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메지 화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메지 화물역은 1994년 3월 21일, 기존 히메지역에서 화물 영업을 이전받아 개업한 일본화물철도 산요 본선의 화물역이다. 1995년 히메지 기관구 등의 기능을 통합하여 히메지 종합 철도부가 설치되었으나 2003년 해소되었고, 2005년에는 히메지 벳쇼역이 개업하였다. 2면의 컨테이너 승강장, 여러 하역선, JR 화물 히메지 영업소를 갖추고 있으며, 컨테이너 화물, 산업 폐기물, 특별 산업 폐기물을 취급한다. JR 서일본은 히메지 화물역 구내에 수소 스테이션 설치를 검토하며 화물 철도 수송의 탈탄소화를 추진하고 있다. 인접역으로는 소네역과 고차쿠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메지시의 철도역 - 히메지역
히메지역은 효고현 히메지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산요 신칸센, JR 고베선, 반탄선, 기신선이 지나가는 교통 중심지이자 히메지성으로 향하는 관문이며, 쇼핑 센터와 편의시설을 갖춘 복합 시설로 기능한다. - 히메지시의 철도역 - 메가역
효고현 히메지시에 위치한 메가역은 1923년 개통된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의 역으로, 지역의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으며 S특급과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과천역
과천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7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철역으로 과천시 주거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공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과 인접해 있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도원역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1994년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교육, 체육 시설과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고, 완행 열차는 모든 승강장에, 급행 및 특급 열차는 일부 승강장에 정차한다. - 산요 본선 - 신시모노세키역
신시모노세키역은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 위치한 JR 서일본의 산요 신칸센과 산요 본선 역으로, 1901년 이치노미야역으로 개업 후 1975년 산요 신칸센 개통과 함께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신칸센 승무원 훈련 센터가 병설되어 있고 화물 취급이 재개된, 연간 157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야마구치현 내 주요 역이다. - 산요 본선 - 모지역
모지역은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모지구에 위치한 JR큐슈의 철도역으로 가고시마 본선과 산요 본선이 연결되는 교통 중심지이며, 1891년 개업 후 간몬터널 개통과 함께 현재 위치로 이전하여 기타큐슈 지역의 중요한 교통 및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히메지 화물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히메지 화물역 |
로마자 표기 | Himeji Kamotsu |
위치 | 효고현 히메지시 벳쇼초 벳쇼 아자 나카하타 |
![]() | |
전보 약호 | 헤시 (←히메카) |
운영 정보 | |
소속 사업자 | 일본화물철도 (JR화물) |
노선 | 산요 본선 |
영업 거리 | 고베 기점 48.4km, 오사카 기점 81.5km |
역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94년 3월 21일 |
폐지일 | 해당 없음 |
비고 | 화물 전용 역,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 히메지벳쇼역과 동일 지점 |
인접역 | |
산요 본선 | 전 역: 소네 (2.0km) 후 역: 고차쿠 (2.1km) |
2. 역사
- 1994년 3월 21일 - 히메지역에서 화물 영업을 이관받아 개업.[2]
- 1995년 7월 1일 - 히메지 기관구 등을 통합하여 히메지 종합 철도부 설치.[2]
- 2003년 10월 - 2002년 3월 이후 히메지 종합 철도부 해소.
- 2005년 3월 1일 - 역 북쪽 본선에 히메지 벳쇼역 개업.
2. 1. 1994년 개업
1994년 3월 21일, 히메지역에서 이루어지던 화물 영업을 이전받아 개업했다.[2]2. 2. 1995년 히메지 종합 철도부 설치
1995년 7월 1일, 히메지 기관구(승무원 기지) 등의 기능을 통합하여 히메지 종합 철도부가 설치되었다.[2] 이는 1994년 3월 21일 히메지역에서 이루어지던 화물 영업을 이전하는 형태로 히메지 화물역이 개업하면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조직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조치였다. 히메지 종합 철도부 설치로 인해 히메지 화물역을 중심으로 한 화물 운송 체계가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2003년 10월 (2002년 3월 이후) 히메지 종합 철도부는 해소되었다.2. 3. 2003년 히메지 종합 철도부 해소
2002년 (헤이세이 14년) 3월 이후 늦어도 2003년 (헤이세이 15년) 10월 무렵까지 히메지 종합 철도부가 해소되었다. 이는 1995년 (헤이세이 7년) 7월 1일에 히메지 기관구(승무원 기지) 등의 기능을 통합하여 설치된 지 약 8년 만의 일이었다.[2]2. 4. 2005년 히메지 벳쇼역 개업
2005년 3월 1일, 히메지 화물역 북쪽 본선(JR 고베선)상에 히메지 벳쇼역이 개업하였다.3. 역 구조
히메지 화물역은 컨테이너 승강장, 발착선 하역 방식(E&S 방식)을 채용하는 하역선, 발착선, 측선 등을 갖추고 있다.[1] JR 화물 히메지 영업소가 병설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히메지 종합 철도부도 설치되어 있었다.
3. 1. 컨테이너 승강장 및 하역선
2면의 컨테이너 승강장, (E&S 방식)을 채용하는 3개의 발착 하역선, 1개의 발착선, 그 외 몇 개의 측선을 갖추고 있다.[1] 또한, 영업 창구인 JR 화물 히메지 영업소가 병설되어 있다.컨테이너 홈은 연장 500m이며 2면으로 구성되어 있고[1], 3개의 착발 하역선은 (E&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1]
3. 2. JR 화물 히메지 영업소
영업 창구인 JR 화물 히메지 영업소가 설치되어 있다. 과거에는 히메지 종합 철도부도 설치되어 있었다.3. 3. 히메지 종합 철도부 (과거)
과거 히메지 종합 철도부가 설치되어 있었다.4. 취급 화물
컨테이너 화물과 산업 폐기물, 특별 산업 폐기물을 취급한다. 12ft 컨테이너, 20ft 및 30ft 대형 컨테이너, 20ft ISO규격 해상 컨테이너를 취급하며, 산업 폐기물 및 특별 산업 폐기물 취급 허가를 획득했다. 화물 열차 발착이 없는 고야마역과의 사이에 트럭편이 하루 2회 왕복 운행된다.
4. 1. 컨테이너 화물
다음과 같이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한다.또한, 산업 폐기물, 특별 산업 폐기물 취급 허가를 얻었다.[1]
4. 2. 산업 폐기물 및 특별 산업 폐기물
산업 폐기물 및 특별 산업 폐기물 취급 허가를 받았다.4. 3. 고야마역 트럭편
화물 열차 발착이 없는 고야마역과의 사이에 트럭편이 하루 2회 왕복 운행되고 있다.[1]4. 4. 수소 스테이션 설치 검토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는 환경 장기 목표 "JR 서일본 그룹 제로 카본 2050"을 발표했으며, 이 목표의 일환으로 히메지 화물역에 "종합 수소 스테이션"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4] 이 스테이션은 연료전지 열차, 버스, 트럭 등에 수소를 공급하는 거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5. 인접역 정보
소네역 - '''히메지 화물역'''(히메지 벳쇼역) - 고차쿠역
5. 1. 산요 본선
소네역 - '''히메지 화물역'''(히메지 벳쇼역) - 고차쿠역참조
[1]
뉴스
姫路貨物駅が使用開始
交通新聞社
1993-03-25
[2]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
[3]
PDF
鉄道アセット活用による水素利活用の検討開始について
https://www.westjr.c[...]
JR西日本
[4]
뉴스
JR西、姫路に「水素ステーション」検討 鉄道やバスなどの供給拠点、2030年代までに設置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