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엔 노이엔도르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엔 노이엔도르프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오버하펠군 호엔 노이엔도르프에 있는 철도역이다. 1877년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처음 문을 열었으며, 초기에는 베를린 근교선의 하계 임시 열차가 운행했다. 1925년 전철화 이후 베를린 S반 노선이 운행하기 시작했고,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독일 재통일 이후 베를린 도심으로의 운행이 재개되었다. 현재 S1, S8 노선이 운행하며, 인근에 시내버스 및 군내 버스가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개업한 철도역 - 교토역
교토역은 JR, 킨테츠, 교토 시영 지하철 등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대규모 복합 환승역이자, JR 교토 이세탄 백화점, 호텔 등을 포함한 복합 시설을 갖춘 교토의 랜드마크이며, 국내외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1877년 개업한 철도역 - 비르켄베르더역
비르켄베르더역은 1877년에 개업하여 S반과 RB 노선이 정차하며, 2021년부터 역과 승강장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 독일 베를린 북부선에 있는 역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비르켄베르더역
비르켄베르더역은 1877년에 개업하여 S반과 RB 노선이 정차하며, 2021년부터 역과 승강장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 독일 베를린 북부선에 있는 역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오라니엔부르크역
오라니엔부르크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오라니엔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여 베를린 S반과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확장되었으며,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과 서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호엔 노이엔도르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독일어 역명 | Hohen Neuendorf (b Berlin) |
독일어 약칭 | Bf Hohen Neuendorf (b Berlin) |
위치 |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호엔 노이엔도르프 쇤플리서 슈트라세 16 |
운영 주체 | DB Netz |
운영 회사 | DB Station&Service |
전철화 시작일 | (1924년 12월 11일 역사 개장) |
역 코드 (DB) | 2832 |
DS100 코드 | BHN |
IBNR 코드 | 8080720 |
역 등급 | 5 |
VBB 구역 | VBB: 베를린 C/5154 |
웹사이트 | www.bahnhof.de |
노선 정보 | |
노선 | 베를린 북부선 () |
승강장 | 1개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2 |
운행 회사 | S-Bahn Berlin |
연결 노선 | 809 822 |
인접 정차역 | |
베를린 S반 S1 | 왼쪽: 비르켄베르더 오른쪽: 프로나우 |
베를린 S반 S8 | 왼쪽: 비르켄베르더 오른쪽: 베르크펠데 |
2. 역사
호엔 노이엔도르프역은 1877년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임시 정거장이었다가 점차 중요성이 커졌다.[5] 오라니엔부르크 방면 근교 교통량 증가로 복선화[6] 및 역 이설[10][11], S반 전철화[12] 등 변화를 겪으며 발전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분단과 베를린 장벽 건설은 역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독 영내 마지막 역으로서 검문이 시행되었고[11], 장벽 건설로 서베를린 방면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베를린 외곽순환선과 연결되는 등[13] 노선 변경을 겪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1992년에는 서베를린 방면 노선이 복구되어[11] 현재의 S1, S8 노선이 운행하는 역으로 자리 잡았다. 1990년대 이후 역 시설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으며[15], 현재까지 베를린 북부 지역의 중요한 교통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2. 1. 초기 (1877년 ~ 1945년)
1877년 7월 10일 베를린 북부선의 남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베를린 근교선 운행 초기에는 철도 운행용으로 개조한 버스를 사용했으며, 1877년 말에는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 간 하루 3회 왕복 열차가 운행했다. 호엔 노이엔도르프 정거장은 그 해 9월 1일에 개통했으며, 초기에는 하계 임시열차만 운행했다. 1881년/1882년 시간표 개정부터 사계절 정차가 시작되었다.[5]베를린과 오라니엔부르크 간의 근교선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1890년/1891년에 복선화되었고, 1891년 10월 1일부터 근교선 운임이 도입되었다.[6] 그 해부터 일일 열차 운행이 왕복 8회에서 13회로 확대되었고, 호엔 노이엔도르프역에는 모든 근교선 열차가 정차했다.[7]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는 근교선 열차가 시간당 1~2회 정차했다.[8]
철도 교통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철도역 인근에 주택 단지 개발이 진행되었다. 개통 당시의 역사는 시가지와 분리되어 호엔 노이엔도르프 교회에서 약 800m 동쪽으로 떨어져 있었지만, 구 시가지, 구 호엔 노이엔도르프역, 약 1km 남쪽에 있었던 슈톨페역을 기점으로 시가지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시가지 일부는 북부선 동쪽으로도 팽창했다.[9]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북부선의 용량이 한계에 다다르기 시작했다. 1918년 말에는 근교선과 장거리선 분리를 위하여 프로나우역-비르켄베르더역 구간의 복복선화가 시작되었다. 일부 경로가 변경되었고 철도 건널목은 고가화되거나 과선교가 설치되었다. 호엔 노이엔도르프역도 약 200m 남쪽으로 이설되었고 슈톨페역이 폐역되었다. 새로운 역사가 건설되었고, 1년 후에는 주거지로 연결되는 남쪽 출입구가 추가되었다.[10][11]
1925년에는 ET 169형 전동차 운행을 위하여 근교선이 제3궤조 직류로 전철화되었다. 그 해 6월 5일부터는 베를린-호엔 노이엔도르프-비르켄베르더 간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10월 초에는 오라니엔부르크까지 전동차 운행이 연장되었다.[12] 1930년부터 S반이라는 명칭이 도입되었다. 1939년 베를린 남북 S반선 개통 이후로 베를린 반제역까지 직통하는 노선이 영업을 시작했고, 현재의 S1 노선의 시초가 된다.
2. 2. 분단 시기 (1945년 ~ 1990년)
1952년 5월 18일부터 동독과 서베를린 간 장거리선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S반 운행은 계속되었다. 이로 인해 호엔 노이엔도르프역은 동독 영내의 마지막 역이 되었고, 서베를린으로 진입하기 전 승객 및 수화물에 대한 검문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검문은 195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으며, 1954년부터는 검문 시간을 고려하여 최대 7분까지 정규 정차 시간이 배정되기도 했다.[11] 1950년대 중반에는 호엔 노이엔도르프역 이남의 서베를린 구간을 대부분 무정차 통과하여 동베를린에 있는 베를린 볼랑크슈트라세역까지 운행하는 열차 편성도 생겨났다.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호엔 노이엔도르프역과 프로나우역 사이의 S반 운행은 완전히 중단되었다. S반 운행 구간은 오라니엔부르크-호엔 노이엔도르프로 단축되었다. 동베를린과의 연결을 복구하기 위해 베를린 외곽순환선과의 연결선이 새로 건설되었고, 해당 구간은 제3궤조 직류 방식으로 전철화되어 1961년 11월 19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3] 이 과정에서 베르크펠데역 방면 신규 선로가 역 남단에서 분기하게 되어, 1961년 9월 22일에는 남쪽 출입구가 폐쇄되었다.[14]
운행 초기에는 다소 불안정했으나, 1960년대 중반에는 20분 배차 간격으로 운행이 안정화되었다. 평시에는 블랑켄부르크를 경유하여 쇠네펠트 공항 방면으로 운행했으며, 저녁 시간대와 주말에는 슈핀들러스펠트 방면으로 운행하는 계통이 주를 이루었다.
2. 3. 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독일의 재통일 이후 1992년 5월부터 호엔 노이엔도르프-프로나우 구간 운행이 복구되어 베를린 도심으로 다시 직접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11] 이에 따라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에 운행했던 반제 방면 S1 노선 운행 계통이 복원되었다. 외곽 순환선 방면 열차는 20분 간격으로 계속 운행했으며, 초기에는 S10으로 불리다가 이후 S8로 개칭되었다. 이 노선의 북쪽 종착역은 오라니엔부르크에서 비르켄베르더로 단축되었고, 남쪽 종착역은 블랑켄부르크를 경유하여 그뤼나우 및 초이텐이다. S1 노선과 유사하게 20분 배차 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야간에는 배차 간격이 더 길어진다. 1990년대에는 승강장이 개보수되었고, 2001년과 2002년에는 역 전체의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1인 승무를 위한 ZAT(Zugabfertigung durch den Triebfahrzeugführer, 기관사 출발 처리)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에도 승강장에서 출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15]3. 시설
개통 당시 역사는 현재 위치보다 북쪽에 있었으며, 시가지와 다소 떨어져 호엔 노이엔도르프 교회에서 동쪽으로 약 800m 거리에 있었다.[9] 1918년 말 베를린 북부선의 근교선과 장거리선 분리 및 복복선화 공사 과정에서 역이 약 200m 남쪽의 현재 위치로 이설되었고 새로운 역사가 건설되었다.[10][11] 새 역사 건설 1년 후에는 주거지로 연결되는 남쪽 출입구가 추가로 개설되었다.[10][11]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베를린 S반 노선이 조정되면서, 동베를린 방면으로 운행하기 위해 베를린 외곽순환선과의 연결선이 신설되었다. 이 연결선이 역 남단에서 분기하게 되면서, 1961년 9월 22일 남부 출입구가 폐쇄되었다.[14]
독일의 재통일 이후 1990년대에 승강장이 개보수되었고, 2001년과 2002년에는 역 전체에 대한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현재는 1인 승무를 위한 ZAT(열차 출발 처리 시스템)가 도입되어 있으나, 여전히 승강장에서 직원에 의한 출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15]
4. 운행 계통
베를린 S반 노선 S1과 S8이 운행하며, 두 노선 모두 배차 간격은 20분이다.
1925년 6월 5일부터 베를린 북부선의 근교선 구간이 제3궤조 직류 방식으로 전철화되어 베를린-호엔 노이엔도르프-비르켄베르더 간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같은 해 10월 초에는 오라니엔부르크까지 운행 구간이 연장되었다.[12] 1930년부터는 S반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1939년 베를린 남북 S반선 개통 이후에는 베를린 반제역까지 직통하는 노선이 운행을 시작했으며, 이는 현재의 S1 노선의 기원이 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 영토에 위치한 마지막 역이었으며, 서베를린 진입 전 국경 검문이 이루어졌다.[11]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로 프로나우 방면 S반 운행이 중단되었고, 열차는 오라니엔부르크-호엔 노이엔도르프 구간만 운행하게 되었다. 동베를린과의 연결을 위해 베를린 외곽순환선 방면 연결선이 건설되어 1961년 11월 19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3] 이 노선은 1960년대 중반부터 20분 배차 간격으로 안정적으로 운행했으며, 평시에는 블랑켄부르크역을 경유하여 쇠네펠트 공항 방면으로, 저녁 및 주말에는 슈핀들러스펠트역 방면으로 운행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1992년 5월, 호엔 노이엔도르프-프로나우 구간 선로가 복구되면서 베를린 도심으로의 직접적인 S반 연결이 재개되었다.[11] 이에 따라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유사하게 반제 방면으로 운행하는 S1 노선이 복원되었다. 동시에 기존의 외곽 순환선 방면 노선은 S10으로 불리다가 이후 S8로 개칭되어 계속 운행하게 되었다. S8 노선은 북쪽 종착역이 오라니엔부르크에서 비르켄베르더로 단축되었고, 남쪽으로는 블랑켄부르크역을 경유하여 그뤼나우역 및 초이텐역까지 운행한다. S1과 S8 노선 모두 기본적으로 20분 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야간에는 배차 간격이 길어진다.
1인 승무를 위한 ZAT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에도 이 역에서는 승강장에서 출발 통제가 이루어진다.[15]
5. 인접 정차역
(오라니엔부르크 방면)
(베를린 반제 방면)
(비르켄베르더 방면)
(그뤼나우/빌다우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