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훙쉐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훙쉐즈는 중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1913년 안후이성에서 태어나 2006년 사망했다. 그는 192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홍군에 가입, 장정에 참여했으며,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했다. 한국 전쟁에는 중국 인민지원군 부사령관으로 참전하여 휴전 협상에 참여했으며, 이후 중국으로 귀국하여 군 및 정치 분야에서 활동했다. 1955년 상장 계급을 받았으며,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박해를 받기도 했으나 덩샤오핑 집권 이후 복권되었다. 그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안시 출신 - 남제 화제
    남제 화제는 남제의 마지막 황제로, 명제의 아들이며 동혼후 소보권이 살해된 후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동안 실권은 소영주에게 있었고, 소연에게 선양 후 살해되었다.
  • 루안시 출신 - 야오더펀
    야오더펀은 236cm의 키로 한때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여성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으나, 뇌하수체 종양으로 인한 거인증과 골수성 백혈병으로 고통받다가 2012년 사망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린리궈
    중국 공산당 간부 린뱌오의 아들 린리궈는 문화대혁명 중 공군에서 급속히 승진했으나 마오쩌둥 암살 계획에 연루되어 린뱌오 일가와 함께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는 중국 정부 발표와는 달리, 그의 역할과 사건 진상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국공 내전 관련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국공 내전 관련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훙쉐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5년 홍쉐즈
이름홍쉐즈
원어 이름洪学智
로마자 표기Hong Xuezhi
별명"6성 상장" (liù xīng shàng jiàng, 六星上将)
출생일1913년 2월 2일
사망일2006년 11월 20일
출생지중국 허난 성 상청 현 솽허 진 (현재 중국 안후이 성 진자이 현)
사망지중국 베이징
군사 경력
최종 계급대장
참전중국 내전
중일 전쟁
한국 전쟁
훈장
주요 훈장8.1 훈장 (1급)
독립자유 훈장 (1급)
해방 훈장 (1급)
국기 훈장, 1등급
자유 독립 훈장, 1등급 (2회)
정치 활동
주요 직책제7, 8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1990-1998)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913년 안후이성 루안시 진자이현에서 태어나 192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고 홍군에 가입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1] 장정에 참여했으며, 1936년에는 옌안시에 위치한 장정 대학(항일 군정 대학)에서 수학했다. 졸업 후 지대장, 부대대장, 제4단 단장, 제5분교 부교장 등으로 복무했다.[1] 1941년 신사군 옌푸 군구 사령원, 1942년 신사군 제3사 참모장을 역임했다.[1] 중일 전쟁 중에는 백군 대공세에 참전했다.[1]

2. 1. 초기 생애

1913년 안후이성 루안시 진자이현에서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1] 192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고 홍군에 가입했다.[1] 장정에 참여했으며, 1936년에는 옌안시에 위치한 장정 대학(항일 군정 대학)에 입학하여 지대장, 부대대장, 제4단 단장, 제5분교 부교장으로 복무했다.[1] 1941년에는 신사군 옌푸 군구 사령원으로, 1942년에는 신사군 제3사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1]

2. 2. 국공 내전 이전

192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공산주의 게릴라 조직인 홍군에 가입했고 장정에 참여했다. 1936년 옌안시에 있던 장정 대학(항일 군정 대학)에서 수학했다. 1935년 신사군과 함께 장정에 참가했으며,[1] 중일 전쟁 중에는 백군 대공세에 참전했다.[1] 1941년 신사군 옌푸 군구 사령원으로 임명되었고, 1942년 신사군 제3사 참모장이 되었다.

2. 3. 국공 내전 시기

1945년부터 중국 인민해방군 랴오시 군구 부사령관, 헤이룽장 군구 사령원, 둥베이 야전군 제6종대 사령원으로 복무했으며 1948년 11월에는 제4야전군 제43군 군단장 자격으로 핑진 전역에 참전했다. 1949년 5월 제15군단 제1보좌 사령원 겸 참모장으로 임명되어 광저우시 진격 작전에 참전했고, 1950년 광둥 군구 부사령원 겸 참모장, 해안 방비 사령원 자격으로 하이난섬, 완산 군도 상륙 작전에 참전했다. 1950년 6월 둥베이 변방군 제13병단 부사령원으로 임명되었다.

3. 한국 전쟁 참전

1950년 10월 중국 인민지원군 부사령관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1951년 6월부터 중국 인민지원군 후방근무사령부 사령원을 겸임했다. 1953년 정전 협정 체결에 참여했다.[1]

한국 전쟁 당시 훙쉐즈는 조중 연합군의 후방 보급 체계 수립 및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55년 상장(上將) 계급으로 승진했다.[1]

4. 한국 전쟁 이후

1950년 10월 중국 인민지원군 부사령원 자격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1951년 6월에는 중국 인민지원군 후방근무사령부 사령원을 겸임했다. 1953년 정전 협정에 참여하여 한국 전쟁을 종식시켰다.[1]

4. 1. 중국 귀국 및 정치적 박해

1954년 중국으로 귀국하여 중국 인민해방군 총후방근무부 부부장, 1957년 총후방근무부 부장을 역임했다. 1955년 상장(上將) 계급을 받았다.[1] 1959년 대약진 운동 당시 마오쩌둥의 경제 정책을 비판하여 실각한 펑더화이와의 관계로 인해 지방으로 좌천되었다.[1] 1960년 지린성 농업기계청장, 중공업청장을 역임했다.

1970년 문화 대혁명을 계기로 농장으로 하방되어 노동 개조를 받았고, 1972년 하방 조치가 해제되었다. 홍위병에게 박해를 받았다.[1]

4. 2. 복권 및 정치 활동

1970년대 덩샤오핑 집권 이후 복권되었다. 1974년 지린성 석유화학공업국장, 1977년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1980년 중국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에 임명되었다. 1982년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비서장에 임명되었다.

1988년 인민해방군 계급 부활 시 다시 상장 계급을 받아 "육성 장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5. 사망

洪学智|훙쉐즈중국어2006년 11월 20일베이징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6. 가족 관계

부인은 장원(張文)이며, 슬하에 3남 5녀를 두었다. 그중 아들 홍후(洪虎)는 지린성 성장을 역임했다.

7. 역임 직책

직책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중국 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위원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중국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 (두 차례 역임)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비서장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지린성 농업기계청장
지린성 중공업청장
지린성 석유화학공업국장
신사군 옌푸 군구 사령원
신사군 제3사 참모장
중국 인민해방군 랴오시 군구 부사령관
헤이룽장 군구 사령원
둥베이 야전군 제6종대 사령원
제4야전군 제43군 군단장
제15군단 제1보좌 사령원 겸 참모장
광둥 군구 부사령원 겸 참모장, 해안 방비 사령원
둥베이 변방군 제13병단 부사령원
중국 인민지원군 부사령원
중국 인민지원군 후방근무사령부 사령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