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해아는 소설 《서유기》에 등장하는 요괴로, 우마왕과 철선공주의 아들이다. 삼장법사를 잡아먹어 불로장생하려 했으며, 손오공 일행과 대립했다. 삼매진화를 사용하여 손오공 일행을 위협했지만, 관세음보살에게 제압당해 불문에 귀의하여 선재동자가 되었다. 다른 매체에서는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일본 드라마에서는 어린아이로, SF 애니메이션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요괴 - 손오공
    손오공은 《서유기》의 주인공인 원숭이 요괴로, 미후왕에서 제천대성을 거쳐 투전승불이 되기까지 불경을 구하는 여정 속에서 성장하는 자아 성찰과 사회적 책임의 상징이며, 전 세계 대중문화에서 사랑받는 캐릭터이다.
  • 중국의 요괴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홍해아
개요
홍해아
홍해아
다른 이름선재동자(善財童子)
성별남성
등장 작품서유기
인물 정보
출신화염산
가족아버지: 우마왕
어머니: 철선공주
능력
삼매진화 (三昧眞火)코와 입에서 불을 뿜어 상대를 공격하는 기술
기타
특징붉은 갑옷을 입고 창을 사용하는 동자
교활하고 잔인한 성격
뛰어난 요술 실력

2. 《서유기》에서의 행적

베이징 이화원의 장랑에 있는 벽화로, ''서유기''의 한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홍해아는 우마왕과 나찰녀(철선공주)의 아들로, 삼장이 자신의 산에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납치하려 했다. 어린아이였지만, 맹렬하고 독립적인 성격으로 부모로부터 멀리 떨어진 땅에서 강력한 힘으로 하위 악마와 지역 신들을 다스렸다.[2] 삼장법사를 납치하여 아버지와 함께 그의 살을 먹고 수명을 연장하려고 했다.

삼장법사를 납치한 후, 손오공저팔계가 그를 구하러 오자 홍해아는 오행의 원리를 이용한 다섯 대의 수레를 이용해 삼매진화(三昧眞火)라는 강력한 불을 뿜어내며 공격했다.[5][6] 동해 용왕의 비로도 불을 끌 수 없게 되자, 손오공은 관세음보살에게 도움을 청했다. 관세음보살은 홍해아를 연화좌에 앉힌 뒤, 이를 칼로 변하게 하여 그를 사로잡았다. 이후 관세음보살은 홍해아에게 행동 규칙을 받아들이게 하고 머리를 삭발하게 한 뒤, '선재'(善財)라는 이름을 주고 제자로 삼았다.[17]

2. 1. 등장과 삼장법사 납치

고송간(枯松澗)이라는 계곡의 화운동(火雲洞)이라는 동굴에서 요괴 노릇을 하던 홍해아는 불로장생을 위해 삼장법사(三藏)를 납치했다.[2] 손오공(孫悟空)은 우마왕(牛魔王)과 5백 년 전 의형제를 맺은 사이임을 강조하며 삼장법사의 석방을 요구했지만, 홍해아는 이를 무시하고 손오공을 공격했다.[2]

저팔계(猪八戒)가 싸움에 가세하여 홍해아 측에 불리해지자 홍해아는 삼매진화(三昧眞火)를 써서 손오공 일행을 물리쳤다.[6] 손오공은 동해 용왕(東海龍王)에게 비를 내려달라고 요청했지만, 용왕의 비는 일반적인 불만 끌 수 있었고 홍해아의 불은 끌 수 없었다. 결국 손오공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8]

관세음보살은 홍해아를 연화대(蓮花臺) 위에 앉도록 유도한 뒤, 연화대를 천강도(天罡刀)로 바꾸어 홍해아의 다리를 찔러 붙잡았다.[16] 이후 관세음보살은 홍해아를 제자로 삼고 '''선재동자'''(善財童子)로 불렀다.[17]

오계국을 출발한 삼장 일행을 발견한 홍해아는 나무에 매달려 도움을 요청하며, 도적에게 습격당했다고 울며 호소했다. 손오공은 한눈에 요괴임을 간파했지만, 삼장법사는 함께 데려가라고 명령했다. 오공은 틈을 보아 요괴를 죽이려 했지만, 홍해아가 먼저 삼장을 납치해 날아가 버렸다.

토지신들에게 요괴의 정체를 들은 오공은 우마왕의 의형제임을 강조하며 저팔계와 함께 화운동으로 향한다. 하지만 홍해아는 오행을 본뜬 5대의 화차를 이끌고 나타나 삼매진화를 사용하여 두 사람을 쫓아냈다. 오공은 용왕들에게 부탁하여 물을 쏟게 했지만 전혀 효과가 없었고, 오히려 불에서 도망쳐 물에 뛰어들었다가 급격한 온도 차이로 가사 상태가 되었다. 팔계의 안마선법으로 정신을 차린 그는 우마왕으로 변장해 쳐들어가지만, 홍해아의 질문 공세에 생년월일을 대답하지 못하고 다시 도망치는 신세가 되었다.

오공이 관세음보살에게 힘을 빌리러 가자, 일부러 져서 자신의 곁으로 유인하라는 말을 듣는다. 홍해아는 오공을 쫓아 보타락산까지 오지만, 관음보살까지 도망가 버리자, 눈앞에 있는 연대에 장난으로 앉았다. 그러자 연대는 칼로 만들어진 단으로 변하고, 그 칼날은 홍해아의 양다리에 박혔다. 이것은 관음보살이 36개의 천강도를 사용하여 만든 함정이었다. 그는 머리, 양손, 양발에 금고를 채워 붙잡히고, 결국 불문에 귀의했다. 하지만, 이 일은 후에 우마왕과의 다툼으로 이어진다.

2. 2. 손오공과의 대결

손오공우마왕과 5백 년 전 의형제를 맺은 사이임을 강조하며 삼장법사의 석방을 요구했지만, 홍해아는 이를 무시하고 손오공을 공격했다.[2]

저팔계가 싸움에 합류하자 홍해아는 오행 순서대로 다섯 개의 수레를 동굴 밖으로 밀어내라고 명령하고,[5] 삼매진화(三昧眞火)를 써서 손오공 일행을 물리쳤다.[6] 손오공은 동해 용왕에게 비를 내려달라고 요청했지만, 용왕의 비는 일반적인 불만 끌 수 있었고 홍해아의 불은 끌 수 없었다.[8] 결국 손오공은 관세음보살의 도움을 요청했다.[8]

관세음보살은 홍해아가 연화좌 위에 앉도록 유도한 뒤 연화대를 천강도(天罡刀)로 바꾸어 홍해아의 다리를 찔러 붙잡았다.[16] 관세음보살은 홍해아에게 행동 규칙을 받아들이게 하고, 머리를 삭발하여 태산 삭발을 하게 한 뒤, '선재'(善財)라고 부르며 제자로 삼았다.[17]

2. 3. 관세음보살에게 항복

손오공관세음보살의 도움을 받기로 한다. 관세음보살은 홍해아의 공격을 보고 도망치는 척하며 홍해아가 연화대(蓮花臺) 위에 앉도록 유도한 뒤, 연화대를 천강도(天罡刀)로 바꾸어 홍해아의 다리를 찔러 붙잡았다.[22]

이후 관세음보살은 홍해아를 제자로 삼았으며, '''선재동자'''(善財童子)로 불렀다.[22]

3.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

원곡잡극 『잡극·양경현·서유기·제3본[21]』 제12절 귀모귀의에서는 홍해아는 귀자모신의 아들인 애노아의 별명으로 등장한다.

오타 다츠오의 『서유기 연구』(겐분 출판, 1984년)에서는, 『소석진공보권』・『박통사언해』에 보이는 원본 서유기에서 홍해아의 어머니가 지용부인으로 묘사되어 우마왕과 나찰녀의 아들이 아니라는 설을 주장했다.

일본에서 홍해아는 서유기를 원작으로 한 작품에서 생략되는 경우가 많아 인지도가 낮다. 일본 작품에서 홍해아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 니혼 TV 드라마 《서유기》: 어린아이 취급을 받으면 격노하며 요화 삼매진화를 사용하여 손오공 일행을 괴롭힌다.
  • 후지 TV 드라마 《서유기》: 우마왕과 나찰녀의 딸이라는 설정 없이 독립된 요괴로 등장하며, 시간을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다.
  • SF 애니메이션 《SF 서유기 스타징가》: '킹 기우마'(우마왕)와 '퀸 라세츠'(나찰녀)의 아들 '프린스 가이마'로 등장하지만, 부모의 사후에 등장하여 원작과 순서가 반대이다.
  • 애니메이션 《도라에몽》의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패러렐 서유기》: 린레이라는 이름으로, 정체를 숨기고 현장의 제자인 척하는 스파이로 등장한다. 개심한 후에는 현장에게 거두어져 정식 제자가 된다.
  • 만화 《최유기》: 요괴의 왕자로서 현장 일행의 라이벌로 등장한다.
  • 만화 《내 손오공》: 화염산 에피소드보다 늦게 등장하며, 손오공에게 패배하고 개심한 아버지도 어찌할 수 없는 '십대'로 묘사된다.

4. 평가 및 해석

원곡잡극 『잡극·양경현·서유기·제3본[21]』 제12절 귀모귀의에서는 홍해아를 귀자모신의 아들인 애노아의 별명으로 묘사하고 있다.

오타 다츠오의 『서유기 연구』(겐분 출판, 1984년)에서는 위 내용과 『소석진공보권』에 나타난 서유기 에피소드 중 "견요정 화귀괴"라는 구절을 근거로, 홍해아의 어머니가 『소석진공보권』・박통사언해에 등장하는 지용부인이며, 우마왕과 나찰녀의 아들이 아니라는 설을 주장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Journey to the West: Demon's Child https://www.imdb.com[...] 2021-10-24
[2]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Silk Pagoda
[3]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4]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5]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6]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7]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8]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9]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0]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1]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2]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3]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4]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5]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6]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7]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8]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19]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20] 서적 Journey to the West https://chine.in/fic[...] Silk Pagoda
[21] 웹사이트 雜劇·楊景賢·西遊記·第三本 http://www.xysa.com/[...] 2010-05-17
[22] 간행물 서유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