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 패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 패덤은 1955년 2월 15일에 태어난 영국의 음반 프로듀서이다. 엘튼 존의 음반을 듣고 음반 제작에 관심을 갖게 된 그는, 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테이프 운영자로 경력을 시작하여 타운하우스 스튜디오에서 XTC, 피터 가브리엘, 필 콜린스 등과 작업했다. 1980년대에는 제네시스, 필 콜린스와 협업하여 여러 앨범을 제작했으며, 스팅, 폴 매카트니, 더 휴먼 리그 등과도 작업했다. 2000년대에는 스팅, 맥플라이와 함께 작업했으며, 2019년에는 영국 음악에 대한 공헌으로 MPG 상을 수상했다. 또한, 패덤은 "게이티드 리버브" 드럼 사운드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디 레이블 Gearbox Records의 소유주 중 한 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오디오 엔지니어 - 노먼 스미스
영국 출신 음악 프로듀서, 엔지니어, 가수인 노먼 스미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왕립 공군 글라이더 조종사로 복무했으며, 비틀즈 초기 앨범들의 사운드 엔지니어, 핑크 플로이드 초기 앨범 제작 참여, "허리케인 스미스" 예명으로 가수 활동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영국의 오디오 엔지니어 - 델 파머
델 파머는 영국의 베이시스트, 엔지니어, 작곡가로, 케이트 부시 밴드에서 활동하며 여러 앨범에 참여했고, 2024년에 사망했다. - 잉글랜드의 음악 프로듀서 - 월터 레그
월터 레그는 20세기 클래식 음악계의 음반 프로듀서이자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창립자이며, HMV, EMI 등에서 활동하며 카라얀, 슈바르츠코프 등 유명 음악가들을 발굴하고 수많은 명반을 제작하여 클래식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잉글랜드의 음악 프로듀서 - 노먼 스미스
영국 출신 음악 프로듀서, 엔지니어, 가수인 노먼 스미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왕립 공군 글라이더 조종사로 복무했으며, 비틀즈 초기 앨범들의 사운드 엔지니어, 핑크 플로이드 초기 앨범 제작 참여, "허리케인 스미스" 예명으로 가수 활동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1955년 출생 - 자이르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군사 독재를 옹호하고 차별적인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실패하고 공직 활동이 금지되었다. - 1955년 출생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휴 패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휴 찰스 패덤 (Hugh Charles Padgham) |
출생일 | 1955년 2월 15일 |
출생지 | 잉글랜드 버킹엄셔 주 애머섐 |
국적 | 영국 |
배우자 | 캐스 키드슨(2012년 결혼) |
직업 | 음악 프로듀서 오디오 엔지니어 |
장르 | 록 음악 전자 음악 뉴 웨이브 (음악) 팝 록 신스팝 소프트 록 |
활동 기간 | 1978년 – 현재 |
레이블 | A&M 레코드 아일랜드 레코드 유니버설 뮤직 그룹 런던 런던 UK 메이저 |
관련 활동 | 필 콜린스 XTC 제네시스 휴먼 리그 폴리스 스팅 데이비드 보위 맥플라이 |
영향 | |
영향 받은 아티스트 | 스티브 릴리화이트 |
그래미상 | |
수상 경력 | 2회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휴 패덤 그래미닷컴 아티스트 페이지 |
사운드 온 사운드 | 게이트 리버브 설정 방법 |
2. 어린 시절
패덤은 1955년 2월 15일 버킹엄셔주 아머샴에서 태어났다. 그는 옥스퍼드의 세인트 에드워드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32]
패덤은 폴리스, 스팅, 필 콜린스, 제네시스, 데이비드 보위, 폴 매카트니 등 여러 유명 음악가들과 협업하며 경력을 쌓았다. 특히 XTC의 앨범 작업에서는 '게이티드 리버브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는 당시 믹싱 엔지니어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패덤은 뛰어난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많은 뮤지션들의 신뢰를 얻었고, 뮤직 비디오에 등장하기도 했다.
3. 경력
3. 1. 초기 경력
패덤은 엘튼 존의 Tumbleweed Connection을 듣고 음반 제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33] 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테이프 운영자로 시작하여 모트 더 후플, 젠틀 자이언트 등 많은 녹음 세션에서 작업했다. 이후 란스다운 스튜디오로 자리를 옮겨 테이프 운영자 겸 보조 엔지니어로 일했다. 1978년에는 타운하우스에 취직하여 XTC, 피터 가브리엘, 필 콜린스 등의 음반 기획 및 제작에 참여했다. 킬링 조크의 두 번째 음반에도 참여했다.[34]
3. 2. 타운하우스 스튜디오와 1980년대
패덤은 엘튼 존의 《Tumbleweed Connection》을 듣고 음반 제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33][7] 그는 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테이프 운영자로 시작하여 모트 더 후플과 젠틀 자이언트를 포함한 많은 녹음 세션에서 작업했다. 그곳에서 란스다운 스튜디오로 가서 테이프 운영자 겸 보조 엔지니어로 일했다. 1978년, 패덤은 타운하우스에 취직하여 XTC, 피터 가브리엘, 필 콜린스 등의 음반을 기획하고 제작하였다. 그는 킬링 조크의 두 번째 음반 작업도 했다.[34][8]
1980년대에 패덤은 제네시스와 필 콜린스와 협업하여 《Face Value》, 《Abacab》, 《Hello, I Must Be Going!》, 《Genesis》, 《No Jacket Required》, 《Invisible Touch》, 《...But Seriously》 등의 앨범을 제작했다. 제네시스 및 XTC와의 작업 외에도 The Police의 《Ghost in the Machine》, 《Synchronicity》 앨범을 공동 프로듀싱했고, The Police의 프론트맨 스팅의 솔로 작업에도 일부 참여했다. 폴 매카트니의 《Press to Play》와 The Human League의 《Hysteria》 작업에도 참여했다.
패덤은 예스나 ELP의 레코딩 시 멀티트랙 레코더의 오퍼레이터 등으로 세션에 참여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Landsowne Studios에서 보조 업무를 하다 1978년 런던의 Townhouse Studios로 옮겨 수석 엔지니어 및 프로듀서로서 XTC, 피터 가브리엘, 필 콜린스 등의 레코딩 세션에 참여했다.
휴 패덤은 필 콜린스의 싱글 "In The Air Tonight"으로 유명해졌고, 1980년대 브리티시 팝 음악을 중심으로 유행한 "게이티드 리버브 사운드"를 프로듀서 스티브 릴리화이트와 함께 버진 레코드 사운드로 창시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패덤이 엔지니어링을 담당하고 필 콜린스가 참여한 피터 가브리엘의 세 번째 솔로 앨범 등에서 게이티드 리버브가 사용되었다.
패덤은 레코딩 시 뮤지션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능숙하여 많은 뮤지션들로부터 신뢰를 얻는 명 프로듀서이며, 가끔 뮤지션의 뮤직 비디오에 등장하기도 했다. 이 리버브 처리 방식은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패덤이 엔지니어링을 담당한 1980년 XTC의 앨범 《블랙 씨》의 드럼 사운드 등에 사용되었으며, 드럼의 룸 앰비언스나 드럼 리버브용 플레이트 리버브 등을 사용하고, 그 리버브 리턴에 노이즈 게이트[26]를 사용한 것에서 유래하여, 현재는 디지털 리버브 등의 디지털 리버브레이터에 탑재되는 기본 리버브의 한 종류가 되었다.
게이티드 리버브는 리버브 등의 잔향 성분을 kepex[27] 등의 노이즈 게이트 회로를 통과시켜 리버브 사운드의 감쇠 시간을 극단적으로 짧게 하고, 강제적으로 게이트를 닫도록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리버브가 개발되면서 이 리버브와 게이트 기능을 하나로 합친 리버브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파워 스테이션이 1985년에 발표한 "Some Like It Hot"은 노이즈 게이트에 의한 수동적인 게이티드 리버브가 아닌, SSL의 컴퓨터 자동화를 사용하여 리버브에 대해 채널 모듈의 컷 데이터를 세밀하게 기록함으로써 능동적인 노이즈 게이트로 드럼 사운드를 극적인 사운드로 만든 곡이다. 이 곡은 기계적으로 리버브 성분을 컷한 것과 비교하여 템포에 맞춰 임의의 타이밍으로 리버브 성분이 컷되기 때문에 임팩트 있는 사운드가 되었으며, 휴 패덤 등이 만들어낸 게이티드 리버브의 새로운 해석으로 믹싱에 응용되고 있다.
3. 3. 2000년대 이후
2000년대에 패덤은 스팅과 McFly와 함께 작업했다. 그는 McFly와 함께 2005년과 2006년에 네 개의 영국 넘버원 히트곡을 기록했으며, 다른 여러 톱 텐 싱글도 만들었다. 2002년, 패덤은 The Tragically Hip의 앨범 ''In Violet Light''를 프로듀싱했다.
2019년, 패덤은 런던에서 영국 음악에 대한 뛰어난 공헌으로 MPG 상을 수상했다.[9][10]
패덤은 인디 레이블 Gearbox Records의 소유주 중 한 명이다.
4. "게이트 리버브" 드럼 사운드
패덤은 필 콜린스의 싱글 "In the Air Tonight"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사용되었고, 1980년대 녹음된 팝 드럼 사운드의 템플릿이 된 "게이트 리버브" 드럼 사운드를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이 효과는 패덤이 엔지니어링하고 콜린스가 연주한 1980년 피터 가브리엘의 세 번째 동명 솔로 앨범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34] 당시 패덤은 영국 프로듀서 스티브 릴리화이트의 녹음 엔지니어로 정기적으로 활동했으며, 1980년대 초 많은 유명 앨범과 싱글을 공동 작업했다.
패덤의 게이트 드럼 효과는 원래 드럼 사운드에 엄청나게 압축된 많은 양의 룸 앰비언스를 추가한 다음, 그 리버브 신호를 노이즈 게이트[26]라고 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공급하여 생성된다. 이 장치는 지정된 시간 간격(이 경우 수십 밀리초) 후 또는 들어오는 신호가 사전 설정된 게인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통과하는 모든 신호를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그 결과 잔향이 사라지는 대신 갑자기 끊어지는 '게이트 리버브' 효과가 나타난다.
2006년 인터뷰에서 패덤은 이 효과가 처음 어떻게 엔지니어링되었는지 다음과 같이 밝혔다.
모든 것은 SSL 콘솔의 유명한 "리스닝 마이크"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SSL은 스튜디오 가운데에 마이크 하나를 걸어놓고 반대편에서 누군가 말하는 것을 듣는 것이 전부였기 때문에 이 거대한 컴프레서를 달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필 [콜린스]가 드럼을 연주할 때 우연히 그걸 켰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걸 콘솔에 다시 피드백시키고 노이즈 게이트를 걸어서 그가 연주를 멈추면 방의 큰 소리를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빨아들이는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영어
이 리버브 처리 방식은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휴 패덤이 엔지니어링을 담당한 1980년 XTC의 앨범 『블랙 씨』의 드럼 사운드 등에 사용되었으며,[34] 드럼의 룸 앰비언스나 드럼 리버브용 플레이트 리버브 등을 사용하고, 그 리버브 리턴에 노이즈 게이트를 사용한 것에서 유래하여, 현재는 디지털 리버브 등의 디지털 리버브레이터에 탑재되는 기본 리버브의 한 종류가 되었다.
게이티드 리버브를 생성하는 방법은 리버브 등의 잔향 성분을 kepex[27] 등의 노이즈 게이트 회로를 통과시켜 리버브 사운드의 감쇠 시간을 극단적으로 짧게 하고, 강제적으로 게이트를 닫도록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리버브가 개발되면서 이 리버브와 게이트라는 두 기능을 하나로 합친 리버브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른 유명한 게이티드 리버브의 예로는 노이즈 게이트에 의한 수동적인 게이티드 리버브가 아닌, SSL의 컴퓨터 자동화를 사용하여 리버브에 대해 채널 모듈의 컷 데이터를 세밀하게 기록함으로써 능동적인 노이즈 게이트로 드럼 사운드를 극적인 사운드로 만든 파워 스테이션의 「Some Like It Hot」(1985년)이 있다. 이는 기계적으로 리버브 성분을 컷한 것과 비교하여 템포에 맞춰 임의의 타이밍으로 리버브 성분이 컷되기 때문에 임팩트 있는 사운드가 되었으며, 휴 패덤 등이 만들어낸 게이티드 리버브의 새로운 해석으로 믹싱에 응용되고 있다.
5. 협업
패덤은 엘튼 존의 Tumbleweed Connection을 듣고 음반 제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33] 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테이프 운영자로 시작하여 모트 더 후플과 젠틀 자이언트 등 많은 녹음 세션에서 작업했다. 란스다운 스튜디오로 옮겨 테이프 운영자/보조 엔지니어로 일하다 1978년 타운하우스에 취직하여 XTC, 피터 가브리엘, 필 콜린스 등의 공연을 기획하고 제작하였다. 킬링 조크의 두 번째 음반 작업도 했다.[34]
1980년대에 제네시스와 필 콜린스와 협업하여 ''Face Value'', ''Abacab'', ''Hello, I Must Be Going!'', ''Genesis'', ''No Jacket Required'', ''Invisible Touch'', ''...But Seriously'' 등의 앨범을 제작했다. The Police와 ''Ghost in the Machine'', ''Synchronicity'' 두 앨범을 공동 프로듀싱하고, 스팅의 솔로 작업에도 참여했다. 폴 매카트니의 ''Press to Play''와 The Human League의 ''Hysteria'' 작업에도 참여했다.
2000년대에 패덤은 스팅과 McFly와 함께 작업했다. McFly와 함께 2005년과 2006년에 네 개의 영국 넘버원 히트곡을 기록했으며, 다른 여러 톱 텐 싱글도 만들었다. 2002년에는 The Tragically Hip 앨범 ''In Violet Light''를 프로듀싱했다.
패덤은 필 콜린스의 싱글 "In The Air Tonight"으로 유명해졌고, 스티브 릴리화이트와 함께 "게이티드 리버브 사운드"를 창시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패덤은 여러 뮤지션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능숙하여 신뢰를 얻는 명 프로듀서이며, 뮤지션의 뮤직 비디오에 등장하기도 했다.
- '''폴리스'''
: 1981년 앨범 『고스트 인 더 머신』부터 폴리스의 프로듀서로 참여하여 앨범 『싱크로니시티』를 거쳐 스팅의 솔로 작품 등에서도 폴리스 및 스팅의 사운드 메이킹에 기여했다.
- '''필 콜린스'''
: 필 콜린스의 싱글 「In the Air Tonight」 등으로 유명해졌으며, 이후 프로듀서/뮤지션과 프로듀서/엔지니어로서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XTC'''
: 1980년 앨범 『블랙 씨』 제작 당시 스티브 릴리화이트와 함께 참여했다. 1982년 앨범 『잉글리시 세틀먼트』에서는 패덤이 프로듀서/엔지니어로 참가했다.
- '''데이비드 보위'''
: 1984년 발매된 앨범 『투나잇』에 데이비드 보위와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 '''폴 매카트니'''
: 1986년에 발매된 『프레스 투 플레이』에 폴 매카트니와 공동 프로듀싱으로 참여했다.
패덤이 프로듀싱하거나 엔지니어링한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다.
아티스트 | 앨범 |
---|---|
311 | Soundsystem |
비 지스(Bee Gees) | |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 | Tonight (1984) |
케이트 부시(Kate Bush) | |
토니 차일즈(Toni Childs) | |
클라나드(Clannad) | |
폴라 콜(Paula Cole) | |
필 콜린스(Phil Collins) | Face Value, Hello, I Must Be Going!, No Jacket Required, ...But Seriously, Dance into the Light |
줄리안 코프(Julian Cope) | |
셰릴 크로우(Sheryl Crow) | |
드림 아카데미(The Dream Academy) | |
멜리사 에더리지(Melissa Etheridge) | |
믹 파렌(Mick Farren) | |
줄리아 포드햄(Julia Fordham) | |
더 픽스(The Fixx) | |
피터 가브리엘(Peter Gabriel) | (엔지니어, Peter Gabriel (1980 앨범)) |
제네시스(Genesis) | Abacab, Genesis, Invisible Touch |
조니 워먼(Johnny Warman) | |
홀 앤 오츠(Hall & Oates) | |
니키 홀랜드(Nicky Holland) | |
더 휴먼 리그(The Human League) | |
I Was a Cub Scout | |
엘튼 존(Elton John) | |
The Lightyears | |
마이크 린덥(Mike Lindup) | Changes (1990) |
아니프리드 링스타드(Anni-Frid Lyngstad) | (엔지니어) |
매드니스(Madness) | (믹싱, 1988) |
맨슨(Mansun) | |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 | |
머미 콜스(Mummy Calls) | |
맥플라이(McFly) | |
마이크 앤 더 메카닉스(Mike + The Mechanics) | |
노던 파이크스(Northern Pikes) | Snow in June (1990) |
유수 은두르(Youssou N'Dour) | |
더 폴리스(The Police) | Ghost in the Machine, Synchronicity |
더 사이키델릭 퍼스(The Psychedelic Furs) | |
킴 리치(Kim Richey) | (1999년 앨범 Glimmer) |
L. 샹카(L. Shankar) | |
스판다우 발레(Spandau Ballet) | |
스플릿 엔즈(Split Enz) | Time and Tide, Conflicting Emotions |
스팅(Sting) | |
더 스위트(The Sweet) | |
티어스 포 피어스(Tears for Fears) | |
더 트래지컬리 힙(The Tragically Hip) | In Violet Light (2002) |
반 데르 그라프 제너레이터(Van der Graaf Generator) | (믹싱, 2010) |
수잔 베가(Suzanne Vega) | |
더 웨이트리스(The Waitresses) | |
브라이언 윌슨(Brian Wilson) | |
XTC | (엔지니어, 1979, 1980, 1982) |
예스(Yes) | Drama |
폴 영(Paul Young) | |
프랭크 자파(Frank Zappa) |
6. 수상 경력
휴 패덤은 1986년 필 콜린스의 앨범 ''필 콜린스 III''로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과 '올해의 프로듀서' 상을, 1991년에는 필 콜린스의 '''어나더 데이 인 파라다이스'''로 '올해의 레코드' 상을 공동 수상했다.[28][29] 1994년에는 스팅의 앨범 ''텐 서머너스 테일스''로 '최우수 엔지니어 앨범' 상을 받았다.[30]
6. 1. [[그래미 어워드]]
연도 | 상 | 후보 | 결과 |
---|---|---|---|
1986년[28] | 올해의 앨범 올해의 프로듀서 | 필 콜린스, 필 콜린스 III | 수상 |
1991년[29] | 올해의 레코드 | 필 콜린스, 어나더 데이 인 파라다이스 | 수상 |
1994년[30] | 최우수 엔지니어 앨범 | 스팅, 텐 서머너스 테일스 | 수상 |
6. 2. [[Brit Awards]]
휴 패덤은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앨범 제작에 참여한 프로듀서이자 엔지니어이다. 다음은 그가 참여한 아티스트 및 앨범 목록이다.아티스트 | 앨범 |
---|---|
311 | Soundsystem |
비 지스(Bee Gees) | |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 | Tonight (1984) |
케이트 부시(Kate Bush) | |
토니 차일즈(Toni Childs) | |
클라나드(Clannad) | |
폴라 콜(Paula Cole) | |
필 콜린스(Phil Collins) | Face Value, Hello, I Must Be Going!, No Jacket Required, ...But Seriously, Dance into the Light |
줄리안 코프(Julian Cope) | |
셰릴 크로우(Sheryl Crow) | |
드림 아카데미(The Dream Academy) | |
멜리사 에더리지(Melissa Etheridge) | |
믹 파렌(Mick Farren) | |
줄리아 포드햄(Julia Fordham) | |
더 픽스(The Fixx) | |
피터 가브리엘(Peter Gabriel) | Peter Gabriel (엔지니어) |
제네시스(Genesis) | Abacab, Genesis, Invisible Touch |
조니 워먼(Johnny Warman) | |
홀 앤 오츠(Hall & Oates) | |
니키 홀랜드(Nicky Holland) | |
더 휴먼 리그(The Human League) | |
I Was a Cub Scout | |
엘튼 존(Elton John) | |
The Lightyears | |
마이크 린덥(Mike Lindup) | Changes (1990) |
아니프리드 링스타드(Anni-Frid Lyngstad) | (엔지니어) |
매드니스(Madness) | (믹싱, 1988) |
맨슨(Mansun) | |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 | |
머미 콜스(Mummy Calls) | |
맥플라이(McFly) | |
마이크 앤 더 메카닉스(Mike + The Mechanics) | |
노던 파이크스(Northern Pikes) | Snow in June (1990) |
유수 은두르(Youssou N'Dour) | |
더 폴리스(The Police) | Ghost in the Machine, Synchronicity |
더 사이키델릭 퍼스(The Psychedelic Furs) | |
킴 리치(Kim Richey) | Glimmer (1999년 앨범) |
L. 샹카(L. Shankar) | |
스판다우 발레(Spandau Ballet) | |
스플릿 엔즈(Split Enz) | Time and Tide, Conflicting Emotions |
스팅(Sting) | |
더 스위트(The Sweet) | |
티어스 포 피어스(Tears for Fears) | |
더 트래지컬리 힙(The Tragically Hip) | In Violet Light (2002) |
반 데르 그라프 제너레이터(Van der Graaf Generator) | (믹싱, 2010) |
수잔 베가(Suzanne Vega) | |
더 웨이트리스(The Waitresses) | |
브라이언 윌슨(Brian Wilson) | |
XTC | (엔지니어, 1979, 1980, 1982) |
예스(Yes) | Drama |
폴 영(Paul Young) | |
프랭크 자파(Frank Zappa) |
참조
[1]
웹사이트
Hugh Padgham, Esq Authorised Biography – Debrett’s People of Today, Hugh Padgham, Esq Profile
http://www.debretts.[...]
2013-10-21
[2]
웹사이트
Hugh Padgham
https://www.grammy.c[...]
2020-11-23
[3]
웹사이트
Q. How do I set up a gated reverb?
http://www.soundonso[...]
2005-03
[4]
서적
The Routledge Guide to Music Techn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14-07-22
[5]
뉴스
The interior designer Cath Kidston on work, marriage and life after cancer
https://www.telegrap[...]
2014-10-05
[6]
뉴스
Cath Kidston: how my Cotswolds home inspired my new business
https://www.thetimes[...]
2023-03-09
[7]
기타
Interview with Hugh Padgham
BBC Radio 2
2007-04-09
[8]
서적
Killing Joke: Are You Receiving?
New Haven Publishing
2020
[9]
웹사이트
Producer Hugh Padgham To Receive Top Honour At The 2019 Music Producers Guild Awards
https://mpg.org.uk/n[...]
2018-12-13
[10]
웹사이트
Hugh Padgham honoured at MPG Awards
https://www.prsformu[...]
2021-05-24
[11]
뉴스
Complete List of the Nominees for 26th Annual Grammy Music Awards
https://news.google.[...]
The Daily Gazette Company
1984-01-09
[12]
뉴스
Hugh Padgham – Artist – grammy.com
https://www.grammy.c[...]
2018-03-18
[13]
뉴스
Grammy Awards 1984
http://www.awardsand[...]
2018-03-18
[14]
뉴스
"World" gets four Grammys
https://news.google.[...]
The Milwaukee Sentinel
1986-02-26
[15]
뉴스
Grammy Awards 1986
http://www.awardsand[...]
2018-03-18
[16]
뉴스
Collins, Jones and Carey top Grammy nominations
The McClatchy Company
1991-01-11
[17]
뉴스
Grammys--Round 1 : Pop music: Phil Collins' 8 nominations lead the pack and Quincy Jones sets a record with his 74th nod. The winners will be revealed on Feb. 20.
https://www.deseret.[...]
2018-03-18
[18]
뉴스
Quincy Jones wins block of Grammys
https://news.google.[...]
The Milwaukee Journal
2011-05-01
[19]
뉴스
General Categories
1994-01-07
[20]
뉴스
HUNDREDS NOMINATED FOR GRAMMYS
https://www.deseretn[...]
2018-03-18
[21]
뉴스
Houston, Sting rule at Grammys
https://news.google.[...]
The Milwaukee Sentinel
2011-05-01
[22]
뉴스
Pumpkins A Smash With 7 Grammy Nominations
https://www.chicagot[...]
Tribune Company
2011-05-01
[23]
뉴스
THE 39TH ANNUAL GRAMMY NOMINATIONS
https://www.latimes.[...]
2018-03-18
[24]
뉴스
Hugh Padgham
http://www.brits.co.[...]
2018-03-18
[25]
뉴스
Hugh Padgham – Legendary record producer
http://www.recordpro[...]
2018-03-18
[26]
문서
Noise Gateの使途は収録音に対して低いレベルで環境ノイズなどが混入した際に、実音よりもノイズ成分は小さいことが多いため、実音のレベルに対応する音声信号レベルが入力された時だけVCAによって回路を開け、それ以外は回路を閉じる機能を持った機種。ノイズに対する門を開けたり閉じたりする事からNoise Gateという機種名が付いている。
[27]
문서
Noise Gate や Expander などの製品を設計開発していた音響機器メーカーと、その製品名の総称
[28]
문서
広く鳴り響く部屋で演奏しているドラムスを離れた場所からマイキングして部屋鳴りと共に収録した音のこと。
[29]
문서
スタジオとの会話用に、スタジオ側へあらかじめ組み込まれたマイクから、スタジオ側からの会話などを聞くために用意されてい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モジュールのこと。
[30]
웹사이트
Hugh Padgham, Esq Authorised Biography – Debrett’s People of Today, Hugh Padgham, Esq Profile
http://www.debretts.[...]
2013-10-21
[31]
웹인용
Q. How do I set up a gated reverb?
http://www.soundonso[...]
2015-08-05
[32]
서적
The Routledge Guide to Music Techn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14-07-22
[33]
기타
Interview with Hugh Padgham
BBC Radio 2
2007-04-09
[34]
서적
Killing Joke: Are You Receiving?
New Haven Publishing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