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산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산촌은 1889년 치바현 이치하라군에 헤이조촌, 요네하라촌, 코쿠사바타촌이 합병하여 발족한 마을이다. 1954년 우시쿠정 등과 합병하여 난소정이 되었으며, 1967년 난소정이 이치하라시에 편입되면서 소멸되었다. 10세기부터 헤이조 지역에 토착한 도바시 씨족이 존재했으며, 농업과 임업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졌다. 1916년에는 헤이산 초등학교가 설립되었으나, 2016년 폐교되었다. 현재 국도 297호선과 지바현도 148호선이 통과하며, 구마노 신사, 다이츠지, 사이간지 등의 종교 시설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치하라군 - 시즈정
시즈정은 1955년 두 촌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1961년 정으로 승격되었으나, 1963년 다른 정들과 합병하여 이치하라시가 되면서 소멸되었다. - 이치하라군 - 시토촌
시토촌은 과거 이치하라군 북동부에 위치했던 촌으로, 1889년 정촌제 시행으로 신설되었으나 1955년 싯푸촌과 합병하여 시즈촌으로 통합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 이치하라시의 역사 - 시즈정
시즈정은 1955년 두 촌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1961년 정으로 승격되었으나, 1963년 다른 정들과 합병하여 이치하라시가 되면서 소멸되었다. - 이치하라시의 역사 - 기쿠마번
기쿠마번은 1868년 미즈노 다다노리에게 하사된 영지로 세워져 번청 건설과 번교 창설을 추진했으나 1871년 폐지되어 기사라즈 현에 통합되었다. - 지바현의 폐지된 시정촌 - 마사키촌 (지바현)
1889년 야마베군에 설치된 마사키촌 (지바현)은 1897년 산무 군으로 편입된 후 1953년 도가네정 등과 합병되어 도가네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고 과거 구주쿠리 철도선이 지나갔다. - 지바현의 폐지된 시정촌 - 아마쓰정
아마쓰정은 태평양에 접하고 어업이 발달했으며, 니치렌이 출가한 청징사가 있는 지역으로, 1889년 3개 촌의 합병으로 발족하여 1955년 합병으로 소멸했다.
| 헤이산촌 - [옛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자치체 명칭 | 평삼촌 |
| 한자 표기 | 平三村 |
| 가나 표기 | へいさんむら |
| 위치 | 시하라군 |
| 행정 정보 | |
| 소속 국가 | 일본 |
| 소속 광역 자치체 | 지바현 |
| 군 | 시하라군 |
| 인접 자치체 | 시하라군 쓰루마이정 시하라군 가모촌 조세이군 조난정 니시촌 이스미군 오타키마치 |
| 폐지 정보 | |
| 폐지일 | 1954년 10월 15일 |
| 폐지 사유 | 신설 합병 |
| 폐지 상세 | 평삼촌 도다촌 우치다촌 우시쿠정 쓰루마이정 → 난소정 |
| 현재 소속 자치체 | 이치하라시 |
2. 역사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에 따라 이치하라군의 헤이조(平蔵)촌, 요네하라(米原)촌, 고쿠사바타(小草畑)촌이 합병하여 헤이산촌이 성립되었다. 이후 1954년 10월 15일에는 우시쿠정, 쓰루마이정, 도다촌, 우치다촌과 합병하여 이치하라시가 되면서 소멸하였다.
2. 1. 근대 이전
헤이조(平蔵) 지역에는 10세기(헤이안 시대)에 도바시 헤이조(土橋平蔵)라는 무사가 정착했다고 전해지며, 도바시 씨는 전국 시대까지 인근 지역을 지배했다고 한다. 요네하라(米原)에는 14세기 말(무로마치 시대)에 창건된 다이쓰지(大通寺) 절이 있다. 헤이조 3개 촌(헤이조, 요네하라, 고쿠사바타) 중에서는 고쿠사바타(国府関)의 개발이 가장 늦었던 것으로 보이나, 16세기 말(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이미 절이 존재했다.대정봉환 이후인 메이지 원년(1867년), 헤이조촌과 요네하라촌은 쓰루마이번의 영지가 되었다. 고쿠사바타촌은 처음 기쿠마번의 영지였으나, 이후 쓰루마이번으로 관할이 변경되었다고 한다.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과 현 통합을 거쳐 기사라즈현 소속이 되었고, 1873년(메이지 6년) 지바현이 설치되면서 지바현 소속이 되었다.
이 지역은 대구소구제 하에서는 지바현 제5대구에 속했다. 이후 군구정촌편제법이 시행되면서, 헤이조·요네하라·야마코가와(山小川) 3개 촌과 아라이(新井)·요시자와(吉沢)·고쿠사바타 3개 촌이 각각 연합하여 호장(戸長) 사무소를 설치했다.
2. 2. 근대 (메이지 시대 ~ 쇼와 시대 초기)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에 따라 헤이조 촌(平蔵村), 요네하라 촌(米原村), 코쿠사바타 촌(小草畑村)이 합병하여 이치하라군 헤이산촌(平三村)이 발족했다.『메이지 22년 치바현 정촌 분합 자료』에 따르면, 새로운 마을을 만드는 과정에서 헤이조 촌(平蔵村)이 가장 큰 마을로 여겨져 처음에는 '헤이조 촌(平蔵村)'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려 했다. 그러나 1889년 2월 8일자로 마을 이름을 '헤이산 촌(平三村)'으로 하는 신고서가 제출되었다. 이 신고서에는 '헤이산(平三)'의 읽는 법이 명시되어 있었으나, 1916년에 편찬된 『치바현 이치하라군지』에서는 읽는 법이 '헤이산'으로 기재되었다. 현재(2021년 9월 기준) 옛 마을 이름을 계승한 시설들도 '헤이산'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954년 11월 15일, 헤이산촌은 토다 촌, 우치다 촌, 츠루마이 정, 우시쿠 정과 합병하여 난소 정이 되면서 소멸하였다.
2. 3. 현대 (쇼와 시대 후기 ~ 현재)
3. 지리
이치하라군의 동남단에 위치한 마을로, 남북으로 2리 가까이 되는 가늘고 긴 마을 구역을 가지고 있었다. 1916년(다이쇼 5년) 시점에서는 북쪽으로 우치다촌, 조세이군 초난정, 동쪽으로 조세이군 니시촌, 남쪽으로 이즈미군 가미타키촌, 사토미촌, 서쪽으로 토미야마촌, 츠루마이정과 접해 있었다.
1916년(다이쇼 5년)에 편찬된 『지바현 이치하라군지』에 따르면, '''헤이조'''(平蔵|헤이조일본어), '''요네하라'''(米原|요네하라일본어), '''코쿠사바타'''(国府関|코쿠사바타일본어)의 3개 오아자(정촌제 이전의 구 촌)로 이루어져 있었다. 마을 북부가 헤이조, 남동부(헤이조강 상류부)가 요네하라, 남서부가 코쿠사바타에 해당한다. 이 3개의 오아자 명칭은 현재 이치하라시의 오아자로서 존속하고 있다.
보소 언덕 중의 마을로, 요네하라의 남방(이즈미군과의 경계)은 아사마산, 헤이조의 북동(조세이군과의 경계)은 노미카네산( 野見金野|노미카네노일본어 )의 산지에 속한다 (두 산의 정상은 마을 구역 밖에 있다). 동부에는 헤이조강이 흐르고, 서남부의 코쿠사바타에는 코쿠사바타강이 흐른다(모두 요로강 수계이다). 언덕이 많아 평지가 부족하고, 헤이조강과 코쿠사바타강도 계곡에 위치하여 수위가 낮기 때문에, 1916년(다이쇼 5년) 당시에는 논에 물을 대기 위한 수리 시설을 얻기 어려웠다고 한다.
4. 경제·산업
1916년(다이쇼 5년)에 편찬된 『지바현 이치하라군지』에 따르면, 헤이산촌은 농촌이며,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였다. 1912년(다이쇼 원년) 통계에 따르면 농업 생산액은 95745JPY이었으며, 이 중 쌀이 82191JPY, 보리가 4171JPY를 차지했다.
같은 자료에 따르면, 헤이산촌은 이치하라군 내에서 임업이 주목할 만한 마을 중 하나였다. 농가의 부업으로 숯 굽기가 이루어졌으며, 생산된 숯은 인근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 외에도 도쿄까지 출하되었다(마을의 숯 생산액 25600JPY). 공업으로는 대나무 세공, 자리, 도롱이 생산이 이루어졌다. 상업은 주로 농가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소규모 소매업 외에는 특별히 언급할 만한 것이 없었다.
마을에는 1899년(메이지 32년)에 설립된 코쿠사바타 은행이 있었다. 코쿠사바타 은행은 쇼와 금융 공황 시기인 1927년(쇼와 2년)에 모바라정으로 이전한 후, 카즈사 은행에 경영권을 양도했다[1].
5. 교통
1916년(다이쇼 5년) 편찬된 『지바현 이치하라군지(千葉県市原郡誌)』에 따르면, 헤이산촌은 군의 변두리에 위치하고 구릉에 둘러싸여 교통이 불편했다고 한다. 그러나 1898년(메이지 31년) 마을 동부에 현재의 국도 297호선에 해당하는 현도가 개통되었고, 1910년(메이지 43년)에는 조세이군 니시무라로 이어지는 현재의 지바현도 148호 난소 이치노미야선에 해당하는 주요리도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도로 개설로 화물 운반에 짐마차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2023년 9월 현재, 옛 헤이산촌 지역을 통과하는 주요 국도 및 지바현도는 다음과 같다.
- 국도 297호선
- 지바현도 148호 난소 이치노미야선
6. 교육
마을의 유일한 초등학교로 헤이조(平蔵) 지구에 헤이산 초등학교가 있었다. 이 학교는 메이지 시대 9년(1876년)에 설립되어, 이후 정촌 합병 과정을 거치며 헤이산 촌립에서 난소 정립(南総町立)을 거쳐 이치하라시립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오랜 역사를 가졌던 헤이산 초등학교는 2016년 3월에 폐교되었으며, 2021년 기준으로 해당 부지와 건물은 지역 활성화 거점 시설인 '모임의 광장 헤이산'으로 활용되고 있다. 학교의 자세한 변천 과정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6. 1. 헤이산 초등학교의 변천
마을의 초등학교로, 헤이조(平蔵) 지구에는 '''헤이산 초등학교'''가 있었다. 이 학교는 1876년을 창립 연도로 삼고 있으며, 정촌 합병에 따라 헤이산 촌립에서 난소 정립(南総町立)을 거쳐 이치하라시립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이후 2016년 3월에 폐교되었고, 2021년 현재는 지역 활성화 거점 시설인 '모임의 광장 헤이산'으로 운영되고 있다.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걸쳐, 헤이산촌을 구성했던 3개의 구 촌(오아자: 大字)마다 교사(분교장)가 있었으며, 학교 조직은 합병과 분리·독립을 반복했다.
헤이조 지구의 초등학교는 1876년에 '제22번 헤이조 초등학교'로 창립되었다. 1887년에는 헤이조 심상(尋常) 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 요네하라(米原)에 분교를 두었다. 헤이산촌이 발족한 1889년에는 헤이조 본교, 요네하라 분교, 코쿠사바타(国々幡) 심상 초등학교를 합병하여 '헤이산 심상 초등학교'가 발족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1890년 발족).
그러나 1893년(일부 자료에서는 1892년), '헤이산 심상 초등학교'는 다시 분리되어 각 오아자(大字)별로 학교가 나뉘었다. 헤이조 지구의 학교는 다시 '헤이조 심상 초등학교'가 되었고, 요네하라와 코쿠사바타에도 각각 심상 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코쿠사바타의 경우, 본교까지의 거리가 1리(약 4km) 남짓 멀었기 때문에 아이들의 통학을 걱정한 지역 유지들이 대책을 마련하여, 1891년 임시 교사(유지의 자택을 활용)를 설치하고 1893년에 '코쿠사바타 심상 초등학교'로 독립했다는 기록이 있다. 요네하라 심상 초등학교 역시 1890년경 신교사를 설립했다고 전해진다. 헤이조 심상 초등학교는 1908년에 신교사를 건축했다.
1916년 당시 기록에는 요네하라 심상 초등학교, 코쿠사바타 심상 초등학교, 헤이조 심상 초등학교가 각각 존재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후 1925년에 학교는 다시 통합되어, 각 오아자에 교장을 두는 체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1933년, 현재 위치에 목조 신교사가 완공되면서 분교장들도 완전히 통합되었다.
그 후, 1941년에는 국민학교령에 따라 '헤이산 국민학교'로,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헤이산 초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7. 종교 시설
- 대통사 (米原): 조동종. 1400년(오에이 7년) 창립.
- 서원사 (平蔵): 덴다이종. 중세 시대 이 지역 영주였던 도바시 헤이조가 창립했다고 전해짐.
- 구마노 신사 (平蔵): 촌사(村社). 1632년(간에이 9년) 창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