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 사람 우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헷 사람 우리아는 다윗 왕 시대의 인물로, 다윗의 용사 37인 중 한 명이었다. 다윗은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와 간통한 후, 우리아를 전쟁터에서 죽게 하는 죄를 저질렀다. 선지자 나단은 다윗의 죄를 지적했고, 다윗은 회개했다. 랍비들은 우리아에게도 잘못이 있었다는 식으로 해석하기도 하며, 우리아는 다윗과 밧세바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나 드라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타이트 사람 - 마두와타
마두와타는 히타이트 텍스트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활동하며 히타이트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독자적인 세력 확장을 시도하다가 최후는 알려지지 않았다. - 기원전 10세기 사람 - 셰숑크 1세
셰숑크 1세는 리비아계 메슈웨시 부족 출신으로 기원전 943년경 이집트 제22왕조의 파라오로 즉위하여 이집트를 재통합하고 대외 정책을 통해 이집트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했으며, 아문 신관 세습 폐지 및 시리아-팔레스타인 원정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무덤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 기원전 11세기 사람 - 괵숙
괵숙은 서괵의 공작으로, 괵중이 동괵에, 괵숙이 서괵에 봉해졌다는 설이 있으며, 신나라 정치에 관여하고 후한 건국에도 기여했다.
헷 사람 우리아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군인 |
소속 | 다윗의 군대 |
민족 | 헷 족속 |
배우자 | 밧세바 |
주요 사건 | 다윗 왕과의 관계로 인한 죽음 |
성경 정보 | |
등장 위치 | 사무엘하 11장, 23장; 열왕기상 15장; 역대상 11장 |
2. 성경 속 우리아
성경에서 우리아는 다윗 왕의 충성스러운 신하이자 37인의 용사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사무엘하 11장에는 밧세바의 남편으로, 열왕기상 15장 5절에서는 다윗의 생애 중 유일한 오점으로 우리아 사건이 언급된다.
다윗 왕은 우리아가 전쟁터에 나간 사이 밧세바와 간통을 저질렀고, 밧세바는 임신을 하게 되었다. 다윗은 자신의 죄를 숨기고자 우리아를 전쟁터에서 불러들여 밧세바와 동침하게 하려 했으나, 우리아는 전우들이 전쟁터에서 고생하는 상황에서 자신만 편히 쉴 수 없다며 거절했다.
결국 다윗 왕은 우리아를 전쟁터 최전선으로 보내 죽게 만드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다윗은 요압에게 밀서를 보내 우리아를 죽게 만들도록 지시했고, 요압은 왕의 지시를 따랐다.[3]
2. 1. 이름의 기원과 배경
우리아라는 이름은 여호와는 나의 빛'이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이름으로 추정된다.[1] 그러나 아나톨리아 언어, 특히 루위아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루위아어 'uriia-'는 '지휘관'을 뜻하는 단어로, 우리아가 다윗 군대에서 장교이자 '용사' 중 한 명이었다는 점과 연결될 수 있다.[2]우리아는 헷 족속 출신으로, 이는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하기 이전부터 그 지역에 거주하던 민족 중 하나였다. 신명기 20장 16-18절에서는 히브리인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할 때 헷 족속을 포함한 가나안 민족들을 진멸하라는 명령이 나타난다. 그러나 일부 헷 족속은 살아남아 이스라엘 사회에 동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아 역시 그 중 한 명으로 보인다.
2. 2. 다윗의 충신, 37인의 용사

우리아는 다윗 왕의 최정예 부대인 '37인의 용사' 중 한 명이었다. 다윗에게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였던 우리아는 왕의 궁궐 가까이에 살았는데, 이는 그가 다윗 왕의 측근 중에서도 핵심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성경의 사무엘하 23장과 역대상 11장에는 다윗 왕의 용사들 명단이 기록되어 있으며, 우리아의 이름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사무엘하 11장에는 우리아가 밧세바의 남편으로 등장하며, 다윗 왕이 우리아를 죽음으로 몰아넣고 밧세바를 차지한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열왕기상 15장 5절에서는 다윗의 생애 중 유일한 오점으로 우리아 사건을 언급하고 있다.
2. 3. 다윗과 밧세바, 그리고 우리아의 죽음
다윗 왕은 우리아가 전쟁터에 나간 사이, 그의 아내 밧세바와 간통을 저질렀다. 밧세바가 임신하자, 다윗 왕은 자신의 죄를 숨기기 위해 우리아를 전쟁터에서 불러들여 밧세바와 동침하게 하려 했다. 그러나 우리아는 전우들이 전쟁에서 고생하는 상황에서 자신만 편히 쉴 수 없다며 거절했다.결국 다윗 왕은 우리아를 전쟁터 최전선으로 보내 죽게 만드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다윗 왕은 우리아의 상관인 요압에게 밀서를 보내 우리아를 죽게 만들도록 지시했고, 요압은 다윗 왕의 지시를 충실히 따랐다.[3]
조나단 매고넷 랍비는 요압이 우리아의 죽음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려 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요압이 자신의 군사적 경쟁자였던 아브넬과 아마사를 제거했으며, 다윗 왕이 죽기 전 솔로몬에게 요압을 제거하라고 조언할 정도로 강력한 인물이었다고 설명한다.[3]
3. 나단의 질책과 다윗의 회개
선지자 나단은 다윗에게 이 살인에 대해 따져 물었다. 먼저 그는 부자와 가난한 자의 비유를 들려주었다. 부자는 양이 많았지만, 가난한 자는 단 한 마리의 어린 암양을 가지고 있었고, 그 양을 매우 소중하게 여겼다. 여행자가 부자에게 음식을 청하자, 부자는 가난한 자의 암양을 빼앗아 손님을 대접했다.
이 이야기를 듣고 다윗은 분노하여 대답했다. "주님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건대, 이런 짓을 한 자는 죽어 마땅하다! 그는 그 어린 양에 대해 네 배나 갚아야 한다. 그가 그런 짓을 하고도 불쌍히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단이 대답했다. "그 사람이 바로 당신입니다!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내가 당신에게 이스라엘의 왕이 되도록 기름을 부었고, 사울의 손에서 당신을 구원했습니다. 나는 당신에게 당신의 주인의 집을 주었고, 당신의 주인의 아내들을 당신의 품에 안겨주었습니다. 이스라엘과 유다의 집을 당신에게 주었습니다.
만약 이 모든 것이 부족했다면, 내가 당신에게 더 많은 것을 주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당신은 주님의 말씀을 멸시하고 그분 보시기에 악한 일을 행하셨습니까? 당신은 칼로 헷 사람 우리아를 쳐 죽이고 그의 아내를 당신의 아내로 삼았습니다.
당신은 암몬 사람들의 칼로 그를 죽였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칼이 당신의 집에서 영원히 떠나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나를 멸시하고 헷 사람 우리아의 아내를 당신의 아내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나단은 이어서 다윗에게 밧세바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가 죽어야 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그들의 첫 아이는 7일 만에 죽었다. 다윗과 밧세바는 후에 둘째 아들, 즉 미래의 솔로몬 왕을 낳았다.
4. 랍비 문헌의 해석
랍비 문헌에서는 "다윗의 인격에 어떤 결함이 있다는 것을 인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우리아에게 잘못이 있는 것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1] 랍비들은 우리아가 집으로 돌아가라는 다윗의 명령을 거부했을 때 왕의 명령을 무시했다고 주장했다.[1]
탈무드는 우리아가 누구였는지에 대해 두 가지 견해를 제시한다.
1. 그는 유대교로 개종했다.
2. 그는 히타이트인들 사이에 살았고, 유대인으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히타이트인으로 알려졌다.
어느 쪽이든, 우리아가 이방인이었다면 밧세바와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을 것이므로 실제로는 히타이트 민족의 일원이 아니었다.
5. 우리아에 대한 현대적 평가
우리아는 다윗 왕의 권력 남용과 부도덕으로 인해 희생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이야기는 권력자의 잘못된 행동이 개인과 공동체에 어떤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우리아 사건을 권력형 성범죄와 은폐 시도의 전형으로 간주하며, 권력자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한다.
6. 대중문화 속 우리아
우리아는 미국의 영화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되었다. 헨리 코스터의 1951년 영화 ''다윗과 밧세바''에서 키어런 무어가, 브루스 베레스포드의 1985년 영화 ''킹 다윗''에서 제임스 리스터가, 마크 버넷과 로마 다우니의 2013년 미니시리즈 ''성경''에서 다페르 라비딘이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Uriah
https://www.jewishvi[...]
2024-01-20
[2]
논문
The Etymology of Uriah the Hittite based on the Comparison of Hieroglyphic Luwian and th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www.academia[...]
2018-01-01
[3]
서적
Bible Lives
SCM
1992
[4]
웹사이트
Uriah Jewish encyclopedia
https://jewishencyc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