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안 비센테 고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베네수엘라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1908년부터 1935년 사망할 때까지 베네수엘라를 통치했다. 타치라 주 출신으로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정부에서 부통령을 지냈으나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석유 발견 이후 외국 석유 회사에 특혜를 부여하여 경제적 안정을 이루었으나, 반대파를 탄압하고 개인 재산을 축적하여 "안데스의 폭군"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의 통치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현재 베네수엘라 정치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수엘라의 장군 -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레라스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레라스는 베네수엘라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35년부터 1941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며 권위주의적 조치와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다 1973년 사망했다. - 베네수엘라의 장군 - 후안 호세 플로레스
후안 호세 플로레스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군인으로, 에콰도르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독립 전쟁 참여 및 시몬 볼리바르의 군대에서 활약했고, 세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하다 반란으로 축출된 후 요독증으로 사망했다. - 베네수엘라의 부통령 - 니콜라스 마두로
니콜라스 마두로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으로, 버스 운전사 및 노동조합 활동가 출신으로 우고 차베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2013년부터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있으며 부정 선거 논란과 경제 위기 심화,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고 있다. - 베네수엘라의 부통령 - 호르헤 아레아사
호르헤 아레아사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 외교관, 언론인으로,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하고 우고 차베스의 사위이며, 과학기술부 장관, 부통령, 외무부 장관 등 니콜라스 마두로 정권 하에서 여러 고위직을 역임하여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르기도 했다. - 타치라주 출신 - 후안 빈센테 페레스
후안 빈센테 페레스는 1909년 베네수엘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할 때까지 세계 최고령 남성이자 기네스 세계 기록 등재자이며, 1900년대 출생 마지막 남성이었다. - 타치라주 출신 -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으로 민주행동당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석유 국유화 정책 추진과 경제적 호황을 누렸으나, 긴축 정책으로 인한 폭동과 공금 횡령 혐의로 탄핵당하는 정치적 위기를 겪었다.
후안 비센테 고메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후안 비센테 고메스 |
출생일 | 1857년 7월 24일 |
출생지 | 타치라 주 라 뮬레라 농장, 베네수엘라 |
사망일 | 1935년 12월 17일 |
사망지 | 아라과 주 마라카이, 베네수엘라 |
자녀 | 호세 비센테 호세파 알리 플로르 데 마리아 그라시엘라 세르빌리아 곤살로 후안 비센테 플로렌시오 로사 아멜리아 에르메네힐다 크리스티나 벨렌 베르타 마누엘 안토니오 후안 크리소스토모 고메스 |
친척 | 후안 크리소스토모 고메스 (형제) 에우스타키오 고메스 (사촌) |
정치 경력 | |
직위 | 베네수엘라 대통령 |
임기 시작 | 1908년 12월 19일 |
임기 종료 | 1913년 8월 13일 |
이전 대통령 |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
다음 대통령 | 호세 길 포르투올 |
임기 시작 2 | 1922년 6월 24일 |
임기 종료 2 | 1929년 5월 30일 |
이전 대통령 2 | 빅토리노 마르케스 부스티요스 |
다음 대통령 2 | 후안 바우티스타 페레스 |
임기 시작 3 | 1931년 6월 13일 |
임기 종료 3 | 1935년 12월 17일 |
이전 대통령 3 | 후안 바우티스타 페레스 |
다음 대통령 3 |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레라스 |
![]() |
2. 초기 생애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안데스 산맥의 타치라 주 출신으로, 목동에서 목장주가 되었다.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아래에서 중앙 정부에 들어갔다. 이후 부통령이 되었으나 카스트로와 사이가 나빠졌고, 카스트로가 부재중인 틈을 타 쿠데타를 일으켜 1908년에 정권을 장악했다.
2. 1. 출생과 가문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안데스 산맥의 타치라 주 라 물레라의 유력한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3] 그는 페드로 코르넬리오 고메스와 에르메네길다 차콘 알라르콘의 장남이었다.[4]2. 2. 군 입대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라 물레라에 살던 안데스 산맥의 유력한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3] 그는 페드로 코르넬리오 고메스와 에르메네길다 차콘 알라르콘의 장남이었다.[4] 1899년, 콜롬비아로 망명했던 친구 키프리아노 카스트로의 사병에 합류했다. 이 군대는 1899년 카라카스를 휩쓸고 국가를 장악했다. 고메스는 카스트로의 부통령이 되었고, 1902년에는 군 사령관이 되어 1903년 7월 21일 시우다드 볼리바르 전투에서 정부에 대항하는 여러 주요 반란을 진압했다.2. 3. 카스트로 정부
키프리아노 카스트로가 콜롬비아로 망명한 이후, 고메스는 그의 사병에 합류했다. 이 군대는 1899년 카라카스를 휩쓸고 국가를 장악했다.[3] 고메스는 카스트로의 부통령이 되었고, 1902년에는 군 사령관이 되어 1903년 7월 21일 시우다드 볼리바르 전투에서 정부에 대항하는 여러 주요 반란을 진압했다. 이후 카스트로가 치료를 위해 유럽에 간 사이, 고메스는 1908년 12월 19일 쿠데타를 통해 카스트로로부터 권력을 빼앗았다.[4]3. 대통령 재임 (1908년 ~ 1935년)
고메스는 1908년부터 1935년 사망할 때까지 베네수엘라를 통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베네수엘라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기록된다.
고메스는 마라카이보 호에서 석유가 발견된 후 외국 석유 회사에 특혜를 부여하여 베네수엘라의 부채를 줄이고 경제적 안정을 가져왔다.[1] 이 자금으로 공공 사업을 추진했지만, 개인적인 축재도 병행했다.[1] 국회는 그에게 '엘 베네메리토'(El Benemérito, "공훈자")라는 칭호를 부여했지만, 반대파들은 그를 '엘 바그레'(El Bagre, "메기") 또는 "안데스의 폭군"이라고 불렀다.[1]
그는 임기 동안 여러 차례 대통령직을 사임하거나 거부했지만, 실제로는 계속해서 권력을 행사했다.[1] 1931년 국회는 후안 바우티스타 페레스를 사임시키고 고메스를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했으며, 고메스는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다.[1]
3. 1. 권력 장악


고메스는 대통령으로서 1918년 마라카이보 호수에서 석유가 발견된 후 외국 석유 회사에 특혜를 부여하여 베네수엘라의 엄청난 부채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는 그에게 미국과 유럽의 지지를 얻게 해주었고, 경제적 안정도 가져다주었다. 그는 이 자금을 광범위한 공공 사업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데 사용했지만, 동시에 상당한 리베이트를 받아 개인적인 재산을 엄청나게 늘렸다. 그의 국가 발전에 대한 기여로 인해 국회는 그에게 ''엘 베네메리토''(El Benemérito, "공훈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반면에 그의 가혹한 국내 전술을 경멸하는 그의 반대자들은 그를 ''엘 바그레''(El Bagre, "메기")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의 덥수룩한 콧수염과 외모를 비꼬는 말이었다. 그들은 또한 그를 "안데스 산맥의 폭군"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타치라 주 산악 지역 출신이라는 점을 언급한 것이다.[1]
고메스는 임기 마지막 해를 군사 작전에 보냈고, 호세 길 포르톨이 사실상 대통령 대행을 맡았다. 고메스는 1914년에 재선되었지만 취임을 거부했고, 빅토리노 마르케스 부스틸로스가 그를 대신하여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메스가 실질적인 권력을 계속 행사하고 있었던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는 마라카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국가를 통치했다. 그는 1922년에 다시 집권하여 1929년 4월 22일까지 통치했다. 그는 국회에서 재선되었지만 수도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했고, 후안 바우티스타 페레스가 대통령직을 맡았지만, 고메스는 국가의 최종 권력자로 남았다. 1931년 6월 13일, 국회는 페레스를 사임하도록 강요했고, 다시 고메스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이번에는 그는 다시 집무를 시작하여 사망할 때까지 국가를 통치했다.[1]
안데스 산맥의 타치라 주 출신인 그는 목동에서 목장주가 되어,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아래에서 중앙 정부에 들어갔다. 부통령으로 임명되었지만 사이가 나빠졌기 때문에 카스트로 부재를 틈타 쿠데타를 일으켜 1908년에 정권을 장악하여 대통령에 취임했다.[1]
그 후 27년 동안 군사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무역 자유화와 외자 우대 정책을 취하여 자국의 유전 개발을 추진했다. 1918년에 마라카이보 호에서 유전이 발견되면서 베네수엘라는 산유국이 되었고, 그 막대한 수입으로 최신 장비를 갖춘 군대를 손에 넣어 각 지방의 카우디요를 약화시켰다. 또한 반대파를 철저하게 탄압하여 "안데스의 폭군"이라고 불렸다.[1]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그가 구축한 견고한 체제는 1929년의 대공황도 극복하고, 마지막까지 권력을 유지하다가 1935년에 사망했다.[1]
3. 2. 경제 정책과 석유 발견
고메스는 대통령으로서 1918년 마라카이보 호수에서 석유가 발견된 후 외국 석유 회사에 특혜를 부여하여 베네수엘라의 엄청난 부채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1] 이는 그에게 미국과 유럽의 지지를 얻게 해주었고, 경제적 안정도 가져다주었다.[1] 그는 이 자금을 광범위한 공공 사업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데 사용했지만, 또한 상당한 리베이트를 받아 개인적인 재산을 엄청나게 늘렸다.[1]이후 27년 동안 군사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무역 자유화와 외자 우대 정책을 취하여 자국의 유전 개발을 추진했다.[2] 1918년에 마라카이보 호에서 유전이 발견되면서 베네수엘라는 산유국이 되었고, 그 막대한 수입으로 최신 장비를 갖춘 군대를 손에 넣어 각 지방의 카우디요를 약화시켰다.[2]
3. 3. 공공 사업과 개인 축재
고메스는 대통령 재임 시절, 1918년 마라카이보 호수에서 석유가 발견되자 외국 석유 회사에 특혜를 부여하여 베네수엘라의 막대한 부채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는 미국과 유럽의 지지를 얻고 경제적 안정을 가져다주었다. 그는 이 자금을 광범위한 공공 사업 프로그램에 투입하는 한편, 상당한 리베이트를 통해 개인 재산을 크게 늘렸다.[1] 이러한 국가 발전에 대한 공로로 국회는 그에게 ''엘 베네메리토''(El Benemérito, "공훈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다.[1]3. 4. 엘 베네메리토와 엘 바그레
고메스는 대통령으로서 1918년 마라카이보 호수에서 석유가 발견된 후 외국 석유 회사에 특혜를 부여하여 베네수엘라의 엄청난 부채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는 그에게 미국과 유럽의 지지를 얻게 해주었고, 경제적 안정도 가져다주었다. 그는 이 자금을 광범위한 공공 사업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데 사용했지만, 상당한 리베이트를 받아 개인적인 재산을 엄청나게 늘렸다. 그의 국가 발전에 대한 기여로 인해 국회는 그에게 ''엘 베네메리토''(El Benemérito, "공훈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다.[1] 반면에 그의 가혹한 국내 전술을 경멸하는 반대자들은 그를 ''엘 바그레''(El Bagre, "메기")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의 덥수룩한 콧수염과 외모를 비꼬는 말이었다.[1] 그들은 또한 그를 "안데스 산맥의 폭군"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타치라 주 산악 지역 출신이라는 점을 언급한 것이다.[1]
3. 5. 권력 유지와 재집권
고메스는 대통령으로서 1918년 마라카이보 호수에서 석유가 발견된 후 외국 석유 회사에 특혜를 부여하여 베네수엘라의 엄청난 부채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1] 이는 그에게 미국과 유럽의 지지를 얻게 해주었고, 경제적 안정도 가져다주었다. 그는 이 자금을 광범위한 공공 사업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데 사용했지만, 또한 상당한 리베이트를 받아 개인적인 재산을 엄청나게 늘렸다.[1] 그의 국가 발전에 대한 기여로 인해 국회는 그에게 ''엘 베네메리토''(El Benemérito, "공훈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다.[1] 반면에 그의 가혹한 국내 전술을 경멸하는 그의 반대자들은 그를 ''엘 바그레''(El Bagre, "메기")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의 덥수룩한 콧수염과 외모를 비꼬는 말이었다.[1] 그들은 또한 그를 "안데스 산맥의 폭군"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타치라 주 산악 지역 출신이라는 점을 언급한 것이다.[1]고메스는 임기 마지막 해를 군사 작전에 보냈고, 호세 길 포르톨이 사실상 대통령 대행을 맡았다.[1] 고메스는 1914년에 재선되었지만 취임을 거부했고, 빅토리노 마르케스 부스틸로스가 그를 대신하여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메스가 실질적인 권력을 계속 행사하고 있었던 것으로 이해되었다.[1] 그는 마라카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국가를 통치했다.[1] 그는 1922년에 다시 집권하여 1929년 4월 22일까지 통치했다.[1] 그는 국회에서 재선되었지만 수도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했고, 후안 바우티스타 페레스가 대통령직을 맡았지만, 고메스는 국가의 최종 권력자로 남았다.[1] 1931년 6월 13일, 국회는 페레스를 사임하도록 강요했고, 다시 고메스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1] 이번에는 그는 다시 집무를 시작하여 사망할 때까지 국가를 통치했다.[1]
4. 정치적 반대파 탄압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반대파를 철저하게 탄압하여 "안데스의 폭군"이라고 불렸다.
4. 1. 1928년 세대
1928년 세대는 1928년 수도 카라카스에서 고메스에 대항하는 시위를 주도한 학생 단체였다. 구성원으로는 로물로 베탕쿠르, 호비토 비야르바, 호아킨 가발돈 마르케스, 후안 오로페사, 라울 레오니, 안드레스 엘로이 블랑코, 미겔 오테로 실바, 페드로 소티요, 이사크 J. 파르도, 후안 바우티스타 푸엔마요르, 헤르만 수아레스 플라메리치, 구스타보 마차도 등이 있었다.4. 2. 비밀경찰과 억압 통치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안데스 산맥의 타치라 주 출신으로, 목동에서 목장주가 된 후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정부에 참여했다. 부통령으로 임명되었으나 카스트로와의 불화로 인해, 카스트로가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쿠데타를 일으켜 1908년에 정권을 잡았다.고메스는 27년간 군사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무역 자유화와 외국 자본 우대 정책을 통해 자국의 유전 개발을 추진했다. 1918년 마라카이보 호에서 유전이 발견되면서 베네수엘라는 산유국이 되었고, 고메스는 막대한 석유 수입으로 최신 장비를 갖춘 군대를 확보하여 각 지방의 카우디요 세력을 약화시켰다. 또한 반대파를 철저하게 탄압하여 "안데스의 폭군"으로 불렸다.
1929년 대공황에도 불구하고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구축한 견고한 체제를 유지하며 권력을 지켰고, 1935년에 사망했다.
5. 개인사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안데스 산맥의 타치라 주 출신으로, 목동에서 목장주를 거쳐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정부에서 경력을 쌓았다. 부통령이었으나 카스트로와 사이가 나빠져, 그가 বিদেশ에 간 틈을 타 쿠데타를 일으켜 1908년 대통령이 되었다.
이후 27년간 군사 독재를 펼치며 무역 자유화와 외국 자본 우대 정책으로 유전 개발을 추진했다. 1918년 마라카이보 호에서 유전이 발견되자 베네수엘라는 산유국이 되었고, 막대한 석유 수입으로 최신 군대를 갖춰 지방 카우디요들을 약화시켰다. 반대파를 철저히 탄압해 '안데스의 폭군'으로 불렸다.
1929년 대공황에도 석유 수입으로 견고한 체제를 유지하며 권력을 지키다 1935년 사망했다.
5. 1. 가족 관계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결혼하지 않았지만, 두 명의 정부가 있었다.[4] 첫 번째 정부는 디오니시아 고메스 벨로로, 그녀와의 사이에서 호세 비센테, 호세파, 알리, 플로르 데 마리아, 그라시엘라, 세르빌리아, 곤살로 등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 두 번째 정부는 돌로레스 아멜리아 누녜스 리나레스 데 카세레스였으며, 그녀와의 사이에서는 후안 비센테, 플로렌시오, 로사 아멜리아, 에르메네길다, 크리스티나, 벨렌, 베르타, 마누엘 안토니오, 후안 크리소스토모 고메스 등 아홉 명의 자녀를 두었다.[4] 고메스는 이 외에도 짧은 관계를 통해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그 수는 최소 64명에서 최대 99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많은 자녀를 공직에 임명하여 족벌주의라는 비난을 받았다.5. 2. 개인적 성향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결혼하지 않았지만, 두 명의 정부가 있었다. 첫 번째 정부는 디오니시아 고메스 벨로였으며, 그녀와의 사이에서 호세 비센테, 호세파, 알리, 플로르 데 마리아, 그라시엘라, 세르빌리아, 곤살로 등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 두 번째 정부는 돌로레스 아멜리아 누녜스 리나레스 데 카세레스였으며, 그녀와의 사이에서 후안 비센테, 플로렌시오, 로사 아멜리아, 에르메네길다, 크리스티나, 벨렌, 베르타, 마누엘 안토니오, 후안 크리소스토모 고메스 등 아홉 명의 자녀를 두었다.[4] 고메스는 이 외에도 짧은 관계를 통해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그 수는 최소 64명에서 최대 99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많은 자녀를 공직에 임명하여 족벌주의라는 비난을 받았다.고메스는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5]
6. 유산과 평가
후안 비센테 고메스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며, 그의 통치 시기는 베네수엘라 역사에서 논란의 대상이다.
고메스는 안데스 산맥의 타치라 주 출신으로, 목동에서 목장주가 된 후 시프리아노 카스트로 정부에 참여했다. 부통령을 지냈으나 카스트로와 사이가 나빠져 쿠데타로 1908년 정권을 잡았다. 이후 27년간 군사 독재 체제를 구축, 무역 자유화와 외자 우대 정책으로 유전 개발을 추진했다. 1918년 마라카이보 호에서 유전이 발견되면서 베네수엘라는 산유국이 되었고, 막대한 수입으로 군대를 강화하여 지방 카우디요를 약화시켰다. 반대파를 철저히 탄압하여 "안데스의 폭군"으로 불렸다.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구축한 견고한 체제는 1929년 대공황도 극복하고, 1935년 사망할 때까지 권력을 유지했다.
존 건더는 고메스를 "살인적인 악당"으로 묘사하며, 그의 잔혹한 통치를 비판했다. 수천 명의 정치범들이 끔찍한 고문을 당했으며, 고메스는 반대자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했다.[10]
6. 1. 긍정적 유산
고메스의 통치 시기는 베네수엘라 역사에서 논란이 많은 시기였다. 그의 지도력은 특히 석유 발견 이후 국가에 부를 가져왔고, 이는 현대적인 인프라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6] 그는 도로 건설을 통해 인구 이동을 촉진하고, 다양한 지역의 베네수엘라인 간의 사회적 접촉을 늘려 국가의 단결심을 영구적으로 뿌리내리게 했다.[6] 또한, 지역 카우디요(caudillos)에 대한 권력을 강화하여 내전을 종식시키고 정치적 반란을 종식시켜, 베네수엘라는 수십 년 동안 평화로운 국가가 되었다.[6]아이러니하게도, 카우디요 문제를 제거하고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레라스를 그의 마지막 전쟁 및 해군 장관으로 선택한 것은 현대 민주주의의 출현을 위한 길을 열었다. (1928년 세대 참조) 그는 잉여 준비금을 사용하여 모든 외국 및 국내 부채를 상환했다. 그의 재정적 보수주의는 1929년 대공황을 겪는 데 도움이 되었고, 볼리바르의 가치를 경화가 될 정도로 증가시켰다.[6]
마라카이보 호 근처에서 석유가 발견된 후, 고메스는 미국, 영국, 네덜란드의 석유 회사와 베네수엘라를 위해 신중하게 거래했다. 그는 해외 국가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모든 해외 부채를 털어낼 수 있었다. 그는 지역의 카우디요("보스")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고, 많은 공공 사업 프로그램을 시작했다.[8] 독실한 반공주의자인 고메스는 공산주의와 노동 조합을 모두 정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억압했다.[9]
후안 비센테 고메스 국제공항은 1993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2. 부정적 유산
고메스의 통치는 베네수엘라 역사에서 논란이 많은 시기였다. 그는 석유 발견으로 국가에 부를 가져왔고, 현대적인 인프라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6] 도로 건설과 석유 산업 일자리 창출로 인구 이동을 촉진하고, 다양한 지역 주민들 간의 사회적 접촉을 늘려 국가 통합에 기여했다.[6] 그는 지역 카우디요(caudillos)에 대한 권력을 강화하여 내전을 종식시키고 정치적 반란을 억눌러, 베네수엘라가 수십 년 동안 평화를 유지하게 했다.[6]그러나 그는 일부 사람들에게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 지배의 대표적인 예로 여겨진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국가의 부는 대부분 고메스와 그의 측근, 그리고 월 스트리트의 손에 들어갔다.[7] 그가 사망했을 때, 그는 베네수엘라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었다. 그는 민주주의를 희생하여 평화와 번영을 가져왔다. 기본적인 시민의 자유를 경멸했고, 비밀 경찰을 광범위하게 운영했다. 공교육에 거의 투자하지 않았으며, "무지한 사람들은 순종적인 사람들"이라고 믿었다. 그의 비밀 경찰은 반대자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여 폭군이라는 평판을 얻었으며, 국가를 자신의 개인적인 봉토로 만들려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10]
전 베네수엘라 대통령 로물로 베탕쿠르는 그의 저서 ''베네수엘라: 석유와 정치''에서 고메스를 베네수엘라 경제에 대한 외국 통제의 도구이자, 강력한 외부 이해관계의 동맹이자 하인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로열 더치 셸과 스탠다드 오일이 국가의 유전 탐사 권리에 대한 대가로 독재자를 달랜 것을 의미한다.
베네수엘라 정치에서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정치적 인내와 함께,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와 더불어 우익 카우디요 정신을 상징하게 되었다.
6. 3. 베네수엘라 정치에서의 상징성
베네수엘라에서 고메스의 통치는 논란이 많은 시기였다. 그의 지도력은 특히 석유 발견 이후 국가에 부를 가져왔고, 이는 현대적인 인프라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 그는 도로 건설을 고집하고 당시 새로운 석유 산업에서 일자리를 창출하여 인구 이동을 촉진, 이전에는 드물었던 다양한 지역의 베네수엘라인 간의 사회적 접촉을 더 빈번하게 만들어 국가의 단결심을 영구적으로 뿌리내리게 했다.[6] 그는 지역의 카우디요(caudillos)에 대한 권력을 행사하여 자신의 권력을 강화함으로써 내전을 종식시키고 정치적 반란을 종식시켰다. 그 결과 베네수엘라는 수십 년 동안 평화로운 국가가 되었다.[6] 아이러니하게도, 카우디요 문제를 제거하고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레라스를 그의 마지막 전쟁 및 해군 장관으로 선택한 것은 현대 민주주의의 출현을 위한 길을 열었다. 1928년 세대 참조. 그는 잉여 준비금을 사용하여 모든 외국 및 국내 부채를 상환했다. 그의 재정적 보수주의는 1929년 대공황을 겪는 데 도움이 되었고, 볼리바르의 가치를 경화가 될 정도로 증가시켰다.[6]반면에, 그는 일부 사람들에게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 지배의 두드러진 예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국가의 부의 대부분은 고메스와 그의 측근의 손에 들어갔고, Woddis에 따르면 월 스트리트의 손에 들어갔다.[7] 실제로, 그가 사망했을 때 그는 단연코 그 나라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었다. 그는 대부분의 생존한 베네수엘라인들이 알고 있던 것보다 더 많은 평화와 번영을 가져왔지만, 그것은 민주주의를 희생한 대가였다. 그는 기본적인 시민의 자유를 경멸했고, 그의 비밀 경찰은 어디에나 있었다. 그는 또한 공교육을 위해 거의 하지 않았다. 그의 태도와 연설은 정중하고 단순했지만, 그의 비밀 경찰을 통한 반대자들의 무자비한 탄압은 그에게 폭군의 평판을 안겨주었다. 그는 또한 그 나라를 자신의 개인적인 봉토로 만들려고 시도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존 건더는 고메스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메기는, 사실을 간과하지 말자면, 살인적인 악당이었다. 그는 상상할 수 없는 잔혹 행위를 사용했다. 수천 명에 달하는 정치범들은 다리가 묶인 족쇄(grillos)를 차고 질질 끌려 다녔으며, 죽을 때까지 거꾸로 매달렸다(고환에 묶여). 다른 사람들은 문자 그대로 인간의 점액이 되었다. 고메스는 매 10명 중 한 명을 제비 뽑기로 선택하여 '목구멍에 고기 갈고리를 걸어' 매달 수 있었다."[10]
전 베네수엘라 대통령 로물로 베탕쿠르는 그의 저서 ''베네수엘라: 석유와 정치''에서 "(...) 고메스는 지역 폭군 이상이었으며, 베네수엘라 경제에 대한 외국 통제의 도구였고, 강력한 외부 이해관계의 동맹이자 하인이었다"고 말했다. 이것은 로열 더치 셸과 스탠다드 오일이 국가의 유전 탐사 권리에 대한 대가로 독재자를 달랜 것을 의미한다.
베네수엘라 정치에서 후안 비센테 고메스는 정치적 인내와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와 함께 우익 카우디요 정신을 상징하게 되었다. 고메스는 자신의 정치적 업적을 달성하려면 평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한다.
후안 비센테 고메스 국제공항은 1993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영예
- Orden del Libertadores[1]
- Orden Francisco de Mirandaes[2]
- 보야카 훈장[3]
- 교황 비오 9세 훈장[4]
- 레오폴드 훈장 (벨기에)[5]
- 카를로스 3세 훈장[6]
7. 1. 명명
마라카이 항공 박물관에는 후안 비센테 고메스의 동상이 있다. 베네수엘라의 후안 비센테 고메스 국제공항은 1993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7. 2. 훈장
참조
[1]
논문
Executive Power in Venezuela
https://www.cambridg[...]
1956
[2]
웹사이트
Sin institucionalidad militar
https://www.eluniver[...]
2009-09-06
[3]
웹사이트
Juan Vicente Gómez
http://www.biografia[...]
Biografia y Vidas
2014-05-03
[4]
웹사이트
Family tree... Dispersed: Juan Vicente Gomez: A Monster, A Saint or Just a Human being
http://familytree-di[...]
2010-09-27
[5]
서적
Inside Latin America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941
[6]
서적
Gómez, El Tirano Liberal
Alfadil Ediciones
2007
[7]
서적
An Introduction to Neocolonialism
Lawrance & Wichart
1967
[8]
웹사이트
Juan Vicente Gómez {{!}} Venezuelan dictato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1-12
[9]
문서
A Halo for Gomez
1954
[10]
서적
Inside Latin America
19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