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19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9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을 위해 치러진 최초의 선거이다. 이 선거는 38개의 선거구에서 정당 명부식 비례 대표제를 통해 423석의 의석을 선출했으며, 20세 이상의 유권자에게 투표권이 주어졌다. 선거 결과, 독일 사회민주당(SPD)이 가장 많은 득표율을 얻었고, 독일 중앙당 및 독일 민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바이마르 연합을 결성했다. 총 투표율은 83.0%로 매우 높았으며, 여성 참정권이 인정되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는 등 독일 선거 제도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9년 1월 - 파리 강화 회의
    제1차 세계 대전 후 전후 처리를 위해 1919년 파리에서 열린 파리 강화 회의는 주요 연합국들이 참여하여 전후 질서 재편, 국제 연맹 창설, 배상 문제 등을 논의하고 베르사유 조약 체결로 이어져 전후 '베르사유 체제'의 기틀을 마련했다.
  • 1919년 1월 - 스파르타쿠스 봉기
    스파르타쿠스 봉기는 1919년 1월 독일에서 발생한 좌파 혁명 세력의 무장 봉기로, 경찰청장 해임 사건을 계기로 베를린에서 시작되어 대규모 시위와 총파업으로 이어졌으나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실패하고 지도자들이 살해되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 과정과 좌파 세력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 1919년 선거 - 1919년 이탈리아 총선
    1919년 이탈리아 총선은 '비엔니오 로소' 시기에 치러져 이탈리아 사회당과 이탈리아 민중당이 약진하고 비례대표제 도입 및 유권자 기준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자유연합의 분열로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며 베니토 무솔리니의 로마 진군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1919년 선거 - 1919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핀란드 독립 후 처음 실시된 1919년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진보당의 카를로 유호 스퇼베리가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핀란드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졌다.
  • 1919년 독일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 1919년 독일 - 바이마르 공화국
    바이마르 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 제국이 붕괴된 후 수립된 정치 체제로, 바이마르 헌법에 따라 '독일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했으나, 베르사유 조약, 정치적 양극화, 나치즘의 부상으로 아돌프 히틀러 집권과 함께 몰락한 격변의 시대였다.
1919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선거 개요
국가바이마르 공화국
선거 유형의회 선거
투표 유형일반 투표
이전 선거1912년 독일 제국 의회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12년
차기 선거1920년 독일 국회 선거
차기 선거 연도1920년
선출 의석수바이마르 국민의회 423석
과반 의석수212석
선거일1919년 1월 19일
등록 유권자36,779,888명 (154.7% 증가)
투표율83.0% (1.9%p 감소)
지도
선거 결과
선거 결과
선거 결과
선거 결과
주요 정당 및 지도자
독일 사회민주당 지도부
독일 사회민주당 지도부
지도자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필리프 샤이데만
정당독일 사회민주당
득표수11,516,852표
득표율37.9%
의석수165석
아돌프 그뢰버
아돌프 그뢰버
지도자아돌프 그뢰버
정당중앙당
득표수5,980,259표
득표율19.7%
의석수91석
프리드리히 폰 파이에르
프리드리히 폰 파이에르
지도자프리드리히 폰 파이에르
정당독일 민주당
득표수5,643,506표
득표율18.6%
의석수75석
아르투어 폰 포사도프스키-베흐너
아르투어 폰 포사도프스키-베흐너
지도자아르투어 폰 포사도프스키-베흐너
정당독일 국가인민당
득표수3,121,541표
득표율10.3%
의석수44석
휴고 하세
휴고 하세
지도자휴고 하세
정당독립사회민주당
득표수2,319,235표
득표율7.6%
의석수22석
루돌프 하인체
루돌프 하인체
지도자루돌프 하인체
정당독일 인민당
득표수1,345,712표
득표율4.4%
의석수19석
정부 구성
선거 전 정부인민 대표 위원회
선거 전 정당독일 사회민주당 - 독립사회민주당
선거 후 정부샤이데만 내각
선거 후 정당독일 사회민주당 - 독일 민주당 - 중앙당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말 1918년 11월 9일 킬(Kiel) 군항에서 수병들이 폭동을 일으킴으로써 11월 혁명이 일어났다. 결국 11월 9일 황제 빌헬름 2세가 네덜란드로 망명하면서 제정이 무너졌고, 이와 함께 막스 폰 바덴 총리가 사임하면서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지도자인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에게 임시정부 수립이 위촉되었다. 에베르트는 사민당 뿐만 아니라 독립사회민주당(USPD)에도 내각구성에 참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독립사민당이 에베르트의 제안을 수락함으로써 11월 9일 당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7]

3. 선거 제도

바이마르 국민 의회는 38개의 다수 의석 선거구에서 6석에서 17석 사이로 정당 명부식 비례 대표제를 사용하여 423석을 선출하였다. 동부 지역에 주둔한 병력 대표를 위해 2석이 할당되었다. 정당들은 하나의 공동 명부를 사용하여 선거구에서 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연합' 제도가 시행되었는데, 단 정당은 해당 선거구에 후보를 내야만 의석을 얻을 수 있었다.[7] 투표 연령은 20세로 정해졌다. 이전 1912년 독일 제국 의회 선거와 비교하여 선거권 연령이 25세에서 20세로 낮아졌으며, 여성 참정권이 최초로 도입되었다.

4. 선거 운동

사회민주당(SPD)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지지했다. 이에 반대하는 당원들은 독립 사회민주당(USPD)을 결성했다. 인민 대표 평의회는 처음에는 사회민주당과 독립사회민주당 양당원으로 구성되었으나, 자유군단이 스파르타쿠스단 봉기를 진압하는 데 사용된 후 독립사회민주당은 탈퇴했다.

공산당은 선거를 보이콧했다.

5. 선거 결과

독일 혁명과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성립된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이번 선거는, 독일 역사상 최초로 비례대표제가 채택되고 여성 참정권이 인정되었다. 이전 1912년 독일 제국 의회 선거와 비교하면 선거권 연령이 25세에서 20세로 낮아졌고, 인구 집중 지역에 더 많은 의석이 배분되도록 선거구가 조정되었다.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지난 선거에 비해 득표율이 증가했다. SPD는 가톨릭 중앙당(Zentrum) 및 독일 민주당(DDP)과 연립 정부(바이마르 연합)를 구성했다. 바이마르 연합은 전체 득표의 76.2%를 얻어 압승을 거두었다.

독일 공산당은 선거 보이콧을 주장했지만, 투표율은 83.0%로 매우 높게 나타나 보이콧은 실패로 돌아갔다.[8]

선거 규정에 따라 설치된 알자스-로렌 선거구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에 병합되어 선거를 치를 수 없었다. 포젠 선거구에서는 대 폴란드 봉기 와중에 폴란드인들이 투표를 거부했다.[7]

동부 주둔 군인들은 1월 19일 투표에 참여하지 못하고 2월 2일에 투표하여, SPD가 2석을 추가했다.

정당득표율의석수
독일 사회민주당(SPD)37.86%165석
독일 중앙당(Zentrum)19.67%91석
독일 민주당(DDP)18.56%75석
독일 국가인민당(DNVP)10.27%44석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7.62%22석
독일 인민당(DVP)4.43%19석
기타 정당1.59%7석
합계100.00%423석


5. 1. 정당별 득표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 (%)의석수
1919년 1월 19일
독일 사회민주당11,509,04837.86163
독일 중앙당5,980,21619.6791
독일 민주당5,641,82518.5675
독일 국가인민당3,121,47910.2744
독립사회민주당2,317,2907.6222
독일 인민당1,345,6384.4319
바이에른 농민동맹275,1250.914
독일-하노버당77,2260.251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농민과 농민노동자 민주당57,9130.191
브라운슈바이크주 선거 협회56,8580.191
메클렌부르크 마을 동맹10,8910.040
독일 평화당3,5030.010
독일 공무원, 고용인, 중산층당1,4380.000
기독교 사회당6640.000
중산층당6400.000
독일 사회 귀족2790.000
민주 중산층당2080.000
사회개혁당450.000
기권/무효124,562--
합계30,524,848100421
등록 유권자/투표율37,362,10083.02-
1919년 2월 2일 – 동부의 장병들 대표
독일 사회민주당7,80460.042
독립사회민주당1,94514.960
독일 민주당1,68112.930
무소속 명단1,38910.690
독일 인민당740.570
독일 국가인민당620.480
독일 중앙당430.330
기권/무효390--
합계13,3881002
출처: Nohlen & Stöver, http://www.gonschior.de/weimar/Deutschland/NV.html Gonschior.de


6. 영향 및 평가

제1차 세계 대전과 독일 혁명을 거쳐 성립된 바이마르 공화국이 처음으로 실시한 이 선거는 독일에서 처음으로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여성 참정권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 이전 1912년 독일 제국 의회 선거와 비교하여 선거권 연령이 25세에서 20세로 낮아졌으며, 구획도 일신되어 인구 집중 지역에 의석이 더 많이 배분되게 되었다.

선거 결과 바이마르 공화국을 옹호하는 바이마르 연합 (독일 사회민주당, 중앙당, 독일 민주당)이 76.2%의 표를 얻어 압승하여 공화국 초기 안정에 기여했다.[8] 독일 공산당은 선거 보이콧을 호소했지만, 투표율은 83.0%로 높게 나타나 보이콧은 실패했다.[8]

그러나 이후 극심한 정치적, 경제적 혼란으로 인해 바이마르 공화국은 1933년 나치당의 집권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2] 문서
[3] 문서
[4] 뉴스 Austria votes today. – German Part of Former Dual Monarchy Chooses Its Constituent Assembly.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919-02-16
[5] 문서
[6]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7] 뉴스 Austria votes today. – German Part of Former Dual Monarchy Chooses Its Constituent Assembly. http://query.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19-02-16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