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7년~1838년 반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37년~1838년 반란은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에서 발생한 일련의 무력 충돌로, 당시 혼합 군주제 원칙에 따른 정부 운영과 지역 과두 정치에 대한 불만, 경제 불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났다. 로어캐나다에서는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경제적, 정치적 종속에 대한 반발이, 어퍼캐나다에서는 정치적 부패와 선거 부정에 대한 불만이 주요 원인이 되었다. 반란은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 더럼 보고서를 통해 책임 정부 수립과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의 통합을 이끌어 캐나다 정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영미 관계 및 캐나다-미국 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정체성 강화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정치사 - 캐나다 연방
캐나다 연방은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들이 통합되어 탄생한 자치령으로, 이후 확장과 자치권 확대를 거쳐 주권 국가로 발전했으며, 캐나다의 역사적 과정을 묘사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1837년~1838년 반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명칭 | 1837년~1838년 반란 |
영어 명칭 | Rebellions of 1837–1838 |
프랑스어 명칭 | Les rébellions de 1837 |
다른 명칭 | Canadian Revolution (캐나다 혁명) |
![]() | |
일부 | 대서양 혁명 |
기간 | 1837년 12월 7일 – 1838년 12월 4일 (1년) |
장소 | 영국령 어퍼캐나다, 로어캐나다 식민지 |
원인 | 정치적 불만 경제적 어려움 |
영토 변화 | 해당 사항 없음 |
결과 | 정부 승리 파트리요트 반란 진압, 캐나다 공화국 해체 헌터스 로지 패배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의 통합, 캐나다주 형성 더럼 보고서 작성 1840년 연합법 제정 캐나다에 책임정부 수립 더 캐나다스가 캐나다주로 변경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로어캐나다 샤토 클리크 |
교전국 1-a | 어퍼캐나다 족벌파 |
교전국 2 | 파트리요트 로어캐나다 공화국 |
교전국 2-a | 헌터스 로지 캐나다 공화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존 콜번 프랜시스 본드 헤드 제임스 피츠기번 조지 거넷 헨리 둔다스 앨런 맥냅 찰스 스티븐 고어 조지 오거스터스 웨더럴 |
지휘관 2 | 루이조제프 파피노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토머스 스토로 브라운 장올리비에 셰니에 로버트 넬슨 울프레드 넬슨 페르디낭알퐁스 오클로프스키 앤서니 밴 에그먼드 시릴엑토옥타브 코테 찰스 둔콤 닐스 폰 쇼울츠 |
병력 규모 | |
병력 1 | 알 수 없음 |
병력 2 | 알 수 없음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알 수 없음 |
사상자 2 | 알 수 없음 |
2. 반란의 배경
1837년 반란의 배경은 복합적이다. 대서양 혁명의 영향을 받아 공화주의 이념이 확산되었고, 이는 캐나다에도 영향을 미쳤다.[1][2][3] 캐나다 개혁가들은 미국 혁명의 공화주의에서 영감을 받아 대표 선출을 통한 시민의 정치 참여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임명제가 아닌 선거제 입법 위원회를 원했다.[4]
1836년 입법 의회 선거 부패 이후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에서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는 기존 식민지 제도 내에서는 해결이 불가능해 보였기 때문이다.[4] 영국군은 반란을 진압하여 캐나다가 공화국이 될 가능성을 종식시켰다.[4]
일부 역사학자들은 1839년 웨일스에서 일어난 차티스트(Chartist)들의 뉴포트 봉기(Newport Rising)와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한다.[5]
최근 연구는, 개혁가들이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의 공화주의를 부인하고 책임 정부라는 명목으로 국가 독립을 위한 노선을 모색하면서, 반란과 미국 애국 전쟁의 연관성을 의도적으로 잊으려 했다는 점을 강조한다.[7]
2. 1. 정치적 요인
혼합정체는 군주제, 민주제, 귀족제가 균형을 이루는 제도였다.[23] 그러나 당시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는 영국의 식민지로, 귀족제의 요소는 부족했고 식민지 주민들이 직접 선출하지 않은 상원은 역내 무역과 국가 기관, 그리고 종교를 장악한 지역 과두제 집권층이 지배하고 있었다. 로어캐나다에서 이들은 샤토파라고 불렸고, 어퍼캐나다에서 이들은 족벌파라고 불렸다. 이 두 과두제 집권층은 토리당에 기반을 두고 있었고, 각 식민지에 존재하던 정부보다 더 민주적인 정부를 요구하는 개혁 세력을 반대하고 있었다.[24]두 지역 정부는 개혁가들을 불법으로 규정했다. 로어캐나다에서는 입법부의 지명의원과 당선의원 사이의 분쟁으로 인해 모든 입법 행위가 중단되었고, 이에 따라 토리당은 존 러셀 경에게 10가지 해결안을 제정하게 해 선출 없이 상원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어퍼캐나다에서는 1836년 선거가 정치 폭력과 새로운 총독 프랜시스 본드 헤드의 사기로 인해 혼란이 가중되었다.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와 새뮤얼 론트는 이 결과 의석을 잃게 되었다. 토리당은 윌리엄 4세가 죽은 1837년 6월, 전통적인 관습을 무시한 채 의회를 해산하여 이들의 의석을 유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25]
이에 대응하여 각 주의 개혁가들은 급진적인 민주 "정치 연합"을 조직하였다. 영국의 정치연대운동은 1832년 개혁법 통과에 따라 인정받고 있었다. 로어캐나다에서 패트리어트들은 자유의 아들들의 사회를 조직했다.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는 1837년 7월 토론토 정치연대를 조직하는 것을 도왔다. 두 단체는 이후 시위를 조직하는 장이 되었고, 이는 반란으로 이어졌다.[26]
2. 2. 경제적 요인
19세기 초, 북아메리카는 경제 불황을 겪었다. 농업 생산량 감소와 국제 금융 시스템 붕괴로 많은 사람들이 빈곤에 빠졌고, 특히 농민들이 큰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14] 로어캐나다 반란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경제적, 정치적 종속으로 인해 대중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으며, 보이콧, 파업, 사보타주 등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 행동으로 이어졌다.[15]2. 3. 사회적 요인
더럼 보고서에 따르면, 로어캐나다 반란은 영국계와 프랑스계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이 분쟁은 인종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영국계' 어퍼캐나다에서의 온건한 투쟁보다 더 격렬했다.[27] 로어캐나다의 반란은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정치 및 경제적 불복종으로 인해 보이콧, 파업, 사보타주와 같은 대규모 저항으로 이어졌다. 지역 정부는 이에 맞서 마을 전체를 불태우거나 심리적 모욕, 강간과 같은 가혹한 보복을 했다.[28]두 캐나다의 헌법은 혼합 군주제 원칙, 즉 군주제, 귀족제, 민주주의의 균형을 기반으로 했지만, 식민지에는 귀족적 요소가 부족했다.[10] 선출되지 않은 입법 평의회는 지역 무역, 국가 및 종교 기관을 통제하는 과두 정치에 의해 지배되었다. 로어캐나다에서는 이들을 샤토 클리크, 어퍼캐나다에서는 패밀리 콤팩트라고 불렀다. 이들은 더 민주적인 정부를 요구하는 개혁 야당의 반대에 부딪혔다.[11]
두 주에서 개혁가들은 정부를 정당하지 않다고 여겼다. 로어캐나다에서는 입법부의 갈등으로 모든 법안이 중단되었고, 존 러셀 경의 10개 결의안으로 선거인에 대한 책임 없이 통치할 수 있게 되었다. 어퍼캐나다에서는 1836년 선거가 프랜시스 본드 헤드 경이 조직한 정치적 폭력과 사기로 얼룩졌다.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와 새뮤얼 라운트는 의석을 잃었고, 토리당은 윌리엄 4세가 사망했을 때 하원을 해산하는 관행을 무시하고 의석을 유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12]
이러한 상황에서 대서양 경제 불황의 영향으로 농부들은 큰 타격을 입었다. 1836~37년 작물 실패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농부들은 부채 징수 소송에 직면했고, 국제 금융 시스템 붕괴는 무역과 지역 은행을 위태롭게 했다.
이에 개혁가들은 급진적인 민주주의 "정치 연합"을 조직했다. 영국의 정치 연합 운동은 1832년 대개혁법 통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어캐나다에서 애국자들은 자유의 아들회를 조직했고,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는 1837년 7월 토론토 정치 연합 조직을 도왔다. 이들은 정치적 항의와 반란을 조직하는 수단이 되었다. 영국은 로어캐나다에 병력을 집중시켜 무력 사용 계획을 분명히 했고, 어퍼캐나다에는 군대가 남아 있지 않아 반란의 기회가 열렸다.[13]
2. 4. 대서양 혁명과의 연관성
1837년 캐나다에서 일어난 반란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이어진 대서양 혁명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아이티 혁명 등은 모두 공화주의 이념에 바탕을 두고 있었으며, 이는 캐나다 반란에도 영향을 미쳤다.[33][34][35]캐나다의 개혁가들은 미국의 공화주의에서 영감을 받아, 시민들이 대표를 선출하여 정치 과정에 참여할 권리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들은 입법 위원회를 임명제가 아닌 선거제로 만들고자 했다.[4] 1836년 입법 의회 선거가 부패한 후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에서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는 기존 식민지 제도의 틀 밖에서만 해결될 수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4]
그러나 1837년의 반란이 영국의 왕실로부터 독립하려는 목적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논쟁이 있다. 역사학자들은 캐나다에서 일어난 이 반란과 뒤이어 발발한 패트리어트 전쟁을 따로 보거나, 두 전쟁에서 공유된 공화주의적 추진력을 연관 짓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36]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반란 이후 개혁자들이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의 과감한 공화주의를 부인하고 책임정부라는 이름 하에 민족적 독립성으로의 수용할 만한 과정을 알 수 없게 만듦으로써 의도적으로 두 전쟁의 연관성을 지우려고 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37]
영국군은 반란을 진압하여 두 캐나다가 공화국이 될 가능성을 종식시켰다.[4] 일부 역사학자들은 1839년 웨일스에서 발생한 뉴포트 봉기와 연관을 짓기도 한다.[39]
3. 반란의 전개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에서 두 종류의 반란이 일어났다. 매켄지를 포함한 많은 반란군은 미국으로 도망쳤으며, 매켄지는 나이아가라강의 네이비섬에 캐나다 공화국을 세웠으나 곧 무력 분쟁으로 철수했다. 찰스 던콤베와 로버트 넬슨은 헌터스 로지/프레레 샤서를 선동하여 1838년 9월 클리블랜드에서 로어캐나다 공화국을 선포하기 위한 회의를 조직했다. 헌터스 로지스는 급진적인 평등권 정당(로코포코스)의 미국인 구성원들을 활용했다.[8] 이들은 패트리어트 전쟁을 시작했으나, 미국 정부의 도움으로 진압되었다.[9] 반란군과 헌터스는 몽고메리 선술집 근처에서 첫 패배를 겪은 지 거의 1년 후, 윈저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패배했다.
3. 1. 어퍼캐나다 반란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를 비롯한 많은 반란군은 미국으로 도망쳤다. 매켄지는 나이아가라강의 네이비섬에 단명한 캐나다 공화국을 세웠지만, 곧 무력 분쟁에서 물러났다.[21] 찰스 던콤베와 로버트 넬슨은 헌터스 로지/프레레 샤서를 선동하는 데 일조했는데, 이들은 1838년 9월 클리블랜드에서 회의를 조직하여 로어캐나다 공화국을 선포했다. 헌터스 로지는 급진적인 평등권 정당(로코포코스)의 미국인 구성원들을 활용했다.[8] 이 조직은 패트리어트 전쟁을 시작했고, 이는 미국 정부의 도움으로 겨우 진압되었다.[9]3. 2. 로어캐나다 반란
로어캐나다 반란은 영국계와 프랑스계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더욱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더럼 보고서는 이 분쟁을 '인종적' 갈등으로 규정했다.[27] 로어캐나다 반란은 해당 지역 주민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으며,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정치, 경제적 불복종의 의미로 보이콧, 파업, 사보타주와 같은 대규모 저항 운동을 벌였다.[28]이에 맞서 지역 정부는 마을 전체를 불태우는 등 가혹하게 보복했다.[28] 이러한 영국의 탄압에 맞서기 위해 샤를 던콤베와 로버트 넬슨은 미국 민병대인 헌터스 로지스와 프레레 샤서의 지원을 받았다. 이들 단체는 1838년 9월 클리블랜드 회담에서 로어캐나다 공화국을 수립했다. 헌터스 로지스는 급진적인 로코포코스 회원들을 끌어들였다.[21] 이후 헌터스 로지스는 패트리어트 전쟁을 일으켰으나, 미국 정부의 도움으로 진압되었다.[22]
3. 3. 패트리어트 전쟁
매켄지를 비롯한 반군 대다수는 미국으로 도주했다. 매켄지는 네이비섬에 캐나다 공화국을 수립했으나 무력 충돌이 발생한 이후 곧 철수했다. 샤를 던콤베와 로버트 넬슨은 대조적으로 반란에 동조하는 미국 민병대인 헌터스 로지스와 프레레 샤서의 지원을 받았다. 두 단체는 1838년 9월 클리블랜드 회담에서 설립되었고, 로어캐나다 공화국이라는 또 다른 정부를 수립했다. 헌터스 로지스는 급진적인 로코포코스의 회원들을 불러들였다.[21] 이후 헌터스 로지스는 패트리어트 전쟁을 일으켰고, 미국 정부의 도움 하에 반란은 진압되었다.[22]4. 반란의 결과
1837년 봉기에 참여한 반군들은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대부분 영국 정부에 대한 불복종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가장 가혹한 처벌은 100명의 캐나다 반군과 미국 동조자들을 오스트레일리아 죄수 식민지로 보낸 것이었다. 새뮤얼 론트 등은 교수형에 처해졌으며, 공개 교수형은 법원 광장에서 진행되었다.[29]
어퍼캐나다 반란의 원인은 영국 정부에 대한 직접적인 분노보다는 '패밀리 콤팩트'라 불리는 캐나다 정치인들의 불법과 부패에 있었다. 그러나 반군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었는데, 이는 반군의 관점이 미국의 자유주의와 비슷했고, 캐나다 식민지에 대한 토리당의 가치에 대한 공격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사법부의 존 로빈슨은 에드먼드 버크의 주장이 아닌 존 로크의 주장에 따라 형을 언도했다. 그는 공화주의를 군주제보다 우선시하는 이들은 이주할 자유가 있으므로, 봉기에 참여한 이들은 반역죄가 성립한다고 보았다.[30]
4. 1. 정치적 변화
영국 정부는 문제의 원인을 조사하고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개혁주의자인 더럼 경을 파견했다. 더럼 보고서는 식민지에 책임정부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는데, 이는 반군이 초기에 주장했던 것이기도 했다. 더럼은 또한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를 1840년 연합법을 통해 하나의 정치 단위인 캐나다 자치주로 통합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오늘날 캐나다의 근간이 되었다.[31]
더럼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영어를 쓰고 영국 문화를 배우도록 문화 동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31] 실제로,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의 합병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자치 방식을 완전히 박탈하여 그들을 더 크고 새로운 정치 단위의 일부가 되게 하는 목적도 있었다.[32]
반란이 진정된 후, 로버트 볼드윈과 루이-이폴리트 라퐁텐과 같은 좀 더 온건한 개혁가들이 급진주의자들의 대안적 목소리로 신뢰를 얻었다.[18]
4. 2. 사회적 변화
더럼 보고서에 따르면, 로어캐나다 반란은 영국계와 프랑스계 사이의 인종 갈등이 원인이었다.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정치, 경제적으로 불복종했고, 보이콧, 파업, 사보타주 같은 대규모 저항을 벌였다. 영국 정부는 마을 전체를 불태우는 등 가혹하게 보복했다.[28]반란 이후, 영국 정부는 더럼 경을 파견해 문제의 원인을 조사했다. 더럼 보고서는 식민지에 책임정부를 설립하고,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를 캐나다주라는 하나의 정치 단위로 합칠 것을 권고했다. 또한, 더럼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영어를 쓰고 영국 문화를 배우도록 문화 동화를 권고했다.[31]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의 합병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자치권을 박탈하고, 그들을 더 큰 정치 단위의 일부로 만드는 목적도 있었다.[32]
4. 3. 영미 관계 변화
반란과 패트리어트 전쟁은 영국과 미국 간의 관계 변화를 가져왔다. 양국은 재정 위기와 불리함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며 평화 정책을 추진했다. 급진적인 사상이 더 많은 반란과 습격을 일으켜 양국 관계가 혼란에 빠질 것을 우려하여, 외교 및 군사 분야에서 전례 없는 협력이 이루어졌다. 반란은 단순한 국내 사건이 아니었기에, 마틴 밴 뷰런 미국 대통령 행정부는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해 미국 영토에서 완화 조치를 시행해야 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영미 관계와 캐나다-미국 관계 형성에 기여했다.[20]5. 역사적 평가
1837년 반란은 캐나다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스페인 내전 당시 매켄지-파피노 대대는 1837년 반란 100주년을 기념하여 윌리엄 매켄지와 루이조제프 파피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1837년의 정신은 살아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반란의 유산을 기렸다.
5. 1.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정체성 강화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국 측에서 싸운 캐나다 자원병 대대인 매켄지-파피노 대대는 1837년 반란 100주년을 기념하여 윌리엄 매켄지와 루이조제프 파피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들은 "1837년의 정신은 살아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반란의 유산을 기렸다.5. 2. 현대 캐나다 사회에 미친 영향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국 측에서 싸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캐나다 자원병 대대인 매켄지-파피노 대대(Mac-Paps)는 1837년 반란 100주년이 되던 해에 윌리엄 매켄지와 루이조제프 파피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단체는 그들의 유산을 기리며 "1837년의 정신은 살아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싸웠다.참조
[1]
서적
Le concept de liberté au Canada à l'époque des Révolutions atlantiques (1776–1838)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
논문
The Last Chapter of the Atlantic Revolution: The 1837–38 Rebellions in Upper and Lower Canada.
http://www.americana[...]
[3]
서적
Revolutions in the Atlantic World: A Comparative History
[4]
간행물
Closing the Last Chapter of the Atlantic Revolution: The 1837–38 Rebellions in Upper and Lower Canada,
http://www.americana[...]
2006-10-01
[5]
서적
Union is Strength: W.L. Mackenzie, the Children of Peace, and the Emergence of Joint Stock Democrac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7]
서적
Getting it Wrong: How Canadians Forgot their Past and Imperilled Confedera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
논문
The Patriot War of 1837–1838: Locofocoism with a gun?
https://journals.lib[...]
[9]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Patriot Hunters
Bookman Associates
[10]
서적
The Capacity to Judge: Public Opinion and Deliberative Democracy in Upper Canada 1791–1854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12]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13]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14]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15]
서적
The Patriots and the People: The Rebellion of 1837 in Rural Lower Canad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6]
웹사이트
Chapter 34: The Jails of the County
http://www.landmarks[...]
[17]
논문
Canada: more liberal than Tory? A new book puts the country's bedrock beliefs under a microscope. (The Canadian Founding: John Locke and Parliament) (Book review)
http://www.encyclope[...]
Literary Review of Canada, Inc.
2007-07-01
[18]
서적
Lord Durham's Report on the Affairs of British North America: Text of the report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
서적
Lord Durham's Report on the Affairs of British North America: Text of the report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
논문
Choosing Peace and Order: National Security and Sovereignty in a North American Borderland, 1837–42
2015-10-06
[21]
논문
The Patriot War of 1837–1838: Locofocoism with a gun?
https://journals.lib[...]
[2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Patriot Hunters
https://archive.org/[...]
Bookman Associates
[23]
서적
The Capacity to Judge: Public Opinion and Deliberative Democracy in Upper Canada 1791–1854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4]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25]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26]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27]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28]
서적
The Patriots and the People: The Rebellion of 1837 in Rural Lower Canad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9]
웹인용
Chapter 34: The Jails of the County
http://www.landmarks[...]
2019-10-20
[30]
논문
Canada: more liberal than Tory? A new book puts the country's bedrock beliefs under a microscope. (The Canadian Founding: John Locke and Parliament) (Book review)
http://www.encyclope[...]
Literary Review of Canada, Inc.
2007-07-01
[31]
서적
Lord Durham's Report on the Affairs of British North America: Text of the report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32]
서적
Lord Durham's Report on the Affairs of British North America: Text of the report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33]
서적
Le concept de liberté au Canada à l'époque des Révolutions atlantiques (1776–1838)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34]
논문
The Last Chapter of the Atlantic Revolution: The 1837–38 Rebellions in Upper and Lower Canada.
http://www.americana[...]
[35]
서적
Revolutions in the Atlantic World: A Comparative History
[36]
논문
1837–38: Rebellion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37]
서적
Getting it Wrong: How Canadians Forgot their Past and Imperilled Confeder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8]
간행물
Closing the Last Chapter of the Atlantic Revolution: The 1837–38 Rebellions in Upper and Lower Canada
http://www.americana[...]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2006-10
[39]
서적
Union is Strength: W.L. Mackenzie, the Children of Peace, and the Emergence of Joint Stock Democrac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