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위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위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아나톨리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기원전 2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에 중앙 및 서부 아나톨리아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히타이트어와 유사한 설형 문자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의 두 가지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여러 고어를 가지고 있어 원시 인도유럽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루위아어는 히타이트 제국 멸망 후에도 신히타이트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서부 아나톨리아 기원설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루위아어는 설형 문자 루위아어와 상형 문자 루위아어의 두 가지 형태로 기록되었으며, 문자와 방언 간의 차이가 있다. 루위아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루위아어 어휘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후르리어로부터 차용된 어휘도 존재한다. 루위아어는 트로이의 언어 후보 중 하나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디아 - 사르디스
사르디스는 터키 서부의 고대 도시로, 뤼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재건되었지만 지진과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고 현재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는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 리디아 - 아르타페르네스
아르타페르네스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왕족이자 다리우스 1세의 형제로, 소아시아 사트라프를 역임하며 이오니아 반란 진압과 페르시아 제국의 팽창에 기여했다. - 상형문자 - 파이스토스 원반
파이스토스 원반은 기원전 2천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크레타 섬의 점토 원반으로, 양면에 45개의 서로 다른 기호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활판 인쇄의 초기 사례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기원, 용도, 기록 내용이 명확히 해독되지 않은 미스터리이다. - 상형문자 - 쐐기 문자
쐐기 문자는 기원전 4천년기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인이 사용한 쐐기 모양의 문자 체계로, 다양한 언어 기록에 사용되었으며 다른 문자 체계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아나톨리아어파 - 히타이트어
히타이트어는 기원전 2천년기 아나톨리아에서 히타이트인들이 사용한 쐐기 문자로 기록된 인도유럽어족 아나톨리아어파의 언어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인도유럽어족 언어 중 하나이며, 핫티어와 후르리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다는 특징을 가진다. - 아나톨리아어파 - 카리아어
카리아어는 기원전 1세기에 사멸한 아나톨리아어파 언어로, 카리아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이집트와 카리아 지역에서 비문이 발견되었고, 헬레니즘화 과정에서 사멸되었다.
루위아어 | |
---|---|
개요 | |
이름 | 루위아어 |
사용 지역 | 아나톨리아(터키) , 시리아 북부 |
민족 | 루위아인 |
소멸 시기 | 기원전 600년경 |
언어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아나톨리아어파 |
분기 | 루위아어군 |
조상 언어 | 인도유럽조어 |
조상 언어 (2) | 원시 아나톨리아어 |
문자 체계 | |
문자 | 쐐기 문자,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xlu (쐐기 문자 루위아어), hlu (상형 문자 루위아어) |
Glottolog | luvi1235 |
언어 유형 | |
쐐기 문자 루위아어 | 쐐기 문자 루위아어 |
상형 문자 루위아어 | 상형 문자 루위아어 |
역사 | |
사용 시기 | 기원전 15세기 - 기원전 7세기의 자료가 남아 있음 |
분포 | |
![]() | |
기타 | |
![]() | |
![]() |
2. 분류
루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아나톨리아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2] 카리아어, 리키아어, 밀리안어 등과 함께 루위어군을 형성하며, 이는 아나톨리아어파 내에서 하위 분파를 이루었음을 뜻한다.[2] 루위어 또는 루위어군은 히타이트어, 팔라어와 더불어 아나톨리아어파의 세 주요 하위 분파 중 하나이다.[2]
루위어는 여러 고어(古語)를 가지고 있어 원시 인도유럽어(''PIE'')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원시 인도유럽어가 세 개의 연구개 자음(평연구개음, 구개연구개음, 순음화 연구개음)을 가졌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여겨진다.[4] 예를 들어 멜처트에 따르면, PIE ''''는 루위아어 ''z''(아마도 )로, ''''는 ''k''로, ''''는 ''ku''(아마도 )로 변화했다. 또한 "돌다"를 의미하는 루위아어 동사 ''kalut(t)i(ya)-''는 "원"을 의미하는 ''*kalutta/i-''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5] 이는 다시 "바퀴"를 뜻하는 원시 아나톨리아어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루위어는 히타이트어와 유사한 설형 문자와 독특한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의 두 가지 문자로 기록되었다.
2. 1. 루위어군
3. 역사적 배경 및 분포
루위아어는 기원전 2천년기에서 1천년기 사이에 중앙 및 서부 아나톨리아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이다.[7] 쐐기 문자로 된 가장 초기의 루위어 텍스트는 아나톨리아 남동부의 키주와트나 왕국과 중앙 아나톨리아의 여러 지역에서 확인된다. 기원전 14세기부터 루위아어 사용자들이 히타이트 수도인 하투사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8] 기원전 1180년경 히타이트 제국이 멸망할 무렵에는 히타이트 왕과 왕족이 루위아어를 완전히 이중 언어로 구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히타이트어가 멸망한 지 오래된 후에도, 루위아어는 밀리드와 카르케미쉬와 같은 신히타이트 국가와 기원전 8세기에 번성했던 중앙 아나톨리아 왕국인 타발에서 계속 사용되었다.[9]
과거에는 서부 아나톨리아가 루위아어의 고향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제임스 멜라트는 북서 아나톨리아의 초기 인도유럽인들이 기원전 3000년경 프리지아의 데미르치회육(에스키셰히르 주)을 세운 기마 민족이며, 이들이 트로이 II를 점령하고 아나톨리아 반도에 널리 퍼진 루위아인의 조상이라고 주장했다.[10] 그러나 멜라트의 주장은 고고학적 근거로 뒷받침되기 어렵다는 반론도 제기되었다.[11]
기원전 2천년기 후반, 서부 아나톨리아에 루위아인이 광범위하게 존재했다는 주장도 있다. 고 히타이트어 버전의 히타이트 법전에서 루위아어 사용 지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루위야''라고 불렸으며, 미케네 그리스어 용어인 ''루-와-니-조''가 선 문자 B에 나타나 같은 지역을 가리킨다는 주장도 있었다.[12] 그러나 *''루완-''* 어간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13] 히타이트 법전의 후기 사본에서는 ''루위야''가 아르자와로 대체되었다.[14] 아르자와는 대략 미라와 세하 강 유역에 해당하는 서부 아나톨리아 왕국이다.[15] 일부 학자들은 루위아어가 트로이 (''윌루사''), 세하 강 유역 (''세하'' ~ ''세하리야'', 즉 그리스어 헤르모스 강 및 카이코스 계곡), 미라-쿠왈리야 왕국 (핵심은 마이안드로스 계곡)을 포함한 서부 아나톨리아의 상당 부분에서 사용되었다고 보기도 한다.[16] 그러나 루위야와 아르자와의 지리적 동일성은 의심받고 있으며,[17] 히타이트 시대 이후 아르자와 지역은 리디아로 알려지게 되었고, 리디아어가 사용되었다. ''리디아''라는 이름은 ''루위야''에서 파생되었지만,[18] 리디아어는 루위아어의 직접적인 후손이 아니며, 루위어군에도 속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3. 1. 서부 아나톨리아 기원설 논쟁
4. 문자와 방언
루위아어는 설형 문자와 상형 문자의 두 가지 다른 문자 체계로 기록되었다. 방언 간의 차이는 미미하지만 어휘, 문체, 문법에 영향을 미치며, 두 문자 체계의 서로 다른 철자법도 차이점을 유발할 수 있다.[19]
알윈 클로에크호르스트에 따르면, 상형 루위아어는 제국 루위아어 또는 철기 시대 루위아어로도 알려져 있으며, 설형 루위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0][21] 앨리스 무통과 일리야 야쿠보비치는 루위아어를 설형 문자와 상형 문자의 두 가지 뚜렷한 종류로 구분하는데, 후자는 더 권위 있고 엘리트 계층에서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22]
쐐기 문자 루위어의 점토판은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인 하투샤에서 발견되었지만, 1다스 정도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그 내용은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질병 치료나 호국의 제의에 관한 것이다. 시대는 히타이트어와 마찬가지로 기원전 16-13세기에 속하지만, 대부분은 기원전 14세기 이후의 것이다. 이 외에도 히타이트어 문서 속에 다수의 루위어 단어의 인용과 루위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있지만, 두 언어가 가까운 관계에 있기 때문에 히타이트어 고유 어휘와 루위어에서 차용된 단어를 구별하기는 어렵다.
1919년, 에밀 포러는 "보아즈쾨이 비문의 8개 언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이 점토판 속에 아카드어나 히타이트어 외에, 히타이트어와 가까운 언어로서 루위어와 팔라이어가 있음을 밝혔다.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에 의한 표기는 설형 문자보다 제약이 많아, 음절 말의 자음을 나타내기 위해 불필요한 모음을 더해야 한다. 모음 a와 i는 많은 경우 구별되지 않는다. 또한, 자음 앞의 비음은 표기되지 않으며, 자음이나 모음의 장단, 자음의 무성/유성 등은 구별하지 않고 기록된다.
상형 문자 루위어는 대부분이 돌에 새겨져 기념비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그중에는 장문의 역사적 내용을 기록한 것도 있고, 납판에 쓰인 서간이나 경제 관계 문서도 남아 있다. 기원전 15세기의 인장이 가장 오래되었지만, 대부분 이름과 관위, 그리고 표의 문자만 기록되어 있어, 어떤 언어로 쓴 것인지 불분명하다. 기원전 14-13세기에 루위어로 밝혀진 소량의 자료가 남아 있지만, 대부분은 히타이트 제국 멸망 후 기원전 10-7세기의 것이다. 자료는 아나톨리아 반도 남부와 북 시리아의 것이 주를 이루지만, 보아즈쾨이(하투샤)를 포함한 아나톨리아 중앙부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는 설형 문자보다 이른 19세기부터 알려졌으며, 아치볼드 세이스가 처음으로 해독을 시도했다. 실제 해독은 1930년대에 이그나스 겔브, 피에로 메리지, 에밀 폴러, 베드르지흐 흐로즈니 등에 의해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7년에 카라테페에서 헬무트 보세르트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와 페니키아 문자의 2개 언어 비문을 발견했고, 1970년대에 존 데이비드 호킨스, 안나 몰푸르고 데이비스, 귄터 노이만은 문자의 음가를 대폭 변경했다. 이 변경으로 상형 문자 루위어와 설형 문자 루위어가 매우 가까운 언어임이 밝혀졌다.
4. 1. 설형 문자 루위어
설형 문자 루위아어(Cuneiform Luwian)는 하투사의 점토판 문서에서 발견되는 루위아어 텍스트의 집합이다.[23] 기본적으로 히타이트어와 동일한 설형 문자 표기를 사용한다.[24]에밀 포러는 1919년 "보아즈쾨이 비문의 8개 언어"라는 논문을 통해 아카드어나 히타이트어 외에도 히타이트어와 가까운 팔라이어와 루위어가 있음을 밝혔다.
라로슈의 ''히타이트 텍스트 목록''에서 루위아어 삽입어가 있는 히타이트 설형 문자 텍스트는 CTH 757-773에 해당하며, 대부분 의례 관련 내용이다.[25] 설형 문자 루위아어 텍스트는 여러 방언으로 쓰여졌는데, 키주와트나 루위아어, 이슈타누와 루위아어, 제국 루위아어 등이 확인된다.[26] 제국 루위아어는 기원전 14-13세기 하투사 서기관의 구어를 반영하며, 주로 히타이트 텍스트의 ''Glossenkeil'' 단어를 통해 확인된다.
설형 문자 히타이트어와 비교할 때, 표어 문자는 드물고 대부분 음절 문자로 구성되며, 단일 기호는 모음 또는 자음-모음 쌍(VC 또는 CV)을 나타낸다. 장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전체 표기'를 사용하며, "그가 간다"라는 뜻의 ''īdi''는 ''i-i-ti''로, ''ānda'' "안에"는 ''a-an-ta''로 표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쐐기 문자 루위어의 점토판은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인 하투샤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수는 1다스 정도에 불과하며, 내용은 질병 치료나 호국 제의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연대는 기원전 16-13세기에 속하지만, 대부분은 기원전 14세기 이후의 것이다. 히타이트어 문서 속에 루위어 단어의 인용과 루위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다수 존재하지만, 두 언어가 가까운 관계여서 구별이 어렵다.
4. 2. 상형 문자 루위어


상형 루위어(''루윌리'')[28]는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알려진 고유 문자로 쓰인 루위아어 텍스트의 총칭이다.[29][30][31] 공식 및 왕실 인장과 소수의 기념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32] 한때 히타이트어의 일종으로 여겨졌던 "상형 히타이트어"는 이와 동일한 비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이 용어는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루위아 상형 비문의 방언은 제국 루위아어이거나 그 후손인 철기 시대 루위아어인 것으로 보인다.
가장 초기의 상형 문자는 기원전 2천 년 초의 공식 및 왕실 인장에 나타나지만, 완전한 문자 체계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기원전 14세기부터 나타난다. 네덜란드 히타이트학자 빌레미언 바알은 루위아 상형 문자가 기원전 2천 년 초부터 나무 글쓰기 판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했지만,[33] 이 주장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루위아어로 확인된 최초의 기념 비문은 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4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해당한다. 약 2세기 동안의 희소한 자료 이후, 상형 문자는 기원전 10세기에서 8세기 사이의 초기 철기 시대에 다시 나타난다. 기원전 7세기 초, 700년 이상 된 루위아 상형 문자는 잊혀졌다.
기념 비문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는 1850년으로, 네브셰히르의 한 주민이 프락틴의 부조를 보고했다. 1870년, 알레포의 고대 유물 수집가들은 알-카이칸 모스크의 남쪽 벽에 새겨진 또 다른 비문을 발견했다. 1884년, 폴란드 학자 마리안 소코워프스키 (역사학자)/Marian Sokołowskipl는 터키 서부의 쾨이륏올루 근처에서 비문을 발견했다. 가장 큰 비문은 1970년 코냐 북서쪽 얄부르트에서 발굴되었다. 루위아 상형 문자 텍스트에는 히타이트어, 아카드어, 북서 셈어에서 차용된 제한된 수의 어휘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어휘는 고유 명사에 국한되지만, 반대 방향으로 차용된 일반 명사도 존재한다.[34]
1960년 에마뉘엘 라로슈는 1930년대부터 제안된 부분적인 해독을 바탕으로 해독을 제시했다. 1973년 데이비드 호킨스, 안나 모르푸르고 데이비스, 귄터 노이만은 특정 기호의 판독에 대한 수정 사항과 기타 설명을 제공했으며, 일반적으로 "새로운 판독"이라고 불린다.
4. 2. 1.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
이 문자는 500개 이상의 고유 기호로 구성되어 있으며,[35] 일부는 여러 값을 가진다. 주어진 기호는 표어 문자, 결정사 또는 음절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기능할 수 있다. 기호는 Laroche의 기호 목록에 따라 'L.' 또는 '*' 접두사를 사용하여 번호가 매겨진다. 표어 문자는 대문자로 라틴어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발의 이미지인 *90은 표어 문자로 사용될 때는 PES로, 음절 문자로 사용될 때는 음성 값 ''ti''로 표기된다. 표어 문자를 라틴어로 음역할 수 없는 드문 경우, 이탤릭체 대문자로 기록된 대략적인 히타이트어 등가물을 통해 렌더링된다. 예를 들어 *216 ''ARHA''. 가장 최신 기호 목록은 Marazzi(1998)의 것이다.Hawkins, Morpurgo-Davies 및 Neumann은 기호 값에 대한 이전 오류를 수정했는데, 특히 기호 *376 및 *377의 판독을 ''i, ī''에서 ''zi, za''로 수정했다.
-a | -i | -u | |
---|---|---|---|
- | *450, *19 | *209 | *105 |
h- | *215, *196 | *413 | *307 |
k- | *434 | *446 | *423 |
l- | *176 | *278 | *445 |
m- | *110 | *391 | *107 |
n- | *35 | *411, *214 | *153, *395 |
p- | *334 | *66 | *328 |
r- | *383 | *412 | |
s- | *415 *433, *104, *402, *327 | - | - |
t- | *100, *29, *41, *319, *172 | *90 | *89, *325 |
w- | *439 | - | |
y- | *210 | - | - |
z- | *377 | *376 | *432(?) |
일부 기호는 단어의 시작, 단어의 끝을 표시하거나 기호를 표어 문자로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판독 보조 기호로 사용된다. 이는 필수가 아니며 일관성이 없게 사용된다.
5. 음운론
루위아어 음소 목록의 재구성은 주로 기록된 텍스트와 다른 인도유럽어의 알려진 발달 과정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 설형 문자로 이중 자음으로 표기된 두 개의 파열음 계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음 및 약음 파열음은 유성음화 또는 이중 자음화로 구별되었을 수 있다. 대조는 처음에는 사라졌고 결국에는 사라졌는데, 이는 유성음화가 모음 사이에서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36]
다음 표는 스크립트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최소 자음 목록을 제공한다. 다른 자음의 존재는 기록상으로 구별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있다.
단모음 또는 장모음이 될 수 있는 세 개의 모음 'a', 'i', 'u'만 존재한다. 모음의 길이는 안정적이지 않으며 강세와 단어 위치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annan'은 부사로 단독으로 나타날 때는 'ānnan'('아래')으로 나타나지만, 전치사로 사용될 때는 'annān pātanza'('발 아래')가 된다.
'-h-' 및 '-hh-'로 음역되는 문자는 종종 인두 마찰음 및 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대신 구개수 및 또는 연구개 마찰음 및 이었을 수 있다. 우가리트어 차용어에서는 이러한 소리가 <ḫ> 및 <ġ>로, 이집트어에서는 𓐍 'ḫ' 및 𓎼 'g.'로 표기된다.[37] 이 두 언어 모두 인두 자음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루위아어의 소리는 인두음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
루위아어 설형 문자의 음역에서, 'š'는 원래 두 개의 다른 소리를 나타내는 별개의 기호였기 때문에 's'와 구별되지만, 루위아어에서는 두 기호 모두 동일한 's' 소리를 나타냈을 것이다.
루위아어의 주목할 만한 음운론적 변화는 로타시즘이다; 어떤 경우에는 'd', 'l', 'n'이 'r'이 된다. 예를 들어, *'īdi'('그는 얻는다')는 'īri'가 되고 'wala-'('죽다')는 'wara-'가 된다. 또한 단어 끝 위치의 'd'가 떨어져 나갈 수 있으며, 두 개의 치경 자음 사이에 's'가 추가되어 '*ad-tuwari'가 'aztuwari'('너희는 모두 먹는다')가 된다('ds'와 'z'는 음성적으로 동일하다).
루위어의 모음은 a, i, u/a i umul 3개이며, 장단을 구별한다. 히타이트어와 달리 e/emul는 없었다.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의 제약으로 인해 a와 i 중 어느 것인지 불분명한 경우, 부득이하게 "a/i"로 전사된다.
반모음에는 y/ymul ()와 w/wmul가 있었다.
자음은 다음과 같다. 는 각각 로 전사되는 이른바 후두음이지만, 연구개음 일지도 모른다.
상형 문자 루위어에서는 설형 문자의 d/dmul(종종 l/lmul도)가 r/rmul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로타시즘 현상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루위어에서는 인도유럽조어의 경구개음 가 z/zmul ()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히타이트어와의 큰 차이점이다.
5. 1. 음운 변화
루위어의 모음은 a, i, u/a i umul 3개이며, 장단을 구별한다. 히타이트어와 달리 e/emul는 없었다. 반모음에는 y/ymul ()와 w/wmul가 있었다.자음은 다음과 같다. 는 각각 로 전사되는 이른바 후두음이지만, 연구개음 일지도 모른다.
상형 문자 루위어에서는 설형 문자의 d/dmul(종종 l/lmul도)가 r/rmul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로타시즘 현상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루위어에서는 인도유럽조어의 경구개음 가 z/zmul ()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히타이트어와의 큰 차이점이다.
6. 형태론
설형 문자 루위어의 명사는 단수와 복수, 생물과 무생물의 두 가지 성이 있다. 남성과 여성의 구분은 흔적적으로 남아있다고 한다..격은 주격, 호격 (단수만, 사용은 드뭄), 대격, 여격 = 처격, 탈격 = 구격의 5가지가 있다. 격 어미는 인도유럽어족의 다른 언어의 것과 기본적으로 일치하지만, 히타이트어와 달리 복수형에서는 새롭게 발전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할 때, 속격 대신 -assi-를 더하여 관계 형용사화하는 것은 루위어의 큰 특징으로, 히타이트어와는 다르다. 상형 문자 루위어에는 단수 속격이 조금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설형 문자 루위어와 마찬가지로 형용사형을 사용한다. 리키아어, 카리아어, 피시디아어, 시데어, 리디아어 (-ali- 사용) 등의 서부 아나톨리아 제어도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상형 문자 루위어에서는 복수형에서 주격과 대격이 구별되지 않는다. 또한 무생물의 주격·대격에는 반드시 조어 -sa/za가 덧붙여진다 (설형 문자 루위어에서도 덧붙여지는 경우가 많다).
수사는 일반적으로 표어 문자로 표기되기 때문에 어형을 잘 알 수 없다.
동사는 히타이트어와 마찬가지로 인칭과 수, 시제 (현재와 과거), 법 (직설법과 명령법), 태 (능동태와 중동수동태)로 변화한다. 그 외에 분사와 부정사가 있다. 히타이트어와 마찬가지로 mi 활용과 ḫi 활용의 구분이 있다.
6. 1. 명사
루위아어에는 생물과 무생물/중성의 두 가지 문법적 성이 존재했다.[38] 두 개의 문법적 수인 단수와 복수가 존재했으며, 일부 생물 명사는 집합 복수를 취할 수 있었다.[38]루위아어에는 6개의 격이 있었다.[38]
# 주격
# 속격
# 여격/처격
# 대격
# 탈격/도구격
# 호격
호격은 현존하는 텍스트에서 드물게 나타나며 단수에만 존재한다.[38]
격 | 단수 | 복수 |
---|---|---|
주격 (생물) | -s | -anzi, -inzi |
대격 (생물) | -n, -an | |
주격/대격 (무생물) | -Ø, -n | -a, -aya |
속격 | -s, -si | – |
여격/처격 | -i, -iya, -a | -anza |
탈격/도구격 | -ati |
생물 성에서는 줄기와 격 어미 사이에 ''-i-''가 삽입된다.[38] 상형 루위아어에서는 입자 ''-sa/-za''가 주격/대격 무생물 격 어미에 추가된다.[38]
속격에서는 설형 문자와 상형 루위아어가 서로 크게 다르다. 설형 루위아어에서는 소유 접미사 ''-assa''가 속격 단수에 사용되고 ''-assanz-''가 속격 복수에 사용된다.[38] 반면 상형 루위아어에서는 히타이트어와 마찬가지로 고전 인도유럽어족 접미사 ''-as''가 속격 단수에, ''-an''이 복수에 사용된다.[38] 복수 소유자를 가진 소유 형용사의 특별한 형태는 키쭈와트나 루위아어에만 국한되며, 아마도 후리어에서 온 차용을 나타낸다.[39]
''-assa'' 지명과 단어가 에게해의 모든 측면에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소유 접미사는 때때로 루위아인과 그리스인이 도래하기 전의 공유된 비인도유럽어 또는 에게 언어 동맹의 증거로 간주되었다.[40] 그러나 루위아어 소유 구조를 인도유럽어 명사구의 격 끌림의 결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40]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할 때, 속격 대신 -assi-를 더하여 관계 형용사화하는 것은 루위어의 큰 특징으로, 히타이트어와는 다르다. 리키아어, 카리아어, 피시디아어, 시데어, 리디아어 (-ali- 사용) 등의 서부 아나톨리아 제어도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상형 문자 루위어에서는 복수형에서 주격과 대격이 구별되지 않는다. 또한 무생물의 주격·대격에는 반드시 조어 -sa/za가 덧붙여진다 (설형 문자 루위어에서도 덧붙여지는 경우가 많다).
6. 2. 형용사
형용사는 수와 성에 따라 명사와 일치한다. 주격과 대격의 형태는 유정성에서만 다르고, 단수에서만 다르다. 어미는 '-a'로 시작하거나 '-i'로 시작할 수 있다. 형태는 주로 명사 변화형에서 파생되었으며, 명사에 예상되는 격 어미 앞에 '-as-'가 붙는다.격 | 단수 | 복수 |
---|---|---|
주격(유정) | -asis | -asinzi |
대격(유정) | -asin | |
주격/대격(무정) | -asanza | -asa |
여격/처격 | -asan | -asanza |
탈격/도구격 | -asati |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할 때, 속격 대신 -assi-를 더하여 관계 형용사화하는 것은 루위아어의 큰 특징으로, 히타이트어와는 다르다. 상형 문자 루위어에는 단수 속격이 조금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설형 문자 루위어와 마찬가지로 형용사형을 사용한다. 리키아어, 카리아어, 피시디아어, 시데어, 리디아어(-ali- 사용) 등의 서부 아나톨리아 제어도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6. 3. 대명사
루위아어는 아나톨리아어파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인칭 대명사 외에도, ''apa-''와 ''za-/zi-''에서 파생된 지시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격 어미는 히타이트어와 유사하지만, 모든 격이 인칭 대명사에 대해 나타나지는 않는다. 3인칭의 경우, 인칭 대명사 대신 지시 대명사 ''apa-''가 사용된다.rowspan="2" colspan="2" | | 인칭 대명사 | 소유 대명사 | ||
---|---|---|---|---|
독립형 | 부착형 | 독립형 | ||
1인칭 | 단수 | amu, mu | -mu, -mi | ama- |
복수 | anzas, anza | -anza | anza- | |
2인칭 | 단수 | tu, ti | -tu, -ti | tuwa- |
복수 | unzas, unza | -manza | unza- | |
3인칭 | 단수 | (apa-) | -as, -ata, -an, -du | apasa- |
복수 | (apa-) | -ata, -manza | apasa- |
소유 대명사와 ''apa-''의 지시 대명사는 형용사처럼 활용된다. 알려진 모든 형태의 인칭 대명사가 제시되어 있지만, 각 형태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또는 다른 격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는 불분명하다.
표에 제시된 형태 외에도, 루위아어는 어간 ''za-/zi-''에서 파생된 지시 대명사를 가지고 있었지만, 모든 격이 알려져 있지는 않으며, 규칙적으로 활용되는 관계 대명사도 있었다: ''kwis'' (주격 단수 생활체), ''kwin'' (대격 단수 생활체), ''kwinzi'' (주격/대격 복수 생활체), ''kwati'' (탈격/도구격 단수), ''kwanza'' (여격/처격 복수), ''kwaya'' (주격/대격 복수 무생물). 의미가 완전히 명확하지 않은 몇몇 부정 대명사도 전해진다.
6. 4. 동사
루위어 동사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수(단수, 복수),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에 따라 활용된다. 양태는 직설법과 명령법 두 가지가 있으며, 가정법은 없다. 시제는 현재 시제와 과거 시제 두 가지가 있는데, 현재 시제는 미래 사건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능동태 태 어미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 | 현재 | 과거 | 명령법 | |
---|---|---|---|---|
1인칭 | 단수 | -wi | -ha | – |
복수 | -mina | -hana | – | |
2인칭 | 단수 | -si, -tisa | -ta | Ø |
복수 | -tani | -tan | -tanu | |
3인칭 | 단수 | -ti(r), -i, -ia | -ta(r) | -tu(r) |
복수 | -nti | -nta | -ntu |
이 활용은 히타이트어의 ''ḫḫi'' 활용과 매우 유사하다.
중수태 어미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 | 현재 | |
---|---|---|
2인칭 | 단수 | |
복수 | -ttuwar(i) | |
3인칭 | 단수 | -ar(i), -t(t)ari |
복수 | -antari |
단일 분사는 접미사 ''-a(i)mma''로 형성될 수 있다. 타동사에는 수동적인 의미를, 자동사에는 상태적 의미를 갖는다. 부정사는 ''-una''로 끝난다. 루위어의 문법은 기본적으로 히타이트어와 매우 유사하다. 동사는 히타이트어와 마찬가지로 인칭과 수, 시제 (현재와 과거), 법 (직설법과 명령법), 태 (능동태와 중동수동태)로 변화한다. 그 외에 분사와 부정사가 있다. 히타이트어와 마찬가지로 mi 활용과 ḫi 활용의 구분이 있다.
7. 통사론
루위아어의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강조하거나 절을 시작하기 위해 단어를 문장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41][42] 관계절은 일반적으로 선행사 앞에 오지만, 때로는 선행사 뒤에 오기도 한다. 종속 단어와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핵 단어 앞에 위치한다. 후치사 입자는 종종 첫 번째 단어나 접속사에 붙는다.
시간적 또는 조건적 의미를 가진 다양한 접속사가 절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등위 접속사는 없지만, 주절은 다음 절의 첫 번째 단어에 붙는 후치사 "-ha"로 연결될 수 있다. 이야기에서 절은 진행 접속사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다음 절의 첫 번째 단어 앞에 오는 "a-"는 '그리고 나서'를 의미하고, "pā"는 절의 시작 부분에서 독립적인 접속사일 수 있으며, 후치사 "-pa"는 대조 또는 주제의 변화를 나타낸다.
루위아어는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지만, 강조를 위해 요소를 앞으로 내거나 동사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형용사는 원칙적으로 수식하는 어구 앞에 위치하며, 전치사와 후치사를 모두 가진다. 다양한 접사를 가지고 있으며, 문장의 첫 번째 요소 뒤에 위치하는 것은 히타이트어와 유사하다.
다음 예시 문장은 루위아어의 몇 가지 일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a-wa api-n wattaniy-ati pihammi-s sarra awi-ha/"𔗷𔗬𔑈𔓯𔐤𔗷𔖶𔔆𔗐𔓱𔑣𔓢𔑈𔓷𔖻𔗔𔑏𔖱𔗷𔖶𔑦𔗬𔓯𔓷"hlu
:"그리고 나는 그 땅에서 영광스럽게 왔다." (카르카미쉬 A11b+c, 14행)[41][42]
여기에서 마지막 동사, 접속사 "a-"로 시작하는 입자 연쇄, 인용 후치사 "-wa", 그리고 주요 동사 "awiha"에 방향성을 추가하는 전치사 "sarra"가 나타난다.
8. 어휘
알려진 루위아어 어휘는 대부분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물려받은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기술 및 종교적 개념에 대한 차용어는 주로 후르리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이후 루위아어를 거쳐 히타이트어로 전달되는 경우가 많았다. 스와데시 리스트 중 루위어에서 확인되는 어휘는 51개이며, 그중 39개(80%)가 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한다. 후르리어로부터는 기술·제사 관련의 상당한 양의 차용어가 보인다.
9. 연구사
히타이트 문자가 해독된 후, 1919년 에밀 포러에 의해 설형 문자 루위아어가 별개의 언어이면서도 관련이 있는 언어로 인식되었다. 언어 이해에 대한 더 많은 진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더 많은 텍스트의 출판과 분석과 함께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베른하르트 로젠크란츠, 하인리히 오텐, 에마뉘엘 라로슈에 의해 중요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중요한 발전은 1985년 프랭크 스타크에 의한 전체 텍스트 코퍼스의 재구성을 통해 이루어졌다.
상형 문자 루위아어의 해독과 분류는 훨씬 더 어려웠다. 1930년대에는 몇몇 개별적인 표어문자와 음절 부호가 정확하게 식별되었으나,. "상형 문자 히타이트어"라고 불렸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연구가 중단된 후, 1947년 헬무트 테오도르 보세르트에 의해 페니키아어와 상형 문자 루위아어로 된 카라테페 이중 언어 텍스트가 발견 및 출판되면서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1970년대에 존 데이비드 호킨스, 안나 모르푸르고 데이비스, 귄터 노이만에 의해 상형 문자의 판독에 대한 근본적인 수정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설형 문자 텍스트와 상형 문자 텍스트가 동일한 루위아어 언어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는 우라르투 도자기에 상형 문자 루위아어 문자로 쓰여진 우라르투어 주석에서 비롯되었다. 이전까지 ''ī''로 읽혔던 기호
10. 트로이 가설
루위아어는 트로이인이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는 트로이의 언어 후보 중 하나로 추정된다.[43]
1995년 트로이 VII에서 루위아어 양면 볼록 인장이 발견된 이후 호메로스 시대의 트로이에서 사용된 언어에 대한 열띤 논쟁이 벌어졌다. 튀빙겐 대학교의 프랑크 슈타르케는 트로이 전쟁 당시 트로이의 왕이었던 프리아모스의 이름이 루위아어 복합어 ''Priimuua''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매우 용감한"을 의미한다는 것을 밝혀냈다.[44] "윌루사/트로이가 더 큰 루위아어 사용 공동체에 속했다는 확신이 커지고 있지만, 루위아어가 주로 공식 언어였는지 아니면 일상적인 구어체로 사용되었는지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45]
11. 비문
- 캠벨, 할렛. ''상형 루위아어 비문집''. 제2권: 카라테페-아슬란타스 - 비문: 팩시밀리 에디션. 베를린, 뉴욕: 드 그루이터, 2011 [1999]. [https://doi.org/10.1515/9783110879759]
- 호킨스, 존 데이비드. ''상형 루위아어 비문집''. 제1권: 철기 시대 비문 - 제1부: 텍스트, 서론, 카라테페, 카르카미스, 텔 아흐마르, 마라스, 말라티아, 콤마게네. 베를린, 보스턴: 드 그루이터, 2012 [2000]. pp. 1-360. [https://doi.org/10.1515/9783110804201]
- ______. ''상형 루위아어 비문집''. 제1권: 철기 시대 비문 - 제2부: 텍스트, 아무크, 알레포, 하마, 타발, 아수르 서신, 기타, 인장, 색인. 베를린, 보스턴: 드 그루이터, 2012 [2000]. pp. 361-641. [https://doi.org/10.1515/9783110804201]
- ______. ''상형 루위아어 비문집''. 제1권: 철기 시대 비문 - 제3부: 도판. 베를린, 보스턴: 드 그루이터, 2012 [2000]. pp. 642-1007. [https://doi.org/10.1515/9783110804201]
- ______. ''상형 루위아어 비문집''. 제III권: 히타이트 제국 비문 및 철기 시대 신규 비문. 발터 드 그루이터 GmbH & Co KG, 2024.
- 페인, 안닉. ''철기 시대 상형 루위아어 비문''. 고대 세계의 기록 29. 애틀랜타: 성서 문학 협회, 2012.
- 페커, 하산. ''카르케미쉬의 텍스트 I: 2011–2015년 발굴에서 얻은 루위아어 상형 문자 비문''. 오리엔트랩 시리즈 마이오르, 제1권. 볼로냐: 안테 퀘, 2016.
참조
[1]
문서
Law number 21 of the Code of the Nesilim
[2]
서적
Morphosyntax of the Noun Phrase in Hieroglyphic Luwian
Brill NV
2014
[3]
논문
2012
[4]
논문
1987
[5]
논문
1993
[6]
논문
[7]
논문
2003
[8]
논문
2010
[9]
논문
2003
[10]
간행물
James Mellaart and the Luwians: A Culture-(Pre)history
https://www.academia[...]
2013
[11]
간행물
James Mellaart and the Luwians: A Culture-(Pre)history
https://www.academia[...]
2013
[12]
간행물
Mykenisch ru-wa-ni-jo 'Luwier'
http://www.palaeolex[...]
2007
[13]
논문
2015
[14]
논문
[15]
논문
2010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간행물
Where did one speak luwili? Geographic and linguistic diversity of Luwian cuneiform texts
https://doi.org/10.1[...]
2021
[20]
간행물
Anatolian
https://www.academia[...]
2022
[21]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A Phylogenetic Perspective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22]
학술지
Where did one speak luwili? Geographic and linguistic diversity of Luwian cuneiform texts
https://www.degruyte[...]
2021-12
[23]
간행물
Anatolian
https://www.academia[...]
2022
[24]
논문
[25]
논문
1971
[26]
논문
2010
[27]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28]
웹사이트
isbn:9004253416 - Sök på Google
https://books.google[...]
2018-04-19
[29]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World's Ancient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0]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1]
문서
[32]
논문
2010
[33]
학술지
They wrote on wood. The case for a hieroglyphic scribal tradition on wooden writing boards in Hittite Anatolia
[34]
논문
2010
[35]
논문
1960
[36]
논문
The Proto-Anatolian consonant system: An argument in favor of the Indo-Hittite hypothesis?
https://www.academia[...]
[37]
논문
Der phonetische Wert der luwischen Laryngale
https://www.academia[...]
[38]
문서
Melchert 2003 p. 171
[39]
문서
Yakubovich 2010, pp. 45–53
[40]
문서
Yakubovich 2008
[41]
서적
Hieroglyphic Luwian: An Introduction with Original Text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0
[42]
웹사이트
EDIANA - Corpus
https://www.ediana.g[...]
2020-02-14
[43]
문서
Watkins 1994; Watkins 1995:144–51; Melchert 2003, pp. 265–70 with ref.
[44]
논문
Troia im Kontext des historisch-politischen und sprachlichen Umfeldes Kleinasiens im 2. Jahrtausend
[45]
문서
Latacz 2004 p=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