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령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령옹주는 조선 영조와 숙의 문씨의 딸로, 사도세자의 이복 여동생이다. 1764년 심능건과 결혼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며, 남편은 청성위에 봉해졌다. 정조 즉위 후 어머니 숙의 문씨가 사도세자 죽음에 연루된 사실이 밝혀져 작위를 박탈당했으나, 화령옹주는 정조의 배려로 작위를 유지했다. 1821년 6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순조는 장례를 치르도록 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완옹주
화완옹주는 영조의 딸이자 소론 가문 정치달의 부인으로,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사도세자와의 불화와 양자 정후겸의 정치 활동으로 정조 즉위 후 옹주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를 갔다가 사면 후 파주에서 생을 마감하며 영조, 사도세자, 정조 시대 정치적 갈등과 관련된 삶을 살았다. - 조선 영조의 자녀 - 화유옹주
영조와 귀인 풍양 조씨의 딸인 화유옹주는 1753년 황인점과 혼인 후 정조의 기림을 받았으며, 그녀와 황인점의 묘는 경기도 부천시에 있다. - 1821년 사망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 1821년 사망 - 존 키츠
존 키츠는 1795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가난한 환경 속에서 외과의사 견습생으로 일하다 시 창작에 몰두하여 "그리스의 옛 항아리에 대한 송가" 등의 명작을 남겼으나 25세에 결핵으로 요절했고 사후에 그 가치를 인정받아 영국 문학의 거장이 되었다. - 1753년 출생 -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요세프 도브로프스키는 헝가리 왕국 출신의 체코 문헌학자, 역사학자, 가톨릭 사제로, 체코어와 슬라브어 연구를 통해 체코 민족 부흥 운동에 기여했으며 특히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대한 연구로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 1753년 출생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화령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영조의 옹주 |
배우자 | 청성위 심능건 |
자녀 | 1남 2녀 |
아버지 | 영조 |
어머니 | 숙의 문씨 |
출생일 | 1753년 3월 2일 (음력) |
사망일 | 1821년 9월 3일 (음력) |
능묘 | 화령옹주묘 |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
신상 정보 | |
이름 | 화령옹주 |
한자 | 和寧翁主 |
가문 | |
출신 가문 | 전주 이씨 (출생) |
혼인 가문 | 청송 심씨 |
종교 | |
종교 | 한국 불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심능건, 청성위 (1764년 결혼 – 1817년 사망) |
자녀 | 심의장 |
아버지 | 영조 |
어머니 | 남평 문씨 숙의 |
2. 생애
영조와 숙의 문씨의 첫째딸로 1753년(영조 29년) 3월 2일에 태어났다.[4] 사도세자의 이복 여동생이었다.
1762년, 그녀의 어머니는 김상로와 함께 사도세자를 죽이는 데 공모한 공범 중 한 명이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 후궁의 이러한 면모를 알고 있었지만, 영조만이 이것을 알지 못하고 그녀를 처벌하지 못한 것을 슬퍼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숙의 문씨의 연루는 나중에 역효과를 낳았다.
1764년, 12세의 화령옹주는 13세의 심능건과 결혼하였다. 결혼식 이후, 심능건은 청성위에 봉해졌다.[5][6] 이 결혼으로 2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고, 아들 중 한 명은 어려서 사망했다.[7]
1776년, 정조가 즉위한 해에, 왕은 숙의 문씨가 자신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죽음에 연루된 사실을 알고 그녀의 작위를 박탈하고 궁궐에서 내쫓았다. 또한 왕은 숙의의 오빠인 문승국을 노비로 만들고, 그녀의 어머니를 제주도의 노비로 보냈다. 같은 해 음력 5월 13일, 문씨는 도시에서 쫓겨났고, 후궁의 지위에서 폐위되었다. 이 사건 이후, 관리들은 화령옹주와 화길옹주가 숙의 문씨의 딸이라는 이유로 두 옹주의 작위도 박탈하려 했다. 그러나 정조는 자신의 고모들이 어머니의 죄에 책임이 없다고 여겨, 이 문제에 대한 우려를 일축했다. 1776년 음력 8월 10일, 정조는 숙의를 감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781년, 화령옹주의 남편은 문씨가 살아있는 동안 그녀의 재산을 처분했다는 이유로 탄핵되어 곧 파면되었다.
화령옹주는 순조 21년인 1821년 음력 9월 3일에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순조는 그의 고모에 대한 장례를 치르도록 명령했고, 그녀는 서울 노원구에 묻혔다.[8]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영조와 숙의 문씨의 첫째딸로 1753년(영조 29년) 3월 2일에 태어났다.[4] 사도세자의 이복 여동생이었다.1764년, 12세의 화령옹주는 13세의 심능건과 결혼하였다. 결혼식 이후, 심능건은 청성위에 봉해졌다.[5][6] 이 결혼으로 2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고, 아들 중 한 명은 어려서 사망했다.[7]
1776년, 정조가 즉위한 해에, 왕은 숙의 문씨가 자신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죽음에 연루된 사실을 알고 그녀의 작위를 박탈하고 궁궐에서 내쫓았다. 또한 왕은 숙의의 오빠인 문승국을 노비로 만들고, 그녀의 어머니를 제주도의 노비로 보냈다. 같은 해 음력 5월 13일, 문씨는 도시에서 쫓겨났고, 후궁의 지위에서 폐위되었다. 이 사건 이후, 관리들은 화령옹주와 화길옹주가 숙의 문씨의 딸이라는 이유로 두 옹주의 작위도 박탈하려 했다. 그러나 정조는 자신의 고모들이 어머니의 죄에 책임이 없다고 여겨, 이 문제에 대한 우려를 일축했다. 1776년 음력 8월 10일, 정조는 숙의를 감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781년, 화령옹주의 남편은 문씨가 살아있는 동안 그녀의 재산을 처분했다는 이유로 탄핵되어 곧 파면되었다.
화령옹주는 순조 21년인 1821년 음력 9월 3일에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순조는 그의 고모에 대한 장례를 치르도록 명령했고, 그녀는 서울 노원구에 묻혔다.[8]
2. 2. 혼인
화령옹주는 1764년(영조 40년) 음력 10월 16일, 12세의 나이로 심정지의 아들 심능건과 혼인하였다.[9] 심능건은 이때 청성위에 봉해졌으며, 옹주와 심능건은 이 해 음력 12월 20일 가례를 치렀다.[10] 이 결혼으로 2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고, 아들 중 한 명은 어려서 사망했다.[7]한편 화령옹주의 생모 숙의 문씨는 정조 즉위 직후 사도세자를 무고한 것 등으로 인해 사사되었다. 그러나 문씨의 두 딸은 여러 대신들의 탄핵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비호 하에서 목숨을 건질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그 작위도 모두 삭탈되지 않았다.[11] 1781년(정조 5년) 음력 윤5월 25일에는 남편 심능건이 숙의 문씨의 생전 집을 멋대로 팔고 철거하는 바람에 삭직되었다가[12] 다시 복작되었다.
2. 3. 숙의 문씨의 죽음과 여파
정조 즉위 직후 화령옹주의 생모 숙의 문씨는 사도세자를 무고한 죄 등으로 사사되었다.[11] 1776년, 정조는 숙의 문씨가 자신의 아버지의 죽음에 연루된 사실을 알고 그녀의 작위를 박탈하고 궁궐에서 내쫓았다. 또한 왕은 숙의의 오빠인 문승국을 노비로 만들고, 그녀의 어머니를 제주도의 노비로 보냈다.[4] 같은 해 음력 5월 13일, 문씨는 도시에서 쫓겨났고, 후궁의 지위에서 폐위되었다. 음력 8월 10일, 정조는 숙의를 감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하지만 문씨의 두 딸 (화령옹주, 화길옹주)은 여러 대신들의 탄핵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비호 하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그 작위도 모두 삭탈되지 않았다.[11] 정조는 자신의 고모들이 어머니의 죄에 책임이 없다고 여겼다.
1781년(정조 5년) 음력 윤5월 25일에는 화령옹주의 남편 심능건이 숙의 문씨의 생전 집을 멋대로 팔고 철거하는 바람에 삭직되었다가[12] 이후 다시 복작되었다.
2. 4. 사망
화령옹주는 1821년(순조 21년) 음력 9월 3일 69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3][8] 순조는 옹주의 장례를 전례에 의하여 거행토록 하고, 장생전의 퇴판 1부를 보내주었다.[13] 옹주의 묘소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다.[14][8]3. 가족 관계
화령옹주는 청송 심씨 심능건과 혼인하였다. 심능건은 사은정사와 동지정사로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종척집사 등을 지낸 후 1817년(순조 17년) 음력 7월 7일에 죽었다.[15] 심능건에게는 아들이 둘 있었으나 한 명은 요절하였다.[16]
- '''아버지''' : 영조(1694 ~ 1776)
- '''어머니''' : 숙의 문씨(? ~ 1776)
- * 동생 : 화길옹주(1754 ~ 1772)
- 시아버지 : 심정지(1722 ~ 1791) - 삭녕군수 증 영의정[17]
- 시어머니 : 덕수 이씨 - 부사 이복해(李福海)의 딸
- * 남편 : 청성위(靑城尉) 심능건(1752 ~ 1817)[18]
- ** 양자 : 심의관(沈宜寬) - 포천현감[20][21]
- ** 장녀 : 이규신(李奎信)에게 하가[22]
외손자 : 도사(都事) 이민시(李敏時)
외손자 : 이민수(李敏樹)
외손녀 : 서경보(徐慶輔)의 처
외손녀 : 유양주(兪陽柱)의 처
외손녀 : 원석홍(元錫弘)의 처
외손녀 : 정윤수(鄭允秀)의 처
4. 화령옹주가 등장하는 작품
4. 1. 드라마
1998년 MBC 드라마 《대왕의 길》에서 박지미가 화령옹주 역을 연기하였다.참조
[1]
서적
https://books.google[...]
이페이지
2018-06-01
[2]
서적
https://books.google[...]
도서출판 선
2009-03-15
[3]
서적
https://books.google[...]
석천미디어
2002
[4]
서적
英祖大王
https://books.google[...]
한국학 중앙 연구원
2011
[5]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Record of Yeongjo, vol.104
[6]
서적
正宗大王實錄
https://books.google[...]
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
1991
[7]
서적
한중록 (한국고전문학전집 003)
https://books.google[...]
문학동네
2019-10-29
[8]
웹사이트
http://people.aks.ac[...]
2022-01-15
[9]
기사
조선왕조실록》영조 104권, 40년(1764 갑신 / 청 건륭 29년) 10월 16일(갑오) 1번째기사
[10]
기사
조선왕조실록》영조 104권, 40년(1764 갑신 / 청 건륭 29년) 12월 20일(정유) 3번째기사
[11]
기사
조선왕조실록》정조 1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 41년) 5월 14일(갑신) 1번째기사
[12]
기사
조선왕조실록》정조 11권, 5년(1781 신축 / 청 건륭 46년) 윤5월 25일(정묘) 1번째기사
[13]
기사
조선왕조실록》순조 24권, 21년(1821 신사 / 청 도광 1년) 9월 3일(경술) 4번째기사
[14]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화령옹주〉
http://people.aks.ac[...]
2012-08-10
[15]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심능건〉
https://terms.naver.[...]
[16]
문서
《청송심씨 대동보》
[17]
문서
《청송심씨 대동보》
[18]
문서
《청송심씨 대동보》
[19]
문서
《청송심씨 대동보》
[20]
웹사이트
순조실록 20권, 순조 17년 7월 7일 기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1]
문서
《청송심씨 대동보》
[22]
문서
《선원계보기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