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훈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등은 훈장의 등급을 의미하며, 일본에서 훈장 수여와 관련된 제도를 나타낸다. 고대 일본에서는 무공에 따라 훈위가 주어졌으나, 헤이안 시대에 훈위가 소멸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훈등과 훈장 제도가 도입되었고, 훈등에 서임된 후 훈장이 수여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훈장 제도가 일시 중단되었다가 부활했으며, 현재 훈등을 사칭하는 행위는 경범죄로 처벌받는다. 훈등은 2003년 제도 개정 이후 6개의 급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훈장 - 욱일대수장
    욱일대수장은 1875년에 제정된 일본의 훈장으로, 욱일장의 최상위 훈장이며, 국가나 공공에 기여한 내각총리대신,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 고위 관직 경험자, 여성, 외국인에게 수여한다.
  • 일본의 훈장 - 훈1등 욱일대수장
    훈1등 욱일대수장은 일본의 훈장인 욱일장의 최고 등급으로, 국가나 사회에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되며, 금색 무궁화 잎과 붉은색 유리알, 금색 태양 문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욱일기 및 욱일장 자체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 일본의 율령제 - 다자이후
    다자이후는 고대 일본 규슈의 중앙 정부 기관이자 관할 지역 명칭으로, 한반도 교류 거점, 쓰쿠시다자이로서 규슈 통치 및 외교 담당, 당나라 침략 대비 방어 시설 건설, 율령제 이후 규슈 중심지 기능 유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좌천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역사 유적과 다자이후 덴만구가 위치한 곳이다.
  • 일본의 율령제 - 승전
    승전은 9세기 초 일본에서 천황 측근을 선발하여 조정 질서를 유지하는 제도로, 율령제 관위와 별도로 운영되었으며 시대 변화에 따라 그 의미와 역할이 변화했다.
훈등
훈등
종류훈장
수여 대상개인의 공적
법적 근거훈장 및 포장에 관한 법률
훈장 등 제식 조례
상위 훈등없음
하위 훈등정8위
개요
설명훈등(勲等, 문화어: 훈계)은 일본국 정부가 일본인과 외국인에게 수여하는 영전의 하나인 훈장의 등급이다. 위계와는 다르다.
역사1875년 4월에 제정된 태정관 포고 제55호에 의해, 훈일등부터 훈팔등까지의 8등급이 설치되었다.
2003년의 훈장 및 포장에 관한 법률 (이하, 훈장포장법) 제정 시, 훈등이라는 용어가 법률상 명확히 정의되었다. 훈장포장법에서는 훈장을 '훈공의 내용에 따라 수여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종류로서 대훈위국화장, 욱일장, 서보장, 보관장 및 문화훈장을 규정하고 있다.
훈등과 훈장의 관계
설명훈등은 훈장의 종류에 따라 수여되는 기준이 다르다. 예를 들어, 욱일장의 경우 훈일등부터 훈팔등까지 존재하지만, 서보장의 경우 훈일등부터 훈육등까지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보관장에는 훈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훈등의 종류
훈일등 (勲一等)훈장의 종류: 욱일대수장, 서보대수장
훈이등 (勲二等)훈장의 종류: 욱일중광장, 서보중광장
훈삼등 (勲三等)훈장의 종류: 욱일중수장, 서보장경
훈사등 (勲四等)훈장의 종류: 욱일소수장, 서보소수장
훈오등 (勲五等)훈장의 종류: 쌍광욱일장, 서보쌍광장
훈육등 (勲六等)훈장의 종류: 단광욱일장, 서보단광장
훈칠등 (勲七等)훈장의 종류: 욱일장, 없음 (폐지)
훈팔등 (勲八等)훈장의 종류: 욱일장, 없음 (폐지)

2. 역사

훈위 제도는 고대 일본에서 무공에 대한 포상으로 시작되었으나, 헤이안 시대 이후 유명무실해졌다.[1] 메이지 시대에 들어 훈장과 함께 훈등 제도가 도입되면서 근대적인 영전 체계가 확립되었다.[1]

2. 1. 고대 - 중세

훈위는 무공에 의해 주어지는 정3위에서 종8위까지의 위계에 해당했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다.[1] 훈위를 받은 이들은 관직 임명에 있어 약간 유리할 정도의 장점만 있었고, 실질적인 권한은 제한적이었다. 훈7등 이하로 위계가 없는 자는 서민이라도 임명 가능한 말단 관직(목장, 봉장, 주정, 주장, 대의, 소의)에만 취임할 수 있었다.[1]

헤이안 시대에 들어서면서 무공에 대한 포상으로 훈위 대신 외위(外位)를 주는 경향이 강해졌고, 10세기에는 훈위가 사실상 소멸되었다.[1]

2. 2. 근대 - 현대

메이지 시대 1875년(메이지 8년) 태정관포고에 따라 훈등과 상패(이듬해 훈장으로 개칭) 제도가 마련되었고, 훈1등부터 훈8등까지의 훈등이 훈장의 등급으로 제정되었다.[1] 1876년 조서에 따라 최상위 훈등인 대훈위가 제정되었다. 훈장 수여 시에는 먼저 해당 훈등에 서임(서훈)하고, 그 훈등에 해당하는 훈장을 수여하는 방식(수장)을 채택했다.[1]

1890년 금치훈장 제정으로 훈등 외에 군인에게 수여하는 '공급'이라는 등급이 신설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금치훈장이 폐지되고, 일반 서훈(현직 관원 등에 대한 서훈)도 잠시 중단되었다. 쇼와 30년대까지 생전 서훈은 없었다. 이케다 하야토 내각 때 전후 처음으로 훈장 제도를 부활시켜 오늘에 이른다.[1]

2003년(헤이세이 15년) 11월 3일 태정관 포고 개정으로 일본 훈장 제도의 관민 격차 시정 및 다각적 관점 요구에 부응하여, 대훈위 이외의 숫자로 표현되던 훈등은 폐지되었다. 다만, 개정 후 태정관 포고 조문에도 '훈등' 문언은 남아, 표기만 불가능할 뿐 개념적으로는 존속한다. 제도 개정으로 훈등 수여(서훈)는 중단되었으나, 정부는 훈장 수여(수장)에 '서훈' 표현을 계속 사용한다(관보의 서위 서훈란 명칭 유지). 이는 구 제도의 '훈등'과 '훈장' 구분이 신 제도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신 제도에서 훈장은 개별 명칭 없는 6개 급 훈등 중 하나에 속해, 훈장 수여는 사실상 훈등 속성을 띤다.

3. 훈위

훈위는 12등급으로 나뉜다. 훈1등부터 훈6등까지는 천황이 칙서를 내리는 칙수(勅授)였다.[1] 훈7등(정6위), 훈8등(종6위), 훈9등(정7위), 훈10등(종7위), 훈11등(정8위), 훈12등(종8위)이 있다.

3. 1. 훈위 등급 (칙수)

훈1등부터 훈6등까지는 천황이 칙서를 내린다.[1]

훈위등급
훈1등정3위
훈2등종3위
훈3등정4위
훈4등종4위
훈5등정5위
훈6등종5위


3. 2. 훈위 등급

훈7등(정6위), 훈8등(종6위), 훈9등(정7위), 훈10등(종7위), 훈11등(정8위), 훈12등(종8위)이 있다.

4. 훈등

훈등은 훈장의 등급을 나타내는 것이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훈1등부터 훈8등까지 있었으며, 이후 대훈위가 추가되었다.[1] 2003년 제도 개정 이후에는 개별 명칭을 가지지 않는 6개의 급으로 변경되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1875년(메이지 8년) 태정관 포고에 따라 훈등 및 상패(상패는 이듬해 훈장으로 개칭) 제도가 생겨, 훈장의 등급으로 훈1등부터 훈8등까지 제정되었다. 이듬해 1876년(메이지 9년)에는 조서에 따라 대훈위가 최상위 훈등으로 제정되었다. 훈장 수여는 먼저 해당 훈등에 서훈(敍勳)한 다음, 훈등에 해당하는 훈장을 수여하는(수장, 授章)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890년(메이지 23년)에는 금치훈장이 제정되면서, 훈등 외에 군인에게 수여되는 '공급(功級)'도 창설되었다.

전후에는 금치훈장이 폐지되고, 통상적인 서훈(현직 관료 등에 대한 서훈)도 한동안 정지되었다. 쇼와 30년대까지 생전 서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케다 하야토 내각 때에 전후 처음으로 훈장 제도의 운용이 부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03년(헤이세이 15년) 11월 3일 이후, 일본 훈장의 관민 격차 시정과 다각적인 관점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기초하여 태정관 포고가 개정되어 대훈위 이외의 숫자로 표현하는 등급으로서의 훈등은 폐지되었다. 다만 개정 후의 태정관 포고의 조문에도 계속하여 '훈등'의 문언이 있으며, 표기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뿐 개념으로는 남아 있다.

4. 1. 훈등 등급 (2003년 이전)

구분내용
대훈위대훈위
훈1등훈1등
훈2등훈2등
훈3등훈3등
훈4등훈4등
훈5등훈5등
훈6등훈6등
훈7등훈7등
훈8등훈8등


5. 관련 법령

연도법령 종류법령 이름
1883년 (메이지 16년)태정관 포고 제17호금은 목배 금원 사여 수속(金銀木盃金円賜与手続)
1888년 (메이지 21년)칙령 제1호보관장 및 대훈위 국화장 경식에 관한 건(宝冠章及大勲位菊花章頸飾ニ関スル件)
1903년 (메이지 36년)칙령 제16호고 원수 육군 대장 대훈위 공삼급 아키히토 친왕 국장에 관한 건(故元帥陸軍大将大勲位功三級彰仁親王国葬ノ件)
1907년 (메이지 41년)각령 제2호훈장 박탈령 시행 세칙(勲章褫奪令施行細則)
1910년 (메이지 43년)황실령 제2호황족 신위령(皇族身位令)
1919년 (다이쇼 8년)칙령 제9호고 대훈위 이태왕 국장에 관한 건(故大勲位李太王国葬ノ件)
1926년 (다이쇼 15년)황실령 제7호황실 의제령(皇室儀制令)
1945년 (쇼와 20년)3월 9일 재정대동아 전쟁 문관 사망자 상여 내규(大東亜戦争文官死没者賞賜内規)
1946년 (쇼와 21년)5월 3일 각의 결정관리 임용 서급령 시행에 따른 관리에 대한 서위 및 서훈, 귀족원 및 중의원의 의장, 부의장, 의원 또는 시정촌장 및 시정촌 부역에 대한 서훈 취급에 관한 건
1948년 (쇼와 23년)법률 39호경범죄법
1953년 (쇼와 28년)9월 18일 각의 결정생존자에 대한 서훈 취급에 관한 건
1963년 (쇼와 38년)7월 12일 각의 결정생존자 서훈의 개시에 대해
1963년 (쇼와 38년)7월 12일 각의 결정훈장, 기장, 포장 등의 수여 및 전달 식례
1964년 (쇼와 39년)4월 21일 각의 결정생존자 서훈의 개시에 대해 (쇼와 38년 7월 12일 각의 결정) 제2항에 기초한 서훈 기준에 대해
1964년 (쇼와 39년)총리부 고시 제16호훈장 등 착용 규정
2003년 (헤이세이 15년)내각부령 제54호각종 훈장 및 대훈위 국화장 경식의 제식 및 형상을 정하는 내각부령

[1]

참조

[1] 서적 地方における律令官人制の展開と受容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15
[2] 웹사이트 대한제국 훈장조례 http://encykorea.aks[...] 1900-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