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해산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해산물은 식용으로 사용되는 바다, 강, 호수 등의 수생 동식물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인류는 구석기 시대부터 해산물을 섭취해 왔으며,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등에서도 중요한 식량원이었다. 해산물은 어류, 연체동물, 갑각류, 기타 수생 동물, 수생 식물 및 미소식물로 분류되며, 참치, 명태, 새우, 굴, 김 등이 대표적이다. 해산물은 DHA, EPA 등 신경 발달과 인지 기능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건강에 이로운 영향을 미치지만, 해양 독소, 미생물, 오염 물질 등 건강상의 위험도 존재한다.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노력과 해산물 소비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교에 따라 해산물 섭취에 대한 규정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해산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주요 출처바다, , 호수, 양식장
포함 종류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극피동물
기타 수생 동물
소비
세계 소비량연간 1억 톤 이상
주요 소비 지역아시아, 유럽, 북미
1인당 소비량2017년 기준 세계 평균 1인당 20kg
건강 관련
주요 영양소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 D
비타민 B12
아이오딘
건강상 이점심혈관 질환 예방, 뇌 기능 개선
잠재적 위험중금속 오염, 미세 플라스틱
지속 가능성
어업 남획심각한 문제, 일부 종은 멸종 위기
양식업환경 오염 및 질병 문제
지속 가능한 어업MSC 인증 등
문화적 측면
요리스시
피시 앤 칩스
해산물 파스타
해산물 찜
기타 다양한 요리
종교적 의미일부 종교에서는 해산물을 특정 의식에 사용
기타
관련 산업어업
양식업
가공업
유통업
관련 법규어업 규제, 식품 안전 관련 법규

2. 역사

수산물의 채취, 가공 및 섭취는 구석기 시대부터 이어져 온 오래된 관행이다.[3][2] 남아프리카 공화국 피나클 포인트의 해식동굴에서 발견된 증거에 따르면, 호모 사피엔스는 16만 5천 년 전부터 해양 생물을 채취했다.[3] 네안데르탈인도 초기 호모 사피엔스와 동시대에 지중해 연안에서 해산물을 섭취한 것으로 보인다.[4]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해산물이 소비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 강에서 잡은 물고기가 주식이었고,[8]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에서는 코리쿠스의 오피안의 ''할리우티카''에 기록될 정도로 다양한 해산물이 소비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해산물이 금식 기간 동안 고기를 대체하는 음식으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키퍼스톡피시와 같은 보존 기술이 발달했다.

현대에는 수생 종의 생식 주기에 대한 지식과 양식 기술이 발달하고, 패류 중독의 위험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해산물 보존 및 가공 방법이 개선되었다.

2. 1. 고대 사회의 해산물

수산물의 채취, 가공 및 섭취는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관행이다.[3][2] 남아프리카 공화국 피나클 포인트의 해식동굴에서 발견된 증거에 따르면, 호모 사피엔스는 16만 5천 년 전부터 해양 생물을 채취했다.[3] 네안데르탈인도 초기 호모 사피엔스와 동시대에 지중해 연안에서 해산물을 섭취한 것으로 보인다.[4] 4만 년 전 동아시아의 티엔위안인 유골에 대한 동위원소 분석 결과, 이들이 민물고기를 정기적으로 먹었음을 알 수 있다.[5][6]

패총,[7] 버려진 어류 뼈, 동굴벽화 등은 해산물이 생존에 중요했고 많이 소비되었음을 보여준다.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렵 채집인 생활을 했고, 레펜스키 비르와 같은 초기 정착지는 어업을 주요 식량원으로 삼았다.

고대 나일 강에는 물고기가 풍부하여, 신선하거나 말린 생선이 주식이었다.[8] 이집트인들은 어업 도구와 방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무덤 그림, 파피루스 문서 등에 묘사되어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어업의 낮은 사회적 지위 때문에 어업 장면이 드물게 묘사되었다. 그러나 코리쿠스의 오피안은 ''할리우티카''(Halieulica)라는 해양 어업에 관한 책을 저술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관련 서적이다. 그리스 섬과 해안에서는 신선한 생선과 해산물(오징어, 문어, 조개류)이 흔했고, 정어리와 멸치는 아테네 시민들의 일반적인 음식이었다. 기원전 3세기 후반 아크라이피아의 비석에는 어류 가격 목록이 있는데, 앵무조개가 가장 저렴했고 대서양 참다랑어는 세 배나 비쌌다.[10] 황다랑어, 붉은 도다리, 가오리, 황새치, 철갑상어 등도 흔했다. 코파이스 호는 장어로 유명했다.

고대 로마의 어업 관련 그림은 모자이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11] 놀래기는 한때 사치의 상징으로 여겨져 식탁에서 천천히 죽도록 하는 관습도 있었다. 그러나 제국 시대 초기에 이러한 관습은 사라졌다.

2. 2. 중세 시대의 해산물

중세 시대에 해산물은 다른 동물성 고기보다 덜 고급스러운 음식으로 여겨졌으며, 종종 금식일에 고기를 대신하는 음식으로 생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산물은 많은 해안 지역 주민들의 주식이었다. 북해에서 잡은 청어로 만든 키퍼는 콘스탄티노플까지 멀리 떨어진 시장에서도 발견될 수 있었다.[12] 많은 양의 생선이 신선하게 소비되었지만, 상당 부분은 소금에 절이거나 말렸고, 적은 양은 훈제되었다. 스톡피시는 중간에 쪼개어 기둥에 고정하고 말린 대구로, 매우 흔했지만 조리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다. 조리하기 위해서는 물에 담그기 전에 말린 생선을 망치로 두드려야 했다. 해안과 강가에 사는 사람들은 다양한 연체동물(, 홍합, 가리비)을 먹었고, 민물 가재는 금식일에 고기를 대신할 수 있는 좋은 음식으로 여겨졌다. 특히 중앙 유럽 내륙 지역에서는 생선이 고기보다 훨씬 비쌌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해산물을 먹는 것이 선택 사항이 아니었다.[13]

2. 3. 현대의 해산물

수생 종의 생식 주기에 대한 현대적인 지식은 양식장의 개발과 양식 및 수산 양식 기술의 향상으로 이어졌다. 날것과 덜 익힌 생선과 조개류를 섭취하는 것의 위험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보존 방법과 가공이 개선되었다.

3. 해산물의 종류

참치, 명태는 원양어업의 대표적인 생산물이다. 나 초밥에 이용되는 어류는 거의 대부분 양식하여 생산한다. 이 외에도 , 미역, 다시마, 청각, 우뭇가사리, 문어, 소라, 전복, 투구게, , 가재, 성게, 해삼, 멍게, 미더덕 등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이 식용으로 사용된다.

FAO(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의 ISSCAAP 분류(국제 수생 동물 및 식물 표준 통계 분류)에 따른 해산물 종류와 2010년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14][15]

그룹이미지하위 그룹설명2010년 생산량
(1,000톤)
어류
해양 중층성참치, 고등어, 연어33,974
해양 저층성대구, 넙치, 가오리23,806
양서류연어, 장어5,348
담수잉어, 틸라피아, 메기43,511
연체동물
이매패류, 가리비, 홍합12,585
복족류전복, 소라526
두족류문어, 오징어, 갑오징어3,653
갑각류
새우6,917
1,679
가재281
크릴215
기타따개비1,359
기타 수생 동물
극피동물해삼, 성게 등373
해파리404
기타멍게, 미더덕336
수생 파충류바다거북296+
수생 식물 및 미소식물
해조류, 미역, 다시마
미소식물스피루리나 등
수생 식물연꽃
총계168,447


3. 1. 어류

참치, 명태는 원양어업의 대표적인 생산물이다. 나 초밥에 이용되는 어류는 거의 대부분 양식하여 생산한다.

다음 표는 FAO(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가 어업 통계를 수집 및 편집하는 데 사용하는 ISSCAAP 분류(국제 수생 동물 및 식물 표준 통계 분류)를 기반으로 한다.[14] 생산량은 FAO FishStat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었으며,[15] 야생 어업의 포획과 양식 생산량 모두 포함된다.

그룹이미지하위 그룹설명2010년 생산량
(1,000톤[15])
어류어류는 물에 사는 척추동물로, 지느러미가 없고 아가미로 숨을 쉬며, 단단한 연골 두개골로 보호되는 머리를 가지고 있다.106,639
해양
중층성
중층성 어류는 바다 표면 근처 또는 수층에서 살고 먹이를 먹지만, 바다 바닥에서는 살지 않는다. 주요 수산물 그룹은 더 큰 포식성 어류(상어, 참치, 빌피시, 돌돔, 고등어, 연어)와 더 작은 먹이성 어류(청어, 정어리, 멸치, 안초비, 메나덴)로 나눌 수 있다. 더 작은 먹이성 어류는 플랑크톤을 먹고, 어느 정도 독소가 축적될 수 있다. 더 큰 포식성 어류는 먹이성 어류를 먹고, 먹이성 어류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으로 독소를 축적한다.33,974
해양
저층성
저층성 어류는 바다 바닥이나 바닥 근처에서 살고 먹이를 먹는다.[16] 일부 수산물 그룹은 대구, 넙치, 자리돔가오리이다. 저층성 어류는 주로 바다 바닥에서 발견되는 갑각류를 먹으며, 중층성 어류보다 더 정착성이다. 중층성 어류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강력한 수영 근육의 특징인 붉은 살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저층성 어류는 일반적으로 흰 살을 가지고 있다.23,806
양서류소하성 어류는 바다와 담수 사이를 이동하는 물고기이다. 일부 수산물 그룹은 연어, 멸치, 장어칠성장어이다.5,348
담수담수어는 , 호수, 저수지 및 연못에 서식한다. 일부 수산물 그룹은 잉어, 틸라피아, 메기, 농어, 및 송어이다. 일반적으로 담수어는 바다 물고기보다 양식에 더 적합하며, 여기 보고된 톤수의 대부분은 양식 어류를 나타낸다.43,511


3. 2. 연체동물

연체동물(라틴어 ''molluscus''에서 유래, "부드러운"을 의미)은 갑각류처럼 분절되지 않은 부드러운 몸을 가진 무척추동물이다. 이매패류복족류는 연체동물이 자람에 따라 자라는 석회질 껍데기로 보호된다.

2010년 연체동물 생산량 (1,000톤)[15]
하위 그룹이미지설명생산량
이매패류이매패류는 때때로 조개라고도 하며, 두 개의 경첩이 있는 껍데기로 보호된다. 패각은 이매패류의 보호 껍데기를 부르는 이름이므로, 이매패류는 문자 그대로 "두 개의 껍데기"를 의미한다. 중요한 수산물 이매패류에는 , 가리비, 홍합피조개가 있다. 이들 대부분은 여과 섭식을 하며, 포식으로부터 안전한 해저의 퇴적물 속에 몸을 묻는다. 다른 것들은 해저에 놓여 있거나 바위나 기타 단단한 표면에 부착된다. 가리비와 같은 일부 이매패류는 수영할 수 있다. 이매패류는 오랫동안 해안 지역 사회의 식단의 일부였다. 굴은 로마인들에 의해 연못에서 양식되었으며, 해양 양식은 최근에 식용 이매패류의 중요한 원천이 되었다.12,585
복족류수생 복족류는 바다 달팽이라고도 하며, 한 조각의 보호 껍데기를 가진 단각류이다. 복족류는 문자 그대로 "위-발"을 의미하는데, 위에 붙어 기어 다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수산물 그룹은 전복, 소라, 삿갓조개, 고둥갯민숭달팽이이다.526
두족류]| 오징어를 제외한 두족류는 외부 껍데기로 보호되지 않는다. 두족류는 문자 그대로 "머리-발"을 의미하는데, 머리에서 나온 것처럼 보이는 다리가 있기 때문이다. 시력과 지능이 뛰어나다. 두족류는 물 제트로 자신을 추진하고 먹물로 "연막탄"을 뿌린다. 예로는 문어, 오징어갑오징어가 있다. 많은 문화권에서 먹는다. 종에 따라 팔과 때때로 다른 신체 부위가 다양한 방식으로 준비된다. 문어는 점액, 냄새 및 잔여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제대로 삶아야 한다. 오징어는 일본에서 인기가 있다. 지중해 국가와 영어권 국가에서는 오징어를 종종 오징어라고 부른다.[17] 오징어는 이탈리아에서 인기가 있고 말린 오징어가 동아시아의 간식이지만, 오징어보다 덜 먹는다. 참고: 오징어 (음식) 문어 (음식).3,653
기타위에 포함되지 않은 연체동물은 군소이다.4,033
총계20,797


3. 3. 갑각류

갑각류(라틴어 ''crusta''에서 유래, "껍질"을 의미)는 단단한 껍질(외골격)로 보호되는 분절된 몸을 가진 무척추동물이다. 이 껍질은 주로 키틴으로 만들어지며, 기사의 갑옷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다. 껍질은 자라지 않으므로 주기적으로 벗겨내거나 탈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각 마디에서 두 개의 다리 또는 사지가 나온다. 대부분의 상업용 갑각류는 십각류이며, 열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고, 복안은 안자루에 있다. 껍질은 요리하면 분홍색이나 빨간색으로 변한다. 2010년 갑각류 총 생산량은 11,827,000 톤에 달한다.[15]

하위 그룹이미지설명2010년 생산량
(1,000톤[15])
새우새우는 길고 가시가 있는 로스트룸이 있는 작고 가늘며, 긴 안자루가 있는 열 개의 다리를 가진 갑각류이다.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의 해안과 하구의 해저 근처뿐만 아니라 강과 호수에서도 발견된다.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많은 종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특정 서식지에 적응한 종이 있다. 새우와 비슷한 작은 갑각류는 새우라고 불리는 경향이 있다.[18] 참고: 새우 (음식), 새우 어업, 새우 양식, 민물 새우 양식.6,917
는 긴 안자루가 있는 열 개의 다리를 가진 갑각류로, 일반적으로 옆으로 걷고, 앞다리 한 쌍으로 집게발을 잡는다. 복부가 작고, 촉각이 짧으며, 넓고 평평한 짧은 갑각을 가지고 있다. 킹크랩과 코코넛 크랩도 일반적으로 포함되지만, 이들은 진짜 게와 다른 십각류 그룹에 속한다. 참고: 게 어업.1,679[19]
가재가재바닷가재는 긴 복부를 가진 긴 안자루가 있는 열 개의 다리를 가진 갑각류이다. 가재는 앞다리 한 쌍으로 큰 비대칭 집게발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는 으깨는 데, 하나는 자르는 데 사용한다. 바닷가재는 큰 집게발이 없지만, 길고 가시가 있는 더듬이와 가시가 있는 갑각을 가지고 있다. 가재는 대부분의 새우나 게보다 크다. 참고: 가재 어업.281[20]
크릴크릴은 작은 새우와 비슷하지만, 외부 아가미와 열 개가 넘는 다리(유영용, 먹이용 및 손질용 다리)를 가지고 있다. 전 세계 바다에서 거대한 중층성 무리로 여과 섭식을 한다.[21] 새우와 마찬가지로 해양 먹이 사슬의 중요한 부분이며, 더 큰 동물이 소비할 수 있는 형태로 식물성 플랑크톤을 전환한다. 매년 더 큰 동물들이 추정 크릴 생물량(약 6억 톤)의 절반을 먹는다.[21] 인간은 일본과 러시아에서 크릴을 섭취하지만, 수확된 크릴의 대부분은 사료와 기름 추출에 사용된다. 크릴 오일은 어유와 마찬가지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참고: 크릴 어업.215
기타위에 포함되지 않은 갑각류는 거위목 조개, 큰 따개비, 갯가재 및 브라인 쉬림프이다.[22]1,359


3. 4. 기타 수생 동물

성게, 해삼, 멍게, 미더덕은 어류가 아닌 수생 동물로, 한국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식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기타 수생 동물
종류특징 및 요리
성게가시가 있는 껍질 안에 있는 생식소(알)를 주로 먹으며, 성게알 또는 성게소라고 불린다. 신선한 상태로 먹거나 초밥, 비빔밥 등에 사용된다.
해삼몸통 전체를 식용으로 사용하며,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주로 볶음, 찜, 탕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멍게특유의 향과 쌉쌀한 맛이 특징이며, 주로 회로 먹거나 멍게비빔밥으로 먹는다.
미더덕오만둥이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찜이나 탕에 넣어 먹으면 독특한 향과 식감을 즐길 수 있다.


3. 5. 수생 식물 및 미소식물

(1,000톤)[15]수생 식물 및 미소식물colspan="3" |19,893해조류해조류는 미세조류와 달리 더 크고 거시적인 조류 형태를 의미한다. 다세포 홍조류, 갈조류, 녹조류 등이 해조류에 속한다.[44] 식용 해조류는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육상 식물과 달리 완전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45] 해조류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전통적으로 섭취되어 왔다.[46]미소식물미소식물은 미세한 유기체이며, 조류, 박테리아 또는 균류일 수 있다. 미세조류는 또 다른 유형의 수생 식물이며, 인간과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종을 포함한다. 스피루리나 (정제 형태로 표시)는 시아노박테리아의 한 유형이다.수생 식물식용 수생 식물은 물에서의 삶에 적응한 꽃피는 식물과 고사리이다. 사지타리아, 물밤나무, 갈대, 물냉이, 연꽃, 마실레아 등이 있다.


4. 해산물 가공

식용어는 요리 직전에 바로 죽여 먹는 것을 선호하는 국제 시장의 수요에 맞춰 값비싼 수조에 담겨 운반되기도 한다. 물 없이 살아있는 생선을 운반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49] 일부 해산물 식당에서는 전시용이나 문화적 신념 때문에 살아있는 생선을 수족관에 보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식용으로 보관된다. 홍콩의 활어 유통은 2000년 활어 수입량을 15,000톤 이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추산되며, 세계자원연구소에 따르면 당시 세계 매출액은 4억달러로 추산된다.[50]

4. 1. 전통적인 가공 방법

생선은 매우 부패하기 쉬운 식품이다. 죽은 생선의 "비린내"는 아미노산이 폴리아민과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48]

냉장 유통 체계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 식품은 일반적으로 부패하여 포장에 인쇄된 유통기한 전에 유해해진다. 썩은 생선을 섭취할 때 소비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유제품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미국 (미국)FDA는 특정 신선 냉장 해산물 제품에 시간 온도 지시약을 사용하도록 규정을 도입했다.[51]

신선한 생선은 매우 부패하기 쉬워서 즉시 먹거나 버려야 하며, 짧은 시간 동안만 보관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신선한 생선은 필레로 만들어져 잘게 부순 얼음이나 냉장고 위에 진열되어 판매된다. 신선한 생선은 일반적으로 물가 근처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냉장 열차와 트럭 운송의 발달로 내륙 지역에서도 신선한 생선을 더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52]

생선의 장기적인 보존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가장 오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건조염장이다. 건조(완전 건조)는 대구와 같은 생선을 보존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부분 건조 및 염장은 청어와 고등어와 같은 생선을 보존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연어, 참치, 청어와 같은 생선은 조리되어 통조림으로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생선은 통조림으로 만들기 전에 필레로 만들어지지만, 일부 작은 생선(예: 정어리)은 통조림으로 만들기 전에 머리만 자르고 내장을 제거한다.[53]

4. 2. 현대적인 가공 방법

미국 버지니아주의 아시아계 슈퍼마켓의 생선


홍콩 시장에서 판매하는 생선


광저우 광둥식 식당의 해산물 수조


생선은 매우 부패하기 쉬운 식품이다. 죽은 생선의 "비린내"는 아미노산이 폴리아민과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48]

살아있는 식용어는 종종 값비싼 수조에 담아 운반되는데, 이는 해산물을 요리 직전에 바로 죽여 먹는 것을 선호하는 국제 시장 때문이다. 물 없이 살아있는 생선을 운반하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49] 일부 해산물 식당에서는 전시용이나 문화적 신념 때문에 살아있는 생선을 수족관에 보관하지만, 대부분의 살아있는 생선은 식용으로 보관된다. 예를 들어, 홍콩의 활어 유통은 2000년 활어 수입량을 15,000톤 이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자원연구소에 따르면, 당시 세계 매출액은 4억달러로 추산된다.[50]

냉장 유통 체계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 식품은 일반적으로 부패하여 포장에 인쇄된 유통기한 전에 유해해진다. 썩은 생선을 섭취할 때 소비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유제품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미국 (미국)FDA는 특정 신선 냉장 해산물 제품에 시간 온도 지시약을 사용하도록 규정을 도입했다.[51]

신선한 생선은 매우 부패하기 쉬워서 즉시 먹거나 버려야 하며, 짧은 시간 동안만 보관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신선한 생선은 필레로 만들어져 잘게 부순 얼음이나 냉장고 위에 진열되어 판매된다. 신선한 생선은 일반적으로 물가 근처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냉장 열차와 트럭 운송의 발달로 내륙 지역에서도 신선한 생선을 더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52]

생선의 장기적인 보존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가장 오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건조염장이다. 건조(완전 건조)는 대구와 같은 생선을 보존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부분 건조 및 염장은 청어와 고등어와 같은 생선을 보존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연어, 참치, 청어와 같은 생선은 조리되어 통조림으로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생선은 통조림으로 만들기 전에 필레로 만들어지지만, 일부 작은 생선(예: 정어리)은 통조림으로 만들기 전에 머리만 자르고 내장을 제거한다.[53]

5. 해산물과 건강

해산물은 전 세계적으로 고품질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며, 전 세계 동물성 단백질 소비량의 14~16%를 차지한다. 1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해산물을 주요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의존하고 있다.[54][55] 그러나 생선은 가장 흔한 식품 알레르기 물질 중 하나이기도 하다.

1960년 이후 연간 세계 해산물 소비량은 1인당 20kg 이상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최대 소비국은 대한민국(1인당 78.5kg), 노르웨이(66.6kg), 포르투갈(61.5kg)이다.[56]

영국 식품표준청은 매주 최소 두 번의 해산물 섭취를 권장하며, 그중 하나는 기름이 많은 생선이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해산물에는 도코사헥사엔산(DHA)과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같은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해양 독소, 미생물, 식품 매개 질환, 방사성 핵종 오염 및 인공 오염 물질 등 여러가지 위험 요소도 존재한다. 특히, 선진국에서는 필수 지방과 미량 영양소가 풍부한 어류의 부위(머리, 내장, 뼈, 비늘 등)를 자주 버려, 칼슘, 칼륨, 셀레늄, 아연 및 요오드와 같은 미량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77][78]

5. 1. 건강상의 이점

해산물은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주요 단백질 공급원 중 하나이며, 특히 10억 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동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다.[54][55] 1960년 이후 세계 해산물 소비량은 1인당 20kg 이상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한국은 1인당 78.5kg으로 가장 많은 해산물을 소비하는 국가이다.[56]

고등어, 청어와 같은 기름진 생선은 장쇄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뇌 기능 등 인체 생물학적 기능에 필수적이다. 대구나 명태와 같은 흰살 생선은 지방과 칼로리가 매우 낮으며, 기름진 생선과 함께 섭취하면 관상동맥 질환 예방, 튼튼한 뼈와 치아 발달에 도움이 된다. 갑각류는 건강한 피부, 근육, 생식력에 필수적인 아연이 풍부하다. 카사노바는 하루에 50개의 을 먹었다고 알려져 있다.[57][58]

해산물에 함유된 도코사헥사엔산(DHA)과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은 신경 발달과 인지 기능에 도움이 되며, 특히 어린 시절에 효과가 크다.[64][65]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어류를 "자연이 준 최고의 식품"이라고 묘사했다.[66] 해산물 섭취는 임신[67][68] 및 유아기[69] 신경 발달 개선,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다.[70] 또한, 어류 섭취는 치매, 폐암, 뇌졸중 위험 감소와도 관련이 있다.[71][72][73]

2020년 메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어류 섭취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 암, 심혈관 질환, 뇌졸중 및 기타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2~4회 섭취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제안되었다.[74] 그러나 다른 메타 분석에서는 어류 섭취와 암 위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75][76]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의 일부로 어린이의 경우 주당 약 113.40g, 성인의 경우 주당 약 226.80g~약 340.19g의 적당한 어류 섭취를 권장한다.[79]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는 주당 최소 2회(약 약 283.50g)의 어류 섭취를 권장한다.[80]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주당 약 283.50g~약 566.99g의 어류 섭취를 권장한다.[81]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의 일부로 적당한 어류 섭취를 권장합니다.

5. 2. 건강상의 위험

플로리다산 바라쿠다는 시구아테라 어독 중독(CFP) 위험이 높아 섭취를 피해야 한다. 벨리즈산 바라쿠다는 카리브해에 시구아테라를 유발하는 디노플라젤라류가 적어 위험도가 낮다. 따라서 어류의 기원과 생활사를 아는 것은 건강 위해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이다.


메틸수은, 미세플라스틱, 폴리염화비페닐(PCB) 등의 유기 및 무기 화합물은 최상위 포식자황새치와 마린과 같이 위험 수준까지 생물 축적될 수 있다.


수산물의 건강 위해를 평가할 때는 해양 독소, 미생물, 식품 매개 질환, 방사성 핵종 오염, 인공 오염 물질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77] 조개류는 가장 흔한 식품 알레르겐 중 하나이다.[82] 이러한 위험은 수산물이 잡힌 시기와 장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통해 대부분 완화하거나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관련 정보와 실행 가능한 정보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며, 수산물 산업의 잘못된 표시 문제로 인해 안전한 제품을 선택하기가 더욱 어렵다.[83]

시구아테라 어독 중독(CFP)은 디노플라젤라류가 생성한 독소를 섭취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산호초 어류의 간, 알, 머리, 내장에 생물 축적된다.[84] 이는 수산물 섭취와 관련된 가장 흔한 질병이며 소비자에게 가장 큰 위험을 초래한다.[77] 이 독소를 생성하는 플랑크톤 개체군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적조에서 볼 수 있다. 특정 어류의 시구아테라 위험을 평가하려면 기원과 생활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종종 부정확하거나 이용할 수 없다.[85] 시구아테라는 다른 수산물 관련 건강 위해에 비해 비교적 널리 퍼져 있지만(매년 최대 5만 명이 시구아테라로 고통받음), 사망률은 매우 낮다.[86]

스콤브로이드 식중독은 부적절하게 보관 또는 가공된 히스타민 함량이 높은 생선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수산물 질병이다.[87]

어류와 조개류는 메틸수은(수은의 고독성 유기 화합물), 폴리염화비페닐(PCB),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무기 및 유기 독소와 오염 물질을 체내에 축적하는 경향이 있다. 먹이 사슬 상위에 있는 상어, 황새치, 왕고등어, 참다랑어, 타일피시는 이러한 생물 축적 물질의 농도가 더 높다. 생물 축적 물질은 어류의 근육 조직에 저장되며, 포식성 어류가 다른 어류를 섭취하면 섭취한 어류의 생물 축적 물질 전체를 흡수한다. 따라서 먹이 사슬 상위에 있는 종은 섭취하는 종보다 10배 더 높은 생물 축적 물질을 축적하며, 이를 생물 증폭이라고 한다.[88]

인재는 수산물에 국지적인 위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어류 먹이 사슬을 통해 널리 확산될 수 있다. 인간에게 널리 퍼진 수은 중독의 첫 번째 사례는 1950년대 일본 미나마타에서 발생했다. 인근 화학 공장의 폐수에서 배출된 메틸수은이 어류에 축적되어 사람들이 섭취했고, 심각한 수은 중독은 현재 미나마타병으로 알려져 있다.[89][77] 2011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1947년부터 1991년까지 마셜 제도 핵실험으로 인해 지역 해양 생물이 위험한 수준으로 방사성 핵종에 오염되었으며, 후자의 경우 2008년에도 남아 있었다.[90][77]

JAMA의 널리 인용되는 연구는 메틸수은, 다이옥신 및 폴리염화비페닐에 대한 심혈관 건강 위험과 어류 섭취와 신경계 결과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정부 및 MEDLINE 보고서와 메타 분석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적당한 어류 섭취(주 1~2회)의 이점은 성인과 임신 가능 연령의 여성(일부 특정 어종 제외)에게 위험보다 크다. 위험과 이점에 대한 혼란으로 인해 적당한 어류 섭취를 피하는 것은 매년 수천 건의 과잉 CHD[선천성 심장병] 사망과 어린이의 최적이 아닌 신경 발달을 초래할 수 있다."[70]

6. 해산물과 종교

대부분의 이슬람 율법에서는 해산물 섭취를 허용하지만, 한발파에서는 장어를 먹는 것을 금지하며, 샤피이파에서는 개구리와 악어를 먹는 것을 금지하며, 하나피파에서는 조개나 잉어같은 바닥에서 사는 해산물을 먹는 것을 금지한다.[106] 유대교 율법인 카슈르트에서는 조개류와 장어를 먹는 것을 금지한다.[107] 구약성서에서 모세 언약에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참어를 먹는 것을 허용했지만, 조개류와 장어는 가증스러운 것으로 보아 금지했다.[108]

신약성경 누가복음에는 예수부활 후 생선을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09] 요한복음 21장에는 부활 후 예수가 제자들에게 생선을 잡을 곳을 알려주고 아침 식사로 생선 요리를 만들어 먹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10]

페스카토리언 식단은 초기 기독교에서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에게 널리 퍼져 있었다.[111] 고대와 중세 시대에 가톨릭교회는 사순절 동안 고기, 달걀, 유제품 섭취를 금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것들이 "[생선보다] 음식으로서 더 큰 즐거움을 주고 인체에 더 큰 영양을 공급하여, 그 결과 정액에 더 많은 여분이 생기고, 이것이 풍부해지면 욕정을 크게 자극한다"고 주장했다.[112] 미국에서는 고기 금식의 가톨릭 관행이 사순절 금요일의 생선 요리를 유행하게 했고,[113] 본당에서는 종종 사순절에 생선 요리를 후원한다.[114] 주로 로마 가톨릭 지역에서는 식당에서 사순절 동안 메뉴에 해산물을 추가하여 메뉴를 조정하기도 한다.[115]

7. 지속 가능한 해산물

여러 해산물 종의 개체 수 추세에 대한 연구는 2048년까지 전 세계 해산물 종의 붕괴를 경고하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오염과 어획 과잉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한다.[99]

하지만, 국립 어업 연구소와 같은 단체는 어류 개체 수 감소가 자연적인 변동 때문이며, 기술 발전으로 해양 생물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반박한다.[105]

7. 1. 지속 가능한 해산물을 위한 노력

여러 해산물 종의 개체 수 추세에 대한 연구는 2048년까지 전 세계 해산물 종의 붕괴를 가리키고 있다. 일부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러한 붕괴는 오염과 어획 과잉으로 인해 발생하여 해양 생태계를 위협할 것이라고 한다.[99]

2006년 11월 ''Science'' 저널에 발표된 주요 국제 과학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어업 자원의 약 1/3이 붕괴되었으며(붕괴는 최대 관찰 풍부도의 10%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됨), 현재 추세가 계속된다면 전 세계 모든 어류 자원이 50년 이내에 붕괴될 것이라고 한다.[100] 2009년 7월, ''Science'' 2006년 11월 연구의 저자인 달하우지 대학교의 보리스 웜은 원래 연구의 비평가 중 한 명인 시애틀 워싱턴 대학교의 레이 힐본과 함께 세계 어업 현황에 대한 업데이트를 공동 저술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좋은 어업 관리 기술을 통해 고갈된 어류 자원도 부활시켜 다시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101] 2020년 8월에 발표된 분석에 따르면, 수산물은 이론적으로 2050년까지 현재 수확량에 비해 36~74%까지 지속 가능하게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생산 잠재력이 지속 가능하게 실현될지는 정책 개혁, 기술 혁신 및 미래 수요 변화의 정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02][103]

FAO의 2004년 세계 어업 및 양식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 평가 정보가 있는 주요 어류 자원 또는 자원 그룹 중 약 1/4이 어획 과잉, 고갈 또는 고갈에서 회복 중이었으며(각각 16%, 7%, 1%) 재건이 필요했다.[104]

미국 수산업계를 대표하는 무역 옹호 단체인 국립 어업 연구소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들은 현재 관찰되는 어류 개체 수 감소는 자연적 변동 때문이며, 향상된 기술이 결국 인류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105]

참조

[1] 웹사이트 Fish and seafood consumption https://ourworldinda[...]
[2] 뉴스 African Bone Tools Dispute Key Idea About Human Evolution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News
[3] 뉴스 African Cave Yields Earliest Proof of Beach Living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News 2007-10-17
[4] 웹사이트 Neanderthals ate shellfish 150,000 years ago: study http://phys.org/news[...] Phys.org 2011-09-15
[5] 논문 Stable isotope dietary analysis of the Tianyuan 1 early modern human 2009
[6] 웹사이트 First direct evidence of substantial fish consumption by early modern humans in China http://www.physorg.c[...] 2009-07-06
[7] 웹사이트 Coastal Shell Middens and Agricultural Origins in Atlantic Europe http://www.york.ac.u[...]
[8] 웹사이트 Fisheries history: Gift of the Nile https://web.archive.[...] 2006-11-10
[9]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FAO 2012-07-22
[10]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11] 이미지 Image of fishing illustrated in a Roman mosaic https://web.archive.[...] 2011-07-17
[12]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002
[13]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004
[14] 웹사이트 ASFIS List of Species for Fishery Statistics Purposes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2-07-22
[15]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FAO
[16] 웹사이트 Coastal fish – Fish of the open sea floor http://www.teara.gov[...] 2009-03-02
[17] 사전 Definition of calamari http://m-w.com/dicti[...] 2023-08-18
[18] 서적 Shrimp: The Endless Quest for Pink Gold https://books.google[...] FT Press 2009
[19] 문서 Includes crabs, sea spiders, king crabs and squat lobsters
[20] 문서 Includes lobsters, spiny-rock lobsters
[21] 서적 Krill Fisheries of the World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997
[22] 웹사이트 Brine Shrimp Artemia as a Direct Human Food https://web.archive.[...] 2022-01-30
[23] 논문 Global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marine mammals 2011
[24] 뉴스 Native Alaskans say oil drilling threatens way of life https://www.bbc.co.u[...] 2010-07-20
[25] 뉴스 Warning over contaminated whale meat as Faroe Islands' killing continues http://www.theecolog[...] 2010-11-26
[26] 뉴스 Greenpeace: Stores, eateries less inclined to offer whale http://search.japant[...] 2008-03-08
[27] 잡지 What Does Whale Taste Like? http://www.slate.com[...] 2010-03-11
[28]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1988
[29] 뉴스 Details on how Japan's dolphin catches work http://search.japant[...] 2009-09-23
[30] 웹사이트 Eskimo Art, Inuit Art, Canadian Native Artwork, Canadian Aboriginal Artwork https://web.archive.[...] Inuitarteskimoart.com 2013-05-30
[31] 웹사이트 Seal Hunt Facts https://web.archive.[...] Sea Shepherd 2008-10-11
[32] 뉴스 Mercury danger in dolphin meat http://search.japant[...] 2009-09-23
[33] 논문 Eating Turtles in Ancient China 1962
[34] 웹사이트 Appendices https://web.archiv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and Fauna 2007-02-03
[35] 논문 Status of Nesting Populations of Sea Turtles in Thailand and Their Conservation http://www.seaturtle[...] 1995
[36]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Endangered Species http://www.iucnredli[...] 2012-04-12
[37] 웹사이트 Wild product's versatility could push price beyond $2 for Alaska dive fleet http://www.nationalf[...] National Fisherman 2008-08-01
[38] 서적 The Ecology of Strongylocentrotus franciscanus and Strongylocentrotus purpuratus
[39] 서적 Oxford Companion to Food
[40] 서적 Sea Urchin Roe Cuisine
[41] 논문 Jellyfish fisheries in southeast Asia 2001
[42] 논문 Jellyfish as food 2001
[43] 논문 Traditional Chinese food technology and cuisine http://apjcn.nhri.or[...] 2004
[44] 서적 Marine Algae of the Monterey Peninsula, California Stanford Univ. 1944
[45] 논문 Nutritional evaluation of some subtropical red and green seaweeds: Part I –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profiles and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2000
[46] 웹사이트 Seaweed as Human Food http://www.seaweed.i[...] Michael Guiry's Seaweed Site 2011-11-11
[47] 웹사이트 Spotlight presenters in a lather over laver https://www.bbc.co.u[...] BBC 2005-05-25
[48] 서적 Marine Animal and Plant Products Blackwell Publishing 2007
[49] 웹사이트 WIPO http://www.wipo.int/[...] 2009-05-01
[50] 웹사이트 The live reef fish trade http://marine.wri.or[...] The World Resources Institute
[51] 웹사이트 La Rosa Logistics Inc 14-Jan-03 https://www.fda.gov/[...] Fda.gov 2012-04-02
[52] 논문 Seafood Safety and Quality: The Consumer's Role 2016-10-28
[53] 논문 Effect of Cold Smoking and Natural Antioxidants on Quality Traits, Safety and Shelf Life of Farmed Meagre (Argyrosomus regius) Fillets, as a Strategy to Diversify Aquaculture Products 2021-10-21
[5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55] 논문 Fish as food: aquaculture's contribution Ecological and economic impacts and contributions of fish farming and capture fisheries 2001
[56] 웹사이트 How much fish do we consume? First global seafood consumption footprint published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science and knowledge service 2018-09-27
[57] 논문 Aphrodisiacs-Then and Now http://heinonline.or[...] 2001
[58] 서적 Consider the Oyster: A Shucker's Field Guide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7
[59] 웹사이트 FishBase http://www.fishbase.[...] 2017-12-30
[60] 웹사이트 The Science of Seaweeds https://www.american[...] 2017-02-06
[61] 웹사이트 What does it take to live at the bottom of the ocean? http://www.bbc.com/e[...]
[62] 웹사이트 Why Does The Sea Smell Like The Sea? https://www.popsci.c[...] 2014-08-19
[63] 서적 Seafood Handbook: The Comprehensive Guide to Sourcing, Buying and Prepar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
[64] 논문 Beyond building better brains: bridging the docosahexaenoic acid (DHA) gap of prematurity 2014-10-30
[65] 논문 Nutrition for the Brain: Commentary on the article by Isaacs et al. on page 308 2008-03-01
[66] 간행물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Contributing to Food Security and Nutrition for AIL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6
[67] 논문 Maternal seafood consumption in pregnancy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childhood (ALSPAC study):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2007-02
[68] 논문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of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pplementation with fish oil and borage oil in preterm infants 2004-04
[69] 논문 Fish Intake During Pregnancy and Early Cognitive Development of Offspring 2004-07
[70] 논문 Fish Intake, Contaminants, and Human Health 2006-10-18
[71] 논문 Fish Consumption and Lung Cancer Ris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www.tandfonl[...]
[72] 논문 Association between fish consumption and risk of dementia: a new study from China an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73] 논문 Fish Consumption and Stroke Risk: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https://pubmed.ncbi.[...]
[74] 논문 Fish consumption and multiple health outcomes: Umbrella review https://www.scienced[...]
[75] 논문 Fish Consumption and the Risk of Chronic Disease: An Umbrella Review of Meta-Analyse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https://academic.oup[...]
[76] 논문 Consumption of Fish and ω-3 Fatty Acids and Cancer Risk: An Umbrella Review of Meta-Analyses of Observational Studies https://academic.oup[...]
[77] 서적 Seafood: Ocean to the Plate Routledge
[78] 간행물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on the Risks and Benefits of Fish Consumption https://www.fao.org/[...] 2010-01
[79] 웹사이트 Advice About Eating Fish https://www.fda.gov/[...] 2020-05-08
[80] 웹사이트 Fish and shellfish https://www.nhs.uk/l[...] 2020-05-09
[81] 웹사이트 《中国居民膳食指南(2016)》核心推荐_中国居民膳食指南 http://dg.cnsoc.org/[...] 2020-05-09
[82] 웹사이트 Common Food Allergens https://web.archive.[...] Food Allergy & Anaphylaxis Network 2007-06-24
[83] 논문 The Minderoo-Monaco Commission on Plastics and Human Health
[84] 서적 Seafood Poisoning Elsevier 2019
[85] 논문 Karenia: The biology and ecology of a toxic genus 2012-02
[86] 논문 Ciguatera Fish Poisoning—New York City, 2010-2011 2013-03-20
[87] 웹사이트 Scombroid Fish Poisoning https://www.cdph.ca.[...] 2024-03-22
[88] 논문 Microplastics in Seafood and the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2018
[89] 논문 Minamata: Pollution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in Postwar Japan, by Timothy S. George. Cambridge, MA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xxi + 385 pp., $45.00 (hardcover ISBN 0-674-00364-0), $25.00 (paperback ISBN 0-674-00785-9) 2002-10-01
[90] 서적 Consequential Damages of Nuclear War 2020-03-26
[91] 서적 The bad bug book :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natural toxins handbook https://www.fda.gov/[...]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 Applied Nutrition
[92] 서적 Oceana study reveals seafood fraud nationwide Oceana
[93] 논문 Opinion: To create sustainable seafood industries, the United States needs a better accounting of imports and exports
[94] 논문 Trade secrets: Renaming and mislabeling of seafood 2008-05
[95] 웹사이트 FishWatch – Fraud https://www.fishwatc[...] 2018-12-21
[96] 논문 Seafood Species Substitution and Economic Fraud https://www.fda.gov/[...] 2018-11-03
[97] 논문 Using DNA barcoding to track seafood mislabeling in Los Angeles restaurants 2017-05-10
[98] 논문 Seafood Substitutions Obscure Patterns of Mercury Contamination in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or "Chilean Sea Bass" 2014-08-05
[99] 뉴스 World Seafood Supply Could Run Out by 2048 Researchers Warn http://www.boston.co[...] boston.com 2007-02-06
[100] 뉴스 'Only 50 years left' for sea fish http://news.bbc.co.u[...] BBC News 2006-11-02
[101] 뉴스 Study Finds Hope in Saving Saltwater Fis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8-04
[102] 뉴스 Food from the sea: Sustainably managed fisheries and the future https://phys.org/new[...] 2020-09-06
[103] 논문 The future of food from the sea 2020-08-19
[104] 웹사이트 The Status of the Fishing Fleet https://web.archiv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20-05-22
[105] 뉴스 Seafood Could Collapse by 2050, Experts Warn https://www.nbcnews.[...] NBC News 2007-07-22
[106] 웹사이트 Is seafood Haram or Halal? http://www.questions[...] 2008-12-23
[107] 웹사이트 Yoreh De'ah – Shulchan-Aruch Chapter 1 http://www.torah.org[...]
[108] 웹사이트 Deuteronomy 14:9–10 and Leviticus 11:9–12 http://www.biblegate[...]
[109] 성경 Luke 24:42
[110] 성경 John 21:1-14
[111] 서적 Religious Vegetarianism: From Hesiod to the Dalai Lama SUNY Press 2001-05-31
[112] 웹사이트 Summa Theologica, Q147a8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0-08-27
[113] 뉴스 You can take the girl out of Wisconsin, but the lure of its food remains http://findarticles.[...] 2003-12-08
[114] 뉴스 For Lent, Parishes Lighten Up Fish Fry https://www.washingt[...] 2007-03-02
[115] 뉴스 Seafood promos aimed to 'lure' Lenten observers http://findarticles.[...] 1990-02-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