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형식은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우선시하는 의미로, 철학, 특히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중세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졌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과 형상을 구분하며 형상론을 전개했다. 중세 철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론이 기독교에 적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데카르트와 로크는 실체적 형식의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라이프니츠는 형식을 활동력으로 재해석하여 옹호했다. 한국 사회에서도 형식은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2. 철학에서의 형식

철학에서 형식은 사물의 본질, 즉 사물을 그것이게끔 하는 근본적인 원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개는 동물원에 들어오면 안 된다"라는 규칙이 있을 때, 개가 사람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동물원에 나타난다면,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이론적으로는 동물원 입장이 가능하다. 이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보다는 본질적인 의미를 중시하는 것을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Form)과 질료(Matter)를 구분하여 철학적 논의를 전개했으며, 이는 중세 철학에도 영향을 미쳤다.[1]

2. 1. 플라톤의 형상론

플라톤은 우리의 동일성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파이돈''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 그들[동일한 것들]이 우리에게 동일 그 자체와 같은 방식으로 보이는가? 그들이 동일 그 자체와 같은 존재에 있어서 어떤 결함이 있는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 어떤 사람이 어떤 것을 보고, 그가 지금 보는 것이 다른 어떤 실체와 같아지기를 원하지만 부족하고, 열등하기 때문에 다른 것과 같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을 때, 우리는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그것과 같다고 말하지만, 부족한, 그것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동의하는가?...

: 우리는 동일한 대상들을 처음 보고 이 모든 대상들이 동일한 것과 같아지려고 노력하지만 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기 전에 이미 동일성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2.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론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hyle)과 형상(morphe)을 처음으로 구별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형상은 분화되지 않은 근본적인 요소인 질료(물질)로부터 특정한 사물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획득된다. 사물의 형상이 완성된 상태는 그 기능이 최대한 실현되는 엔텔레키이며, 인체의 엔텔레키는 영혼이다.[3] 이러한 분화 과정의 기원은 부동의 원동자에서 찾을 수 있다.

2. 2. 1. 형상과 질료의 결합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hyle)과 형상(morphe)을 처음으로 구별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물질은 분화되지 않은 근본적인 요소이다. 그것은 그 자체로서의 사물이라기보다는 사물이 발전하는 기반이다. 씨앗과 같은 물질로부터 특정한 사물이 발전하는 것은 분화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지각 가능한 우주를 구성하는 특정한 형상을 획득하는 과정이다(cf. 형상적 원인). 사물의 형상이 완성된 상태는 그 기능이 최대한 실현되는 엔텔레키이다(''영혼에 관하여'', ii. 2). 따라서, 인체의 엔텔레키는 영혼이다. 이러한 분화 과정의 기원은 부동의 원동자에서 찾아야 하는데, 이는 모든 물질과 완전히 분리된 순수한 형상, 영원하고 불변하며, 자신의 활동이 아닌 자신의 절대적인 존재가 물질에 일으키는 자극에 의해 작동하는 존재이다.[3]

2. 2. 2. 엔텔레케이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의 형상이 완성된 상태, 즉 기능이 최대한 실현되는 상태를 엔텔레케이(entelecheia영어)라고 정의했다.[3] 예를 들어, 인체의 엔텔레케이는 영혼이다.[3]

2. 3. 중세 철학에서의 형식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적 형태는 모두 중세 철학에서 나타난다.[1]

중세 신학자들은 새롭게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접하고, 형상 기원론을 기독교에 적용했다. 예를 들어 성체 변형에서 성찬의 빵과 포도주가 예수의 몸과 피로 변하는 것에 적용했다.[1] 던스 스코투스와 같은 신학자들은 형상 기원론을 기독교에 적용하는 방식을 발전시켰다.[1]

아리스토텔레스의 형태 개념은 스콜라 철학에 채택되었지만, 그들에게는 물리적 우주 관찰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은 완전히 생소한 개념이었다.[1] 가장 주목할 만한 적응은 아마도 토마스 아퀴나스의 적응일 것이다. 그는 실존적 형태(formae separatae)를 가진 정신 세계와 물질과 결합해서만 존재하는 고유한 형태를 가진 물질 세계를 구별했다.[1]

3. 형식에 대한 비판과 응답

데카르트존 로크는 실체적 형식이 불분명하며,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 않다고 비판했다.[4][5] 반면 라이프니츠는 형식을 활동력으로 재해석하여 형이상학의 중요한 개념으로 복권시켰다.[7][8]

3. 1. 데카르트의 비판

데카르트는 실체적 형식이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는 실체적 형식이 철학자들이 자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했지만, 실제로는 어떠한 자연적 작용도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4] 데카르트는 실체적 형식을 옹호하는 사람들조차도 그것이 숨겨져 있고 이해할 수 없다고 인정하기 때문에, 실체적 형식에서 비롯된다고 말하는 것은 아무것도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4]

존 로크 역시 '실체적 형식'이라는 개념이 불분명하며,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5]고 비판했다. 그는 사람들이 구체적인 이름이 실제 본질을 대표한다고 여기도록 만드는 가정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6]

3. 2. 로크의 비판

존 로크는 '실체적 형식'이 불분명하며,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nothing|낫씽영어[5]고 말했다. 또한 "동일한 정확하고 내적인 구조가 항상 동일한 구체적인 이름과 함께 간다는 가정은 사람들을 그러한 이름을 실제 본질의 대표로 여기도록 만든다."[6]라고 주장했다.

3. 3. 라이프니츠의 응답

라이프니츠는 형식을 활동력으로 재해석하여 형이상학의 중요한 개념으로 복권시켰다.[7][8] 그는 ''형이상학 논고'' (§10)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9]

[...] 실체적 형식에 대한 믿음은 사실에 근거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식은 현상에 아무런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며, 특정 사건의 설명에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4. 한국 사회와 형식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형식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진다. 예를 들어, 야구장 입장의 경우, 현실적으로는 암표를 구매하여 입장하는 것은 제한되지만, 형식적으로는 티켓만 소지하면 입장이 가능하다.

4. 1. 형식의 부정적 측면

형식은 겉으로 드러나는 것만을 우선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개는 동물원에 들어오면 안 된다"라는 규칙이 있을 때, 개가 사람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동물원에 나타난다면 이론적으로 입장이 가능하다. 이는 형식적으로는 규칙에 어긋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또 다른 예로, 암표 문제가 있다. 현실적으로 암표를 구매한 사람은 야구장 입장에 제한을 받거나 벌금을 물어야 하지만, 형식적으로는 암표로 얻은 티켓도 정상적인 티켓과 동일하게 취급되어 야구장 입장이 가능하다면, 이 역시 형식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4. 2. 형식과 관련된 사회적 논쟁

암표 문제와 의전 문제 등 형식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논쟁이 존재한다.[1] 예를 들어, 야구장에 암표로 입장하는 행위는 현실적으로 제재를 받지만, '형식적'으로는 티켓만 있으면 입장이 가능하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1]

참조

[1] 문서 "Greek Philosophy" entry Seyffert 1895
[2] 문서 Benjamin Hill. Substantial Forms and the Rise of Modern Science https://www.anselm.e[...]
[3] 문서 Form EB1911
[4] 문서 "Letter to Regius" Oeuvres de Descartes 1642-01
[5] 서적 Of the Conduct of the Understanding Baynes & Son 1825
[6] 서적 The Philosophical Works of John Locke Volume 2 George Bell & Sons 1892
[7] 간행물 Leibniz: Determinist, Theist, Idealist 1999-02
[8] 웹사이트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9] 웹사이트 Discourse on Metaphysics https://www.ansel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