 발전을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12. 자매 도시
광명시는 대한민국의 전라북도 부안군, 충청북도 제천시와 해군 제1함대 소속 광명함과 교류 중이다. 또한, 독일 오스나브뤼크, 미국 오스틴, 일본 야마토, 중화인민공화국 랴오청과도 교류하고 있다.[53]
13.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The Biggest IKEA Store In The World Just Opened In South Korea
https://www.business[...]
2014-12-18
[3]
웹사이트
ko:디지털광명문화대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gwangmyeong.g[...]
2013-06-03
[4]
뉴스
A news article.(in Korean)
http://news.naver.co[...]
[5]
웹사이트
The original text of the proposed bill.(in Korean)
http://www.ok100.or.[...]
[6]
웹사이트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http://med.cau.ac.kr[...]
[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8]
웹사이트
ko:이순신묘
http://terms.naver.c[...]
[9]
웹사이트
He was Yeonguijeong in the era of Gwanghaegun
http://terms.naver.c[...]
[10]
뉴스
ko:해외전시회 참여 중소기업 임차료 등 지원
2008-01-16
[11]
웹사이트
Kia Motors Overview
http://www.edmunds.c[...]
Edmunds.com
[12]
웹사이트
City official page
[13]
웹사이트
Domestic and overseas exchange city
http://www.gm.go.kr/[...]
Gwangmyeong
2020-04-15
[1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7]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8]
서적
여지도서(輿地圖書)
서울
1757-01-01 # 추정값, 정확한 발행일이 없음.
[19]
간행물
고종실록 32년 음력 5월 26일 칙령 제98호, 〈지방 제도의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改正件〕〉
[20]
웹사이트
국가 기록원 관보 검색
http://theme.archive[...]
[21]
뉴스
수도권 전화망, 1980년까지 광역화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8-12-15
[22]
웹사이트
서울시내전화 준가입구역 지정
http://theme.archive[...]
[23]
웹사이트
https://archives.seo[...]
[24]
뉴스
영등포구, 도림천 경계 분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02-20
[25]
웹사이트
https://www.joongang[...]
[26]
웹인용
디지털광명문화대전 - 번화한 도심이 되기까지
http://gwangmyeong.g[...]
2013-05-12
[27]
간행물
조선총독부 경기도고시 제9호
[28]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9]
웹사이트
건설부 고시 제547호
http://theme.archive[...]
[30]
간행물
체신부 고시 제102호
[31]
간행물
체신부 고시 제476호
[32]
법률
광명시등 시설치와 군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81-04-13
[33]
웹사이트
건설부 고시 제470호
http://theme.archive[...]
[34]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35]
법률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1994-12-22
[36]
웹사이트
광명시의 지리
http://www.gm.go.kr/[...]
2012-04-11
[3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www.mois.go.k[...]
행정안전부
2018-08-25
[38]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39]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40]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41]
웹사이트
디지털광명문화대전 - 광명 속의 서울특별시
http://gwangmyeong.g[...]
[42]
웹사이트
https://www.joongang[...]
[43]
웹사이트
http://www.incheonil[...]
[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lea.or.k[...]
2015-11-08
[45]
웹사이트
https://opengov.seou[...]
[46]
웹인용
"광명시민 85% 서울시 편입 원한다"
https://web.archive.[...]
2015-10-15
[47]
뉴스
독산·시흥동 주민 대부분 광명시 편입 반대
https://news.naver.c[...]
[48]
뉴스
경기 광명→서울 편입 30년만에 추진
http://www.joseilbo.[...]
2009-09-16
[49]
웹사이트
의안정보시스템 -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안
http://likms.assembl[...]
[5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ok100.or.[...]
2015-04-22
[51]
뉴스
靑, 위성도시 서울 편입 주장 일축
http://www.edaily.co[...]
2013-05-12
[52]
뉴스
광명이 부천과 통합된다?
http://www.joygm.com[...]
2006-02-17
[53]
웹사이트
국내외 교류>국외
https://www.gm.g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KT 소액결제 사건 피의자 “펨토셀 싣고 아파트 많은 곳 가라는 지시 받았다” 진술
'KT 소액결제' 사건 피의자 "아파트 많은 곳 표적 삼았다"
광명뉴타운 '철산역자이' GS건설 650채 일반분양
[르포] “쿵쿵쿵 소리에 놀랄 때가 많아요”…떠들썩한 광명11구역 가보니
“이번 생엔 서울 아파트 불가능”…집값 급등에 경기도로 나가는 사람들
“자고 나니 소액결제?” 광명∙금천 미스테리에…KT “한도 축소한다”
휴대폰 소액결제 피해 확산…KT "결제한도 10만 원으로 축소"
경기 광명 KT 소액결제 피해 서울로 확산…범행 방식 ‘오리무중’
광명 이어 서울 금천서도 KT 소액결제 피해 신고…경찰 조사
스미싱과 다른데…가입자 정보 어디서 뚫렸나
금천구에서도 KT '소액결제' 피해…커지는 우려
[단독] "한도 올려 결제" 금천구도 발칵…'소액결제' 피해 속출
소액 결제 막아놔도 뚫려 '비상'…정보 어디서 뚫렸나 (풀영상)
KT 유저들 한밤중 소액결제 범죄 잇따라…해킹? 스미싱?
"모르는 새 소액 결제"…KT 쓰는 광명 주민들
"모르는 새 소액 결제"…KT 쓰는 광명 주민 '발칵'
카톡 로그아웃 되더니 갑자기…KT 쓰는 광명 주민 발칵
광명서 20여 명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같은 통신사 이용"
광명 소하동 아파트 화재 피해 지원에 1억6000만원 성금 모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