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게는 몸 색깔이 암적색을 띠는 게의 일종으로, 수컷은 다리를 펼치면 최대 70cm까지 자란다. 북태평양,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지에 분포하며, 수심 50~1,200m의 모래 진흙 바닥에 서식한다. 잡식성이며, 조개류, 다모류 등을 먹고, 암컷은 체내 수정 후 최대 15만 개의 알을 품는다. 한국, 일본 등지에서 어획되며, 찜, 탕, 전골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지역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양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브랜드화하여 태그를 부착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맞이게상과 - 키다리게
키다리게는 Inachidae 과에 속하는 대형 게로, 다리 폭이 최대 3m에 달하며 심해에 서식하고, 온순한 성격과 위장 능력을 갖춘 잡식성 동물이며,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식용 및 전시, 연구 목적으로 이용된다. - 후쿠이현의 상징 - 구즈류강
구즈류강은 기후현과 후쿠이현의 경계에서 발원하여 일본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잦은 범람으로 "무너진 강"이라 불렸지만 비옥한 곡창지대를 형성하여 고대부터 치수 및 이수 개발이 활발했고,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 후쿠이현의 상징 - 개똥지빠귀
개똥지빠귀는 중화인민공화국 남부, 타이완, 일본, 미얀마 북부, 러시아 동부에 분포하는 겨울새로, 여름에는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남하하여 월동하며, 몸길이는 약 24cm이고 색채 변이가 크며,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곤충이나 과실 등을 먹고, 과거 일본에서는 식용으로 포획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보호 조류이다.
| 대게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명명자 | O. Fabricius, 1788 |
| 영어 이름 | Snow crab |
| 일본어 이름 | ズワイガニ (楚蟹) |
| 한국어 이름 | 대게 |
| 동의어 | Cancer phalangium O. Fabricius, 1780 non J. C. Fabricius, 1775 Cancer opilio O. Fabricius, 1788 Chionoecetes behringianus Stimpson, 1857 Chionoecetes chilensis Streets, 1870 Peloplastus pallasi Gerstaecker, 1856 |
| 생물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갑각아문 |
| 강 | 연갑강 |
| 아강 | 진연갑아강 |
| 목 | 십각목 |
| 아목 | 범배아목 |
| 하목 | 단미하목 |
| 과 | 케센가니과 |
| 속 | 즈와이가니속 |
| 종 | 즈와이가니 |
| 기타 | |
| ISSN | 0287-1688 |
2. 생태 및 형태
대게는 몸 전체가 암적색을 띤다. 등딱지는 부풀어 오른 삼각형 모양이며, 집게다리(제1흉각)와 제5흉각은 짧지만 제2~4흉각은 길다. 큰 수컷은 다리를 펼치면 70cm에 이른다. 수컷의 등딱지 너비는 최대 14cm이지만, 암컷은 절반 크기이다.[21] 일본산 대게는 보행지의 장절이 길어, 아종 ''C. opilio elongatus''로 분류하기도 한다.[20]
수컷과 암컷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많은 어획 지역에서 이름이 다르다. 수컷은 에치젠가니, 마쓰바가니, 요시가니, 타이자가니 등으로 불리고,[23] 암컷은 암컷대게, 오야가니, 콧페가니, 코우바코가니,[22] 세코가니, 세이코가니, 쿠로코가니 등으로 불린다.[23]
대게는 일본 야마구치현 동쪽 일본해와 이바라키현 동쪽부터 캐나다까지의 북태평양, 오호츠크해, 베링해에 널리 분포한다. 수심 50~1,200m의 모래 진흙 바닥에 서식하며, 특히 수심 200~600m의 심해와 수온 0~3℃의 수역을 선호한다.[19][20][21]
대게는 잡식성으로, 조개류와 다모류 등을 먹고, 해저에 떨어진 어패류, 해양 포유류 등의 사체, 자신의 껍질도 먹는다. 성체가 되기까지 약 10년이 걸리며, 수컷은 11령에 어획 허가 크기인 등딱지 너비 90mm를 넘는다. 최종령부터는 4년 정도 생존한다.[34]
2. 1. 번식
대게는 번식 잠재력이 높으며, 모든 암컷은 매년 알을 품는다. 암컷은 체내 수정을 하며, 짝짓기 후 최대 15만 개의 알을 배 아래에 품을 수 있다.[10] 경상도에서는 배 부분이 호빵처럼 둥근 모양의 배딱지를 가진 암컷 대게를 '빵게'라고 부르며, 알을 5만 개 품고 있어 연중 포획이 금지되어 있다.암컷은 식물 부유물질 퇴적물과 같이 매우 깊은 바다 지역에 알을 낳는다. 수컷은 성장 단계와 성숙 단계 모두에서 짝짓기가 가능하다.[10] 산란기는 처음에는 6~7월, 이후에는 2~4월이다.[24]
대게 유생은 조에아 단계에서 스스로 헤엄칠 수 있으며, 이후 메갈로파 단계를 거쳐 해저에 정착한다. 100일에서 120일 만에 어린 게가 되어 저서 생활을 시작한다.[26]
3. 분포
대게는 북서대서양과 북태평양에 널리 분포한다. 북서대서양에서는 그린란드, 뉴펀들랜드, 세인트로렌스 만, 스코티아 대륙붕 근처에서 발견된다.[2] 북태평양에서는 알래스카에서 북쪽 시베리아까지, 그리고 베링 해협을 거쳐 알류샨 열도, 일본, 한국에 이르는 지역에서 서식한다.[5]
바렌츠해에서는 1996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이곳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되지만, 어떻게 유입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6]
일본의 야마구치현 동쪽 일본해와 이바라키현 동쪽부터 캐나다까지의 북태평양, 오호츠크해, 베링해에 널리 분포한다.
4. 어업
대게는 주로 저층 트롤과 통발로 어획된다.[32] [33] [34] 한국에서는 TAC 제도를 통해 어획량을 관리하고 있으며, 자원 보호를 위해 암컷 대게와 어린 대게의 포획을 금지하고 있다. 암컷 대게는 '빵게'라고도 불리며, 배 부분이 호빵처럼 둥근 모양을 하고 있고, 5만 개의 알을 품고 있어 연중 포획이 금지된다. 체장 9cm 미만의 어린 대게도 연중 포획이 금지된다.
암컷 대게와 어린 대게를 불법으로 포획, 소지, 가공, 유통, 판매하는 행위는 자원 고갈의 원인이 되므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어업 기간 외에 다른 어종을 잡기 위한 저층 트롤 어업으로 인해 대게가 혼획되는 경우가 있는데, 일본에서는 혼획된 대게를 다시 바다에 방류하도록 하고 있다. 초기 조사에서는 생존율이 30%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죽은 게를 버리는 것과 다름없다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37] 이후 교토부(京都府) 농림수산기술센터 등의 조사에서는 생존율이 80%로 나타났으며,[37] 혼획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38]
1964년경부터 후쿠이현(福井県)과 효고현(兵庫県) 등에서 자원 회복을 위한 사육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9]
4. 1. 어획 현황
대게는 수심 200m~2000m 정도에서 주로 서식하며, 저층 트롤과 통발로 어획된다.[32] [33] [34] TAC 제도에 따라 해역별로 어획량 상한선이 정해져 있다.[35]자원 보호를 위해 성명에 따라 어업 제한이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니가타현(新潟県) 동쪽 해역과 도야마현(富山県) 서쪽 해역의 어업 제한이 다르다.[36]
- 니가타현 동쪽 해역: 암수 모두 10월 1일부터 이듬해 5월 31일까지 어획 가능하며, 가로폭 90mm 미만의 수컷과 미성숙 암컷은 어획이 금지된다.
- 도야마현 서쪽 해역: 암컷은 11월 6일부터 이듬해 1월 10일까지, 수컷은 11월 6일부터 이듬해 3월 20일까지 어획 가능하다. 어업 종사자들의 자율적 협정에 따라 어획량 상한선, 금어구 설정, 어업 기간 단축, 첫 산란 암컷 어획 금지, 엄격한 가로폭 제한, 미즈가니(최종 탈피 전 또는 최종 탈피 후 1년 이내의 수컷) 어획 금지 등이 시행된다.[36]
어업 기간 외에 가자미(カレイ) 등의 저층 트롤 어업으로 혼획되기도 하지만, 일본 어선에서의 포획은 금지되어 바다에 다시 방류한다. 교토부(京都府) 농림수산기술센터 등의 조사에 따르면 혼획된 대게의 생존율은 80%였다.[37] 혼획되는 게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38]
1964년경부터 후쿠이현(福井県)과 효고현(兵庫県) 등에서 자원 회복을 위한 사육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9]
2016년 일본의 대게 총 어획량은 4,153톤이었다.[40] 주요 어획 지역과 어획량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총어획량 (저인망 어업) | 2016년 어획량 순위 | 어획량 |
|---|---|---|---|
| 2004 | 5,959 (4,455) | 1 효고현 | 1,016 |
| 2005 | 4,849 (3,636) | 2 돗토리현 | 939 |
| 2006 | 5,996 (4,226) | 3 홋카이도 | 894 |
| 2007 | 5,970 (4,367) | 4 후쿠이현 | 433 |
| 2008 | 5,308 (3,806) | 5 이시카와현 | 388 |
| 2009 | 4,717 (3,288) | 6 니가타현 | 197 |
| 2010 | 4,809 (3,352) | 7 시마네현 | 110 |
| 2011 | 4,439 (3,122) | 8 교토부 | 76 |
| 2012 | 4,353 (2,976) | 9 야마가타현 | 42 |
| 2013 | 4,181 (2,734) | 10 도야마현 | 34 |
| 2014 | 4,348 (2,745) | 11 아키타현 | 14 |
| 2015 | 4,412 | ||
| 2016 | 4,153 |
5. 요리
대게는 겨울철 별미로 인기가 높다. 찜 요리, 전골, 샤브샤브, 스시, 사시미 등으로 먹는다. 몸통, 게장, 알이 모두 식용으로 사용된다. 탈피 직후의 대게는 담백한 풍미를 즐길 수 있다.[41]
6. 오해
대게는 다리가 대나무처럼 길고 마디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大'와 동음이의어이고 몸이 커서 '큰 게'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름 때문에 세발낙지와 함께 종종 오해를 일으키곤 한다.
7. 지역 명칭 및 브랜드
한국과 일본에서는 지역에 따라 대게를 부르는 명칭이 다양하다. 수컷은 마쓰바가니, 에치젠가니, 가노가니 등으로 불리며,[23] 암컷은 암컷대게, 오야가니, 콧페가니, 코우바코가니,[22] 세코가니, 쿠로코가니 등으로 불린다.[23]
일본 각지에서는 대게의 지방명이 있으며, 수컷과 암컷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42][43] 대표적인 지방 명칭으로는 에치젠가니와 마쓰바가니가 있다.[43]
일부 어항에서는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대게를 지역 브랜드화하여 다리에 색깔이 다른 태그를 부착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여기에는 브랜드, 어획 어선명, 소속 어항 등이 명시된다.
탈피 직후의 수컷 즈와이가니는 미즈가니라고 불리며,[42] 후쿠이현에서는 즈보가니, 돗토리현에서는 와카마쓰바가니라고 불린다.[48]
8. 근연종

-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 붉은킹크랩 (자포니쿠스): 오피리오보다 수심이 깊은 곳에 서식한다. 다리, 몸통의 배면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암갈색이며, 가열하면 전체적으로 선명한 적색을 띤다. 일본해, 북한, 러시아 등에서 어획된다. 오피리오보다 껍질이 부드러워 냉동에는 적합하지 않다. 가열하면 살이 쉽게 줄어들지만, 신선한 경우 단맛이 가장 강하며, 자포니쿠스의 회는 오피리오보다 맛있는 경우가 있다. 가스미항에서 어획된 자포니쿠스는 보존 문제로 효고현에서만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가스미가니로 브랜드화되었다.[29] 1906년 미국의 해양 조사선 알바트로스호가 일본해 사도 해역 수심 960m에서 채집한 1마리의 개체에 의해, 미국의 해양생물학자 메리 래스번이 1932년에 기재했다. 일본에서는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았고, 1950년 다지마 해역에서 채집한 11마리의 개체에 의해 야마모토 코우지가 일본어 이름을 붙였다. 도야마만에서는 1941년부터 붉은 게라고 불리며, 자망으로 대량으로 포획되고 있다. 현재 산인 해역이 주요 어장이다. 자원 보호를 위해 처음부터 암컷은 어획되지 않았다.[30]
9.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Chionoecetes opilio (O. Fabricius, 1788)
http://www.marinesp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1-01-19
[2]
논문
Growth, spati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enthic stages of th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in Bonne Bay, Newfoundland, Canada
[3]
서적
Crabs of the Atlantic Coast of Canada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
[4]
서적
Crabs of Japan
[5]
논문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distribution limits and abundance trends on the Scotian Shelf
https://web.archive.[...]
2011-05-05
[6]
논문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 a new invasive crab species becoming an important player in the Barents Sea ecosystem
http://www.ices.dk/s[...]
[7]
웹사이트
Chionoecetes opilio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17-09-06
[8]
논문
Stomach contents of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Decapoda, Brachyura) from the Northeast Newfoundland Shelf
https://web.archive.[...]
2011-05-05
[9]
논문
Two corophioid amphipods commensal on spider crabs in Newfoundland
http://research.libr[...]
[10]
논문
Multiple reproductive strategies in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11]
논문
Cannibalism in th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O. Fabricius) (Brachyura: Majidae), and its potential importance to recruitment
[12]
웹사이트
The Senator Case – A new turn in Norway's dealings with foreign vessels operating in the waters off Svalbard
https://web.archive.[...]
2019-07-10
[13]
웹사이트
Bering Sea Snow Crab Season Closed
https://www.adfg.ala[...]
[14]
웹사이트
Billions of snow crabs have disappeared from the waters around Alaska. Scientists say overfishing is not the cause
https://www.cnn.com/[...]
2022-10-16
[15]
웹사이트
Billions gone: what’s behind the disappearance of Alaska snow crabs?
https://www.theguard[...]
2022-10-20
[16]
서적
Fauna Groenlandica
[17]
웹사이트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http://species-ident[...]
2011-01-19
[18]
논문
Systema Brachyurorum: Part I. An annotated checklist of extant Brachyuran crabs of the world
http://rmbr.nus.edu.[...]
[19]
서적
原色日本大型甲殻類図鑑 II
保育社
[20]
논문
日本海南西部鳥取県沿岸およびその周辺に生息するカニ類
http://www.pref.tott[...]
2011-03-30
[21]
간행물
おさかな瓦版 No.2
http://www.fra.affrc[...]
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2004-12
[22]
서적
(제목 없음)
[23]
서적
新装版 詳細図鑑 さかなの見分け方
講談社
[24]
논문
大和堆におけるズワイガニの分布と最終脱皮サイズ
https://doi.org/10.2[...]
1993
[25]
웹사이트
ズワイガニの生態と漁業 - 成熟と産卵(応用編)
http://www.pref.kyot[...]
2011-05-27
[26]
논문
ズワイガニ幼生の生残と発育日数に及ぼす水温の影響
公益社団法人日本水産学会
2005-03-15
[27]
논문
若狭湾沖に生息するズワイガニの産卵数
公益社団法人日本水産学会
2006-07-15
[28]
웹사이트
オオズワイガニ、浦河・様似沖で大発生 カレイ漁に打撃、巨額損害か
https://www.hokkaido[...]
2023-05-30
[29]
웹사이트
水揚げされる主な魚の紹介 香住ガニ(標準和名:ベニズワイガニ)
http://www.jftajima.[...]
但馬漁業協同組合
[30]
서적
日本海の幸 -エビとカニ-
あしがら印刷出版部
[31]
웹사이트
食材図鑑
https://www2q.biglob[...]
[32]
웹사이트
沖合底びき網漁業とは
http://jamarc.fra.af[...]
水産研究・教育機構 開発調査センター
[33]
웹사이트
ベニズワイガニ漁業
http://www.pref.tott[...]
鳥取県
[34]
웹사이트
平成28年度ズワイガニ オホーツク海系群の資源評価
http://abchan.fra.go[...]
水産庁増殖推進部漁場資源課
[35]
웹사이트
平成27年漁期TAC(漁獲可能量)設定に関する意見交換会
https://www.jfa.maff[...]
水産庁
[36]
웹사이트
ズワイガニ漁業(応用編)
http://www.pref.kyot[...]
[37]
논문
京都府沖合における底曳網によるズワイガニ水ガニの入網数とリリース直後の生残率
https://doi.org/10.2[...]
[38]
논문
京都府沖合におけるカレイ漁に使用する駆け廻し式底曳網の選別網によるズワイガニの混獲防除
公益社団法人日本水産学会
2007-01-15
[39]
웹사이트
ズワイガニ種苗生産研究
http://www.hyogo-sui[...]
[40]
웹사이트
平成28年漁業・養殖業生産統計
https://www.e-stat.g[...]
[41]
뉴스
高級食材カニ 出世の歩み◇かつては肥料 高度成長期に「かにすき」誕生、産地の努力で変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1-08
[42]
웹사이트
1「ズワイガニ」ってどんなカニ?
http://www.pref.kyot[...]
[43]
웹사이트
わが国の水産業
http://www.fish-jfrc[...]
[44]
웹사이트
マツバガニとズワイガニについての説明
http://mokuyouichi.c[...]
[45]
웹사이트
高級なズワイガニのブランド名と地域を知りたい
https://osakana.suis[...]
2024-01-01
[46]
웹사이트
日本海西部におけるズワイガニのブランド名
https://jsnfri.fra.a[...]
2024-01-01
[47]
웹사이트
「新潟県産ズワイガニの価格向上を目指して」-肥満度を使った新しい選別-1
https://www.pref.nii[...]
2024-01-01
[48]
웹사이트
ズワイガニ
http://www.pref.tott[...]
[49]
웹사이트
香箱ガニ
http://www.ikgyoren.[...]
2022-12-30
[50]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