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래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래방은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시설로, 대한민국에서는 '노래방' 또는 '노래연습장'으로 불린다. 일본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각 지역에 따라 KTV, 가라오케 박스, 비디오케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시작되어 1980년대에 기술 발전을 거쳐 1990년대 이후 대중화되었다. 법적 규제, 소음 문제, 방범 및 방재 문제 등과 같은 문제점도 존재하며, TJ미디어, 금영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업체가 운영하고 있다.

2. 나라별 명칭

나라마다 다음과 같이 다르게 불린다.

명칭국가
노래방(-房)대한민국
KTV(Karaoke TV)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타이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가라오케박스(Karaoke Box)홍콩, 일본, 마카오
비디오케(Videoke)필리핀
화면반주음악실(畵面伴奏音樂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일본에서 시작된 문화로서, 동아시아동남아시아에는 노래방이나 이에 준하는 시설들이 존재한다.

3.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동전이나 지폐를 넣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코인 노래방(동전 노래방)이 젊은 층들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다. 흔히 줄여서 '''코노'''라고 부른다.

KBS 2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해피투게더 - 전설의 조동아리》의 한 코너인 《내 노래를 불러줘》, SBS의 〈도전 1000곡〉, TV조선의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와 〈금요일은 밤이 좋아〉는 노래방을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33]

3. 1. 일본

1970년대 가라오케는 스낵바나 가라오케 찻집 등의 음식점에서 손님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설치되었다. 이후 가라오케 자체의 인기가 상승함에 따라 가족층과 고령자층을 중심으로 음주와 관계없이 가라오케를 즐기고 싶다거나 노래 연습을 하고 싶다는 수요가 높아졌다.

1980년대에 들어서 1982년파이오니아에서 레이저 디스크를 사용한 최초의 업무용 레이저 가라오케가 등장했다[12]. LD 체인저의 채용으로 선곡 시 점원의 조작이 필요 없어 기술적으로 가라오케 박스의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다.

당시에는 해상 수송·하역과 관련된 컨테이너 형태의 국제 표준화가 이루어지는 등 유통의 변혁기였다. 국철민영화를 목표로 하는 가운데 화물 수송 수법의 개혁을 단행했기 때문에 규격 외 형태의 국철 컨테이너나 중고 화차의 차체가 창고에 사용하기 쉽도록 상부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로 시장에 많이 유통되었고, 중고 해상 컨테이너를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배경도 있었다.

1984년에 효고현 고베시의 신카이치에 개점한 일본 최초의 가라오케 박스 "가라오케 컨테이너 BONBON"은 그 이름처럼 선박용 화물 컨테이너를 개조하여 설치한 것이었다. 당시 가라오케 박스는 중고 컨테이너를 유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점포 설비도 간소했다.

당시에는 드문 일이라 간사이 지역의 TV에서도 다루어졌다. 넓은 빈터에 노란색 컨테이너나 갈색 컨테이너, 녹슨 컨테이너까지 여러 가지가 무질서하게 놓여 있었고, 조립식으로 만들어진 접수대와 화장실이 인상적이었다.

『별책 보물섬』에는 1988년의 서브컬처·유행 중 하나로 가라오케 박스가 소개되어 있다[13].

1990년대 이후에는 시가지의 빌딩 전부 또는 일부 층을 많은 개별 룸으로 구획한 것이 주류가 되었고, 점포 설비도 개선되었다. 1990년대 전반에는 버블 시대의 디스코 붐을 받아, 정교한 조명과 음향 설비가 설치된 점포도 늘었다[12]. 또한 신곡을 빨리 부를 수 있는 통신 가라오케가 1992년에 등장했다[12]. 고등학생 등 젊은 층부터 연령대가 높은 층까지 폭넓은 세대에서 이용하게 되면서 전국적인 붐이 일었다[12].

선곡


가라오케는 그전까지 많은 사람이 즐기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가라오케 박스의 보급으로 2000년대 이후에는 혼자 가라오케를 가는 히토카라가 유행하면서 개인·소규모 이용의 니즈가 높아졌다. 이로 인해 객단가가 하락하고 저가 매장이 늘어, 많은 사람과 음식을 이용하는 것에 의존했던 점포는 불황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니즈의 변화가 업계 재편으로 이어졌다.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가라오케 박스 업계에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조사 계열에서는 제일흥상이 2014년 2월 시코쿠를 기반으로 하는 어드밴트와 골드를 완전 자회사로 하고, 2015년 4월에 제일흥상에 흡수 합병했다[14]. 또한 2017년 6월에는 "가라오케 맥"을 운영하는 Airside를 완전 자회사로 했다[15]. 엑싱도 직영으로 운영하던 가라오케 박스 사업을 2011년 4월에 자회사인 스탠다드로 사업 이관했다. 스탠다드는 2013년 11월에 "가라오케 메가톤"을 운영하던 미디어 크리에이트를 완전 자회사로 하고[16][17], 2014년 4월에 흡수 합병했다.

비제조사 계열에서는 "가라오케의 철인"을 운영하는 철인화계획이, 타 사업의 실패로 재무 상황이 악화되어 2018년 5월에 제일흥상과 엑싱의 제3자 할당 증자를 받게 되었다[18]. 또한 한때 업계 1위였던 시다ックス・커뮤니티도, 실적 악화로 2018년 6월에 시다ックス에서 "가라오케 칸"을 운영하고 있는 B&V로 사업 양도되어 B&V의 연결 자회사가 되었다[19][26]. 2021년 5월에 "가라오케 본점 마네키네코"를 운영하고 있는 코시다카 홀딩스가 오쇼의 가라오케 사업을 인수했다[20][21].

2020년에 코로나19의 유행을 겪으면서 가라오케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는 한편, 후술할 밀실·방음성을 활용하여 소음이나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이점을 살려 재택근무나 악기 연습, 재봉 작업 등을 하는 장소로서의 수요가 두드러지게 되었다[22][23][24].

전국 가라오케 사업자 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가라오케 박스는 2020년 9344개 점포, 2021년 8436개 점포이다[25].

4. 법적 규제

대한민국식품위생법은 주류 판매 및 유흥접객원 고용 허가 여부에 따라 노래방 시설을 노래연습장, 단란주점, 유흥주점으로 구분한다. 건축기준법에 따르면, 노래방은 특정 주거 지역에는 건축할 수 없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면적 제한을 받는다.

많은 도도부현에서는 청소년 보호 조례에 따라 18세 미만의 청소년이 심야(보통 밤 11시에서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에 노래방 시설을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사카부에서는 오후 7시 이후에는 16세 미만, 오후 10시 이후에는 18세 미만의 청소년의 입장을 금지한다. 또한, 많은 노래방 업소에서는 16세 미만 청소년의 단독 이용 시간을 저녁 6시까지로 제한하는 등 자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다.

4. 1. 대한민국

식품위생법에서는 주류 판매 허가와 유흥접객원 고용 허가 여부에 따라 노래연습장, 단란주점, 유흥주점으로 구분한다.[30]

  • 노래연습장: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또는 무영상 반주장치 등의 시설을 갖추는 것이 허용되며,[30] 주류는 판매할 수 없다.
  • 단란주점: 노래를 부르는 행위가 허용되고 주류 판매도 허용된다.[31]
  • 유흥주점: 무도장 설치, 음주가무, 유흥접객원 고용이 허용된다.[31]


KTV는 노래방 뮤직 비디오, 즉 가사와 MMO 오디오 트랙이 포함된 뮤직 비디오를 의미하기도 한다. 일부 노래방 뮤직 비디오는 독점 계약에 따라 KTV 업소에 판매되었으며, 이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이를 사용하여 노래방 뮤직 비디오를 불법 복제하여 인터넷에 공유하기도 했다. 이러한 파일들은 종종 인터넷에서 MPEG (VCD) 또는 VOB (DVD) 형식으로 파일 이름에 (KTV)가 붙어 있는 형태로 발견된다.

4. 2. 일본

일본의 도도부현에서는 청소년 보호 조례에 따라 18세 미만의 심야 영업 시설 (심야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경)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1] 오사카부에서는 오후 7시 이후 16세 미만, 오후 10시 이후 18세 미만의 입점을 금지하며,[1] 많은 점포에서 16세 미만 단독 이용 시 18시까지로 제한하는 등 미성년자 관련 규정을 두고 있다.[1]

KTV는 가사와 MMO 오디오 트랙이 포함된 뮤직 비디오인 노래방 뮤직 비디오를 의미하기도 한다. 일부 노래방 뮤직 비디오는 독점 계약을 통해 KTV 업소에 판매되었는데, 일부 사람들이 이를 불법 복제하여 인터넷에 공유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파일들은 MPEG (VCD) 또는 VOB (DVD) 형식으로, 파일 이름에 (KTV)가 붙어 있는 형태로 인터넷에서 발견되곤 한다.

5. 문제점

노래방은 소음 문제, 방범 및 방재 문제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5. 1. 소음 문제

소음 규제법에 근거한 소음 방지 조례가 전국 광역 자치 단체 및 일부 기초 자치 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다. 심야 소음 방지를 규정하고 있으며, 점포 시설의 부지 경계선 부근에서 심야 10시부터 새벽 6시까지는 40dB(데시벨) 이하(심야에 정숙한 상태)로 소리를 제한한다. 심야 11시부터 새벽 6시까지는 외부로 노래방 소리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조치해야 하며, 적용 대상 지역은 대체로 시가지에 해당한다.[1]

원래 소음 규제법상 음식점 등에 해당하는 노래방, 찻집은 적용 대상이었지만, 음료 및 음식을 제공하지 않는 노래방 사업자는 적용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조례로 적용 대상에 포함시켰다. 벌칙은 가벼운 편으로 벌금 200000JPY 정도이다. 오사카부에서는 징역 3개월 이하의 징역형도 규정하고 있는 지방 자치 단체도 있다. 위반 사업자에 대해서는 행정 지도가 들어가며, 권고, 명령, 위반자 및 위반 행위 공표, 이후에도 따르지 않을 경우 벌칙 적용의 법적 절차에 들어간다.[1]

대형 노래방 사업자 중에는 24시간 연중무휴로 영업하는 곳도 있어, 소음 문제는 인근 주민들에게 심각한 문제이다. 또한, 손님 일행이 옥외 부지 안팎에서 심야에 소란을 피우는 민폐 행위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민사 소송에서 노래방 사업자의 영업 중지를 요구한 판례도 있다.[1]

5. 2. 방범 및 방재 문제

노래방은 밀실성과 방음성이 높아 주변에 신경 쓰지 않고 자유롭게 노래하거나 동료들과 어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밀실성은 미성년자 불순 이성 교제 등 성범죄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일본의 많은 노래방에서는 문이나 복도 쪽 벽에 대형 유리창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실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방음성은 유지하면서도 외부의 시선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복도나 실내에 방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노래방 업체에서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설치하기도 하여, 실내 카메라가 방범용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더불어, 피난 경로 미비 등 방재 상의 문제가 있는 노래방에서 사망자를 동반한 화재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소방서에서는 정기적으로 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6. 노래방 업체

6.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노래방 반주기 제조사로는 ASSA (구 영풍전자), TJ미디어 (구 태진미디어), 금영엔터테인먼트가 있다.

6. 2. 일본

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가라오케가 스낵바나 가라오케 찻집 등의 음식점에서 손님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시작되었다. 이후 가라오케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가족과 고령자를 중심으로 음주와 관계없이 가라오케를 즐기거나 노래 연습을 하려는 수요가 증가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1982년파이오니아에서 레이저 디스크를 사용한 최초의 업무용 레이저 가라오케가 등장했다.[12] LD 체인저를 채용하여 선곡 시 점원의 조작이 필요 없어졌고, 이는 가라오케 박스(노래방)의 기술적 가능성을 열었다.

당시 해상 수송 및 하역 관련 컨테이너 형태의 국제 표준화가 이루어지면서 유통의 변혁기를 맞았다. 국철민영화 과정에서 화물 수송 방식의 개혁으로 규격 외 국철 컨테이너나 중고 화차의 차체가 창고로 사용하기 쉬운 상태로 시장에 많이 유통되었고, 중고 해상 컨테이너를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배경도 있었다.

1984년 효고현 고베시 신카이치에 개점한 일본 최초의 가라오케 박스 "가라오케 컨테이너 BONBON"은 선박용 화물 컨테이너를 개조하여 설치한 것이었다. 당시 가라오케 박스는 중고 컨테이너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점포 설비도 간소했다. 당시에는 드문 일이라 간사이 지역 TV에서도 소개되었다.

1988년 서브컬처·유행 중 하나로 가라오케 박스가 소개되기도 했다.[13]

1990년대 이후에는 시가지 빌딩의 전부 또는 일부 층을 많은 개별 룸으로 구획한 것이 주류가 되었고, 점포 설비도 개선되었다. 1990년대 전반에는 버블 시대 디스코 붐의 영향으로 정교한 조명과 음향 설비가 설치된 점포도 늘었다.[12] 1992년에는 신곡을 빨리 부를 수 있는 통신 가라오케가 등장했다.[12] 고등학생 등 젊은 층부터 연령대가 높은 층까지 폭넓게 이용하면서 전국적인 붐을 일으켰다.[12]

2000년대 이후에는 혼자 가라오케를 즐기는 히토카라가 유행하면서 개인·소규모 이용의 니즈가 높아졌다. 이로 인해 객단가가 하락하고 저가 매장이 늘어, 많은 사람과 음식을 이용하는 것에 의존했던 점포는 불황을 겪었다. 이러한 니즈 변화는 업계 재편으로 이어졌다.

2010년대에는 가라오케 박스 업계에서 재편이 진행되었다. 제조사 계열에서는 제일흥상이 2014년 2월 시코쿠를 기반으로 하는 어드밴트와 골드를 완전 자회사로 하고, 2015년 4월에 제일흥상에 흡수 합병했다.[14] 2017년 6월에는 "가라오케 맥"을 운영하는 Airside를 완전 자회사로 했다.[15] 엑싱도 직영으로 운영하던 가라오케 박스 사업을 2011년 4월에 자회사인 스탠다드로 이관했다. 스탠다드는 2013년 11월에 "가라오케 메가톤"을 운영하던 미디어 크리에이트를 완전 자회사로 하고,[16][17] 2014년 4월에 흡수 합병했다.

비제조사 계열에서는 "가라오케의 철인"을 운영하는 철인화계획이 타 사업 실패로 재무 상황이 악화되어 2018년 5월에 제일흥상과 엑싱의 제3자 할당 증자를 받았다.[18] 한때 업계 1위였던 시다ックス・커뮤니티도 실적 악화로 2018년 6월에 시다ックス에서 "가라오케 칸"을 운영하는 B&V로 사업 양도되어 B&V의 연결 자회사가 되었다.[19][26] 2021년 5월에는 "가라오케 본점 마네키네코"를 운영하는 코시다카 홀딩스가 오쇼의 가라오케 사업을 인수했다.[20][21]

2020년 코로나19 유행으로 가라오케 수요가 감소한 반면, 밀실·방음성을 활용하여 재택근무, 악기 연습, 재봉 작업 등을 하는 장소로서의 수요가 늘었다.[22][23][24]

전국 가라오케 사업자 협회 조사에 따르면, 가라오케 박스는 2020년 9344개 점포, 2021년 8436개 점포이다.[25]

일본의 주요 노래방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브랜드운영 회사비고
빅 에코/가라오케 CLUB DAM/가라오케 바나나 클럽&빅 에코/뮤즈&빅 에코/해피 파티/크레용&빅 에코다이이치코쇼 그룹다이이치코쇼 직영 또는 FC 기업 운영
가라오케 맥Airside다이이치코쇼 그룹
JOYSOUND / U-STYLE / U-BOU / J-STYLE / 송 파크 / 메가톤 / 미스터 가라오케엑싱의 자회사 스탠다드
가라오케칸B&V 그룹B&V 직영
가라오케 혼포 마네키네코・우타운다무라・가라오케 판타지코시다카 홀딩스
가라오케 반반신 코퍼레이션
코트 다 쥐르쾌활 프론티어
점보 가라오케 히로바TOAI(쟝카라 그룹)홋카이도, 호쿠리쿠 지방, 주부 지방, 긴키 지방, 주고쿠 지방, 시코쿠 지방, 규슈 지방
노래 스테이지 19주니치 쥬크주부 지방, 2021년경 전 점포 폐점
우타히로바클리어스간토 지방
맛있는 음식 클럽주고쿠 지방
가라오케 시티 베어
가라오케 우타야(스릴러 가라오케, 감옥 가라오케, 가라오케 매쉬(karaoke mash))타카하시홋카이도
가라오케 쇼후쿠테이 MEGA 크레용도호쿠 지방, 일부 점포는 다이이치코쇼의 FC점 "크레용&빅 에코"로 운영
가라오케의 철인테츠진카케이간토 지방
가라오케 지유칸아톰도호쿠 지방
가라오케 마임주부, 도호쿠, 규슈 지방 등
가라오케 미키주부 지방
가라오케 레인보우코스모 코퍼레이션간토 지방, 긴키 지방
크로켓 클럽보나간토 지방, 긴키 지방, 규슈 지방 등
사운드 빌리지규슈 지방 등
사운드 파크규슈 지방 등
JOYJOY주부 지방 등
도누오스릴라풀가나가와현
파세라간토 지방
방갈로 하우스간토 지방
빌리 더 키드히로시마현
라운드원볼링
카이카츠 클럽카이카츠 프론티어복합 카페
캣츠아이, 레저스포타카하시 그룹의 호쿠토 상사홋카이도, 게임 센터
US.LANDUSMART대부분의 점포가 어린이 실내 놀이터 "Kid's US.LAND"로 전환. 노래방도 있음.
JJ CLUB 100넷 카페지만 "JJ 노래방"도 있었다. 2016년3월 31일에 전 점포 폐점.
재팬 렌터카주부 지방 등, 렌터카 점포에 병설


6. 3. 기타 국가

일본에서 시작된 문화로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는 노래방이나 이에 준하는 시설들이 존재하며, 각지에 다음과 같은 명칭으로 존재한다.

국가/지역명칭
일본, 홍콩가라오케 박스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가라오케 TV (KTV/Karaoke TV/卡拉OK TV)
필리핀비디오케(Videoke)
대한민국노래방 (노래房), 노래연습장 (노래練習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화면반주음악실 (畫面伴奏音樂室/Hwamyŏn panju eumaksil/Hwamyŏn panchu ŭmaksil)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가라오케 박스(KTV) 안에 캬바레, 섹시 펍 등과 유사한 유흥업소에 가까운 영업 형태의 가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매춘의 온상으로 경찰의 단속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7. 기타


  • 대한민국에서는 동전이나 지폐를 넣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노래방인 '''코인 노래방'''(혹은 동전 노래방)이 젊은 층들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다. 흔히 줄여서 '''코노'''라고 부른다.
  • KBS 2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해피투게더 - 전설의 조동아리》의 한 코너인 《내 노래를 불러줘》는 노래방을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 SBS의 〈도전 1000곡〉은 노래방을 소재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 TV조선의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는 미스터트롯 TOP7[33]이 출연하는 노래방 소재 예능 프로그램이다.
  • TV조선의 〈금요일은 밤이 좋아〉는 미스트롯 2 TOP7이 출연하는 노래방 소재 예능 프로그램이다.

참조

[1] 논문 Consuming Karaoke in China 2009-12-01
[2] 웹사이트 KARAOKE In A WHOLE NEW LEVEL https://8ktv.net/rat[...] 2020-03-02
[3] 서적 Karaoke Around the World Routledge 2020-04-03
[4] 웹사이트 Karaoke https://www.japan-gu[...] 2020-04-03
[5] 뉴스 Tokyo's Best Karaoke Is Karaoke Sung Alone https://www.thedaily[...] 2020-04-03
[6] 웹사이트 China's Newest Trend: mini karaoke booths at shopping malls https://www.scmp.com[...] 2020-03-02
[7] 웹사이트 China's newest trend: mini KTV booths at shopping malls https://www.scmp.com[...] 2020-03-02
[8] 뉴스 Japan's Karaoke Rooms Stop the Music for Business Meetings https://www.wsj.com/[...] 2020-04-03
[9] 논문 Assessment of Fire Hazard in Timber Karaoke Music Boxes With Real-Scale Burning Tests https://www.safetyli[...] 2003
[10] 논문 Numerical studies on evacuation design in a karaoke http://www.sciencedi[...] 2002-03-01
[11]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sundaytim[...]
[12] 웹사이트 カラオケ歴史年表 http://www.karaoke.o[...] 2020-06-11
[13] 서적 80年代アイドルcollection 別冊宝島
[14] 간행물 連結子会社の吸収合併(簡易合併・略式合併)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dkkaraoke[...] 第一興商 2015-02-06
[15] 간행물 株式会社Airsideの株式取得(子会社化)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dkkaraoke[...] 第一興商 2017-06-01
[16] 웹사이트 株式会社メディアクリエイト普通株式に対する公開買付けの開始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xing.co.j[...] 株式会社エクシング 2016-06-08
[17] 웹사이트 株式会社メディアクリエイト普通株式に対する公開買付けの結果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xing.co.j[...] 株式会社エクシング 2018-06-08
[18] 간행물 第三者割当による新株式発行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tetsujin.[...] 鉄人化計画 2018-04-16
[19] 간행물 資本業務提携締結及び子会社の異動(持分譲渡)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shidax.c[...] シダックス 2018-05-30
[20] 간행물 株式会社大庄のカラオケ事業の譲受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pdf.irpocket[...] コシダカホールディングス 2021-03-10
[21] 간행물 事業譲渡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daisyo.co[...] 大庄 2021-03-10
[22] 뉴스 1日たったの200円!?カラオケボックスに「テレワークの鉄人」が集まるワケ https://asagei.biz/e[...] Asagei Biz 2020-12-19
[23] 웹사이트 カラオケ行ったら「ミシン」が使える…ってなんで!? SNSで話題、異色のプランが生まれた理由 https://www.buzzfeed[...] 2022-05-01
[24] 웹사이트 「カラオケでミシン貸出」なぜ実現?大反響で期間延長、異色サービスの背景に「意外な歴史」 https://www.j-cast.c[...] 2022-05-01
[25] 뉴스 コロナで打撃、店舗1割弱減 カラオケ・居酒屋・ボウリング場…「維持できない」 https://www.asahi.co[...] 2021-12-06
[26] 웹사이트 シダックスがカラオケ事業をB&Vに売却、美味しい食事が仇に https://maonline.jp/[...] M&Aonline 2018-06-08
[27] 뉴스 禁!お持ち帰り、売春店を公安が徹底監視 http://beijing2008.n[...] 日刊スポーツ 2008-08-07
[28] 뉴스 上海市、売春などに関係するKTV娯楽施設の一斉取り締まり http://www2.explore.[...] エクスプロア上海 2010-08-21
[29] 웹사이트 http://www.nocutnews[...]
[30] 웹인용 음악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http://www.law.go.kr[...] 법제처 2013-09-26
[31] 웹인용 식품위생법 시행령 22조 http://www.law.go.kr[...] 법제처 2013-09-26
[32] 문서 JOYSOUND의 계열사이다.
[33] 문서 TOP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