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091형 잠수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091형 잠수함은 중국이 개발한 최초의 핵추진 공격 잠수함으로, 1958년 핵잠수함 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1974년 첫 번째 잠수함이 실전 배치되었으며, 1990년 마지막 잠수함이 진수되었다. 091형은 소음 문제와 방사능 누출 사고 등 기술적 결함이 있었으며, 인근 해역에서 운용되었다. 1994년 미국 항공모함 타격단을 감시하고, 2004년 일본 영해를 침범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5척 중 2척이 퇴역하고 3척이 현역으로 활동 중이며, 퇴역한 잠수함 중 한 척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잠수함 - 096형 잠수함
    096형 잠수함은 중국 해군이 개발 중인 차세대 전략 핵잠수함으로, 2020년 건조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최신형 JL-3 SLBM 24발을 탑재하여 기존 094형 진급 잠수함을 대체할 예정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잠수함 - 035형 잠수함
    035형 잠수함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소련 로미오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개발한 재래식 잠수함으로,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일부는 수출되기도 하고 훈련 중 사고로 인명 피해를 입기도 했다.
  • 잠수함 함급 - 시울프급 잠수함
    시울프급 잠수함은 냉전 시대 소련 잠수함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해군이 개발한 정숙성과 고속 잠항 능력이 뛰어난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이지만, 막대한 건조 비용으로 3척만 건조되었고, 정보 수집, 감시,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지미 카터함은 특수 임무 수행을 위해 개조되었다.
  • 잠수함 함급 - 시에라급 잠수함
    시에라급 잠수함은 소련/러시아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으로, 티타늄 합금 선체를 사용하여 경량화와 저소음 성능을 달성했으며, 미국 SSBN/SSN 저지를 목표로 개발된 945형(시에라 I급)과 945A형(시에라 II급)으로 나뉜다.
091형 잠수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한급 SSN 프로필
한급 SSN 프로필
1993년의 091형 잠수함
1993년의 091형 잠수함
함급 정보
함급 명칭한급
함 종류핵잠수함
건조 조선소보하이 조선소, 후루다오
이전 함급해당 없음
다음 함급093형
건조 기간해당 없음
취역 기간1974년–현재
총 건조 함선 수5척
총 계획 함선 수해당 없음
총 완공 함선 수5척
총 취소 함선 수해당 없음
총 활동 함선 수3척
총 퇴역 함선 수2척
총 보존 함선 수해당 없음
함선 특징
함 종류핵잠수함
401, 402호함5,100 톤 (수중)
403, 404, 405호함5,600 톤 (수중)
동력해당 없음
401, 402호함1 x 48 메가와트 핵 반응로
403, 404, 405호함1 x 58 메가와트 핵 반응로
항속 거리무제한
내구해당 없음
시험 심도해당 없음
승무원해당 없음
센서소나
전자전해당 없음
무장어뢰 발사관
장갑해당 없음
항공기해당 없음
항공기 시설해당 없음
참고해당 없음
기타 정보
비고출처 명기

2. 역사

091형 잠수함(나토 코드명: 한급 잠수함)의 개발은 1958년 7월 중앙군사위원회마오쩌둥의 승인으로 시작된 "09 프로젝트"로부터 비롯되었다.[2] 주설계자는 黄旭华|황쉬화중국어였다.

대약진 운동과 핵무기 프로그램과의 자원 경쟁으로 개발이 지연되기도 했지만, 1965년에 재개되어 1974년에 첫 번째 함(401호)이 취역하였다.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두 번째 함(402호)의 취역은 1980년으로 늦춰졌다. 초기형(401, 402)은 기계적 문제와 방사선 차폐 문제 등으로 신뢰성이 낮았다.[2]

이후 선체 길이를 연장하고 원자로를 개량한 후기형(403, 404, 405)이 건조되었다.[2] 1988년, 404호 함은 설계 최대 운용 심도인 300미터까지 잠수하는 데 성공했다.[2] 1990년에 마지막 5번 함이 진수되었다.[3]

091형은 주로 인근 해역에서 운용되었으며, 1994년 10월에는 키티 호크 항공모함 타격단을 감시하여 대치 상황을 유발하기도 했다.[3][4] 2004년 11월에는 대만 근처 이시가키 섬 (오키나와현의 일부) 인근의 일본 영해에 진입하여 일본 해상자위대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두 번째로 경계 태세를 갖추기도 했다.[5]

초기형은 육상용 가압수형 원자로를 잠수함용으로 개조하는 과정에서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방사능 누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1번함은 1974년에 취역했지만, 약 10년 동안은 완전히 운용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이로 인해 중국 국내에는 방사능 오염 장애 전문 병원인 "해군 409핵상전과병원"이 새롭게 설립되기도 했다.

2. 1. 개발 배경

중국은 소련의 핵잠수함 기술 지원 거부 이후 독자적인 개발을 추진했다. 1958년 7월, 중국의 핵잠수함 프로그램인 "09 프로젝트"는 중앙군사위원회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았다. 1959년 10월, 마오쩌둥은 소련이 지원을 거부한 후 이 프로그램의 진행을 명령했다.[2] 대약진 운동과 우선순위를 가지고 유사한 자원을 사용했던 핵무기 프로그램으로 인해 작업 속도가 늦춰졌다. 잠수함 프로그램은 1963년 3월에 연기되었고, 중국의 첫 번째 핵무기 실험 이후인 1965년 3월에 재개되었다.[2] 일시 중단 기간 동안 외국 민간 핵 해양 추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다.[2] 1965년 7월, 더 강력하지만 복잡한 통합 설계를 대신하여 루프 기반의 원자로가 선택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무츠''가 사용한 원자로와 가장 유사했다.[2]

이 프로그램은 첫 번째 091형과 시제품 원자로를 동시에 설계하고 건설함으로써 가속화되었다.[2] 초대 수석 설계자는 펑스루였다.[2]

2. 2. 파키스탄 임대 시도

1988년 인도소련에서 수중배수량 5,100톤의 공격원잠인 찰리급 잠수함리스하자, 인도와 군사적으로 대립 중이던 파키스탄은 이에 대한 보복조치로 중국에서 수중배수량 5,500톤의 한급 잠수함을 리스하려고 했다. 1991년 인도가 소련에 찰리급 잠수함을 반환하면서, 파키스탄의 한급 리스 계획은 취소되었다.[6][7]

3. 설계

091형은 물방울형 선체와 복각식 구조를 가지고 있다. 초기형은 소음 수준이 160~170데시벨로 매우 높아 스키프잭급이나 구 소련의 노벤버급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후기형은 140~150데시벨로 개선되어 퍼밋급 수준으로 정숙성이 떨어졌다. 주 기관은 가압수형 원자로를 사용한 터보-전기 방식(터빈 감속 방식이라는 설도 있음)을 채택했다. 그러나 육상용 원자로를 개조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방사능 누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2] 1번함은 1974년에 취역했지만, 약 10년 동안은 완전히 운용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중국은 피폭된 잠수함 승무원 등을 위한 방사능 오염 장애 전문 병원인 "해군 409핵상전과병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3. 1. 개량

3번 함부터는 선체를 8m 연장하여 거주성, 정비성, 원자력 안전성을 개선하고, 수직 발사관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기존의 어뢰 발사관에서 수평으로 발사하는 방식이었다. 선체가 연장된 주된 이유는 항행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초기형인 401호함과 402호함은 소음 수준이 160~170데시벨로 스키프잭급이나 구 소련의 노벤버급과 같은 초기 원자력 잠수함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403호함부터 405호함은 140~150데시벨로 개선되어 퍼밋급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 해군이나 해상자위대에 쉽게 탐지될 정도로 정숙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4. 운용

091형 잠수함은 5척이 건조되어 모두 북해 함대(칭다오)에 배치되었다. 1994년 10월, 091형 잠수함 한 척이 해역에서 미 해군 키티호크 항모전단을 추적하여 대치 상황을 유발하기도 했다.[3][4] 2004년 11월에는 일본 이시가키 섬 인근 영해를 침범하여 일본 해상자위대가 경계 태세를 발령하는 한급 원자력 잠수함 영해 침범 사건이 발생했다.[5]

잦은 방사능 누출 사고로 인해 창정 1호는 2003년에 예비역으로 전환되었고, 2013년에 퇴역했다.

4. 1. 퇴역 및 보존

현재 091형 잠수함 5척 중 2척이 퇴역했으며, 3척이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1번함인 창정 1호는 칭다오 중국 해군 박물관에 전시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9]

해군 박물관에 계류된 "창정 1호"(칭다오시)


"창정 1호"는 2024년 현재도 기념함으로 전시되고 있으며, 우천 시를 제외하고 함상 승함 및 견학이 가능하다.

5. 동형함

함번함명건조 공장기공진수취역퇴역소속 함대
401창정 1호보하이 조선소1968년1970년1974년2013년-
402창정 2호1974년1977년1980년2001년-
403창정 3호1980년1983년1984년북해 함대
404창정 4호1984년1987년1988년
405창정 5호1987년1990년1990년


6. 대중문화

소설 《천공의 후지산》에서 091형 잠수함이 등장한다. 동아시아 전쟁 발발 직후 남중국해에서 해상자위대오야시오급 잠수함 "구로시오"에 의해 장정 2호가 격침된다.[1]

이후, 다른 091형 잠수함 4척은 항공모함 "천안"(구 "바랴크") 호위에 투입되어, 도쿄 만 해전에서 해상자위대 함대를 기다리지만, "천안" 등 수상함 부대의 전멸로 전의를 상실하고 전선에서 이탈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China's Very First Nuclear Attack Submarines Had Some Major Fatal Flaws https://nationalinte[...] 2017-01-15
[2] 웹사이트 The achievements of CNNC during the year 2017 https://www.china5e.[...] 中国能源网 2018-12-31
[3] 뉴스 CHINESE WATCHED AS U.S. NAVY TRACKED SUB https://www.washingt[...] 1994-12-15
[4] 웹사이트 Faceoff Between U.S. Ship, Chinese Sub Is Revealed: Military: October incident in Yellow Sea highlights growing chance of naval conflict. Beijing sounds warning. https://www.latimes.[...] 1994-12-14
[5] 웹사이트 China Apologizes for Submarine Incursion http://www.voanews.c[...]
[6] 서적 China's Economic Dilemmas in the 1990s: The Problem of Reforms, Modernisation and Interdepend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7] 서적 South Asia's Nuclear Security Dilemma: India, Pakistan, and China: India, Pakistan, and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8] 간행물 Jane's Fighting Ships 2023-24
[9] 뉴스 Nuke submarine to go on display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6-10-27
[10] 웹사이트 Meet China's First Nuclear-Powered Submarine (It Was a Total Disaster) https://nationalinte[...] 2018-12-06
[11] 웹사이트 http://www.globalsec[...]
[12] 웹사이트 Type 091 Han Class http://www.globalsec[...]
[13] 간행물 海外艦艇ニュース 中国の原潜第1号を博物館へ 海人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