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다리새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다리새우는 최대 230mm까지 자라는 새우의 일종으로, 멕시코에서 페루 북부까지의 동태평양 연안에 서식한다. 20세기 후반부터 양식이 시작되어, 2000년대 이후 아시아에서도 양식되며, 2004년에는 세계 생산량이 보리새우를 넘어섰다. 저염분 및 고밀도 환경에 대한 내성이 강하지만, 여러 질병에 취약하다. 한국에서는 수입되어 냉동 새우 형태로 유통되며, 블랙타이거의 대체재로 소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리새우과 - 대하 (생물)
대하는 서해안과 중국에 서식하며 20~30cm까지 자라는 큰 새우로, 한국 서해안에서 가장 큰 새우 종이며, 다양한 요리법으로 즐겨 먹고, 일본에서 "다이쇼 에비"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개체 수 감소에 대응하여 어린 대하 방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보리새우과 - 블랙타이거
블랙타이거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분포하며 식용으로 양식되는 보리새우과 새우의 일종으로, 빠른 성장 속도와 염분 내성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양식되지만, 환경 문제와 질병, 생태계 영향 등의 문제도 야기한다. - 식용 갑각류 - 바닷가재
바닷가재는 집게발을 가진 바닷가재과의 갑각류로, 단단한 외골격, 푸른색 피, 긴 수명, 다양한 해저 서식지, 잡식성 특징을 가지며 식용으로 활용되지만 종교적으로 금기시되기도 하고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54종이 알려져 있다. - 식용 갑각류 - 대게
대게는 북서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해역에 서식하는 암적색의 십각목 홍게과 게로, 겨울철 별미로 인기가 높지만 과도한 어획과 기후변화로 개체 수 감소 문제가 심각하며, 수컷과 암컷에 따라 다양한 지역 명칭으로 브랜드화되어 판매된다.
흰다리새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itopenaeus vannamei |
명명자 | Boone, 1931 |
이전 학명 | Penaeus vannamei Boone, 1931 |
영명 | White leg shrimp Pacific white shrimp King Prawn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갑각아문 |
강 | 연갑강 |
목 | 십각목 |
아목 | 근새아목 |
과 | 보리새우과 |
속 | 흰다리새우속 |
생산 | |
글로벌 생산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
2. 형태
흰다리새우는 최대 몸길이 230mm, 갑각 길이 90mm까지 자란다.[3][8] 부리는 적당히 길며, 등쪽에 7~10개, 배쪽에 2~4개의 이빨이 있다.[3][8]
흰다리새우는 멕시코 소노라주에서 페루 북부까지 동태평양 연안에 서식한다.[3][8] 연중 수온이 20°C 이상인 해역에만 서식한다.[4] 성체는 수심 72m 이내의 해양에, 어린 새우는 기수역에 서식한다.[3][8]
20세기 말, 흰다리새우는 야생 어획량이 감소하고 양식 생산량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1973년 파나마에서 포획된 새우를 이용하여 플로리다에서 처음 양식이 시작되었다.[4]
한국에서는 흰다리새우가 주로 수입되어 소비되며, 껍질을 벗긴 냉동 새우 형태로 유통된다. 보리새우의 근연종으로 취급되며, 블랙타이거 대체재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2013년에는 일부 호텔과 레스토랑에서 흰다리새우를 얼룩새우로 표시하여 판매한 것이 식재료 위장 문제로 발각되기도 하였다.[12]
흰다리새우는 해산물 요리에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다. 새우의 일종으로, 게살, 바닷가재 등과 함께 어패류에 속한다.
[1]
간행물
2011-06-08
3. 분포 및 서식지
4. 양식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부화장 유생, 사료 개발, 성장 과정 기술 발전, 냉동 시설 및 시장 채널 등의 발전을 통해 흰다리새우 양식이 발전했다. 멕시코에서 페루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국가에서 1970년대와 80년대에 대규모 생산 지역이 개발되었으며, 에콰도르는 이 유형의 새우 생산에서 세계적인 선두 주자 중 하나가 되었다.
2000년대 초부터 아시아는 흰다리새우를 양식 사업에 도입했다. 중국, 베트남, 인도 등도 주요 포장 국가가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양식장에서 생산된 새우의 포장량은 해양에서 잡은 야생 새우의 양을 넘어섰다. 해양 어획과 양식 모두 날씨 변화와 질병의 영향을 받는다.
2004년까지 흰다리새우의 세계 생산량은 1116000ton에 달했으며, 블랙 타이거의 생산량을 넘어섰다.[4]
흰다리새우는 엘니뇨 현상 시기에 생산량이 정점을 찍지만, 라니냐 현상 시기에는 질병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한다.[9] 흰 반점병, 타우라 증후군Taura syndrome영어, 전염성 피하 및 조혈 괴사Infectious hypodermal and hematopoietic necrosis영어, 바큘로바이러스성 중장선 괴사증, 비브리오 속 감염 등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9] 급성 간 췌장 괴사증에도 민감하며 치사율이 높다. 그러나 담수를 포함한 저염분 수, 고밀도, 질병에 대한 내성이 비교적 뛰어나, 양식 방법이 확립된 1990년대에는 중국,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양식이 이루어지게 되었다.[10]
2010년 그린피스는 흰다리새우를 "씨푸드 레드 리스트"에 추가했는데, 이는 몇몇 국가에서 광대한 맹그로브 숲 파괴, 새우 양식에 공급하기 위한 치하 새우 남획, 심각한 인권 침해 등의 이유 때문이다.[11]
대한민국에서는 TransparentSea Farm과 같은 스타트업에서 재순환 양식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 양식 기술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5]
5. 한국에서의 이용
6. 해산물
참조
[2]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3]
웹사이트
"''Penaeus vannamei'' (Boone, 1931)"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06-08
[4]
웹사이트
"''Penaeus vannamei'' (Boone, 1931)"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06-08
[5]
웹사이트
How an urban shrimp farm in Downey is offering an innovative, sustainable alternative to overfishing
https://abc7.com/shr[...]
2022-06-22
[6]
웹사이트
Greenpeace International Seafood Red list
http://www.greenpeac[...]
[7]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8
UN
2018-07-23
[8]
웹사이트
"''Penaeus vannamei'' (Boone, 1931)"
http://www.fao.org/f[...]
국제연합식량농업기관
2011-06-08
[9]
웹사이트
"''Penaeus vannamei'' (Boone, 1931)"
http://www.fao.org/f[...]
국제연합식량농업기관
2011-06-08
[10]
웹사이트
バナメイエビ
http://www.food.maru[...]
2013-11-05
[11]
웹사이트
Greenpeace International Seafood Red list
http://www.greenpeac[...]
[12]
뉴스
バナメイエビを「芝エビ」、各地で不適切表示
http://www.yomiuri.c[...]
2013-10-30
[13]
웹사이트
沖縄でエビ大量死 国内初の特定伝染病 蔓延なら重大損害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