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포팅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포팅어는 178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인물로, 동인도 회사에서 복무하며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탐험했다. 그는 무슬림 상인으로 위장하여 현지 언어를 연구하며 발루치스탄과 페르시아 지역을 탐사했고,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에도 참전했다. 이후 아편 전쟁 당시 중국 전권 대사 및 홍콩 총독을 역임하며 난징 조약을 통해 홍콩을 영국에 할양했다. 포팅어는 홍콩 총독 재임 기간 동안 행정부와 입법부를 설립했으나, 상인들의 지지를 잃고 퇴임했다. 이후 케이프 식민지 총독과 마드라스 총독을 역임했으며, 몰타에서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홍콩의 지명에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징 조약 - 일리부
일리부는 청나라 관료로, 아편 전쟁 시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어 군사 작전을 지휘하고 난징 조약 체결에 참여했으며, 광저우 장군을 거쳐 흠차대신으로 전후 처리를 담당하다가 사망했다. - 홍콩 총독 -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는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시작하여 홍콩 총독을 역임하며, 아편 무역 금지 정책 폐지를 요구하고, 홍콩의 첫 인구 조사와 주말 경마를 시작했으며, 저서를 남긴 인물이다. - 홍콩 총독 - 찰스 엘리엇
찰스 엘리엇은 영국 해군 복무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영국령 기아나 노예보호관, 청나라 선무총관 등을 역임했고, 아편전쟁 당시 홍콩섬을 영국에 할양하는 조약을 체결했으나 해임된 인물이다. - 그레이트 게임 - 거문도 사건
1885년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하기 위해 전략적 요충지인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으로, 조선의 취약한 국제적 지위와 열강들의 힘겨루기를 보여주며, 청나라의 외교 개입, 일본의 대조선 정책, 조선 정부의 무능력을 드러낸 근대 한국의 역사적 사건이다. - 그레이트 게임 - 영일 동맹
영일 동맹은 1902년 영국과 일본이 러시아의 팽창과 청나라 이권 경쟁에 대한 공동의 우려로 체결한 군사 동맹으로, 중국과 한국의 독립을 상호 인정하고 특정 조건 하에 상호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여러 요인으로 관계가 악화되어 1923년 공식 종료되었다.
헨리 포팅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중장 각하 |
이름 | 헨리 포팅어 경 |
![]() | |
직책 | |
재임 시작 | 1843년 6월 26일 |
재임 종료 | 1844년 5월 8일 |
군주 | 빅토리아 |
부관 | 조지 다길라르 경 |
전임 | 직책 신설 |
후임 | 존 데이비스 경 |
재임 시작 | 1847년 1월 27일 |
재임 종료 | 1847년 12월 1일 |
전임 | 페레그린 메이틀랜드 경 |
후임 | 해리 스미스 경 |
재임 시작 | 1848년 4월 7일 |
재임 종료 | 1854년 4월 24일 |
전임 | 트위데일 후작 |
후임 | 해리스 남작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789년 10월 3일 |
출생지 | 마운트 포팅어, 밸리마카렛, 아일랜드 |
사망일 | 1856년 3월 18일 |
사망지 | 몰타, 영국 |
안장지 | 므시다 바스티온 역사 정원, 몰타 |
자녀 | 4명 |
친척 | 엘드레드 포팅어 (조카) |
![]() | |
군사 정보 | |
소속 | 영국 |
군종 | 봄베이 육군 |
복무 기간 | 1804년–1856년 |
계급 | 중장 |
참전 |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 제1차 아편 전쟁 |
2. 초기 생애
헨리 포팅어는 1789년 아일랜드 다운주에서 태어나 벨파스트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았다. 1804년 인도에서 군 복무를 시작했고, 1806년 영국 동인도 회사에 합류하여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에 참전했다.[21][22][23][25] 이후 인더스강과 페르시아 사이의 땅을 탐험하고, 신드주와 하이데라바드 토후국에서 행정관을 역임했다.
2. 1. 가족 배경
헨리 포팅어는 1789년 아일랜드 다운 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다운 주 포팅어 산의 향사 엘드레드 커윈 포팅어의 다섯째 아들이었고, 어머니는 플로리다 가문의 향사 로버트 고든의 딸 앤이었다. 헨리와 앤 사이에는 세 딸과 여덟 아들이 있었다.[21][22][23] 헨리의 조카는 엘드레드 포팅어였다.[24] 헨리는 오늘날 벨파스트 왕립 아카데미로 알려진 벨파스트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1820년에 그는 수잔나 마리아 쿡과 결혼했다. 1831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경찰 감독관으로서 범법자로 도망친 것으로 유명한 아들 프레드릭 포팅어를 낳았다. 그들의 둘째 아들 헨리는 1834년 6월 10일에 태어나 1909년 10월 18일에 사망했다.
2. 2. 인도에서의 초기 활동
1804년, 헨리 포팅어는 군 복무를 위해 인도로 건너갔다. 그는 존 말콤 경의 지시에 따라 무슬림 상인으로 위장하여 현지 언어를 공부하면서 인더스와 페르시아 사이의 땅을 탐험했다.[25] 1806년 영국 동인도 회사에 합류하였고, 1809년에는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에 중위로 참전했다.[7]1810년, 포팅어는 찰스 크리스티와 함께 무슬림으로 위장하여 누시키(발루치스탄)에서 이스파한(중앙 페르시아)까지 탐험을 떠났다.[7] 크리스티는 북쪽 헤라트로 가서 서쪽으로 이동했고, 포팅어는 두 사막을 지나 서쪽으로 케르만까지 간 후 이스파한에서 다시 합류했다. 이 탐험은 동인도 회사가 자금을 지원했는데, 이는 프랑스군의 인도 침공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탐험대는 발루치스탄과 페르시아 지역의 지도를 제작하고 연구 활동을 수행했다.[8] 이후 100년 동안 다른 유럽인이 이 경로를 따라가지 못했으며, 포팅어는 이 공로로 대령으로 승진했다.

포팅어는 이후 1820년 신드 주재 행정관이 되었고, 하이데라바드에서도 같은 직책을 역임했다.
3. 인도와 중앙아시아 탐험
포팅어는 존 말콤 경의 지시로 무슬림 상인으로 위장, 현지 언어를 연구하며 인더스 강과 페르시아 사이 지역을 탐험했다. 1809년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에 중위로 참전했고, 1810년 찰스 크리스티와 함께 동인도 회사의 지원을 받아 발루치스탄과 페르시아 지역을 탐사했다.[7][8] 탐험 후 대령으로 진급, 1820년 신드와 하이데라바드의 행정관을 역임했다. 1839년 영국으로 돌아가 준남작이 되었다.
3. 1. 탐험 배경
포팅거는 존 말콤 경의 지시를 받아 무슬림 상인으로 위장하여 현지 언어를 연구하면서 인더스 강과 페르시아 사이의 지역을 탐험했다.[7] 1810년, 찰스 크리스티와 함께 무슬림으로 위장하여 누시키 (발루치스탄)에서 이스파한(중앙 페르시아)까지 탐험을 시작했는데,[7] 이 탐험은 프랑스 군대의 인도 침공에 대한 우려 때문에 발루치스탄과 페르시아 지역을 지도 제작하고 연구하기 위해 동인도 회사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8]
3. 2. 탐험 여정
포팅어는 존 말콤 경의 지시를 받아 인더스 강과 페르시아 사이의 지역을 탐험했다. 그는 이슬람 상인으로 위장하여 현지 언어를 익히면서 탐험을 진행했다.[7] 1809년, 그는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에 중위로 참전했다.
1810년, 포팅어는 찰스 크리스티와 함께 이슬람교도로 위장하고 누시키 (발루치스탄)에서 이스파한 (중앙 페르시아)까지 탐험했다.[7] 이 탐험은 동인도 회사가 자금을 지원했는데, 이는 프랑스 군대가 인도를 침공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탐험의 목적은 발루치스탄과 페르시아 지역을 지도에 담고 연구하는 것이었다.[8]
크리스티는 북쪽의 헤라트를 거쳐 서쪽으로 이동했고, 포팅어는 두 사막을 지나 서쪽으로 이동하여 케르만을 경유, 이스파한에서 다시 합류했다. 이 경로를 따라간 다른 유럽인은 100년이 지나서야 나타났다. 이 탐험 이후 포팅어는 대령으로 진급했다.
3. 3. 탐험의 의의
포팅거는 존 말콤 경의 지시를 받아 무슬림 상인으로 위장하여 현지 언어를 연구하면서 인더스 강과 페르시아 사이의 지역을 탐험했다. 1810년, 찰스 크리스티와 함께 무슬림으로 위장하여 누시키(발루치스탄)에서 이스파한(중앙 페르시아)까지 탐험을 시작했다.[7] 크리스티는 북쪽으로 헤라트로 가서 서쪽으로 갔고, 포팅거는 두 사막을 지나 서쪽으로 가서 케르만과 이스파한으로 가서 다시 합류했다. 이 탐험은 프랑스 군대의 인도 침공에 대한 우려 때문에 발루치스탄과 페르시아 지역을 지도 제작하고 연구하기 위해 동인도 회사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8] 그 후 100년이 지나서야 다른 유럽인이 이 경로를 따라갔다.4. 아편 전쟁과 중국에서의 활동
포팅어는 제1차 아편 전쟁을 종결짓기 위해 난징 조약 (1842)을 협상했다. 이 조약으로 홍콩섬은 영국에 할양되었다.[28] 조약 비준을 축하하는 연회에서 청나라 측 협상 대표인 기영은 서로의 가족 구성원의 작은 초상화를 교환하자고 제안했다. 포팅어는 기영이 자신의 아내 초상화를 "머리 위에 올려놓았는데, 이는 최고의 존경과 우정의 표시라고 들었다"고 전했다. 기영은 술잔을 채우고 그림을 얼굴 앞에 든 채 낮은 목소리로 말하고 술을 마신 뒤 다시 그림을 머리 위에 올리고 앉아, 두 가족과 두 사람 사이의 장기적인 우호 행사를 마쳤다고 한다.[28]
4. 1. 아편 전쟁 발발 배경
파머스턴 경은 외무장관 시절, 찰스 엘리엇의 후임으로 헨리 포팅어에게 중국 전권 대사와 영국 통상 감독관직을 제안했다. 1841년, 파머스턴 경은 포팅어에게 홍콩섬의 자연적 수용 능력을 조사하고, 광동성 주변의 다른 섬과 교환할 수 없다면 홍콩섬 포기에 동의하지 말라고 지시했다.[26][27] 이는 광동성 지역이 가시적인 목적에 더 적합하고, 방어하기도 쉬우며, 전선과 상선에게 충분한 피난처를 제공하기 때문이었다.[27]1841년 11월 4일, 파머스턴 경의 후임인 애버딘 경은 포팅어에게 편지를 보내 홍콩 인수가 행정 비용을 초래하고 중국 및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의구심을 전달했다.[27]
포팅어는 중국 북부에서 영국 원정군에 합류한 후, 난징 조약(1842)의 조건을 협상하여 제1차 아편 전쟁을 종식시키고 홍콩섬을 영국에 할양받았다.[28]
4. 2. 포팅어의 역할
파머스턴 경의 제안으로, 포팅어는 찰스 엘리엇의 뒤를 이어 중국 전권 대사 및 영국 통상 감독관이 되었다.[26] 그는 1841년 중국에 파견될 때, "홍콩섬의 자연적 수용 능력을 조사하고, 광동성 주변의 다른 섬으로 바꿀 수 없다면, 그 섬의 포기를 동의하지 말라"는 파머스턴 경의 지시를 받았다.[27] 광동성 지역은 방어에 더 유리하고, 전선과 상선에게도 충분한 피난처를 제공할 수 있는 곳이었다.[27]포팅어는 1841년 6월 5일 런던을 출발하여 지중해와 수에즈를 거쳐 8월 10일 중국에 도착했다. 총 67일이 걸린 이 여정은 당시로서는 기록적인 시간이었다.[10] 1841년 11월 4일, 파머스턴의 후임인 애버딘 경은 포팅어에게 홍콩 인수가 행정 비용을 초래하고 중국 및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의구심을 표하는 편지를 보냈다.[27]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포팅어는 중국 북부에서 영국 원정군에 합류하여 제1차 아편 전쟁을 종식시키는 난징 조약 (1842)의 조건을 협상하고, 홍콩섬을 영국에 할양받았다. 그는 애버딘 경에게 보낸 편지에서, 조약 비준을 축하하는 연회에서 기영이 서로의 가족 구성원의 작은 초상화를 교환하자고 제안했다고 썼다. 포팅어는 기영이 자신의 아내 초상화를 "머리 위에 올려놓았는데, 이는 최고의 존경과 우정의 표시라고 들었다"고 전했다. 기영은 술잔을 채우고 그림을 얼굴 앞에 든 채 낮은 목소리로 말하고 술을 마신 뒤 다시 그림을 머리 위에 올리고 앉아, 두 가족과 두 사람 사이의 장기적인 우호 행사를 마쳤다고 한다.[28]

4. 3. 난징 조약과 홍콩
제1차 아편 전쟁을 종결짓기 위해, 포팅어는 중국 북부에서 영국 원정군에 합류하여 난징 조약(1842)의 조건을 협상했다. 이 조약을 통해 홍콩섬이 영국에 할양되었다.[26] 포팅어는 외무장관 파머스턴 경의 지시에 따라 홍콩의 전략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27] 파머스턴 경은 홍콩의 자연적 수용 능력을 조사하고, 광동성 주변의 다른 섬과 교환할 수 없다면 홍콩섬 포기에 동의하지 말라고 지시했다.[27]그러나 파머스턴 경의 후임인 애버딘 경은 홍콩 인수가 행정 비용을 초래하고 중국 및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의구심을 표명했다.[27]
조약 비준을 기념하는 연회에서, 포팅어는 청나라 측 협상 대표인 기영과 서로 가족 구성원의 작은 초상화를 교환하는 의식을 가졌다.[28] 포팅어는 기영이 자신의 아내 초상화를 머리 위에 올려놓고, 술잔을 들고 낮은 목소리로 말한 뒤 술을 마시고 다시 그림을 머리에 올리는 행동을 통해 최대의 존경과 우정을 표현했다고 전했다.[28] 이는 두 가족과 두 국가 간의 장기적인 우호 관계를 맺는 의식이었다.[28]
5. 홍콩 총독 재임
포팅어는 1841년부터 1843년까지 홍콩의 두 번째 행정관을, 1843년부터 1844년까지 초대 홍콩 총독을 역임했으며, 홍콩 주둔 영국군 사령관도 겸임했다.[29]
포팅어는 행정부와 입법부를 설치했으나, 의회는 자주 소집되지 않아 그에게 광범위한 정책 결정 권한이 부여되었다. 임기 말, 그는 영국 상인들의 지지를 잃고 고립되어 1844년 5월 7일에 홍콩을 떠났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홍콩은 중국에서 아편 거래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29]
5. 1. 초기 홍콩 통치
포팅어는 홍콩의 두 번째 행정관(1841~1843)이자 초대 홍콩 총독(1843~1844)이었다. 애버딘에게 조약을 보낼 때 포팅어는 "홍콩의 유지는 내가 수정된 지침을 의도적으로 초과한 유일한 점이지만, 이 훌륭한 나라에서 보낸 매 순간은 우리 무역의 중심지이자, 중국에 있는 영국 국왕 폐하의 신민들을 보호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장소로서, 우리가 그러한 정착지를 소유해야 할 필요성과 바람직함을 확신하게 했습니다."라고 말했다.[29]1843년 4월 26일, 현재 구 프랑스 선교 건물인 포팅어의 거주지에 도둑이 들었다. 1843년 5월, 그는 영국에서 4명의 장교와 5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경찰력을 모집할 것을 권고했지만, 재정적인 이유로 거부되었다.
1843년 6월 26일, 그는 홍콩에 주둔한 영국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짧은 재임 기간 동안 포팅어는 행정부와 입법부를 설립했는데, 하나는 정치 문제를 논의하고 다른 하나는 법전을 설계했다. 그러나 의회는 자주 소집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포팅거는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광범위한 권한을 갖게 되었다.
재임 말기에 포팅어는 현지 영국 상인들의 지지를 잃고 고립되었다. 그는 1844년 5월 7일에 떠났다.
그의 총독 재임 기간 동안 홍콩은 중국에서 아편을 거래하는 주요 항구가 되었다.
5. 2. 정책과 갈등
포팅어는 행정과 입법 부서를 설립하여, 각각 정치 문제와 법전을 논의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부서들은 자주 소집되지 않았고, 이는 포팅어에게 광범위한 정책 결정 권한을 부여했다.[29]포팅어는 임기 말에 영국 상인들의 지지를 잃고 고립되었으며, 1844년 5월 7일에 홍콩을 떠났다.[29]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홍콩은 중국에서 아편 거래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29]
5. 3. 퇴임과 평가
포팅어는 임기 말 영국 상인들의 지지를 잃고 고립되었으며, 1844년 5월 7일에 홍콩을 떠났다.[29]그는 홍콩의 두 번째 행정관(1841~1843)이자 초대 홍콩 총독(1843~1844)이었다. 그는 애버딘 경에게 조약을 보내면서 "홍콩 소유는 내가 의도적으로 수정 지침을 어긴 유일한 점이지만, 이 훌륭한 나라에서 내가 보내는 1시간마다 나에게 그런 정착지를 소유할 필요성과 바람직함을 확신했고, 그곳은 우리 무역을 위한 시장이며, 중국에 있는 폐하의 국민들이 보호받고, 통제받을 수 있는 정착지"라는 편지를 보냈다.[29]
포팅어의 짧은 재임 기간 동안, 행정부와 입법부가 설립되었지만 의회는 자주 소집되지 않아 포팅어에게 광범위한 권한이 주어졌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홍콩은 중국에서 아편 거래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
6. 총독 이후의 생애
포팅어는 1844년 추밀원 회원이 되었고,[1] 1847년 케이프 식민지 총독과 마드라스 총독을 역임했다.[1] 1851년 중장으로 진급했으며,[1] 1856년 몰타에서 은퇴 후 사망했다.[1] 그는 미시다 바스티온 역사 정원에 묻혔으며, 묘비의 대리석 명판은 지금도 볼 수 있다.[1]
6. 1. 영국 귀환과 명예
1844년 영국으로 돌아온 포팅어는 같은 해 5월 23일 추밀원 회원이 되었다.[1] 여러 도시에서 자유 시민 증서를 받았으며,[1] 1845년 6월 영국 하원은 포팅어에게 평생 연금 1500GBP를 지급하기로 의결했다.[1]6. 2. 식민지 행정관 경력
포팅어는 1844년 추밀원 회원이 되었다.[1] 1847년 케이프 식민지 총독을 역임했고,[1] 같은 해 마드라스 총독을 역임했다.[1] 1851년 중장으로 승진했다.[1] 1856년 몰타에서 퇴직하여 사망했으며,[1] 오늘날 미시다 바스티온 역사 정원으로 알려진 플로리아나의 개신교 묘지에 묻혔다.[1] 묘지에는 대리석 명판이 남아있다.[1]6. 3. 사망과 유산
포팅어는 1844년 추밀원 회원이 되었다. 1847년 케이프 식민지 총독과 마드라스 총독을 역임했다. 1851년 중장으로 승진했고, 1856년 몰타에서 은퇴 후 사망했다. 그는 플로리아나의 개신교 묘지(현재 미시다 바스티온 역사 정원)에 묻혔으며, 묘비의 대리석 명판은 지금도 볼 수 있다.[1]7. 가족 관계
Susanna Maria Cooke영어(1800–1886)와 1820년에 결혼하여 세 아들과 한 딸을 두었다.[6]
8. 유산과 평가
헨리 포팅어는 영국의 식민지 행정관이자 외교관으로서, 특히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와의 난징 조약 체결을 주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난징 조약은 홍콩을 영국에 할양하고, 청나라의 개항을 강요하는 등 불평등 조약의 시초로 여겨진다.
포팅어는 홍콩의 초대 총독을 역임하며 식민지 통치의 기반을 다졌으며, 이후에도 여러 식민지에서 행정관으로 활동하여 영국의 제국주의적 팽창에 기여했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청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주권을 침해하고, 불평등한 관계를 강요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대한민국의 관점에서 보면, 포팅어의 활동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과 불평등 조약 체결의 역사적 맥락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특히, 일제 강점기를 경험한 한국의 입장에서는 그의 활동이 갖는 부정적인 의미가 더욱 크게 다가온다.
포팅어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가 홍콩,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남아있지만,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8. 1. 유산
지역 | 관련 장소 | 비고 |
---|---|---|
홍콩섬 중완 | 포팅어가(砵典乍街) | |
홍콩 | 포팅거 피크 | |
홍콩 | 포팅거 스트리트 | |
홍콩 | 포팅거 갭 | |
홍콩 데블스 피크 | 포팅거 포대 | |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포팅거스 엔트리 | |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로열 아카데미 | 포팅거 하우스 | |
영국 | 벨파스트 포팅거 | 영국 의회 선거구 |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 포팅거 군 |
참조
[1]
간행물
Our Portrait Gallery—No. XL.
https://books.google[...]
James McGlashan
1846
[2]
간행물
Right Hon. Sir H. Pottinger, G.C.B.
https://books.google[...]
Robert Hadwick
1857
[3]
간행물
Obituary.—Right Hon. Sir H. Pottinger.
https://books.google[...]
John Bowyer Nichols and Sons
1856
[4]
간행물
Letter from Sir Henry Pottinger
https://books.google[...]
James McGlashan
1846-11-02
[5]
서적
A Biographical Sketch-book of Early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5
[6]
간행물
Pottinger, Sir Henry, first baronet (1789–1856)
2004
[7]
간행물
Not Exactly a Connoisseur A New Portrait of James Christie
https://www.academia[...]
Robin Simon
2019
[8]
서적
The Great Game: Britain and Russia in Central Asia
RoutledgeCurzon
2004
[9]
서적
A Modern History of Hong Kong
I.B. Tauris
2004
[10]
서적
The Qing Empire and the Opium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1]
서적
Narratives of Free Trade: The Commercial Cultures of Early US-China Relations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2
[12]
서적
Sir Henry Pottinger: First Governor of Hong Kong
Sutton Publishing
1997
[13]
서적
Watching Over Hong Kong: Private Policing 1841–1941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8
[14]
웹사이트
Henry Pottinger
https://www.findagra[...]
[15]
서적
A Genealogical and Heraldic History of the Peerage and Baronetage
https://books.google[...]
Harrison and Sons
1878
[16]
서적
Thom's Irish Almanac and Official Directory
https://books.google[...]
Alexander Thom
1874
[17]
서적
The Peerage, Baronetage, and Knightage of the British Empire for 1881
https://books.google[...]
Nichols and Sons
1881
[18]
웹사이트
Manuscript certificate recording gift of the Freedom of the City of London to Sir Henry Pottinger, 1845
https://artcollectio[...]
2021-05-31
[19]
웹사이트
Freedom of the City Recipients
https://www.glasgow.[...]
2021-05-31
[20]
Ukhansard
1845-06-03
[21]
간행물
Our Portrait Gallery—No. XL.
https://books.google[...]
James McGlashan
1846
[22]
간행물
Right Hon. Sir H. Pottinger, G.C.B.
https://books.google[...]
Robert Hadwick
1857
[23]
간행물
Obituary.—Right Hon. Sir H. Pottinger.
https://books.google[...]
John Bowyer Nichols and Sons
1856
[24]
간행물
Letter from Sir Henry Pottinger
https://books.google[...]
James McGlashan
1846-11-02
[25]
서적
The Great Game: Britain and Russia in Central Asia
RoutledgeCurzon
2004
[26]
간행물
Pottinger, Sir Henry, first baronet (1789–1856)
2004
[27]
서적
A Modern History of Hong Kong
I.B. Tauris
2004
[28]
서적
Narratives of Free Trade: The Commercial Cultures of Early US-China Relations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2
[29]
서적
Sir Henry Pottinger: First Governor of Hong Kong
Sutton Publishing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