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레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터 레그는 20세기 클래식 음악계의 중요한 인물로, 음반 프로듀서이자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창립자였다. HMV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예약 판매 방식의 음반 제작을 도입하고,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ENSA의 음악 감독으로 활동했다. 전후에는 EMI에서 카라얀, 슈바르츠코프, 칼라스 등 유명 음악가들을 발굴했으며,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창단하여 뛰어난 연주 기록을 남겼다. EMI 퇴사 후에는 슈바르츠코프의 음반 제작에 전념했으며, 음악적 유산으로 수많은 명반을 남겼다. 그는 완벽주의적인 성향과 보수적인 미학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뛰어난 음악적 안목으로 클래식 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독이 필요한 링크를 포함한 문서 -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누나로,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지닌 신동이었으나, 사회적 관습으로 결혼 후 음악 활동을 중단하고 음악 교사로 생계를 유지했으며, 그녀의 삶은 대중문화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 구독이 필요한 링크를 포함한 문서 - 메흐란 카리미 나세리
메흐란 카리미 나세리는 이란 출신으로, 정치적 망명 실패와 서류 분실로 인해 프랑스 샤를 드 골 공항 터미널에서 1988년부터 2006년까지, 그리고 2022년에 사망할 때까지 장기간 거주했으며, 그의 이야기는 영화 《터미널》 등 다양한 미디어에 영감을 주었다. - 잉글랜드의 음악 프로듀서 - 노먼 스미스
영국 출신 음악 프로듀서, 엔지니어, 가수인 노먼 스미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왕립 공군 글라이더 조종사로 복무했으며, 비틀즈 초기 앨범들의 사운드 엔지니어, 핑크 플로이드 초기 앨범 제작 참여, "허리케인 스미스" 예명으로 가수 활동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잉글랜드의 음악 프로듀서 - 데이비드 보위
1947년 런던에서 태어난 데이비드 보위는 혁신적인 음악 스타일과 다양한 페르소나, 독창적인 무대 연출로 록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친 뮤지션, 배우, 음악 프로듀서이다. - 1979년 사망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1979년 사망 - 차지철
차지철은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하여 정계에 입문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국회의원을 지내다 박정희 대통령 경호실장으로 재직하며 권력 남용으로 비판받았고 10·26 사건 때 김재규에게 살해당했다.
월터 레그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월터 레그 |
원어 이름 | Walter Legge |
출생일 | 1906년 6월 1일 |
출생지 | 영국 런던 |
사망일 | 1979년 3월 22일 |
국적 | 영국 |
직업 | |
직업 | 레코딩 프로듀서 |
장르 | 클래식 음악, 레코딩 |
활동 | |
활동 시기 | 알 수 없음 |
기타 | |
영향 | 알 수 없음 |
2. 생애
월터 레그는 20세에 EMI 산하 HMV에 입사하여 신보 해설 및 홍보 문구 작성, PR 잡지 「보이스(Voice)」 편집을 담당했다. 1931년, 아직 레코드화되지 않은 음악을 예약 판매하는 "협회" 방식을 제안하여 회사의 위험 부담을 줄였다.[10] 첫 기획은 볼프 가곡집이었으며, 1932년 4월에 엘레나 게르하르트(Elena Gerhardt)의 SP 레코드 앨범이 발매되었다. 예약자 중 111명이 일본에서 온 것을 보면 당시 일본 애호가들의 기대가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10] 이 성공으로 레그는 여러 협회 방식의 레코드 제작을 진행했으며, 그중 중요한 녹음들은 LP 레코드 시대에는 "GR반"으로, 오늘날에는 CD로도 발매되고 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레그는 카라얀,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프(Elisabeth Schwarzkopf)(1953년 레그와 결혼),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등 신인 음악가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계약했다. 특히 전후 나치 당원이었다는 이유로 연주가 금지되었던 카라얀을 위해 1945년 자신이 창립한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Philharmonia Orchestra)를 제공하여 레코드 녹음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54년 푸르트벵글러 사후 카라얀이 베를린 필하모닉의 지휘자가 되면서, 레그는 오토 클렘페러(Otto Klemperer)에게 눈을 돌려 그의 최고의 연주 기록을 남기기 시작했다.[21][22] 1964년 3월, 레그는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갑자기 해산했고, 이후 악단은 같은 해 10월, 클렘페러를 수석 지휘자로 하여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라는 이름으로 재출발했다.
EMI의 클래식 음악 사업 예산 감축과 완벽주의로 인한 갈등으로, 레그는 1963년에 EMI를 떠났다. 자유의 몸이 된 그는 슈바르츠코프프의 레코딩에만 전념했다. 1967년 제럴드 무어(Gerald Moore)의 은퇴 콘서트를 기획하던 중 심장 마비를 일으켰고, 1969년 몽트뢰 국제 레코드상(Montreux International Record Award) 특별상을 수상했다. 이후 슈바르츠코프프와 함께 줄리아드 음악원(Juilliard School) 등에서 후진 양성을 위한 마스터 클래스를 열었다.
레그는 1979년 3월 17일 심장 마비를 일으켰으나, 의사의 충고를 듣지 않고 취리히(Zürich)에서 열린 슈바르츠코프프의 은퇴 콘서트를 보러 갔다가 3월 22일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레그는 런던의 셰퍼즈 부시에서 재단사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는 해머스미스의 래티머 상급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2] 라틴어와 프랑스어에 뛰어났지만, 음악 교육은 받지 못했다. 16세에 학교를 떠난 후 정식 교육을 더 이상 받지 않았다. 아버지의 격려로 음악, 특히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에 대한 취미를 키웠으며, 이를 위해 독학으로 악보 읽는 법과 독일어를 배웠다.[3]2. 2. EMI 입사 및 초기 경력
20세에 EMI 산하 HMV(His Master's Voice)에 입사했다. 그러나 회사 방침에 대해 너무 거리낌 없이 말했기 때문에 3개월 만에 해고되었다. 하지만 그 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자료부장으로 재고용되었다. 레그는 신보를 위해 해설과 홍보 문구를 작성하고, PR 잡지 「보이스(Voice)」의 편집을 담당했다.[10]1931년, 그는 회사에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아직 레코드화되지 않고, 수요도 잘 알 수 없는 음악의 녹음을 위한 예약 판매였다. "~협회"라는 이름으로 일정 수의 예약자가 모여 이익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레코드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회사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10]
처음 기획된 것은 그의 오랜 숙원이었던 볼프 가곡집이었다. 후고 볼프 협회는 최소 필요한 500명의 예약자를 모으는 데 성공했고, 1932년 4월에 엘레나 게르하르트(Elena Gerhardt)에 의한 6장짜리(SP 레코드) 앨범이 발매되었다. 예약자 중 111명은 일본에서 온 것이었고, 1932년(쇼와 7년)이라는 시기를 고려하면 당시 일본 애호가들의 가수 및 아직 접해보지 못한 볼프의 가곡에 대한 기대가 얼마나 컸는지 짐작할 수 있다.[10]
이 성공으로 레그는 여러 협회 방식의 레코드 제작을 진행했고, 그중 중요한 녹음은 LP 레코드 시대에는 "GR반"으로 유명하며, 6, 7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CD로 발매되어 판매되고 있다.[10]
전쟁 후 레게는 EMI의 카탈로그와 스타 연주자 명단을 새롭게 하기 위해 작업에 착수했다. 그는 당시 아직 연합군이 점령하고 있던 비엔나에 거점을 마련하고, 당시 일자리가 심각하게 부족했던 독일과 오스트리아 예술가들과 계약했다. 이러한 연주자들에는 요제프 크립스(Josef Krips), 이르가르트 제프리트(Irmgard Seefried), 류바 벨리치(Ljuba Welitsch), 한스 호터(Hans Hotter), 루트비히 베버(Ludwig Weber), 허버트 폰 카라얀(Herbert von Karajan), 그리고 1953년에 레게와 결혼한 엘리자베스 슈바르츠코프(Elisabeth Schwarzkopf)가 포함된다.[10] 나중에 그는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의 잠재력을 가장 먼저 알아본 사람 중 한 명이었으며, EMI를 위해 그녀의 스튜디오 녹음을 제작했다.[11] 그가 녹음하기로 선택한 레퍼토리는 넓었지만,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George Frideric Handel) 이전의 시대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고, 현대 작곡가들 중에서는 접근하기 쉽고 온음계적인 작품에 집중했다.[12]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그는 윌리엄 월턴(William Walton)의 작품을 장기간에 걸쳐 녹음하는 작업을 감독했다.
2. 3.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창단과 활동
전쟁 후, 레게는 EMI의 카탈로그와 스타 연주자 명단을 새롭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연합군 점령 하에 있던 비엔나에 거점을 마련하고, 요제프 크립스, 이르가르트 제프리트, 류바 벨리치, 한스 호터, 루트비히 베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그리고 1953년에 레게와 결혼한 엘리자베스 슈바르츠코프 등 당시 일자리가 부족했던 독일과 오스트리아 예술가들과 계약했다.[10] 또한, 마리아 칼라스의 잠재력을 가장 먼저 알아본 사람 중 한 명이었으며, EMI를 위해 그녀의 스튜디오 녹음을 제작했다.[11]레게는 왕립 오페라 극장에서 데이비드 웹스터의 경영 아래 그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든 것을 발견하고, 콘서트 홍보에 다시 나섰다. 이를 위해, 그리고 녹음을 위해 그는 1945년에 새로운 오케스트라인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13] 토머스 비첨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첫 번째 콘서트를 지휘했지만, 그는 자신의 전 보조원(레게)의 고용인이 되기를 원하지 않았고, 곧 필하모니아와 경쟁하기 위해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13]
초기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지만, 그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관심을 돌리자, 레게는 오토 클렘페러와 점점 더 많은 작업을 했다. 레게는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 당대 저명한 음악가들을 설득하여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게 했다. 1950년대 전성기에는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는 영국 최고의 오케스트라이자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 중 하나로 널리 평가받았다.[1]
레게는 전후 나치 당원이었다는 이유로 연주가 금지되었던 카라얀을 위해, 그가 1945년에 창립한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제공하여 레코드 녹음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1954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의 죽음과 함께 카라얀이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지휘자가 되면서 카라얀의 활동 중심은 베를린이 되었다. 또한 당시 전속 계약으로 그는 베를린에서의 녹음은 독일 그라모폰에서만 할 수 있게 되었다.[21][22] 레그는 카라얀을 대신하여 오토 클렘페러에게 눈을 돌려, 1954년부터 이 거장에 의한 최고의 연주 기록을 남기기 시작했다.
1964년, 레게는 수준 저하를 우려하여 오케스트라를 해산했고, 오케스트라는 즉시 그 없이 클렘퍼러를 수석 지휘자로 하여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로 재결성되었다.[12] 그는 정성을 들인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갑자기 해산했는데, 이는 악단원과 클렘페러 사이에 긴장 관계를 가져왔다. 이후 악단은 같은 해 10월, 클렘퍼러를 수석 지휘자로 하여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라는 이름으로 재출발했다.
2. 4. EMI와의 갈등 및 퇴사
레게는 EMI에서 오랫동안 독립적으로 일했지만, 1960년대에 EMI가 그의 레퍼토리 선택 자유를 제한하려 하자 1964년에 사임했다. 엘리자베스 슈바르츠코프가 편집하고 1982년에 출판된 그의 회고록에는 EMI와 그 내부 위원회에 대한 그의 실망감이 드러나 있다.[14]:예술 분야에서 위원회는 쓸모없다고 확신합니다. 카라얀, 컬쇼 그리고 저와 같은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최고의 예술적 결과를 얻는 방법뿐만 아니라 대중을 끌어들이고 신중하게 선택된 협력자들과 전체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예술에 치명적입니다. 그것은 혼란으로 이어지거나 품질의 새롭고 낮은 공통 분모를 달성하는 것으로만 이어집니다.

은퇴 후 레게는 슈바르츠코프와 함께 젊은 가수들을 위한 마스터클래스를 많이 열었지만, 정규직은 찾지 못했다. 웨크스퍼드 페스티벌 감독직을 제안받고 수락했지만, 1967년 심장마비로 그 직책을 맡지 못하고 물러났다. 그는 아내가 녹음한 EMI 음반은 계속 감독했지만, 1977년과 1979년에 EMI가 아닌 데카에서 아내의 마지막 음반을 제작하면서 EMI와의 관계는 완전히 끊어졌다.[15]
2. 5. 만년
레게는 고용주였던 EMI에서 오랫동안 독립적인 방식을 인정받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 그의 레퍼토리 선택 자유를 제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결국 1964년에 그는 사임했다. 엘리자베스 슈바르츠코프프가 편집하고 1982년에 출판된 그의 회고록에는 EMI와 점점 더 강력해지는 내부 위원회에 대한 그의 실망감이 드러나 있다.[14] 그는 예술 분야에서 위원회는 쓸모없다고 확신하며, 카라얀, 컬쇼와 같은 사람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4]은퇴 후, 레게는 슈바르츠코프프와 함께 젊은 가수들을 위한 합동 마스터클래스를 많이 열었지만, 정규직을 찾지는 못했다. 웨크스퍼드 페스티벌의 감독직을 제안받고 수락했지만, 1967년 심장마비로 인해 그 직책을 맡기 전에 물러났다. 그는 아내가 녹음한 EMI 음반을 계속 감독했지만, 1977년과 1979년에 EMI가 아닌 데카를 위해 아내의 마지막 음반을 제작하면서 EMI와의 관계는 완전히 끊어졌다.[15]
레게는 1979년 3월 19일 취리히 오페라하우스에서 열린 슈바르츠코프프의 마지막 독주회에 참석했다.[16] 이틀 전 심장마비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참석한 것이다. 독주회 3일 후, 그는 프랑스 생장카프페라에서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화장되었고, 유골은 그의 요청대로 처음에는 비엔나에 있는 휴고 볼프의 유골 근처에 안치되었다.[16] 2006년 엘리자베스 슈바르츠코프프가 사망한 후, 그들의 유골은 취리히 근처 주미콘에 있는 그녀의 부모 옆에 묻혔다.
3. 음악적 유산
레그는 "결코 능가될 수 없을 표준을 설정한 수많은 뛰어난 녹음들"로 음악사에 큰 유산을 남겼다.[1] 사전트가 지휘한 ''게론티우스의 꿈'', 푸르트벵글러가 지휘한 ''트리스탄과 이졸데'', 데 사바타가 지휘한 ''토스카'', 카라얀이 지휘한 ''장미의 기사''와 ''팔스타프'', 뵘이 지휘한 ''코지 판 투테'' 그리고 클렘퍼러, 푸르트뱅글러, 카라얀이 지휘한 핵심 독일 교향곡 레퍼토리 녹음들은 LP와 CD로 수십 년 동안 카탈로그에 남아있었다.[12]
레그는 신인이든 거장이든 연주자의 최고의 자질을 이끌어내기 위해 자신의 음악적 신념에 따라 거리낌 없이 의견을 말하고, 조언하며, 격려했다. 토스카니니는 자신의 녹음에 대한 레그의 솔직한 비평을 높이 평가하여, 런던에서 레그가 이끄는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의 연주회를 실현하기도 했다.
레그는 완벽주의자였지만, 뛰어난 음악적 이해력과 비평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자신이 연주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뛰어난 레코드와 콘서트를 통해 귀를 단련했으며, 어니스트 뉴먼(Ernest Newman)에게서 비평 방법과 후고 볼프에 대한 관심을 배웠다. 레그는 볼프의 작품이 레코드나 콘서트에서 자주 연주되지 않는 상황을 개선하고자 레코드 회사에 들어가기로 결심했다. 이후 「맨체스터 가디언」지에서 음악 비평을 맡아 가감 없는 비평으로 이름을 알렸다.
「오페라」지의 추도 기사에서는 "음악적으로 그에게 바칠 수 있는 최고의 찬사는, 푸르트뱅글러, 카라얀, 리파티가 각기 다른 세 번의 기회에 레그야말로 자신들이 가장 많은 것을 배운 사람이라고 말했다는 것을 기록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3. 1. 비판과 논란
레그는 예술적 판단에 있어 때때로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그는 미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이었는데,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만약 제작자와 무대 디자이너들이 걸작에 낙서와 저속함, 어리석음을 계속 써내려가도록 허용한다면… 셰로의 바이로이트 공연은 말할 것도 없고 – 우리는 그들이 무대에 올리는 쓰레기와 어울리는 대본과 음악을 쓰도록 요구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17] 그는 존 컬쇼와 게오르크 솔티에게 그들의 데카 레코딩인 ''라인의 황금''이 팔리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이 음반은 클래식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7]레그는 비첨, 카라얀, 클렘페러가 지휘한 ''마술피리'' 세 개의 녹음을 담당했는데, 각각 대사를 생략했다는 이유로 비평가들의 반감을 샀다.[18] 클렘페러 지휘하에 그가 녹음한 ''피델리오''는 코벤트 가든에서 동시에 이루어진 클렘페러의 라이브 녹음과 비교했을 때, 레그가 선택한 가수들이 왕립 오페라 하우스(ROH)의 경쟁자들보다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이유로 비판받았다.[19] 그는 스테레오 녹음을 의심했고, 가능한 한 오랫동안 거부했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그의 유산은 "결코 능가될 수 없을 표준을 설정한 수많은 뛰어난 녹음들"이다.[1]
4. 주요 협력 아티스트
월터 레그는 뛰어난 프로듀서로서, 많은 음악가들과 협력하여 훌륭한 음반을 제작했다. 그가 협력한 주요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다.
- '''볼프''': 레그는 볼프의 가곡을 알리기 위해 '볼프 협회'를 설립하고 예약 판매 방식으로 음반을 제작했다. 1932년 4월에는 엘레나 게르하르트(Elena Gerhardt)가 부른 볼프 가곡집(SP 레코드 6장)을 발매했다.[21]
- '''카라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레그는 나치 당원이라는 이유로 연주 활동이 금지되었던 카라얀을 위해 1945년 자신이 창립한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Philharmonia Orchestra)를 제공하여 음반 녹음을 진행, 큰 성공을 거두었다.[21][22] 하지만 1954년 푸르트벵글러 사후 카라얀이 베를린 필하모닉의 지휘자가 되면서 활동 중심이 베를린으로 옮겨갔고, 전속 계약 문제로 인해 레그와의 협력은 줄어들었다.[21][22]
- '''오토 클렘페러(Otto Klemperer)''': 1954년부터 레그는 카라얀을 대신하여 클렘페러와 협력하여 훌륭한 연주 기록을 남기기 시작했다.[21] 1964년 레그가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해산한 후, 악단은 같은 해 10월 클렘페러를 수석 지휘자로 하여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로 재출발했다.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프(Elisabeth Schwarzkopf)''': 레그는 1953년 슈바르츠코프프와 결혼했으며, EMI 퇴사 후에도 그녀의 음반 작업을 도왔다.
-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레그는 칼라스와도 협력하여 음반을 제작했다.
- '''제럴드 무어(Gerald Moore)''': 레그는 1967년 가곡 반주 피아니스트로 유명한 제럴드 무어의 은퇴 콘서트를 기획했다.
- '''아르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 레그의 솔직한 비평에 감명받은 토스카니니는 런던에서 레그가 이끄는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기도 했다.
- '''푸르트벵글러, 카라얀, 리파티''': 이 세 명의 위대한 음악가들은 레그에게서 가장 많은 것을 배웠다고 언급했다.
참조
[1]
논문
Legge, (Harry) Walter (1906–1979)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1-00
[2]
웹사이트
MUSIC SCHOLARSHIPS AT 11+ AND 16+
https://www.latymer-[...]
Latymer Upper School
2020-01-00
[3]
서적
[4]
웹사이트
Legge, Walter
http://www.oxfordmus[...]
Oxford Music Online
[5]
웹사이트
Hugo Wolf Society, Vol. 1
http://www.gramophon[...]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뉴스
The Times
1943-09-20
[10]
서적
[11]
서적
[12]
웹사이트
Walter Legge
http://www.gramophon[...]
1979-05-00
[13]
뉴스
The Birth of the Philharmonia
The Times
1975-12-27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Geoffrey Parsons: Among Friends
2006
[17]
서적
[18]
웹사이트
Die Zauberflöte
http://www.gramophon[...]
1964-11-00
[19]
웹사이트
Fidelio
http://www.gramophon[...]
2004-02-00
[20]
웹사이트
News and Views
http://www.gramophon[...]
1985-03-00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뉴스
The Times
1943-09-20
[24]
논문
Legge, (Harry) Walter (1906–1979)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1-00
[25]
서적
[26]
서적
Geoffrey Parsons: Among Frien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