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은 1946년 4월 1일 알류샨 열도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규모 8.6의 강진과 쓰나미를 동반하여 하와이를 포함한 태평양 연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 지진은 표면파 규모에 비해 쓰나미가 매우 컸으며, 쓰나미 지진의 특징을 보였다. 지진으로 인해 하와이에서 159명이 사망하고, 163명이 부상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이를 계기로 미국은 지진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를 설립했다. 또한, 당시 하와이 일본계 주민들이 사용한 '쓰나미'라는 용어가 센터 명칭에 사용되면서 국제적인 용어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지진 - 쇼와 난카이 지진
1946년 기이반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쇼와 난카이 지진은 필리핀 해 플레이트가 유라시아 플레이트 아래로 침강하며 발생한 해구형 지진으로, 일본 기상청 규모 8.0을 기록하고 쓰나미를 동반하여 넓은 지역에 피해를 입혔다. - 1946년 4월 -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46년 일본에서 최초로 여성 참정권이 인정된 중의원 의원 총선거로, 일본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요시다 시게루가 총리가 되었고 39명의 여성 의원이 당선되었다.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
현지 날짜 | 1946년 4월 1일 |
현지 시간 | 02시 29분 |
UTC 시간 | 12시 29분 01초 |
진앙지 | 미국 알래스카주 알류샨 열도 우니마크섬 인근 |
좌표 | 북위 53.49도 서경 162.83도 |
깊이 | 15 km |
발생 유형 | 역단층 |
지진 규모 | |
표면파 규모 | 7.4 Ms |
모멘트 규모 | 8.6 Mw |
쓰나미 규모 | 9.3 Mt |
진도 정보 | |
최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VI |
쓰나미 정보 | |
최대 쓰나미 높이 | 우니마크섬에서 최대 42m |
쓰나미 발생 | 하와이, 알래스카 |
피해 정보 | |
사망자 | 165~173명 |
추가 정보 | |
ANSS URL | ANSS 지진 정보 |
ISC 이벤트 ID | 898313 |
발생 국가 | 미국 |
2. 지질학적 배경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본토와 캄차카 반도 사이에 위치한 14개의 큰 화산섬과 55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군도이다.[4] 알류샨 열도는 알류샨 해구를 따라 위치하며, 해양 태평양판이 대륙 지각인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는 활동적인 과정에 의해 형성되었다.[5] 해구의 서쪽 부분은 코만도르스키 제도 근처까지 점점 더 경사지게 되는데, 거의 전적으로 주향이동단층이 되어 2017년 코만도르스키 제도 지진과 같은 지진을 일으킨다.[6] 해구는 서쪽에서 쿠릴-캄차카 해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끝난다.[6] 동쪽에서는 해구가 수천 마일 더 뻗어나가 야카타가 근처의 전이대에 도달하는데, 이곳은 1899년 야쿠타트 만 지진과 같은 지진을 발생시킨다.[7] 충돌은 조금 더 동쪽에서 완전히 끝나는데, 이 지점에서는 퀸 샬럿 단층이 판구조 체제의 주요 단층이 된다.[7] 알류샨 열도의 이 특정 지역은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 때 단층 파열이 발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
2. 1. 알류샨 해구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본토와 캄차카 반도 사이에 위치한 14개의 큰 화산섬과 55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군도이다.[4] 알류샨 열도는 알류샨 해구를 따라 위치하며, 해양 태평양판이 대륙 지각인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는 활동적인 과정에 의해 형성되었다.[5]해구의 서쪽 부분은 코만도르스키 제도 근처까지 점점 더 경사지게 되는데, 거의 전적으로 주향이동단층이 되어 2017년 코만도르스키 제도 지진과 같은 지진을 일으킨다.[6] 해구는 서쪽에서 쿠릴-캄차카 해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끝난다.[6] 동쪽에서는 해구가 수천 마일 더 뻗어나가 야카타가 근처의 전이대에 도달하는데, 이곳은 1899년 야쿠타트 만 지진과 같은 지진을 발생시킨다.[7] 충돌은 조금 더 동쪽에서 완전히 끝나는데, 이 지점에서는 퀸 샬럿 단층이 판구조 체제의 주요 단층이 된다.[7] 알류샨 열도의 이 특정 지역은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 때 단층 파열이 발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
2. 2. 판 경계 유형과 지진 발생 메커니즘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본토와 캄차카 반도 사이에 위치한 군도로, 알류샨 해구를 따라 위치한다.[4] 해양 태평양판이 대륙 지각인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는 활동적인 섭입대 위에 알류샨 열도가 형성되었다.[5]해구의 서쪽 부분은 코만도르스키 제도 근처까지 점점 더 경사지게 되는데, 거의 전적으로 주향이동단층이 되어 2017년 코만도르스키 제도 지진과 같은 지진을 일으킨다.[6] 해구는 서쪽에서 쿠릴-캄차카 해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끝난다.[6] 동쪽에서는 해구가 수천 마일 더 뻗어나가 야카타가 근처의 전이대에 도달하는데, 이곳은 1899년 야쿠타트 만 지진과 같은 지진을 발생시킨다.[7] 충돌은 조금 더 동쪽에서 완전히 끝나는데, 이 지점에서는 퀸 샬럿 단층이 판구조 체제의 주요 단층이 된다.[7] 알류샨 열도의 이 특정 지역은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 때 단층 파열이 발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
3. 지진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은 현지 시각으로 1946년 4월 1일 2시 29분에 발생했으며, 진원의 깊이는 15 km였다.[9] 지진 규모는 매우 컸지만, 최대 진도는 VI에 불과했다.[9] 초기에는 표면파 규모/surface wave magnitude영어 7.4의 비교적 작은 지진으로 추정되었으나, 후속 연구 결과 숨겨진 지진파 특징으로 인해 실제로는 훨씬 큰 규모의 지진이었음이 밝혀졌다.[1] 모멘트 규모/Moment magnitude scale영어 8.6이 이 지진에 가장 적합하며, 추정되는 단층면의 미끄러짐은 9 m에서 12.7 m 사이였다.[1][10]
이 지진은 표면파 규모가 모멘트 규모 및 쓰나미 규모에 비해 매우 낮았고, 쓰나미 높이가 표면파 규모에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컸기 때문에 전형적인 쓰나미 지진의 특징을 보여준다.[1] 매우 높은 쓰나미 규모 값은 파도의 강력한 세기에 기인한다. 호놀룰루, 힐로, 그리고 캘리포니아의 관측소 평균치를 사용하여 쓰나미 규모가 계산되었다. 힐로(가장 높은 쓰나미 규모/tsunami magnitude영어)의 값을 제외하더라도 쓰나미 규모는 최소 9.1이다.[2]
초기에는 주향이동단층 지진으로 여겨졌으며, 나중에는 정단층 성분을 가진 주향이동단층 지진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잘못된 진원 메커니즘은 지진을 기록한 관측소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S파가 아닌 P파를 모델링함으로써 지진의 실제 규모와 널리 받아들여지는 역단층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역단층 메커니즘은 알류샨 해구의 응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는 섭입 지진과 일치한다.[1]
1946년 4월 1일, 알류샨 열도 우니막섬 근처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쓰나미가 발생했다. 지진의 진원 깊이는 50km였고, 모멘트 규모(Mw)는 8.1[15](표면파 규모(Ms)는 7.8)이었다. 우니막섬에서는 해발 40m 지점에 있는 등대가 쓰나미로 파괴될 정도였지만, 쓰나미는 하와이에서 큰 피해를 입힌 것을 제외하고는 태평양 연안의 북아메리카 서해안이나 일본에서 거의 관측되지 않았고, 피해는 하와이에 집중되었다. 사망자와 실종자는 165명이었다. 쓰나미로 인한 피해액은 2600만 달러에 달했다.
이 쓰나미 피해를 계기로 미국은 지진 경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조직은 1949년에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Pacific Tsunami Warning Center)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피해 발생 당시 하와이의 일본계 주민들이 "쓰나미"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 계기가 되어 센터 명칭에 이 용어가 사용되었고, 미국 및 영어권에서 쓰나미를 의미하는 학술 용어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2004년 수마트라섬 해저 지진 쓰나미를 거쳐 국제어가 되는 데에도 기여했다.
3. 1. 지진 규모 및 특징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은 현지 시각으로 1946년 4월 1일 2시 29분에 발생했으며, 진원의 깊이는 15 km였다.[9] 지진 규모는 매우 컸지만, 최대 진도는 VI에 불과했다.[9] 초기에는 표면파 규모 7.4의 비교적 작은 지진으로 추정되었으나, 후속 연구 결과 숨겨진 지진파 특징으로 인해 실제로는 훨씬 큰 규모의 지진이었음이 밝혀졌다.[1] 모멘트 규모 8.6이 이 지진에 가장 적합하며, 추정되는 단층면의 미끄러짐은 9 m에서 12.7 m 사이였다.[1][10]이 지진은 표면파 규모가 모멘트 규모 및 쓰나미 규모에 비해 매우 낮았고, 쓰나미 높이가 표면파 규모에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컸기 때문에 전형적인 쓰나미 지진의 특징을 보여준다.[1] 매우 높은 쓰나미 규모 값은 파도의 강력한 세기에 기인한다. 호놀룰루, 힐로, 그리고 캘리포니아의 관측소 평균치를 사용하여 쓰나미 규모가 계산되었다. 힐로(가장 높은 쓰나미 규모)의 값을 제외하더라도 쓰나미 규모는 최소 9.1이다.[2]
초기에는 주향이동단층 지진으로 여겨졌으며, 나중에는 정단층 성분을 가진 주향이동단층 지진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잘못된 진원 메커니즘은 지진을 기록한 관측소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S파가 아닌 P파를 모델링함으로써 지진의 실제 규모와 널리 받아들여지는 역단층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역단층 메커니즘은 알류샨 해구의 응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는 섭입 지진과 일치한다.[1]
3. 2. 쓰나미 지진
현지 시각으로 1946년 4월 1일 2시 29분, 진원 깊이 15 km에서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규모는 매우 컸지만, 최대 진도는 VI에 불과했다.[9] 초기에는 표면파 규모 7.4의 비교적 작은 지진으로 추정되었으나, 후속 연구 결과 숨겨진 지진파 특징으로 인해 실제로는 훨씬 큰 규모의 지진이었음이 밝혀졌다.[1] 모멘트 규모 8.6이 이 지진에 가장 적합하며, 추정되는 단층면의 미끄러짐은 9 m에서 12.7 m 사이였다.[1][10]이 지진은 표면파 규모가 모멘트 규모 및 쓰나미 규모에 비해 매우 낮았고, 쓰나미 높이가 표면파 규모에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컸기 때문에 전형적인 쓰나미 지진의 특징을 보여준다.[1] 매우 높은 쓰나미 규모 값은 파도의 강력한 세기에 기인한다. 호놀룰루, 힐로, 그리고 캘리포니아의 관측소 평균치를 사용하여 쓰나미 규모가 계산되었다. 힐로(가장 높은 쓰나미 규모)의 값을 제외하더라도 쓰나미 규모는 최소 9.1이다.[2]
초기에는 주향이동단층 지진으로 여겨졌으며, 나중에는 정단층 성분을 가진 주향이동단층 지진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잘못된 진원 메커니즘은 지진을 기록한 관측소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S파가 아닌 P파를 모델링함으로써 지진의 실제 규모와 널리 받아들여지는 역단층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역단층 메커니즘은 알류샨 해구의 응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는 섭입 지진과 일치한다.[1]
4. 쓰나미
유니막 섬에서는 쓰나미의 최고 도달 높이가 42 m에 달했다. 이 사건의 쓰나미 지진 측면은 이러한 엄청난 높이의 일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나머지는 국지적인 해저 산사태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1] 파도는 시속 805 km로 바다를 가로질러 이동했으며, 파고는 17 m로 측정되었다. 이 쓰나미는 지진 발생 4.5시간 후에 카우아이에 도달했고, 4.9시간 후에는 힐로에 도달했다. 하와이 제도에서는 159명이 사망했다.[11] 히로에서는 96명이 사망했고,[11] 163명이 부상했으며, 건물 488채가 파괴되고 936채가 손상되었다. 카우아이에서는 매키 제당 공장과 건물들이 파괴되었고, 카우아이 신문의 보관 자료도 유실되었다. 목격자들은 파도가 거리, 가옥, 상점들을 덮쳤다고 증언했다. 많은 희생자들이 물이 빠져나가면서 바다로 휩쓸려 갔다. 쓰나미는 마우이에서도 큰 피해를 입혔다. 그곳에서는 77채의 가옥과 다른 많은 건물들이 파괴되었다.[12] 스코치 캡(Scotch Cap)의 파괴된 관측소에서 경보를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섬 주민들은 쓰나미 발생에 대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이 쓰나미는 4월 1일에 발생했기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만우절 쓰나미"로 알려져 있다. 쓰나미의 영향은 워싱턴 주, 오리건 주, 캘리포니아 주에도 미쳤다.[3]
이 쓰나미는 지진의 규모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강력했다. 쓰나미의 규모와 비교적 낮은 표면파 규모 간의 차이로 인해 이 사건은 쓰나미 지진으로 분류되었다.[13] 대규모 파괴로 인해 지진 해일 경보 시스템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1949년에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로 알려지게 되었다.[14] 1946년 4월 1일, 알류샨 열도 우니막 섬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의 모멘트 규모(Mw)는 8.1[15] 이였고, 이로 인해 쓰나미가 발생했다. 피해 발생 당시 하와이의 일본계 주민들이 "쓰나미"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 계기가 되어 센터 명칭에 이 용어가 사용되었고, 미국 및 영어권에서 쓰나미를 의미하는 학술 용어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2004년 수마트라섬 해저 지진 쓰나미를 거쳐 국제어가 되는 데에도 기여했다.
4. 1. 쓰나미의 전파 및 도달
유니막 섬에서는 쓰나미의 최고 도달 높이가 42 m에 달했다. 이 사건의 쓰나미 지진 측면은 이러한 엄청난 높이의 일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나머지는 국지적인 해저 산사태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1] 파도는 시속 805 km로 바다를 가로질러 이동했으며, 파고는 17 m로 측정되었다. 이 쓰나미는 지진 발생 4.5시간 후에 카우아이에 도달했고, 4.9시간 후에는 힐로에 도달했다. 하와이 제도에서는 159명이 사망했다.[11] 히로에서는 96명이 사망했고,[11] 163명이 부상했으며, 건물 488채가 파괴되고 936채가 손상되었다. 카우아이에서는 매키 제당 공장과 건물들이 파괴되었고, 카우아이 신문의 보관 자료도 유실되었다. 목격자들은 파도가 거리, 가옥, 상점들을 덮쳤다고 증언했다. 많은 희생자들이 물이 빠져나가면서 바다로 휩쓸려 갔다. 쓰나미는 마우이에서도 큰 피해를 입혔다. 그곳에서는 77채의 가옥과 다른 많은 건물들이 파괴되었다.[12] 스코치 캡(Scotch Cap)의 파괴된 관측소에서 경보를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섬 주민들은 쓰나미 발생에 대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이 쓰나미는 4월 1일에 발생했기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만우절 쓰나미"로 알려져 있다. 쓰나미의 영향은 워싱턴 주, 오리건 주, 캘리포니아 주에도 미쳤다.[3]이 쓰나미는 지진의 규모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강력했다. 쓰나미의 규모와 비교적 낮은 표면파 규모 간의 차이로 인해 이 사건은 쓰나미 지진으로 분류되었다.[13] 대규모 파괴로 인해 지진 해일 경보 시스템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1965년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로 알려지게 되었다.[14]
4. 2. 하와이 지역 피해
1946년 4월 1일, 알류샨 열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는 하와이에 큰 피해를 입혔다.[11] 파도는 시속 500마일(805km/h)로 바다를 가로질러 이동했으며, 파고는 55피트(16.8m)에 달했다.[1] 쓰나미는 지진 발생 4.5시간 후에 카우아이(Kauai)에, 4.9시간 후에는 힐로(Hilo)에 도달했다.[1]하와이 제도에서는 159명이 사망하고, 163명이 부상당했으며, 수백 채의 건물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11] 특히 힐로에서는 96명이 사망하는 등 큰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11] 카우아이에서는 매키 제당 공장과 건물, 신문 보관 자료 등이 유실되었고, 목격자들은 파도가 거리, 가옥, 상점을 덮쳤다고 증언했다.[11] 많은 희생자들이 물이 빠져나가면서 바다로 휩쓸려 갔다.[11] 마우이에서도 77채의 가옥과 여러 건물들이 파괴되는 등 피해가 컸다.[12]
이 쓰나미는 4월 1일에 발생했기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만우절 쓰나미"로 알려져 있다.[3] 스코치 캡(Scotch Cap) 관측소가 파괴되어 경보를 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섬 주민들은 쓰나미를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12]
이 지진은 지진 규모에 비해 쓰나미가 비정상적으로 강력하여 쓰나미 지진으로 분류된다.[13] 이 사건으로 인해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Pacific Tsunami Warning Center)가 설립되는 계기가 되었다.[14]
4. 3. 기타 지역 피해
이 쓰나미는 지진의 규모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강력했다. 쓰나미의 규모와 비교적 낮은 표면파 규모 간의 차이로 인해 이 사건은 쓰나미 지진으로 분류되었다.[13]유니막 섬에서는 쓰나미의 최고 높이가 42m에 달했다. 파도는 시속 500마일로 바다를 가로질러 이동했으며, 파고는 55ft로 측정되었다.[1] 이 쓰나미는 지진 발생 4.5시간 후에 카우아이에 도달했고, 4.9시간 후에는 히로에 도달했다. 하와이 제도에서는 159명이 사망했다.[11] 히로에서는 96명이 사망했고,[11] 163명이 부상했으며, 건물 488채가 파괴되고 936채가 손상되었다. 마우이에서도 77채의 가옥과 다른 많은 건물들이 파괴되었다.[12] 스코치 캡(Scotch Cap)의 파괴된 관측소에서 경보를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섬 주민들은 쓰나미 발생에 대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이 쓰나미는 4월 1일에 발생했기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만우절 쓰나미"로 알려져 있다. 쓰나미의 영향은 워싱턴주, 오리건주, 캘리포니아주에도 미쳤다.[3] 대규모 파괴로 인해 지진 해일 경보 시스템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1965년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로 알려지게 되었다.[14]
5. 쓰나미 경보 시스템 구축
1946년 4월 1일, 알류샨 열도 우니막섬(Unimak Island)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쓰나미가 발생하여 하와이에 큰 피해를 입혔다.[15] 이 쓰나미 피해를 계기로 미국은 지진 경보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1949년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Pacific Tsunami Warning Center)로 명칭을 변경했다. 피해 발생 당시 하와이의 일본계 주민들이 "쓰나미"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 센터 명칭에 반영되었고, 이후 이 용어는 미국 및 영어권에서 쓰나미를 의미하는 학술 용어로 자리 잡았으며, 2004년 수마트라섬 해저 지진 쓰나미를 거쳐 국제어가 되는 데 기여했다.[15]
5. 1.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
5. 2. 쓰나미 용어의 국제화
참조
[1]
논문
A seismological reassessment of the source of the 1946 Aleutian 'tsunami' earthquake
2006-06-00
[2]
논문
Size of great earthquakes of 1837–1974 inferred from tsunami data
https://doi.org/10.1[...]
2022-08-08
[3]
웹사이트
1946 Aleutian Tsunami
http://www.usc.edu/d[...]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6-02-02
[4]
웹사이트
Aleutian Islands
https://www.britanni[...]
2022-08-07
[5]
웹사이트
Aleutian Trench
http://oceana.org/es[...]
2022-08-07
[6]
논문
Rupture Along 400 km of the Bering Fracture Zone in the Komandorsky Islands Earthquake ( M W 7.8) of 17 July 2017: 2017 Mw 7.8 Komandorsky Is. Earthquake
2017-12-08
[7]
논문
Yakataga gap, Alaska: Seismic history and earthquake potential
https://www.jstor.or[...]
2022-07-03
[8]
논문
Paleotsunami evidence on Kaua'i and numerical modeling of a great Aleutian tsunami
https://doi.org/10.1[...]
2022-08-08
[9]
웹사이트
Comments for the Significant Earthquake
https://www.ngdc.noa[...]
2011-09-10
[10]
논문
Aftershock Regions of Aleutian-Alaska Megathrust Earthquakes, 1938–2021
2022-06-18
[11]
논문
A qualitative review of tsunamis in Hawaiʻi
2023-00-00
[12]
웹사이트
A History of Tsunamis in Hawaii
https://www.civilbea[...]
2011-03-11
[13]
논문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www.openseism[...]
2016-02-15
[14]
웹사이트
The April 1, 1946 Earthquake and Tsunami in the Aleutian Islands
http://drgeorgepc.co[...]
George Pararas-Carayannis
2007-02-09
[15]
웹사이트
NOAA Significant Earthquake Search
http://www.ngdc.noaa[...]
[16]
웹사이트
NOAA Tsunami Event
http://www.ngdc.noaa[...]
[17]
웹사이트
Comments for the Significant Earthquake
https://www.ngdc.noa[...]
2011-09-10
[18]
웹사이트
The April 1, 1946 Earthquake and Tsunami in the Aleutian Islands - by Dr. George Pararas-Carayannis
http://drgeorgepc.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