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한트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한트엉은 호조의 제2대 황제이다. 그는 호꾸이리의 아들이자 쩐 명종의 딸 휘녕공주의 아들로, 호꾸이리가 쩐 왕조를 찬탈한 후 1400년에 왕위를 물려받았다. 호한트엉은 호꾸이리를 태상황으로 높이고 티에우타인으로 개원했으며, 이복 형인 호응우옌쯩을 좌상국으로 삼았다. 명나라의 안남 침공으로 호조가 멸망하면서 호한트엉은 포로로 잡혀 명나라로 끌려갔으며,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 왕조의 황제 - 호꾸이리
호뀌리는 쩐 왕조 말 권력을 잡고 호 왕조를 세운 인물로, 국가 체제 정비, 개혁 추진, 최초 지폐 발행, 쯔놈 사용 장려, 수도 천도 등을 단행했으나 명나라 침략으로 몰락 후 행적이 묘연하며, 그의 업적은 찬탈자와 개혁가라는 평가가 공존하고, 그가 건설한 호 왕조의 성채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안남국왕 - 레러이
레러이는 후 레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로, 람선 봉기를 통해 명나라로부터 대월의 독립을 쟁취하고 국가 제도를 정비하며 자주적인 외교 정책을 펼쳐 베트남 민족의 독립과 국가 재건에 기여했다. - 안남국왕 - 쩐까오 (후 쩐 왕조)
쩐까오는 후 쩐 왕조의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실권은 레러이에게 있었고, 명나라로부터 안남 국왕으로 책봉받았지만 결국 살해당했으며, 무능하다는 비판과 함께 새 왕조 등극의 명분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베트남의 태부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베트남의 태부 - 응우옌반뜨엉
응우옌반뜨엉은 응우옌 왕조의 관료이자 섭정으로, 뜨득 황제 사후 섭정이 되어 권력 유지를 위해 여러 황제를 옹립하고 폐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에 저항하다 유배되어 사망했다.
| 호한트엉 | |
|---|---|
| 기본 정보 | |
| 칭호 | 대우 황제 |
| 이름 | 호한트엉 (胡漢蒼) |
| 다른 이름 | 레한트엉 (黎漢蒼), 호당 (胡𡗨) |
| 왕조 | 호 왕조 |
| 통치 | |
| 재위 기간 | 1401년–1407년 |
| 이전 통치자 | 호뀌리 |
| 후임 통치자 | 없음 (호 왕조 멸망), 잔딘제 |
| 연호 | 사오탄 (紹成, 1401년–1402년) 카이다이 (開大, 1403년–1407년) |
| 생애 | |
| 출생 | 미상 |
| 사망 | 1407년? |
| 배우자 | 헌가 |
| 자녀 | 호뇌 |
| 부친 | 호뀌리 |
| 모친 | 후에닌 |
2. 생애
호꾸이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호한트엉은 쩐 명종의 딸 휘녕공주를 어머니로 두었다. 1400년 아버지 호꾸이리가 쩐조를 무너뜨리고 호조를 세웠으나, 쩐조 유신들의 반발에 부딪혀 쩐 왕실의 혈통을 이은 호한트엉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호한트엉은 아버지를 태상황으로 높이고, 연호를 티에우타인(紹聖)으로 정했으며, 이복형 호응우옌쯩(Hồ Nguyên Trừng|호원징vi)을 좌상국으로 임명했다.
1401년 참파를 공격했고, 1403년 명나라로부터 안남국왕으로 책봉받았다. 그러나 1406년 명나라 영락제의 침공을 받았고, 1407년 함자관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수도 타인호아가 함락되면서 호꾸이리와 함께 포로로 잡혀 호조는 멸망했다. 호한트엉은 호꾸이리, 호응우옌쯩과 함께 명나라 수도 금릉으로 압송된 후 행방이 묘연해졌는데, 살해되었다는 설과 능력을 인정받아 명나라에 등용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1]
2. 1. 출생과 가계
호한트엉은 호꾸이리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쩐 명종의 딸 휘녕공주이다.[1] 호꾸이리가 쩐 왕조의 권력을 장악했을 때 호한트엉은 태부(太傅) 직을 맡았다.[1]2. 2. 즉위 과정
1400년, 호꾸이리가 쩐조의 제위를 찬탈하여 호조를 세웠으나, 쩐조의 많은 유신들의 반대를 받았다. 이를 고려하여 쩐조 황실의 혈통을 받은 호한트엉에게 양위하였다.[1] 호한트엉은 호꾸이리를 태상황(太上皇)으로 높이고 연호를 티에우타인(紹聖)으로 고쳤다.[1] 또한 이복형인 호응우옌쯩(Hồ Nguyên Trừng|호원징vi)을 좌상국(左相國)으로 삼았다.[1]2. 3. 통치와 정책
호꾸이리가 쩐조의 전권을 잡았을 때 호한트엉은 태부(太傅)를 맡았다.[1]1400년, 호꾸이리가 쩐조의 제위를 찬탈하여 호조를 세웠는데, 쩐조의 많은 유신들의 반대를 받아 쩐조 황실의 혈통을 받은 호한트엉에게 양위하였다.[1] 호한트엉은 호꾸이리를 태상황(太上皇)으로 높이고 티에우타인(紹聖)으로 개원하였다.[1] 또한 이복형인 호응우옌쯩(Hồ Nguyên Trừng|호원징vi)을 좌상국(左相國)으로 삼았다.[1] 이듬해 참파를 공격했다.[1]
1403년, 명나라가 호한트엉을 안남국왕(安南國王)으로 책봉하였다.[1]
2. 4. 명나라의 침공과 최후
1406년, 영락제가 군사를 일으켜 호 왕조를 공격했다.[1]1407년, 명나라 군대가 함자관(鹹子關)에서 호조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 도성인 타인호아(淸化)를 함락시켰다.[1] 호꾸이리는 아들 호계리와 함께 도주하였으나, 많은 신하들과 함께 까오봉산(高望山)에서 포로로 잡혀 호 왕조는 멸망하였다.[1] 호한트엉은 호꾸이리, 호응우옌쯩과 함께 명나라의 수도 금릉으로 끌려갔는데, 이후 행방은 알 수 없다.[1] 일설에는 살해되었다고도 하고, 다른 설로는 무기를 다루는 데 뛰어나 사면을 받았으며 호응우옌쯩과 함께 명나라에 발탁되었다고도 한다.[1]
3. 연호
참조
[1]
서적
The Champa Kingdom: The History Fo an Extinct Vietnamese Culture
White Lotus Press
[2]
서적
[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