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휘미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의 이름으로, 그 어원은 불분명하다. 휘미르는 종종 케닝에서 요트나르를 수식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신화에서 토르는 휘미르에게서 에일을 양조하는 데 필요한 가마솥을 얻기 위해 여러 모험을 겪는다. 토르는 낚시에서 요르문간드를 낚아 올리려다 휘미르의 방해로 실패하고, 휘미르가 토르에게 깨지지 않는 술잔을 깨뜨리는 과제를 내자, 토르는 거인의 아내의 도움을 받아 이를 해결한다. 이 이야기는 《힘스클비다》와 《길피의 속임수》에 묘사되어 있으며, 북유럽 예술에서 토르와 요르문간드의 만남을 묘사한 그림석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툰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요툰 - 로키
로키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릭스터, 변신자 등의 별칭으로 불리며 신들에게 골칫거리와 도움을 동시에 주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고, 발드르 살해, 라그나로크에서의 활약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휘미르 | |
|---|---|
| 휘미르 | |
| 로마자 표기 | Hymir |
| 분야 | 요툰 |
| 가족 관계 | 흐로드의 아버지 |
| 배우자 | 흐로드 |
| 관련 신화 | 토르 |
| 휘미르에 대한 정보 | |
| 거주지 | 엘리바가르 강 동쪽 |
| 특징 | 거대한 솥 소유 |
| 등장 작품 | 《고 에다》, 《신 에다》 |
| 주요 사건 | 토르와 낚시 여행, 솥을 둘러싼 토르와의 대결 |
| 휘미르의 낚시 여행 | |
| 동반자 | 토르 |
| 목표 | 요르문간드 낚시 |
| 결과 | 요르문간드 낚시 시도, 실패 |
| 휘미르의 솥 | |
| 크기 | 깊이 1 리그 (약 4.8km) |
| 소유 목적 | 신들의 에기르 방문 시 맥주 제공 |
| 획득 과정 | 토르가 솥을 깨고 가져옴 |
| 휘미르와 관련된 해석 | |
| 상징성 | 바다 또는 겨울의 힘 |
| 다른 이름 | 에기르의 아버지 |
| 추가 정보 | 알트나 룬돌에 묘사됨 |
2. 이름의 어원
고대 노르드어 이름 '휘미르'의 어원은 여전히 불분명하며, 노르웨이어 단어나 앤디 오차드가 제안한 번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휘미르'는 케닝에서 ''요트나르''를 수식하는 단어로 종종 사용된다.[1]
2. 1. 어원 연구
고대 노르드어 이름 '휘미르'의 어원은 여전히 불분명하다.[1] 이는 노르웨이어의 'humen'('축 늘어진, 지친') 또는 'humre'('히잉거리다', MHG 'hummen' '웅웅거리다'와 비교)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 앤디 오차드는 '기어 다니는 자'라는 번역을 제안했다.[3]'휘미르'는 종종 케닝에서 '요트나르'를 수식하는 단어로 사용된다.[1]
3. 신화 속 등장
어느 날 토르는 젊은이로 변장하여 휘미르를 낚시에 초대한다. 휘미르는 토르가 신인 것을 알지 못하고 미끼를 가져오라고 제안한다[8]。 토르는 가장 큰 황소의 머리를 잘라 미끼로 사용하고 휘미르와 함께 바다로 나갔다. 토르가 낚싯줄을 드리우자 미드가르드의 뱀이 걸려들었고, 토르는 신력을 사용하여[9][10] 뱀을 해상으로 끌어올렸다. 토르가 망치로 뱀을 치려는 순간, 휘미르는 두려워 낚싯줄을 끊어 뱀은 바다로 돌아갔다.
토르는 격노하여 휘미르를 바다에 던져버렸다[11]. 이후 토르는 티르와 함께 에일을 양조하는 데 필요한 큰 가마솥을 얻기 위해 에리바가르 강 동쪽 하늘 가장자리에 있는 거인의 저택을 방문한다. 그곳에서 저녁 식사를 하게 된 그들은 준비된 소 3마리 중 2마리를 먹어치운다. 휘미르가 먹을 것이 부족하다고 하자, 토르는 다시 낚시를 제안한다. 휘미르는 고래를 낚았지만, 토르는 요르문간드를 낚아 묠니르로 쳐서 가라앉혔다.[12]
성에 돌아온 휘미르는 토르에게 깨지지 않는 술잔을 깨뜨리는 과제를 낸다. 토르는 거인의 아내를 통해 약점을 알아내고 술잔을 깨뜨리는 데 성공한다[13]。 토르는 큰 솥을 들고 가던 중 많은 거인들에게 쫓기지만 망치로 그들을 물리친다.[14]。
3. 1. 《힘의 서사시》
《힘스클비다》(Hymiskviða)는 토르(Thor)와 티르(Týr)가 휘미르에게서 가마솥을 얻는 과정을 다룬 이야기다. 휘미르의 두개골은 매우 단단하여, 토르는 컵을 휘미르의 머리에 던져 깨뜨린다.[1]《힘스클비다》는 토르가 미드가르드의 뱀 요르문간드를 낚는 이야기도 포함한다.[1] 토르는 휘미르와 함께 낚시를 갔는데, 휘미르의 가장 좋은 황소 머리를 미끼로 사용하여 요르문간드를 잡는다. 요르문간드는 풀려나거나,[2]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Gylfaginning)에 따르면 휘미르가 뱀을 풀어준다.[3] 《산문 에다》는 토르가 요르문간드를 끌어올리려 할 때 그의 발이 배 바닥을 뚫고 들어갔다는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3]
《힘스클비다》에서 휘미르는 요툰이며 신 티르의 아버지로 묘사된다. 학자 존 린도는 북유럽 신화에서 이는 독특한 상황일 수 있다고 언급한다. 로키 역시 요툰인 아버지 파르바우티를 두고 있지만,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길피의 속임수》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는 "에시르 무리 중에서 열거"될 뿐, 그들의 집단에 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느 날 토르는 젊은이로 변장하여 휘미르를 낚시에 초대한다. 휘미르는 변장한 토르가 신인 것을 알지 못하고 토르에게 미끼를 가져오라고 제안한다.[8] 토르는 특별한 황소 중 가장 큰 황소의 머리를 잘라 미끼로 사용하고, 휘미르와 함께 바다로 나간다. 토르가 낚싯줄을 드리우자 미드가르드의 뱀이 미끼에 걸려들었고, 토르는 신력(아스메긴)을 사용하여[9][10] 미드가르드의 뱀을 해상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한다. 토르가 망치로 뱀을 치려는 순간, 휘미르는 두려움을 느껴 낚싯줄을 끊어 뱀은 바다로 돌아간다.
토르는 분노하여 휘미르를 바다에 던져버린다.[11] 토르는 티르와 함께 에일을 양조하는 데 필요한 큰 가마솥을 얻기 위해 에리바가르 강 동쪽 하늘 가장자리에 있는 거인의 저택을 방문한다. 그곳에서 저녁 식사를 하게 된 그들은 준비된 소 3마리 중 2마리를 먹어치운다. 휘미르가 "집에 더 이상 먹을 것이 없다"고 불평하자, 토르는 휘미르를 낚시에 초대한다. 바다로 나가자 휘미르는 고래를 낚았지만, 토르는 요르문간드를 낚아 묠니르로 쳐서 가라앉혔다.[12]
성에 돌아온 휘미르는 토르에게 "절대로 깨뜨릴 수 없는 술잔을 깨뜨려 보라"는 과제를 낸다. 이 술잔은 바닥에 떨어뜨려도 다시 손안으로 돌아오는 귀중한 것이었다. 토르는 거인의 아내를 아군으로 만들어 약점을 알아내고, 결국 술잔을 깨뜨리는 데 성공한다.[13] 토르는 원래 목적인 큰 솥을 들고 관을 나선다. 토르는 많은 거인들에게 쫓기지만 망치로 거인들을 살해한다.[14]
3. 2. 《길피의 속임수》
토르는 힘미르와 함께 낚시를 갔는데, 힘미르의 가장 좋은 황소 머리를 미끼로 사용하여 요르문간드를 잡았다. 요르문간드는 풀려나거나[2],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Gylfaginning)에 따르면 힘미르가 뱀을 풀어주었다.[3] ''산문 에다''는 토르가 요르문간드를 끌어올리려 할 때 그의 발이 배 바닥을 뚫고 들어갔다는 추가적인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3]존 린도는 북유럽 신화에서 로키 역시 요툰인 아버지 파르바우티를 두고 있지만,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길피의 속임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는 "에시르 무리 중에서 열거"될 뿐이며, 따라서 그들의 집단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힘미르가 신 티르의 아버지로 묘사되는 것은 독특한 상황일 수 있다고 언급한다.
4. 그림 및 룬 문자 기록
토르와 요르문간드의 만남은 북유럽 예술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제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에 관련된 그림석들과 알투나 룬석이 전해진다.[4]
4. 1. 관련 유물
토르와 요르문간드의 만남은 북유럽 예술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제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와 관련된 그림석으로는 아르드레 VIII 이미지석, 회르둠 석, 고스포스 십자가가 있다.[4] 고스포스에 있는 두 번째 십자가의 일부로 추정되는 석판에는 황소 머리를 미끼로 사용하는 낚시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5] 이 전설은 알투나 룬석에도 묘사되어 있지만, 돌의 좁은 모양 때문에 휘미르는 나타나지 않는다.5. 현대의 해석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어야만 현대의 해석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Lost Beliefs of Norther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서적
The Poetic Edda
http://www.sacred-te[...]
[3]
서적
The Prose Edda
http://www.sacred-te[...]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4]
서적
The Poetic Edda: Essays on Old Norse Myt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Gods, Heroes, & Kings: The Battle for Mythic Brita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菅原、169頁。
[7]
서적
菅原、167頁。
[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68-269頁。
[9]
서적
菅原、168頁。
[10]
서적
「アースの神力」とも。『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69頁。
[1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69-270頁。
[1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76-78頁。
[1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78頁。
[1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79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