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섬 북서쪽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재난이다. 이 지진은 인도판이 버마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약 1,600km에 달하는 단층이 파열되어 발생했으며, 방출된 에너지는 약 1.1×1017 J로 추정된다.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는 인도양 연안 여러 국가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특히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태국, 인도 등에서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 재난으로 인해 지구 자전축이 이동하고 자전 속도가 변화하는 등 지구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의 인도주의적 지원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 |
---|---|
기본 정보 | |
![]() | |
발생 날짜 | 2004년 12월 26일 |
발생 시간 | 00시 58분 53초 (UTC) 07시 28분 53초 (UTC+06:30) 07시 58분 53초 (UTC+07:00) 08시 58분 53초 (UTC+08:00) |
진앙 | 수마트라섬 반다아체 남동쪽 250km 해역 |
진앙 위치 | 북위 3.316도, 동경 95.854도 |
깊이 | 30km |
지속 시간 | 약 500초 |
유형 | 메가스러스트 지진 |
지진 규모 | |
규모 | 9.2–9.3 Mw (모멘트 규모) |
최대 지반 가속도 | 914.7 gal (cm/s²) |
진도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IX |
진도 지역 | 반다아체 |
쓰나미 | |
높이 | 평균 15~30m 최대 51m |
여진 | |
규모 6.0 이상 여진 | 45회 |
규모 1.0 이상 여진 | 4,700회 이상 |
가장 강력한 여진 | 2004년 12월 26일 11시 21분 (현지 시간), Mw 7.1 |
피해 | |
사망자 | 227,898명 |
부상자 | 13만명 |
경제적 피해 | 미화 150억 달러 |
피해 지역 | 인도양 연안 지역 |
필요 긴급 지원액 | 9억 7,700만 달러 |
기타 정보 | |
관련 사건 | ISC-event 7453151 |
ANSS | official20041226005853450_30 |
2. 지진
본진의 진원은 수마트라섬 북부의 서쪽 해안에서 약 160 km 서쪽으로 떨어진 시멀루에이섬 바로 북쪽 인도양 해역으로 진원 깊이는 해수면 아래 30 km 지점(초기 보고에는 10 km)이다. 본진은 순다 메가스러스트의 북쪽 지역이 1,300 km 길이로 파열되면서 발생했다.[229] 지진의 진동은 방글라데시, 인도, 말레이시아, 미얀마, 태국, 스리랑카, 몰디브에서도 감지되었다.[231] 스플레이 단층(Splay faults) 혹은 2차 수직단층이라는 형태로 단층파괴가 이뤄져 몇초만에 해저의 길고 좁은 지형이 순간적으로 위로 튀어올랐다. 이 때문에 갑자기 높이가 높아진 물이 내려가면서 파장의 속력이 급격히 높아졌고 진원 단층 인근의 인도네시아 마을인 롱아는 완전히 파괴되었다.[232]
인도네시아는 뉴기니섬과 인접한 동북쪽 섬을 따라 쭉 이어지는 환태평양 조산대와, 인도네시아 서부와 남부를 따라 수마트라섬, 자와섬, 발리섬, 플로레스섬, 티모르섬까지 이어지는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 사이에 끼어 있다. 본진 2년 전에 발생한 2002년 수마트라 지진이 본진의 전진으로 추정된다.[233]
==== 규모 ====
2004년 인도양 지진은 초기에는 모멘트 규모 8.8로 기록되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9.1로 추정했다.[22]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가나모리 히로오는 9.2가 지진의 규모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추정한다.[23]
==== 역사적 비교 ====
(주어진 `source`에 해당 내용 없음)
==== 판구조론적 분석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인도판이 버마판 아래로 섭입하는 섭입대를 따라 약 1,600 km에 달하는 단층 표면이 15 m 정도 미끄러지거나 파열하면서 발생했다. 단층 파열은 한 번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 수 분에 걸쳐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242]
지진계와 음향 데이터에 따르면, 최초의 단층파열은 길이 약 400 km, 너비 약 100 km의 단층이 해저 30 km 아래에서 발생했으며 가장 큰 규모였다. 이후 단층이 아체 해안에서 시작해서 약 100초간 서북쪽으로 2.8 km/s의 속력으로 파열되었다. 약 100초간 멈췄다가 다시 안다만 제도와 니코바르 제도를 향해 북쪽으로 파열이 진행되었다. 북쪽 단층파열은 남쪽보다 느린 약 2.1 km/s의 속력으로 진행되었으며, 단층의 형태가 섭입대형에서 주향이동단층형으로 바뀌는 판 경계까지 5분 동안 계속되었다.[242]
==== 방출된 에너지와 그 영향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지구 표면으로 방출된 에너지(ME)는 약 1.1×1017 J(110 PJ, TNT 26 Mt)로 추정된다.[243]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켄 하드넛에 따르면, 이 지진의 영향으로 지축의 위치가 약 2cm 이동하여 지구 자전에 영향을 미쳐 지구의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68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212][213]。또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지축이 7cm 이동하여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32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214]。
==== 여진과 유발지진 ====
본진 발생 이후 수 시간 동안 안다만 제도, 니코바르 제도와 진원 인근 지역에서 수많은 여진이 발생했다.[256]
다음 표는 미국 지질조사소(USGS)가 관측한 본진과 이후의 여진의 일부이다(자료 출처: [http://earthquake.usgs.gov/recenteqsww/Quakes/quakes_big.html ''USGS'']).
규모 | 일시 (년/월/일) | 협정 세계시 (시:분:초) | 북위 (도) | 동경 (도) | 진원의 깊이 (km) | 진원 |
---|---|---|---|---|---|---|
9.1(또는 9.3) | 2004/12/26 | 00:58:53 | 95.854 | 30.0 | 수마트라 섬 북부 서안 해상 | |
5.9 | 2004/12/26 | 01:48:47 | 94.423 | 10.0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북부 | |
5.8 | 2004/12/26 | 02:15:58 | 12.375 | 92.509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6.0 | 2004/12/26 | 02:22:02 | 92.532 | 10.0 | 인도, 니코바르 제도 | |
5.8 | 2004/12/26 | 02:34:50 | 94.184 | 10.0 | 수마트라 섬 북부 서안 해상 | |
5.8 | 2004/12/26 | 02:36:06 | 12.139 | 93.011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6.0 | 2004/12/26 | 02:51:59 | 12.511 | 92.592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5.9 | 2004/12/26 | 02:59:12 | 94.259 | 10.0 | 수마트라 섬 북부 서안 해상 | |
6.1 | 2004/12/26 | 03:08:42 | 13.808 | 92.974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7.1 | 2004/12/26 | 04:21:29 | 92.938 | 39.7 | 인도, 니코바르 제도 | |
5.7 | 2004/12/26 | 06:21:58 | 10.623 | 92.323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5.7 | 2004/12/26 | 07:07:10 | 10.336 | 93.756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5.8 | 2004/12/26 | 07:38:25 | 13.119 | 93.051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6.6 | 2004/12/26 | 09:19:59 | 92.368 | 인도, 니코바르 제도 | ||
5.5 | 2004/12/26 | 10:18:13 | 93.730 | 10.0 | 인도, 니코바르 제도 | |
6.2 | 2004/12/26 | 10:19:30 | 13.455 | 92.791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6.3 | 2004/12/26 | 11:05:01 | 13.542 | 92.877 | 10.0 | 인도, 안다만 제도 |
2. 1. 규모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처음에 모멘트 규모 8.8로 기록되었다. 2005년 2월 과학계의 연구 결과 추정 규모를 9.0으로 상향 조정했다.[234]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PTWC)는 새 수정치를 인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는 지진 규모를 모멘트 규모 9.1로 그대로 보고 있다.[235] 2006년 연구 결과 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9.1에서 9.3 사이로 추정되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교수 가나모리 히로오는 지진의 모멘트 규모를 9.2로 계산했다.[236]지구 시뮬레이터에 의한 계산 결과 Mw=9.1[199], 매립식 체적 변형 관측 결과 Mw=9.1 - 9.2[200], 심부 보어홀 변형 관측 결과 Mw=9.2, 지구의 자유 진동 관측 결과 Mw=9.1 - 9.3의 값이 산출되었다.
2. 2. 역사적 비교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섭입대에서 발생하는 거대지진과 관련이 깊다. 이러한 유형의 지진은 수 세기 동안 전 세계 지진 모멘트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1906년부터 2005년까지 발생한 모든 지진 모멘트의 약 1/8이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에서 비롯되었으며,[237] 1960년 칠레 대지진, 1964년 알래스카 대지진과 함께 전체 모멘트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237][238]1900년 이후 이 지진보다 더 큰 규모의 지진은 1960년 발디비아 지진(규모 9.5)과 1964년 알래스카 지진(규모 9.2)뿐이다.[237] 규모 9.0 이상으로 기록된 다른 지진은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규모 9.0)과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규모 9.1)이 있으며, 이들 모두 태평양에서 지진해일을 일으켰다. 그러나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과 비교하면 인명 피해는 훨씬 적었는데, 이는 피해 지역 해안의 인구 밀도가 낮았기 때문이다.[224]
지진 규모는 1935년 이후 체계적으로 측정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전 지진과의 규모 비교는 어렵다.[239] 그러나 역사적 기록과 지질학적 분석을 통해 1868년 페루 아리카 지진, 1700년 미국 서부 캐스캐이디아 지진과 같은 거대 지진을 추정할 수 있다.[240]
수마트라섬에는 1797년, 1833년, 1861년 등 여러 차례 거대 해구형 지진이 발생했으며, 대부분 파괴적인 쓰나미를 동반했다.[241] 학계에서는 2004년과 같은 대형 쓰나미를 일으키는 지진은 평균 550년에서 700년 간격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371]
2. 3. 판구조론적 분석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지리적, 지질학적으로 매우 넓은 범위에서 일어났다. 인도판이 버마판 아래로 섭입하는 섭입대를 따라 약 1,600 km에 달하는 단층 표면이 15 m 정도 미끄러지거나 파열하면서 지진이 발생했다. 단층 파열은 한 번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 수 분에 걸쳐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242]
지진계와 음향 데이터에 따르면, 최초의 단층파열은 길이 약 400 km, 너비 약 100 km의 단층이 해저 30 km 아래에서 발생했으며 가장 큰 규모였다. 이후 단층이 아체 해안에서 시작해서 약 100초간 서북쪽으로 2.8 km/s의 속력으로 파열되었다. 약 100초간 멈췄다가 다시 안다만 제도와 니코바르 제도를 향해 북쪽으로 파열이 진행되었다. 북쪽 단층파열은 남쪽보다 느린 약 2.1 km/s의 속력으로 진행되었으며, 단층의 형태가 섭입대형에서 주향이동단층형으로 바뀌는 판 경계까지 5분 동안 계속되었다.[242]
인도판은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의 일부로 벵골만과 인도양 아래에 있으며 매년 평균 60 mm만큼 동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인도판은 순다 해구에서 버마판(유라시아판의 일부)과 만난다. 순다 해구에서 인도판은 니코바르 제도, 안다만 제도, 수마트라섬 북부 등이 있는 버마판 아래로 섭입한다. 인도판이 버마판 아래로 점점 더 깊이 가라앉으면 온도와 압력이 상승해 섭입된 판 안의 휘발성분이 밖으로 빠져나온다. 이런 휘발성 물질은 상부 판으로 상승해 부분적으로 녹아 마그마를 형성한다. 상승한 마그마는 상부 지각으로 뚫고 들어가 화산호의 형태로 화산을 통해 밖으로 분출된다.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이 유라시아판으로 섭입하면서 발생한 화산 활동으로 순다 화산호가 형성되었다.[242]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판이 옆으로 움직이면서 해저가 수 미터 상승해 대략 30 km³의 물이 움직이고 파괴적인 지진해일이 만들어졌다. 이 해일은 단층파괴가 일어난 1,600 km길이의 선진원을 따라 바깥쪽으로 퍼져나갔다. 이 때문에 해일을 맞은 영역이 광범위하게 늘어나 멕시코, 칠레, 심지어는 북극에서도 이 지진의 해일을 관측했다. 또한 해저가 상승해서 인도양이 담고 있는 물의 양이 줄어들어 전 세계의 해수면이 약 0.1 mm 정도 상승했다.[37]
2. 4. 방출된 에너지와 그 영향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지구 표면으로 방출된 에너지(ME)는 약 1.1×1017 J(110 PJ, TNT 26 Mt)로 추정된다.[243] 이 에너지는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1,500배가 넘는 에너지이지만 인류가 만든 가장 강력한 규모의 핵무기인 차르 봄바보다는 작다.[244]이 지진이 만들어 낸 지구 표면의 지진학적 진동의 최대 진폭은 약 200-300 mm로 이는 태양과 달이 만드는 조석력의 영향과 비슷한 크기이다. 지진의 지진파는 멀리 미국 오클라호마주에서도 수직 진폭 3 mm가 기록될 정도로 컸으며 파장이 지구 전역에서 기록되었다. 2005년 2월이 되어서도 지진의 영향이 지표면에 20 μm(0.02 mm)의 진폭을 가진 복합조화진동으로 감지되었으며, 지진 발생 4개월이 지나서야 점차 감소해 지구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배경 지구자유진동에 묻혔다.[245]
엄청난 양의 에너지 방출과 단층파열 깊이가 얕은 점이 합쳐져 2004년 인도양 지진은 전 세계에 거대한 지진성 지반 운동을 일으켰고, 특히 지구 곳곳에 수직 진폭이 10 mm를 넘는 거대한 레일리파 탄성파를 일으켰다. 지진계 기록의 가로축이 시간(본진 발생 이후)을 기준으로 IRIS/USGS 전세계 지진관측망의 지진계가 기록한 지구 표면의 수직변위를 기록했으며, 세로축이 기록된 수직 변위이다. 지진파가 기록된 그래프가 진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각도 단위로 배열되어 있는데, 본진이 발생했을 때 최초로 기록된 작은 진폭의 파장은 P파이며, 지구 반대편(대척점, 이 경우 에콰도르 인근)까지 도달하는데 약 22분이 걸린다. 가장 큰 진폭의 파장은 표면파로 대척점에 100분이 지나서야 도달한다. 표면파는 (에콰도르의 가장 가까운 지진 관측소가 있는) 대척점 근처에서 강해지며, 이후 다시 지구 반바퀴를 돌고 다시 진앙을 향해 움직여 본진 발생 200분 후 진웍으로 다시 돌아옴을 볼 수 있다. 본진 발생 200여분 후 진원과 가장 가까운 지진 관측소에서 규모 M7.1의 대규모 여진이 발생했음을 관측할 수 있다. 규모 M7급 지진은 일반적으로 매우 큰 지진으로 간주되지만 본진의 규모가 매우 커 이에 비해서는 작은 지진으로 취급받는다.[246]
질량 이동과 대량의 에너지 방출로 지구의 자전 속도도 영향을 받았다. 지진 발생 수 주 후 연구된 이론적 모델에 따르면 지진으로 지구의 타원도가 감소해 하루의 길이가 약 2.68 μs(마이크로초) 줄어들었다고 밝혔다.[247] 또한 지구가 동경 145도 방향으로 최대 25 mm,[248] 혹은 최대 50-60 mm 정도까지 자전축이 미세하게 흔들렸다.[249] 하지만 달의 조석력으로 하루의 길이가 1년에 평균 15 마이크로초씩 늘어나므로 지진으로 발생한 자전 영향은 빠르게 사라진다. 마찬가지로 경우에 따라 최대 15 m에 이르는 지구의 자연적인 챈들러 요동이 지진으로 발생한 흔들림을 상쇄한다.[250]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켄 하드넛에 따르면, 이 지진의 영향으로 지축의 위치가 약 2cm 이동하여 지구 자전에 영향을 미쳐 지구의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68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212][213]。또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지축이 7cm 이동하여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32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214]。
단층면을 따라 수평으로 10 m, 수직으로 4-5 m에 달하는 지각 변동이 있었다. 초기 추측으로는 버마판(순다판의 남쪽 지역)에 있는 수마트라섬 서남쪽의 군도들 일부에선 서남쪽으로 최대 36 m 이동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지진 발생 1달 후 발표된 정확한 지질 변동 조사에 따르면 최대 이동 거리는 약 0.2 m로 밝혀졌다.[251] 움직임이 수평 외에도 수직 이동도 있었기 때문에 일부 해안지역은 해수면 아래로 침강한 사례도 있었다.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경우 서남쪽으로 약 1.25 m 이동하고 1 m가량 침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52] 지구 전체의 세로 흔들림은 지진 직후 약 20~30cm였다(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진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일본에서도 지진 직후 지하수 수위의 변동이 40곳 이상에서 확인되었다(산업기술종합연구소)。
2005년 2월 영국 왕립해군 소속 HMS 스콧이 본진이 발생했던 해저 1,000-1,500 m 깊이 지역의 지질을 조사했다. 고해상도 다층소나시스템을 사용한 지질 조사에서 2004년 지진이 해저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했다. 단층을 따라 과거 지질 활동으로 만들어졌던 1,500 m 높이의 스러스트 능선이 붕괴되어 수 km의 너비에 달하는 해저 산사태가 발생했다. 이런 산사태 중에서는 높이 100 m, 길이 2 km의 통짜 암반이 붕괴된 경우도 있었다. 지각이 융기해서 이동한 물의 운동량이 수백만 톤에 달하는 거대한 암반 덩어리를 해저에서 10 km 가까이 이동시켰다. 또한 지진으로 수 km 너비에 달하는 해구가 생겨났다.[253]
쓰나미가 바다를 가로지를 때, TOPEX/포세이돈과 제이슨-1 인공위성이 우연히 쓰나미 발생 지역을 지나갔다.[254] 두 위성은 수면을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었으며, 두 위성을 통해 약 500 mm에 달하는 이상 변위가 측정되었다. 두 위성의 측정값은 지진과 쓰나미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해안에 설치된 검조기의 데이터와 달리, 바다 한가운데서 얻은 해수면 높이 측정값은 해안과 근접하며 파도의 크기와 모양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정하는 복잡한 공식을 사용할 필요 없이 바로 지진의 매개변수를 계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255]
M9.3의 지진 이후 2005년 2월 5일 필리핀 근해의 셀레베스 해에서 M7.1, 같은 해 3월 28일 니아스 섬 북부에서 M8.6 (수마트라 지진 (2005년)), 2007년 1월 21일 술라웨시 섬 남동부에서 M7.3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주변 지역에서 큰 지진이 빈발했다。
M9.3의 지진 발생 약 3개월 반 후인 2005년 3월 12일 수마트라 섬 서부의 타랑 산이 분화했고, 다음 날 3월 13일에는 자바 섬 서부의 탕구반 쁘라후 산이 분화하는 등 인근에 있는 화산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주변 각지에서 지각 변동을 확인(위치가 수 cm 이동한 도시가 다수 있음이 GPS 측정으로 판명)。
2. 5. 여진과 유발지진
본진 발생 이후 수 시간 동안 안다만 제도, 니코바르 제도와 진원 인근 지역에서 수많은 여진이 발생했다.[256] 최대 규모 M6.6에 달하는 여진이 3-4개월 동안 진원지 부근을 흔들었다.[257] 계속되는 여진 외에도 최초 본진으로 인해 방출된 에너지가 지진 발생 후에도 계속 존재감을 드러냈으며, 지진 발생 7일 후에도 그 잔향이 여전히 측정되어 지구 내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의 진원은 2004년 지진의 진원과 매우 가까웠지만 직접적인 여진은 아니며 2004년 지진과 관련된 단층의 응력 변화로 인해 발생한 일종의 유발지진으로 추정된다.[256] 이 지진은 자체 여진을 발생시켰으며, 현재 모멘트 규모 또는 릭터 규모로 기록된 지진 중 세 번째로 큰 규모로 기록되어 있다.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뉴질랜드 서쪽과 오스트레일리아 매쿼리섬의 북쪽 사이에 있는 무인도인 오클랜드 제도에서 규모 M8.1의 지진(2004년 태즈먼 해 지진)이 발생한지 3일만에 일어났다.[258] 규모 M8 이상의 지진은 평균적으로 1년에 1번 꼴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 빈도는 이례적인 일이다.[258] 하지만 미국 지질조사국은 두 지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음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259]
2004년 지진은 아체를 따라 이어지는 화산줄기인 로저 산맥[260]과 탈랑산[261]의 활동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되며, 2005년 지진은 수마트라섬의 고대 화구인 토바호에 큰 영향을 주었다.[262]
3. 지진해일
지진으로 해저가 갑자기 수직으로 수 미터 상승하면서 엄청난 양의 물이 이동하며 인도양 해안 전체를 강타한 지진해일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지에서 아주 먼곳까지도 피해를 주는 해일을 원거리 쓰나미(teletsunami)라고 부르며, 해저 지반이 수평운동보다는 수직운동일 때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263]
다른 모든 해일과 마찬가지로 지진해일은 얕은 물과 깊은 물에서 서로 다른 활동방식을 가진다. 깊은 심해에서는 쓰나미의 높이가 낮고 파장도 매우 길어 눈에 거의 띄지 않고 수면 위에 영향도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시속 500-1,000 km의 고속으로 이동하지만, 해안선과 가까운 얕은 물에서는 쓰나미의 속도가 시속 수십 km로 느려지지만 그 과정에서 거대하고 파괴적인 파도가 만들어진다. 아체의 피해를 조사한 과학자들은 해안선 넓은 구간을 따라 쓰나미가 밀려올 때 당시 파도의 높이는 24 m에 달했으며, 내륙으로 파고들면서 일부 지역은 30 m가 넘는 높이로 상승했다는 증거도 발견되었다.[264] 레이더 위성이 심해의 쓰나미 높이를 기록했는데 지진 발생 후 심해에서 높이가 600 mm 정도로 측정되었다.[265][266]
쓰나미 소사이어티의 부회장인 테드 머티는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의 파도가 가진 총 에너지는 TNT 환산 약 5 Mt(21 PJ)에 달하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원자폭탄 2발을 포함해 사용된 폭탄의 총 에너지의 2배 이상이지만 지진 자체가 방출한 총 에너지와 비교하면 크기 정도가 두 배 정도나 차이난다. 많은 곳에서 쓰나미가 내륙 안쪽 2 km까지 파고들었다.[267]
지진을 일으킨 1,600 km 길이의 단층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어서, 쓰나미 파도가 가장 강한 방향은 단층의 동서 방향이었다. 벵골만의 북쪽 끝에 있는 방글라데시는 진앙지와 매우 가까운 저지대 국가였음에도 사상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지진 발생 과정에서 북쪽의 단층파열이 더 느리게 진행되어 해당 지역의 물의 이동에너지가 크게 감소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었다.
해안과 쓰나미 발생 진원 사이에 육지가 가로막힌 해안은 보통 안전하지만 쓰나미 파도가 때때로 중간의 육지 주변에서 회절해 지나갈 수 있다. 이 때문에 인도의 케랄라주은 서부에 있는 해안지역이지만 쓰나미 피해를 입었고, 스리랑카 서부 해안도 큰 피해를 입었다. 또한 쓰나미 발생 진원과의 거리만 가지고도 안전을 장담할 수 없는데 소말리아는 방글라데시보다 훨씬 멀리 떨어진 지역이었지만 쓰나미로 더 큰 피해를 입었다.
진앙과 거리가 매우 멀었기 때문에 대부분 지역에 쓰나미가 도달하는 데 짧게는 15분에서 길게는 7시간이 걸렸다.[268][269]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 지역은 지진 발생 후 얼마 되지 않아 피해를 입었으며 스리랑카와 인도 동부 해안은 약 90분에서 2시간 후에 피해를 입었다. 태국은 진원지에서 더 가까웠지만 서부 해안에 있는 안다만해의 깊이가 얕아 쓰나미가 느리게 이동해 약 2시간이 지나서야 도달했다.
쓰나미는 진원으로부터 약 8,500 km 떨어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스투리스바이에서도 감지되었으며 지진 발생 16시간 후 약 1.5 m 높이의 해일이 해안으로 몰려왔다. 아프리카의 최남단인 스투리스바이에 도달하는데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앞바다의 넓은 대륙붕이 있고 쓰나미가 남아공 해안을 따라 동에서 서로 쭉 따라갔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남극에서도 쓰나미가 닿았는데 쇼와 기지에 설치된 조석계에서 최대 1 m에 달하는 해수면 변동이 관측되었으며 쓰나미로 발생한 해수면 교란은 며칠간 계속되었다.[270]
쓰나미의 에너지 중 일부는 태평양으로 빠져나가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서부 해안에 작지만 측정 가능한 쓰나미가 닿았으며 대부분 지역에서 200-400 mm 사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271] 멕시코의 만사니요라는 도시에서는 2.6 m의 높이에 달하는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또한 캐나다의 벤쿠버와 기타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 관측된 쓰나미도 인도양 일부 지역에 관측된 쓰나미보다 높게 관측되어 많은 과학자들이 그 원인을 추측했다. 대표적인 추정으로는 대륙판의 경계를 따라 이어지는 대양의 중앙 해령을 따라 장거리에서도 에너지가 집중되고 멀리까지 향했다는 이론이 있다.[272]
평균 높이 10m에 달하는 쓰나미가 수차례 인도양 연안에 밀려왔다 (지형에 따라 34m에 달하는 곳도 있었다).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근해에서 수마트라 섬 북서부 근해에 걸쳐 약 1,500km의 띠 모양의 지역 (위의 애니메이션 참조)의 해저 약 4,000m 지점에서 쓰나미가 발생, 쓰나미 발생 시 2~3m 정도 해저가 융기했으며, 제트기와 비슷한 속도 (시속 약 700km)로 쓰나미가 밀려온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속도로 파도가 밀려온 스리랑카, 인도, 몰디브, 아프리카 제국 등에 대해, 진원의 동쪽이 된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에서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쓰나미가 밀려왔다. 특히 태국의 푸껫에 쓰나미가 도달한 것은 지진 발생 2시간 30분 후였다. 이것은 쓰나미가 통과한 안다만해가 넓은 대륙붕이 펼쳐진 얕은 바다여서, 쓰나미가 진행하는 속도가 느렸기 때문이다.
쓰나미는 아프리카 대륙 동쪽 해안의 소말리아, 케냐, 탄자니아에도 도달하여, 소말리아에서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케냐의 몸바사에서는 피난 명령이 내려졌다. 또한 남극 대륙의 쇼와 기지에서도 반나절 후에 73c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캐나다, 미국의 서해안, 멕시코,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도 수십 cm의 쓰나미를 기록했다[210]。
발생 당시, 인도양의 각국에는 태평양 측 각국에서 정비되어 있는 쓰나미 경보 국제 네트워크 (쓰나미 조기 경보 시스템)이 없어, 2시간 후에 도달하는 지역에서도 피난 권고를 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망자를 낸 한 원인이 되었다.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 (하와이)는 쓰나미 발생의 우려를 감지했지만, 경보를 발령한 것은 디에고 가르시아 섬 주둔 미군에 한정되었고, 관계 각국에는 "고지"만 보내, 쓰나미 피해 경험이 없는 인도네시아에서는 그 심각성을 깨닫지 못했다고 한다[211]。
2005년1월 20일 시점의 사망자 총수는 22만 6,566명이다. 쓰나미에 의한 피해로는 약 2만 2,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1896년의 일본의 메이지 산리쿠 지진, 3만 6,417명이 사망한 1883년의 인도네시아・크라카타우 섬의 화산 폭발을 훨씬 능가하는 관측 사상 최악의 참사가 되었다.
또한, 쓰나미의 피해를 입은 인도양 연안 각국은 대부분 열대 우림이 펼쳐지는 곳으로, 주변 환경을 조절하고 많은 생물의 서식지가 되는 '''맹그로브'''가 줄어드는 것이 문제가 되었지만, 태국에서 소수의 맹그로브 숲이 쓰나미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뒤쪽의 육지가 큰 파도에 휩쓸리지 않고 무사할 수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태국 정부는 맹그로브의 보호와 식수를 추진하는 방침을 내세웠다.
3. 1. 조짐과 쓰나미예보
지진 발생 시점과 쓰나미 발생 시점은 최대 몇 시간이나 차이가 났지만, 인도양에는 쓰나미 경보 체계가 없어[273] 거의 모든 희생자가 갑작스럽게 쓰나미를 맞았다. 쓰나미는 심해에서 높이가 매우 낮아 센서망 없이는 감지가 어렵다.[68]쓰나미는 불의 고리라고 불리는 지진 다발 지역인 환태평양에서 주로 발생한다. 환태평양 조산대의 서쪽 끝은 인도양 지역까지 뻗어 있지만, 인도양에는 쓰나미 경보 체계가 없었다. 인도네시아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지만 쓰나미는 드물며, 마지막 대형 쓰나미는 1883년 크라카토아 분화 당시 발생했다. 2005년 3월 28일, 2004년 지진과 거의 같은 지역에서 규모 M8.7의 지진이 발생했지만 큰 쓰나미는 없었다.
쓰나미 발생 가능성의 첫 징후는 지진의 흔들림이다. 그러나 수천 km 떨어진 곳에서도 쓰나미가 닥칠 수 있다. 또 다른 징후는 쓰나미 발생 수 분 전 바다가 해안선에서 순식간에 멀어지는 현상으로, 아체, 푸껫주, 까오락 해변, 피낭주,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등 진원지 동쪽에서 관측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오히려 사람들, 특히 어린이들이 해변으로 몰려들게 해 더 큰 피해를 일으켰다.[274][69] 모든 쓰나미가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경고 없이 갑작스럽게 해안선이 올라와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었다.
몇몇 해안 지역에서는 쓰나미 발생 이전에 대피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인도네시아 시믈루섬에서는 1907년 수마트라 지진과 쓰나미에 관한 전승 덕분에 주민들이 지진 후 내륙으로 대피했다.[275][70] 태국 푸껫 북부 마이까오 해변에서는 영국인 관광객 소녀 틸리 스미스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통해 쓰나미 징후를 알아채고 사람들을 대피시켰다.[276][71] 스코틀랜드 출신 생물 교사 존 크로스턴도 푸껫 북쪽 카말라해변에서 쓰나미 징후를 알아채고 사람들을 고지대로 대피시켰다.
안다만 제도의 부족들은 쓰나미의 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원주민 대부분은 구전설화에 따라 대피하여 사상자가 적었다.[277][72] 옹게인의 설화에는 "엄청난 땅의 흔들림과 거대한 파도"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어,[280][75] 대부분이 쓰나미에서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된다.[278][73][279][74]
통계수리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2000년 7월부터 해당 지역의 지진 활동이 활발해졌지만,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예처럼 지진 전에 정온화 경향이 나타났는지는 불명확하다.[205]
3. 2. 인도네시아의 피해
피해를 입은 각국 중 가장 많은 희생자를 냈다. 특히 수마트라 섬 북단 아체 특별주 서해안은 막대한 피해를 입어 주도 반다아체와 서아체현의 Meulaboh영어 등은 거의 궤멸되었다. 현재 사망자는 13만 1,029명, 부상자는 최대 10만 명, 행방불명자는 3만 7,603명으로 정부는 '국가 재해'를 선언했다. 1월 19일, 아체에서 말라리아 발생이 확인되었다. 아체에서는 인도네시아 정부와 무장 세력인 자유 아체 운동과의 독립 전쟁이 계속되었지만, 자유 아체 운동은 지진 직후 휴전을 선언했고, 2005년 8월 정부 측도 이에 응했다(헬싱키 평화 협정). 또한 진원에 가까웠던 시믈루 섬영어, 니아스 섬과 아체 특별주에서는 쓰나미뿐만 아니라 지진의 흔들림으로 인한 피해도 컸다.
|thumb|upright=1.1|left|''아퐁 1'', 2,600톤급 선박이 2 km에서 3 km까지 내륙으로 밀려났다. 재해 이후 몇 년 동안, 이곳은 현지 관광 명소가 되었으며, 원래 멈춘 곳에 그대로 남아있다.]]

|250px|섬네일|쓰나미의 타격으로 완전히 전복된 로콩가 마을의 시멘트 운반선의 모습.]]

|thumb|250px|left|바이투라힘 모스크는 반다 아체, 울레레에서 쓰나미를 견뎌냈다]]
쓰나미는 지진 발생 약 20분 후 아체주 해안을 휩쓸었다.[281]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주요 도시였던 반다아체는 심각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281] 바다가 물러나면서 해저가 드러나자, 현지인들은 갇힌 물고기를 잡고 이 지역을 탐험했다.[281] 현지 목격자들은 세 개의 큰 파도를 묘사했는데, 첫 번째 파도는 건물 기초까지 부드럽게 올라갔고, 몇 분 후 울레레후 항구 근처의 바다가 갑자기 물러났다.[281] 이어서 두 개의 크고 검은색의 가파른 파도가 나타났고, 이 파도는 큰 소용돌이 흐름으로 수도로 육지 안쪽으로 이동했다.[281] 목격자들은 쓰나미를 "검은 거인", "산", "물의 벽"으로 묘사했다.[281] 영상 자료에는 내륙으로 3.2 km 떨어진 2층 주거 지역의 창문을 통해 검은 물이 쏟아져 나오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281] 또한, 도시 한가운데에서 촬영된 아마추어 영상에는 도시 거리를 따라 흘러내리며 파편으로 가득 차 범람하는 검은 파도가 포착되었다.[281]
도시 서북쪽 지역과 양식장쪽 바로 내륙, 인도양과 바로 마주보고 있는 지역은 극심한 수준으로 파괴되었다.[282] 쓰나미 높이는 울레레후에서 12 m였지만 동북쪽으로 8 km 떨어진 지점에는 높이가 6 m로 내려갔다.[282] 도시 전역이 3-4 km 내륙 안쪽까지 침수되었다.[282] 해안선에서 2-3 km 떨어진 벽돌벽, 집들은 튼튼하게 지어진 철근 콘크리트 주택을 빼고서는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고 쓰나미에 휩쓸리거나 파괴되었다.[282][283] 바다를 마주보는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구조물이 깨끗하게 사라졌고, 강에 가까운 상업 지구의 밀집된 건축물이 심각한 홍수 피해를 입었다.[284] 다만 도심에서 물 흐름의 깊이는 2층 수준에 불과했고, 거리와 1층 상점에는 수많은 양의 잔해가 쌓였다.[284] 울레레후의 해안 구간에서는 유속 깊이가 9 m를 넘었다.[284] 인근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면 아체강이 역류해 파괴된 해안 마을 잔해와 사람들을 실어나러 최대 내륙 40 km 안쪽 지역까지 흘러들어갔다.[284]
반다아체 북쪽에는 여러 소군도가 있는데 각각 웨, 브레우웨, 나시, 테우놈, 분타, 룸팟, 바테리에가 있다. 브레우웨섬과 나시섬 서쪽 해안의 쓰나미 높이는 10-20 m에 달했다.[283] 해안마을은 쓰나미 파도로 완전히 파괴되었다.[283] 웨섬에서는 사방항구에서 강한 쓰나미가 덮쳤지만 최대 높이는 약 3-5 m로 보고된 피해는 거의 없었다.[283] 이는 섬 지형상 서남쪽에서 온 쓰나미의 직접적인 타격을 막았기 때문이다.[283]
로콩카는 반다아체에서 서남쪽으로 약 13 km 떨어진 작은 해안마을로, 열대우림으로 덮인 두 언덕 사이 평평한 해안평야에 있으며 넓은 만이 내려다보이고 바다쪽에는 넓은 백사장과 서핑을 즐길 수 있는 해변으로 유명한 마을이다. 지역 주민들은 로콩카에 총 10-12차례의 파도가 덮쳤는데 이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도가 가장 높았고 파괴적이었다고 증언했다. 현지인 인터뷰에 따르면 바다가 일시적으로 물러나 산호초가 드러났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 후 수평선 너머로 약 30 m 높이의 거대한 검은 파도가 폭발하는 듯한 소리를 내며 부서지며 해안으로 다가왔다. 첫 파도는 서남쪽에서 약 0.5-2.5 m의 난류로 빠르게 육지로 들어왔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도는 해안에서 15-30 m 높이로 들어왔으며 거대한 서핑 파도처럼 보였지만 "코코넛 나무보다 키가 크고 마치 산같았다"라고 증언했다.[285] 두 번째 파도가 제일 컸으며 첫 번째 파도가 닥친지 5분 이내에 서남서쪽에서 들어왔다. 쓰나미로 화물선과 바지선이 좌초되었고 람푸크 해안 근처의 시멘트 채굴 시설을 파괴되고 건물 약 4층 높이까지 침수되었다.[219][286][287]
외딴 해안도시인 믈라보는 쓰나미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마을이다.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바다가 약 500 m나 물러난 후에 큰 쓰나미가 몰려왔고 뒤이어 작은 파도가 수 차례 덮쳤다고 말했다. 이후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도가 덮쳤을 땐 그 높이가 코코넛 나무의 높이를 넘었다고 말했다. 해안선에서 내륙 5 km 안쪽까지 쓰나미로 침수되었다. 그 외에 아체주 서부의 해안마을인 르풍, 로크루엣, 람노, 파텍, 칼랑, 트놈 등이 쓰나미 피해를 입었다. 북쪽과 동쪽 해안에서 피해를 입은 마을로는 피디에구, 사말랑가, 판테라자, 록스마웨 등이 있다. 이 지역은 주민들이 쓰나미에 대한 지식과 교육이 없었고 지역사회가 쓰나미 대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헬리콥터 조사에 따르면 내륙 수 km 안쪽까지 마을 전체가 사실상 파괴되고 모스크 일부만 남은 것으로 확인되었다.[288]
쓰나미가 가장 높은 높이를 기록한 지역은 수마트라섬 북쪽 끝 서해안에 있는 반다아체 인근 로콩가와 루풍 사이 언덕으로 최대소상고 51 m를 기록했다.[219][289]
그 외 수마트라섬 각지에서 측정된 쓰나미 높이는 아래와 같다.[282][290]
지역 | 쓰나미 높이 |
---|---|
아체주 서해안 | 15-30 m |
반다아체 해안 | 6-12 m |
크룽라야 해안 | 6 m |
시그리 해안 | 5 m |
웨섬의 쓰나미 진원지와 직접 마주보는 북쪽 해안 | 3-6 m |
웨섬의 쓰나미 진원지와 정 반대편 해안 | 3 m |
3. 2. 1. 아체주
쓰나미는 지진 발생 약 20분 후 아체주 해안을 휩쓸었다.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주요 도시였던 반다아체는 심각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 바다가 물러나면서 해저가 드러나자, 현지인들은 갇힌 물고기를 잡고 이 지역을 탐험했다. 현지 목격자들은 세 개의 큰 파도를 묘사했는데, 첫 번째 파도는 건물 기초까지 부드럽게 올라갔고, 몇 분 후 울레레후 항구 근처의 바다가 갑자기 물러났다. 이어서 두 개의 크고 검은색의 가파른 파도가 나타났고, 이 파도는 큰 소용돌이 흐름으로 수도로 육지 안쪽으로 이동했다. 목격자들은 쓰나미를 "검은 거인", "산", "물의 벽"으로 묘사했다. 영상 자료에는 내륙으로 3.2 km 떨어진 2층 주거 지역의 창문을 통해 검은 물이 쏟아져 나오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또한, 도시 한가운데에서 촬영된 아마추어 영상에는 도시 거리를 따라 흘러내리며 파편으로 가득 차 범람하는 검은 파도가 포착되었다.[281]
|250px|섬네일|2,600톤급 선박인 아풍 1호는 내륙에서 약 2-3 km 들어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쓰나미 이후 몇 년 간 배는 관광명소가 되어 난파된 그 자리에 그대로 남아 있다.]]
|thumb|upright=1.1|left|''아퐁 1'', 2,600톤급 선박이 2 km에서 3 km까지 내륙으로 밀려났다. 재해 이후 몇 년 동안, 이곳은 현지 관광 명소가 되었으며, 원래 멈춘 곳에 그대로 남아있다.]]
도시 서북쪽 지역과 양식장쪽 바로 내륙, 인도양과 바로 마주보고 있는 지역은 극심한 수준으로 파괴되었다. 쓰나미 높이는 울레레후에서 12 m였지만 동북쪽으로 8 km 떨어진 지점에는 높이가 6 m로 내려갔다. 도시 전역이 3-4 km 내륙 안쪽까지 침수되었다. 해안선에서 2-3 km 떨어진 벽돌벽, 집들은 튼튼하게 지어진 철근 콘크리트 주택을 빼고서는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고 쓰나미에 휩쓸리거나 파괴되었다.[282][283] 바다를 마주보는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구조물이 깨끗하게 사라졌고, 강에 가까운 상업 지구의 밀집된 건축물이 심각한 홍수 피해를 입었다. 다만 도심에서 물 흐름의 깊이는 2층 수준에 불과했고, 거리와 1층 상점에는 수많은 양의 잔해가 쌓였다. 울레레후의 해안 구간에서는 유속 깊이가 9 m를 넘었다. 인근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면 아체강이 역류해 파괴된 해안 마을 잔해와 사람들을 실어나러 최대 내륙 40 km 안쪽 지역까지 흘러들어갔다.[284]
반다아체 북쪽에는 여러 소군도가 있는데 각각 웨, 브레우웨, 나시, 테우놈, 분타, 룸팟, 바테리에가 있다. 브레우웨섬과 나시섬 서쪽 해안의 쓰나미 높이는 10-20 m에 달했다. 해안마을은 쓰나미 파도로 완전히 파괴되었다. 웨섬에서는 사방항구에서 강한 쓰나미가 덮쳤지만 최대 높이는 약 3-5 m로 보고된 피해는 거의 없었다. 이는 섬 지형상 서남쪽에서 온 쓰나미의 직접적인 타격을 막았기 때문이다.[283]
|thumb|upright=1.1|전복된 시멘트 운반선이 록응가에 있다]]
|250px|섬네일|쓰나미의 타격으로 완전히 전복된 로콩가 마을의 시멘트 운반선의 모습.]]
로콩카는 반다아체에서 서남쪽으로 약 13 km 떨어진 작은 해안마을로, 열대우림으로 덮인 두 언덕 사이 평평한 해안평야에 있으며 넓은 만이 내려다보이고 바다쪽에는 넓은 백사장과 서핑을 즐길 수 있는 해변으로 유명한 마을이다. 지역 주민들은 로콩카에 총 10-12차례의 파도가 덮쳤는데 이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도가 가장 높았고 파괴적이었다고 증언했다. 현지인 인터뷰에 따르면 바다가 일시적으로 물러나 산호초가 드러났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 후 수평선 너머로 약 30 m 높이의 거대한 검은 파도가 폭발하는 듯한 소리를 내며 부서지며 해안으로 다가왔다. 첫 파도는 서남쪽에서 약 0.5-2.5 m의 난류로 빠르게 육지로 들어왔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도는 해안에서 15-30 m 높이로 들어왔으며 거대한 서핑 파도처럼 보였지만 "코코넛 나무보다 키가 크고 마치 산같았다"라고 증언했다.[285] 두 번째 파도가 제일 컸으며 첫 번째 파도가 닥친지 5분 이내에 서남서쪽에서 들어왔다. 쓰나미로 화물선과 바지선이 좌초되었고 람푸크 해안 근처의 시멘트 채굴 시설을 파괴되고 건물 약 4층 높이까지 침수되었다.[219][286][287]
|250px|섬네일|반다아체 울레레후 항구 지역에 유일하게 쓰나미에서 살아남은 건물인 바이투라힘 모스크의 모습.]]
|thumb|250px|left|바이투라힘 모스크는 반다 아체, 울레레에서 쓰나미를 견뎌냈다]]
외딴 해안도시인 믈라보는 쓰나미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마을이다.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바다가 약 500 m나 물러난 후에 큰 쓰나미가 몰려왔고 뒤이어 작은 파도가 수 차례 덮쳤다고 말했다. 이후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도가 덮쳤을 땐 그 높이가 코코넛 나무의 높이를 넘었다고 말했다. 해안선에서 내륙 5 km 안쪽까지 쓰나미로 침수되었다. 그 외에 아체주 서부의 해안마을인 르풍, 로크루엣, 람노, 파텍, 칼랑, 트놈 등이 쓰나미 피해를 입었다. 북쪽과 동쪽 해안에서 피해를 입은 마을로는 피디에구, 사말랑가, 판테라자, 록스마웨 등이 있다. 이 지역은 주민들이 쓰나미에 대한 지식과 교육이 없었고 지역사회가 쓰나미 대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헬리콥터 조사에 따르면 내륙 수 km 안쪽까지 마을 전체가 사실상 파괴되고 모스크 일부만 남은 것으로 확인되었다.[288]
쓰나미가 가장 높은 높이를 기록한 지역은 수마트라섬 북쪽 끝 서해안에 있는 반다아체 인근 로콩가와 루풍 사이 언덕으로 최대소상고 51 m를 기록했다.[219][289]
그 외 수마트라섬 각지에서 측정된 쓰나미 높이는 아래와 같다.[282][290]
지역 | 쓰나미 높이 |
---|---|
아체주 서해안 | 15-30 m |
반다아체 해안 | 6-12 m |
크룽라야 해안 | 6 m |
시그리 해안 | 5 m |
웨섬의 쓰나미 진원지와 직접 마주보는 북쪽 해안 | 3-6 m |
웨섬의 쓰나미 진원지와 정 반대편 해안 | 3 m |
피해를 입은 각국 중 가장 많은 희생자를 냈다. 특히 수마트라 섬 북단 아체 특별주 서해안은 막대한 피해를 입어 주도 반다아체와 서아체현의 Meulaboh영어 등은 거의 궤멸되었다.
3. 3. 스리랑카의 피해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발생 당시, 수마트라섬에서 약 1,700km 떨어진 섬나라인 스리랑카는 지진 발생 후 약 2시간 만에 지진해일의 피해를 입었다.[291] 지진해일은 스리랑카 동부 해안을 먼저 강타한 후, 스리랑카 남쪽 지점 돈드라 곶에서 굴절되었다. 굴절된 쓰나미는 몰디브에서 부딪혀서 일부 에너지가 반사되었고 스리랑카 동남부 지역에도 피해를 주었다.[291] 스리랑카에서는 약 35,000명의 민간인이 사망하여 인도네시아에 이어 두 번째로 사상자가 많은 국가였다.[291] 스리랑카 동해안은 지진 진원지와 맞닿아 있어 가장 큰 타격을 입었고, 서남부 해안은 나중에 타격을 받았지만 사망자수는 동부 지역에 못지않게 심각했다. 스리랑카 서남부 해안 지역은 낚시객과 관광객이 많이 찾는 지역이었다.[292] 스리랑카의 심각한 환경파괴 상태는 사망자 수를 더욱 늘렸다.[292] 약 9만 채에 달하는 건물과 수많은 목조주택이 파괴되었다.[292]
처음에는 쓰나미가 작은 적갈색 모양의 홍수 형태로 섬에 도착했다. 직후에는 해저가 약 1km 길이까지 드러난 곳도 있었다가 이후 2번째, 3번째의 거대한 쓰나미가 몰려왔다. 갈 도시에서 촬영된 아마추어 영상에는 대규모 홍수가 도시를 덮쳐 잔해와 사람들을 휩쓸고 지나가는 모습이 담겨 있었고, 해안 휴양지 도시인 베루왈라에는 거대한 적갈색의 쓰나미가 호텔 1층 높이까지 덮쳐 파괴하고 미쳐 피하지 못한 사람들을 쓸고 가버리는 영상이 촬영되었다. 그 외에도 쓰나미가 내륙을 휩쓸고 지나가는 홍수처럼 촬영된 영상도 있었다. 방파제와 제방 건설로 일부 도시는 쓰나미의 위력이 감소한 지역이 있었다.
스리랑카에서 가장 큰 쓰나미가 덮친 지역은 얄라 국립공원으로 최대 12.5m의 쓰나미가 덮쳤고 침수된 거리는 해안선으로부터 390-1,500m에 달했다.[293] 함반토타에서는 11m의 쓰나미가 덮쳤고 최대 침수 거리는 2km로 측정되었다. 스리랑카 해안의 소상고는 평균 2.4-4.11m이다.[293][291] 슬리랑카 동해안의 쓰나미 높이는 포투빌에서 바티칼로아 지역은 4.5-9m이고 동북쪽에서는 트링코말리에서 2.6-5m, 모라투와에서 암발랑고다의 서해안 지역은 4-5m로 측정되었다.
스리랑카 각지에서 측정된 쓰나미 높이는 다음과 같다.[290]
- 코갈라 9m
- 갈 항구 6m
- 갈 해안 지역 4.8m
- 노나가마 8.7m
- 웰리가마 4.9m
- 도둔다와 4m
- 암발랑고다 4.7m
- 히카두와 어항 4.7m
- 카하와 10m
- 베루왈라 북부 해변 4.8m
- 파이야갈라 6m
마라다나와 마타라 사이를 운행하는 정기여객열차가 쓰나미를 맞아 탈선되고 전복되어 역사상 단일 철도 사고 사망자수로는 가장 많은 1,700명 이상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294] 해안선의 상태와 인근 구조물의 만조선으로 추정했을 때 철도 사고 현장에서의 쓰나미는 높이 해발 7.5-9m에 달했고 열차 꼭대기보다도 2-3m 높은 쓰나미가 닥쳤던 것으로 추정된다. 스리랑카 정부는 국가 비상사태 선포를 했다.
3. 4. 태국의 피해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발생한 쓰나미는 안다만해를 통해 동쪽으로 이동하여 지진 발생 약 2시간 후 태국 남서부 해안을 강타했다.[297][295][290] 진앙에서 약 500 km 떨어진 이곳은 크리스마스 휴양지로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나, 대부분 사전 경고를 받지 못하고 만조 때 덮친 쓰나미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태국에서는 인도네시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쓰나미가 닥쳐왔으며, 이로 인해 약 8,000명이 사망했다.
태국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팡응아주의 카오락이었다. 해변과 인접한 언덕에서 촬영된 영상에는 쓰나미 도달 직전 바다가 갑자기 물러나 해저가 드러나고, 많은 사람들과 관광객들이 물고기를 잡는 모습, 거품이 일렁이는 벽같은 쓰나미가 다가와 해안을 덮치는 모습이 담겨있다. 또 다른 영상에서는 쓰나미가 먼 수평선상에서 흰색 수평선처럼 다가오다 점차 커지면서 제트 스키를 탄 사람을 집어삼키고 해경 소속 보트 2척을 위로 들어올리는 모습이 촬영되었다.[296] 카오락의 최대 침수 범위는 해안선에서 약 2 km였으며, 평균 침수 깊이는 4-7 m, 일부 지역에서는 쓰나미가 리조트 호텔 3층까지 닿았다는 기록이 있다. 카오락의 쓰나미는 연안의 산호초와 얕은 해저로 인해 더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는 반다아체에서 닥쳤던 쓰나미 목격 기록과 비슷하다. 카오락 지역에서만 쓰나미로 약 5천명이 사망했다. 카오락은 수마트라섬 외 지역에 닥친 쓰나미 중 가장 높은 쓰나미 최대소상고를 기록했는데, 코쁘라통섬 서남쪽 끄트머리에 있는 방뚱답의 19.6 m이며, 두 번째로 높은 최대소상고 기록은 반남킴의 15.8 m이다.[295]
끄라비주의 아오낭에서도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다. 아오낭 지역을 촬영한 비디오 영상에서는 여러 차례 하얀 파도처럼 몰려온 쓰나미가 요트와 보트를 격렬하게 들어올리고 해안가로 밀려오는 모습이 촬영되었다. 꼬란타군에서 촬영된 영상에서는 물의 벽이 해변을 휩쓸고 지나가는 모습이 촬영되었고, 다른 곳에서 촬영된 영상에서는 큰 파도의 쓰나미가 해안으로 접근하면서 요트를 밀어올리고 해변을 침수시키는 모습이 촬영되었다.
푸껫주에서는 섬 서쪽 해변이 쓰나미의 피해를 입었다. 인기 관광지인 빠똥 해변에서는 쓰나미가 처음에 작은 홍수 형태로 도달해 자동차를 휩쓸고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약 10분 후에는 거대한 벽같은 쓰나미가 다가와 해변을 덮치고 침수시켰다. 까롱 해변, 까말라 해변, 까따 해변에서는 쓰나미가 내륙으로 밀물처럼 밀려와 사람과 자동차를 덮쳤다. 푸껫섬 동쪽 해안에서는 약 2 m의 쓰나미가 덮쳤고 한 강 하구에서는 수많은 보트가 파손되었다. 푸껫섬의 쓰나미 최대소상고는 약 5-6 m, 침수 깊이는 2 m였다. 푸껫섬에서만 쓰나미로 약 250명이 사망했다.
피피섬의 여러 군도도 쓰나미의 영향을 받았다. 피피섬 북쪽 만은 쓰나미가 다가오는 서북쪽으로 열려 있었고, 당시 해변에서 측정된 쓰나미의 높이는 5.8 m였다. 목격자에 따르면 쓰나미는 남쪽과 북쪽에서 각각 덮쳐왔다. 섬은 해수면에서 약 2 m 높이로 여러 오두막과 호텔이 있었다. 이스라엘 관광객이 촬영한 아마추어 캠코더 영상에서는 쓰나미가 작은 홍수처럼 오다 갑자기 내륙으로 밀려와 점차 강력해져 해변과 리조트 전체를 집어삼키고 요트를 바다로 밀어내는 장면이 촬영되었다.
수린 군도, 시밀란 군도와 같은 태국 서부 연안 섬 지역의 스쿠버다이버도 쓰나미를 감지했다. 다이버들은 갑자기 수중에서 격렬하게 소용돌이치는 해류에 휩쓸렸다고 증언했다. 현지에서 촬영된 캠코더 영상에서는 쓰나미가 내륙으로 밀려와 시밀란 군도의 캠핑 장비를 침수시키는 장면이 촬영되었고, 수린 군도에선 쓰나미가 관광객을 덮쳐 바다로 끌고 나가는 장면이 촬영되었다.[297]
피해를 입은 주요 지역으로는 푸껫주 서해안, 팡응아주의 휴양지인 카오락 해변, 끄라비주, 사뚠주, 라농주, 뜨랑주 해안 지역, 꼬라차야이, 피피섬, 수린 군도, 시밀란 군도 등 작은 연안 제도 지역이다.
태국 각 지역의 쓰나미 높이는 다음과 같다.[297][295][290]
- 카오락 해변 6-10 m
- 푸껫섬 서부 해변 3-6 m
- 푸껫섬 남부 해변 3 m
- 푸껫섬 동부 해변 2 m
- 피피섬 4-6 m
- 방뚱답 19.6 m
- 람손 5 m
- 방딸녹 6.8 m
- 핫쁘라핫(라농 해안자원연구기지) 5 m
- 타이므앙군 6.3 m
- 라이땅 6.8 m
태국 정부는 쓰나미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에 이번 피해가 발생했다며, 국가 기상국장을 해임하고 1993년 인도양 쓰나미 피해에 대해 경고했던 전 기상국장을 총리부 고위 관리로 복귀시켰다. 한편 태국 정부는 총 280억 바트의 부흥 지원 예산과 정부, 민간 은행의 저금리 융자 실시 등을 통해 경제적 손실에 거의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3. 5. 인도의 피해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발생 약 2시간 후, 인도 본토 남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와 타밀나두주 해안에 지진해일이 도달했다. 거의 동시에 남서부 케랄라주 해안에도 지진해일이 도달했다. 일부 지역은 만조 시간과 겹쳐 2~5차례 지진해일이 덮쳤다.[298][299][300][301]
인도 내무부가 수집한 인도 각지의 지진해일 최대 높이는 다음과 같다.[301][290]
- 케랄라주: 최대 3.4m, 해안선으로부터 0.5-1.5km 침수, 약 250km 해안선 영향
- 타밀나두주 남부 해안: 최대 4.5m, 해안선으로부터 0.2-2km 침수, 약 100km 해안선 영향
- 타밀나두주 동부 해안: 최대 5m, 해안선으로부터 0.4-1.5km 침수, 약 800km 해안선 영향
- 푸두체리: 최대 4m, 해안선으로부터 0.2-2km 침수, 약 25km 해안선 영향
- 안드라프라데시주: 최대 2.2m, 해안선으로부터 0.2-1km 침수, 약 985km 해안선 영향

첸나이의 13km 길이 마리나 해변도 지진해일에 휩쓸려, 아침 산책을 하던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 한 리조트 해변에서 촬영된 아마추어 비디오에는 지진해일이 해안으로 접근하면서 거대한 물벽이 되어 내륙으로 들어와 물바다가 되는 모습이 담겼다. 카라이칼에서는 10m 높이의 검은 진흙 지진해일이 해안을 덮쳐 492명이 사망했다. 방파제로 보호받던 퐁디셰리는 비교적 피해가 적었다. 현지 촬영 영상에는 지진해일 도달 전 사람들이 물이 빠진 해변에 모여 물고기를 잡는 모습이 찍혔다. 인도 본토 남쪽 끝 카니아쿠마리에서는 바다가 급격히 빠진 후 수평선에서 큰 파도가 보이더니 마을이 침수되었다. 다른 영상에서는 지진해일이 비베카난다 석조 기념관을 덮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301]
타밀나두주에서 가장 큰 피해를 본 지역은 나가파티남구로, 5m 높이 지진해일로 6,051명이 사망했다. 쿠다로레구에서도 지진해일이 여러 마을을 파괴했다.[301] 사망자 대부분은 어촌 주민이었다.[301] 바실리카 성모축건대성당과 여러 순례지가 있는 해안 마을 벨란카니도 현지 시각 일요일 오전 9시 30분경 지진해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순례자들은 성당 안에서 말라얄람어 미사를 드리고 있었다. 밀려온 지진해일은 성지 안까지 닿지 않았지만, 해변에 있던 수백 명의 순례자를 휩쓸고 갔다.[302] 성지 건물, 인근 마을, 수백 개의 상점과 주택, 순례자들이 지진해일에 쓸려 바다로 떠내려갔다. 약 600명이 사망했다.[303] 구조대는 모래와 바위에서 400구 이상의 시신을 수습했고, 신원 미상 시신 다수는 집단 매장되었다.
케랄라주에서는 스리랑카 주변을 돌아온 지진해일이 회절하면서 인구 밀도가 높은 에르나쿨람, 알레피, 콜람 지역에 피해를 줬다. 하지만 케랄라주 최남단 티루바난타푸람에서는 반도 끝에서 회절된 지진해일이 넓게 회전해 높이가 낮아져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대부분 피해는 서쪽 아라비아해와 동쪽 케랄라 후미 사이 좁고 긴 땅에서 발생했다. 첫 지진해일 직전 바다가 갑자기 물러났고, 콜람구 알라파드(첸리야 아지칼 마을과 아지칼 마을 포함)에서 4m 지진해일이 발생해 가장 큰 피해를 냈다.[301] 당시 지역 주민이 촬영한 영상에 따르면 지진해일이 해변과 마을을 완전히 덮쳤다.
안드라프라데시주에서도 여러 마을이 파괴되었다. 크리스나구에서는 지진해일이 망기나푸디와 마찰리파타남 해변을 덮쳤다. 가장 큰 피해를 본 지역은 프라카삼구로 35명이 사망했으며, 싱라이콘다 마을이 큰 피해를 입었다.[301] 어업이 가장 큰 피해를 보았고, 운송 부분 피해도 수만 달러로 집계되었다.[301]
지진해일 높이는 스리랑카가 직접 타격을 막아준 타밀나두주에서는 평균 1.6m였지만, 나가파티남처럼 수마트라섬을 바다로 바로 마주보는 지역에서는 4-5m였다. 서해안에서는 타밀나두주 카냐쿠마리구에서 4.5m, 케랄라주 콜람, 에르나쿨람에서 3.4m로 측정되었다. 지진해일 간격은 약 15분에서 90분 사이였다.[298][300][304] 지진해일 접근 시 높이는 생존자 증언에 따라 2m에서 10m까지 다양했다.[301] 해안선 최대 침수 거리는 푸두체리 카라이칼에서 최대 내륙 2.5km였다.[301] 홍수 거리는 대부분 500m 정도였지만, 강 하구의 경우 최대 1km 넘는 곳도 있었다. 코코넛 숲이나 맹그로브가 울창한 지역은 홍수 거리가 짧았고, 강 하구나 어귀 지역은 길었다. 케랄라와 타밀나두에서 방파제가 있는 지역은 피해가 작았지만, 방파제가 돌로만 만들어진 곳은 지진해일이 방파제를 휩쓸어 내륙 수 m 안까지 끌고 온 경우도 있었다.[298][300][304]
3. 5. 1.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의 진앙 바로 인근에 있던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는 쓰나미가 덮치기까지 수 분이 걸리지 않았다. 다만 섬별로 피해가 달랐는데 안다만 제도는 중간 정도의 피해를 입었지만 소안다만 제도와 니코바르 제도에서는 쓰나미의 큰 영향을 받았다.
남안다만섬에서는 현지 목격자들이 세 차례 쓰나미가 덮쳤으며 그 중 세 번째 쓰나미가 제일 파괴적이었다고 증언했다. 개울을 통해 바다와 이어진 해안과 내륙 저지대에는 홍수도 발생했다. 남안다만섬의 동해안에서는 치디야타푸, 부르나말라, 코디아가트, 베드나바드, 코빈만, 마리나 파크/아베르덴제티 지역에 국한된 홍수가 발생했다. 서해안에는 굽타파라, 만제리, 완도르, 콜린푸르, 티루르 지역에 홍수가 발생했다. 해안에 있는 여러 시설과 방파제, 밤부평지의 20 MW 디젤 발전기 등 여러 인프라도 쓰나미로 파괴되었다.[305] 포트블레어에서는 바다가 물러난 직후 쓰나미가 닥쳤으며 세 번째 쓰나미가 가장 높았고 큰 피해를 끼쳤다.
쓰나미 피해 조사 결과 남안다만섬의 치리야타푸, 코빈만, 완도르 해변 지역 쓰나미 높이는 다음과 같다.[290]
- 치리야타푸 해변: 최대 높이 5 m, 최대소상고 4.24 m
- 코빈만 해변: 최대 높이 5.5 m, 최대소상고 5.5 m
- 완도르 해변: 최대 높이 6.6 m, 최대소상고 4.63 m
한편 소안다만 제도에서는 지진 발생 약 25-30분 후 동해안에 네 차례의 쓰나미 파도가 닥쳤으며, 그 중 네 번째 쓰나미가 약 10 m로 가장 높고 파괴적이었다. 쓰나미는 해안에서 약 1 km 안쪽에 있던 허트베이 마을도 파괴했다. 최대소상고는 약 3.8 m로 측정되었다.[305]
카르니코바르섬에 있는 말라카에서는 쓰나미가 세 차례 닥쳤다. 제1파가 도착하기 직전에 해수면이 갑자기 상승하는 현상도 관측되었다. 제1파는 지진 발생 5분 후 닥쳐왔으며, 닥쳐오기 직전에 바다가 최대 600-700 m 정도 물러나는 일이 발생했다. 제1파 이후 10분 간격으로 제2파와 제3파가 도달했다. 제3파가 제일 강하고 높았으며 높이는 11 m였다. 거의 건물 3층 높이의 쓰나미가 말라카 바로 남쪽에 있는 인도 공군기지도 초토화시켰다. 당시 측정된 최대 쓰나미 높이는 약 11 m로 측정되었다. 해안선에서 최대 내륙 1.25 km 안쪽까지 침수되었다. 또한 쓰나미 파도의 영향이 매우 심해 유조선 4척이 말라카 인근 외해에서 공군기지 정문에서 800 m 떨어진 내륙 안쪽까지 밀려들어왔다.[305] 축추차와 라파티에서는 세 차례의 거대한 쓰나미가 닥쳤으며 최대 12 m의 높이가 기록되었다.
대니코바르섬의 캠벨만에서는 세 차례 쓰나미가 덮쳐 내륙 250-500 m 안쪽까지 침수되었다. 지진 발생 5분 후, 쓰나미 제1파가 도달하기 전 해수면이 상승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제1파 도달 이후 10분 간격으로 제2파와 제3파가 닥쳤다. 캠벨만 남쪽 13 km 지점에 있는 조긴다르나가르 지역에서는 인구밀도가 높아 쓰나미로 큰 혼란을 겪었다. 지역 주민에 따르면 쓰나미가 총 3차례 닥쳤다고 증언했다. 본진의 흔들림이 발생한지 약 5분 후 약간의 해수면 변동과 함께 제1파 쓰나미가 다가왔다. 제2파는 제1파 도달 10분 후 왔으며 최대 높이가 약 4.8 m에서 최대 8 m에 달했으며 큰 파괴를 가져왔다. 제3파는 제3파 도달 15분 후에 찾아왔으며 제2파보다는 높이가 낮았다. 당시 쓰나미로 인핸 침수 거리는 해안선에서 약 500 m에 달했다.[305]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섬은 카찰섬으로 총 인구 5,312명 중 303명이 사망했고 4,354명이 실종되는 피해를 입었다.[306][307][308] 포트블레어와 캠벨만은 가파른 암초노두가 쓰나미를 막는 역할을 해 높이가 낮아진 반면, 말라카나 허트만과 같이 동해안의 넓게 바다로 펼쳐진 지형에서는 쓰나미 높이가 매우 높았다.[307][309]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각지에서 보고된 최대 쓰나미 높이는 다음과 같다.[310][311][290]
- 북안다만섬 디그리푸르와 랑가트 1.5 m
- 대니코바르섬 캠벨만 8 m
- 카르니코바르섬 말라카, 소안다만섬 허트만 10-12 m
- 남안다만섬 포트블레어 3 m
3. 6. 몰디브의 피해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진앙에서 약 2,500 km 떨어진 몰디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290] 생존자들은 세 차례 쓰나미가 도달했으며 그 중 두 번째 쓰나미가 제일 강했다고 증언했다.[290] 산호초가 많은 몰디브에서는 과학자들이 쓰나미가 산호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290] 스리랑카에 비해 몰디브의 쓰나미 피해가 현저히 적었던 이유는 지형학적, 수심 측량학적으로 연안의 산호초와 개별 환초가 분리되어 있는 연쇄적 환초 지형과 함께 썰물 시기에 쓰나미가 닿아 쓰나미의 위력이 적어졌기 때문이다.[290] 쓰나미가 지나간 후에는 섬 전체가 물에 잠겨 사람이 살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님으로 드러났다.[290] 콜후마둘루 환초 빌루푸시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쓰나미 높이는 4 m였다.[290] 쓰나미는 지진 발생 2시간 후에 도달했다.[290] 가장 큰 침수사태는 카푸 환초의 말레섬에서는 해안선 안쪽 250 m 도로가 침수되었다.
현지인이 촬영한 영상에 따르면 쓰나미 때문에 마을의 거리가 무릎 높이까지 침수되었고, 해변에서 촬영한 영상에서는 쓰나미가 내륙으로 서서히 밀려들어오는 모습이 촬영되었다.
몰디브 각지에서 측정된 쓰나미 높이는 다음과 같다.[290]
- 카푸 환초(북말레 환초) 말레섬 1.3-2.4 m
- 카푸 환초 후훌레섬 2 m
- 남말레 환초 엠부드후 피노투 1.7-2.8 m
- 라무 환초 포나두섬 2.5-3.3 m
- 라무 환초 간섬 2.2-2.9 m
- 카푸 환초 디푸시섬 2.3-3 m
- 카푸 환초 후라섬 2.2-2.4 m
- 카푸 환초 쿠다후라섬 1.5 m 이상
쓰나미로 인해 74명이 사망했고, 수도 기능을 가진 말레 섬의 3분의 2가 침수되었다. 공항에서는 항공기가 휩쓸려 갔다. 정부는 재난 비상 사태를 선포했다. 전화 및 교통망이 두절되어 정확한 피해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말레에서는 일본의 ODA 등으로 건설된 방파제가 동 섬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막았다고 전해진다.
3. 7. 미얀마의 피해
미얀마에서는 지진 발생 후 2시간에서 5시간 30분 사이에 쓰나미가 닥쳐와 중간 정도의 피해를 입었다. 미얀마 서부 안다만해 해안선이 단층 파열 지점과 근접했지만 쓰나미를 일으킨 수직 변위 단층이 안다만 제도까지 이어지지 않아 바로 옆 국가인 태국보다는 쓰나미 높이가 낮았다.[312] 또 떠닝따이도의 경우 수백 개의 섬으로 구성된 메르귀 제도가 쓰나미를 막는 방파제 역할을 했다.[312] 에야워디강 삼각주에서 떠닝따이도에 이르는 지역의 과학 조사에 따르면 미얀마 해안의 쓰나미 높이는 0.4-2.9 m 사이였다.[312]미얀마 각지에서 측정된 쓰나미 높이는 에야워디강 삼각주 0.6-2.3 m, 더왜 지역 0.9-2.9 m, 몌이 0.7-2.2 m, 꼬따웅 0.4-2.6 m이다.[290]
현지 주민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떠닝따이도나 에야워디강 삼각주 지역에서는 지진의 흔들림을 느끼지 못했다.[312] 미얀마에서 발생한 71명의 사망자는 주택 인프라가 열약하고 조사 대상 지역의 해안가 주민들이 해안가 바로 옆, 특히 에야워디강 삼각주의 저지대에 거주하며 대피할 수 있는 고지대가 없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12] 2004년 12월 지진으로 발생한 미얀마의 쓰나미 높이는 3 m를 넘지 않았으며, 피해가 집중된 에야워디강 삼각주의 경우 얕은 수심의 삼각주에서 진폭이 늘어나고 에너지가 집중된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12]
정부 발표에 따르면 80명이 사망하고 43명이 부상, 3명이 행방불명되었지만, AFP 통신 보도에 따르면 사망자는 최소 90명이다.
3. 8. 소말리아의 피해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서쪽으로 5,000 km 거리의 인도양을 가로질러 동아프리카의 소말리아도 강타했다.[313] 아프리카의 뿔에서는 4차례 쓰나미가 휩쓸어 298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313]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구 푼틀란드 지역이었던 무두그주 가라카드에서 바리주 하푼 사이 약 650 km 길이의 해안선이다.[313] 대부분의 희생자는 저지대인 라스하푼 반도에서 발생했다.[313] 소말리아 북부의 푼틀란드 해안은 인도 아대륙 서쪽에서 쓰나미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기도 하다. 파도는 현지 시각으로 정오 무렵에 도달했다.[313]소말리아에 닥친 쓰나미의 최대소상고는 5 m에서 최대 9 m까지 기록되었으며, 침수된 거리는 해안선으로부터 44 m에서 704 m까지 다양했다. 바이라에서 최대 9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에일 마을 인근에서는 마을 근처 절벽에서 이보다도 더 높은 쓰나미를 관측했다는 목격담도 있다.
소말리아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하푼으로 주민 5,000명 중 19명이 사망하고 160명이 실종되었다. 이는 아프리카의 단일 도시에서 발생한 쓰나미, 또한 인도 아대륙 서부에서 발생한 사상자로는 가장 큰 규모이다.[313]
소말리아 각지에서 관측된 쓰나미 최대소상고는 다음과 같다:[290]
- 에일 6.32-9.52 m
- 바이라 6.14-8.94 m
- 포아르 5.97-6.37 m
3. 9. 말레이시아의 피해
말레이시아에 닥친 쓰나미는 주로 크다주, 페락주, 피낭주와 같은 북부의 주와 랑카위와 같은 안다만해 근해 섬에 닥쳤다. 하지만 반도 말레이시아 대부분은 서쪽 앞바다에 있는 수마트라섬이 쓰나미를 막아서 큰 규모로 덮치진 않았다.[108] 피낭주의 경우 일부 휴양지 해변에서 안전요원이 사용한 간단한 적기 체계로 쓰나미를 경고해 사망자수를 줄일 수 있었다.
말레이시아에서 쓰나미로 총 67명이 사망했으며,[314] 피낭주에서 52명이 사망했다.[314] 피낭주에서는 해변에서 놀던 관광객과 어린이들이 다수 쓰나미에 쓸려 사망했다. 그 외에 크다주에서도 12명, 페락주에서도 2명이 해변 마을의 쓰나미로 사망했다.
말레이시아 각지에서 관측된 쓰나미 최대소상고는 다음과 같다.[290]
- 조지타운 바투페링히 미아미 해변 3-4 m
- 쿠알라테리앙 3.46 m
- 피낭섬 1.4-2.6 m
- 판타이코크 해변 2.25-2.98 m
3. 10. 기타 지역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인도양 연안 국가들뿐 아니라,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 영향을 미쳤다.방글라데시에서는 반스바리아에서 최대 2.4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고, 바리살주에서 2명이 사망했다.[290][315]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이동된 물이 파열 구역 북부에서 상대적으로 적었고, 단층 파열 속도가 느려 큰 피해는 피할 수 있었다.[290]
예멘에서는 소코트라섬의 샤조르에서 최대 6.11m, 하디부에서 2.1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고, 본토에서도 최대 2m의 쓰나미로 2명이 사망했다.[316] 이란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 비르다프에서는 최대 4.43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나, 발루치스탄 지역에서는 1.69-4.43m 사이의 쓰나미에도 불구하고 피해는 없었다.[317] 오만에서는 중부주 슈와르에서 최대 5.4m, 살랄라에서 2.34-3.2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나 피해는 없었다.[290]
동아프리카에서는 케냐 응고메리반도에서 최대 3m(1명 사망), 세이셸에서 최대 4.4m(3명 사망), 탄자니아에서 최대 3.5m(10명 사망),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최대 1.5m(2명 사망)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318][319] 코모로에서는 그랑드코모르섬에서 최대 6-6.9m, 모엘리섬에서 최대 3.8m, 마요트에서 4.05m의 쓰나미로 해안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320] 마다가스카르에서는 남쪽 끝 파우카프에서 4.4-5.4m, 동부 마나카라에서 1.5-4.2m 등 평균 2-4m의 쓰나미로 해안 저지대가 침수되었다.[321] 모리셔스 로드리게스섬에서는 2.6-3.8m, 모리셔스에서는 1.34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나 피해는 없었다.[322] 레위니옹에서는 항구에서 최대 2.74m, 평균 1-2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322] 차고스 제도에서는 최대 1.9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나 피해는 없었다.[290]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해안에는 몇 시간 동안 쓰나미가 도달하여 배가 계류장에서 풀려나고 2명이 바다에 휩쓸렸다가 구조되었다.[323] 번버리에서 최대 0.92m, 빅토리아주 포틀랜드에서 0.85m, 시드니에서 0.1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290] 뉴질랜드 티머루에서는 최대 1.05m, 웰링턴에서는 0.24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나 피해는 없었다.[324]
대서양 연안의 남아메리카에서는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에서 0.09-0.3m, 브라질 산타카타리나주 임비투바 항구에서 최대 0.6m, 우바투바에서 0.57m, 리우데자네이루에서 0.22m, 우루과이 라팔로마에서 0.4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버뮤다에서 0.12m, 미국 플로리다주 트리덴트피어에서 0.17m, 뉴저지주 애틀랜틱 시티에서 0.11m,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샬럿아말리에에서 0.09m, 캐나다 핼리팩스에서 0.22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서아프리카 가나 세콘디타코라디에서 0.21m, 유럽 프랑스 꽁꺄흐노에서 최대 0.5m, 브레스트에서 0.2m, 영국 콘월 뉴린에서 0.22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290]
태평양 연안에서는 피지 라우토카에서 최대 0.05m,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마르키즈 제도에서 0.03m, 누벨칼레도니 누메아에서 0.05m, 통가 누쿠알로파에서 0.05m, 바누아투 에파테섬에서 0.08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칠레 아리카에서 최대 0.36m, 탈카우아노에서 0.22m, 이스터섬에서 0.2m, 에콰도르 발트라섬에서 0.18m, 페루 카야오 라푼타구에서 최대 0.34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290] 북아메리카에서는 엘살바도르 아카후틀라에서 0.16m, 멕시코 만사니요에서 최대 0.51m, 바하칼리포르니아주에서 0.12m, 미국 캘리포니아주 크레센트시티에서 최대 0.31m,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섬 윈터하버에서 최대 0.11m, 러시아 세베로쿠릴스크에서 0.1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325]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 생폴섬에서는 0.08m, 케르겔렌 제도에서는 최대 0.34m, 영국령 사우스오크니 제도에서는 0.26m, 포클랜드 제도에서는 0.22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남극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데이비스 연구 기지에서는 최대 0.47m, 쇼와 기지에서는 0.39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290]
말레이시아에서는 케다 주, 페락 주, 페낭 주, 랑카위 섬 등 북부 주와 해안 섬에 쓰나미가 도달했다.[108] 말레이 반도는 수마트라 섬 덕분에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108]
4. 영향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지구 자전과 지형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켄 하드넛은 지진으로 지축이 약 2cm 이동하여 지구 자전 속도가 빨라져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68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212][213]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축이 7cm 이동하여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32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214]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는 지진 직후 지구 전체의 세로 흔들림이 약 20~30cm였다고 밝혔다. 진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일본에서도 산업기술종합연구소가 지진 직후 지하수 수위 변동을 40곳 이상에서 확인했다.
M9.3의 지진 이후 주변 지역에서 큰 지진이 빈발했다. 2005년 2월 5일 필리핀 근해 셀레베스 해에서 M7.1, 같은 해 3월 28일 니아스 섬 북부에서 M8.6 (수마트라 지진 (2005년)), 2007년 1월 21일 술라웨시 섬 남동부에서 M7.3의 지진이 발생했다.
2005년 3월 12일 수마트라 섬 서부 타랑 산이 분화했고, 다음 날 3월 13일 자바 섬 서부 탕구반 쁘라후 산이 분화하는 등 인근 화산 활동도 활발해졌다.
위성 항법 시스템(GPS) 측정 결과, 주변 각지에서 지각 변동(위치가 수 cm 이동)이 확인되었다.
4. 1. 피해 국가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227,898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집계했다.[216] 이는 역사상 기록된 사망자가 가장 많은 10대 지진 중 하나이며, 쓰나미로는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사례이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국가는 인도네시아로, 사망자 수는 약 17만 명에 달한다.[326] 초기 인도네시아 보건부 장관 시티 파디라 수파리는 인도네시아에서만 22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보고했으나,[327] 이후 사망자 및 실종자 추정치는 5만 명 이상 감소했다.[220] 쓰나미 평가 연합은 실종자 데이터의 질이 좋지 않아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지적했다.[220]쓰나미는 인도양을 넘어 동아프리카 해안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진앙지에서 8,000km 떨어진 남아프리카 공화국 루이엘스에서도 사망자가 발생했다.[329] 구호단체들은 사망자의 약 1/3이 어린이이며,[330] 옥스팜은 일부 지역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사망 비율이 최대 4배 더 높았다고 보고했다.[330]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몰디브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으며, 유엔은 구호 작전이 역사상 가장 많은 비용이 들 것이라 추정했다.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재건에 5년에서 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성수기 휴가철로 인해 최대 9천 명의 외국인 관광객도 피해를 입었으며, 스웨덴(543명 사망)과 독일(539명 사망)이 가장 큰 인명 피해를 입은 유럽 국가였다.[331]
인도네시아 아체 특별주를 제외하면 대부분 쓰나미로 인한 피해였다. 피해 지역 대부분은 지진이나 쓰나미 경험이 없어 경고나 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인명 피해가 커졌다.
희생자 중에는 일본이나 서구 국가 등에서 온 관광객도 다수 포함되었다. 인도네시아 아체 주는 독립을 요구하는 무장 세력과 국군의 대립으로 피해 상황 조사 및 구호 활동에 지장이 있었다. 군사 정권 하의 미얀마나 내전 중인 소말리아에서도 정확한 피해 상황 파악이 어려웠다.
이 지진은 1556년 화현 지진(사망자 83만 명), 1976년 당산 지진(비공식 사망자 60만 명 이상)에 이어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대지진으로 기록되었다.
이재민은 500만 명에 달하며, 180만 명에게 식량 지원이 필요했다. 위생 환경 악화로 감염병, 전염병 등 2차 피해와 성폭행, 유괴 등 치안 악화도 우려되었다.
스리랑카, 안다만 제도는 외부와의 통신이 두절되어 단파 아마추어 무선을 이용한 비상 통신이 이루어졌다. 인도네시아 아체 특별주 정부에도 아마추어 무선 사용을 예외적으로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인종 | 사망 | 실종 | 비고 | |
---|---|---|---|---|
미국 | 33 | 18 | ||
스웨덴 | 543 | 17 | 정부는 범죄 유발 우려로 실종자 개인 정보 비공개. 나잠의 미에츠코 타라치크/Mieszko Talarczyk영어 사망. | |
독일 | 539 | 13 | ||
영국 | 143 | 6 | 전 일본 주재 저널리스트 로버트 와이먼트 사망. | |
노르웨이 | 84 | |||
프랑스 | 95 | |||
이탈리아 | 54 | |||
스위스 | 106 | 6 | ||
호주 | 26 | 오지 풋볼 선수 트로이 브로드브리지 사망. | ||
일본 | 37 | 7 | ||
홍콩 | 38 | 2 | 태국에서 실종 또는 사망(2005/12/18 현재 홍콩 정부). | |
대한민국 | 17 | 3 | ||
북한 | 3 | |||
아르헨티나 | 2 | |||
오스트리아인 | 86 | |||
벨기에인 | 11 | |||
브라질 | 2 | |||
캐나다 | 15 | 5 | ||
칠레 | 2 | |||
중국 본토인 | 3 | 7 | ||
콜롬비아 | 1 | |||
크로아티아인 | 1 | |||
체코인 | 8 | |||
덴마크인 | 45 | 1 | ||
에스토니아인 | 3 | |||
핀란드 | 179 | |||
가봉인 | 1 | |||
그리스인 | 3 | |||
아일랜드인 | 4 | |||
이스라엘 | 6 | 1 | ||
룩셈부르크인 | 2 | |||
말레이시아 | 9 | 15 | ||
몰타인 | 1 | |||
멕시코 | 2 | 1 | ||
네덜란드인 | 36 | |||
뉴질랜드 | 7 | |||
필리핀 | 8 | |||
폴란드 | 1 | 12 | ||
포르투갈 | 4 | |||
러시아 | 9 | 35 | ||
싱가포르 | 9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7 | 3 | ||
스페인 | 2 | |||
대만 | 2 | |||
터키인 | 1 | |||
우크라이나 | 38 | |||
베트남 | 1 |
4. 2. 환경 영향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인도양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환경 영향을 초래했다.[350][140] 맹그로브, 산호초, 숲, 해안 습지, 초목, 모래 언덕, 암석층, 생물 다양성, 지하수 등 다양한 생태계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50][140] 고체 및 액체 폐기물, 산업 화학 물질의 확산, 폐수로 인한 수질 오염, 하수 처리 시설 파괴 등도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했다.[350][140] 이러한 환경 영향을 완전히 파악하고 복구하는 데는 오랜 시간과 많은 자원이 필요했다.[350][140]
바닷물 침투와 경작지의 소금층 침투는 대수층과 토양을 오염시켜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351][141] 몰디브에서는 16~17개의 산호초 환초가 쓰나미에 휩쓸려 담수가 고갈되어 수십 년 동안 사람이 살 수 없게 되었다.[351][141] 지역 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하던 수많은 우물이 바다, 모래, 흙으로 오염되었고, 대수층은 다공성 암석을 통해 바닷물에 오염되었다.[351][141] 몰디브 동해안에서는 쓰나미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식수로 의존하던 우물이 오염되었다.[351]
스리랑카 콜롬보에 위치한 국제물관리연구소(IWMI)는 바닷물의 영향을 추적한 결과, 우물이 쓰나미 발생 1년 반 후에야 쓰나미 이전의 식수 수질로 회복되었다고 발표했다.[351][141] 국제물관리연구소는 바닷물로 오염된 우물을 정화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는 세계 보건 기구(WHO)의 긴급 지침 중 하나로 공식 승인되었다.[352][142]
소금에 절여진 토양은 불모지가 되어 농업에 이용하기 어렵고 복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351][141] 또한, 식물과 중요한 토양 미생물도 사멸한다.[351] 스리랑카에서는 수천 개의 논, 망고와 바나나 농장이 거의 완전히 파괴되어 복구에 수년이 걸렸다.[351][141]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다른 지원과 더불어 몰디브, 세이셸 등지의 해양 환경과 산호초를 감시하고 재활하기 위한 전략 개발을 돕기 위해 생태 전문가를 파견했다.[354][143] 이들 과학자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북부의 그레이트배리어리프 연구에서 얻은 생태학적 전문 지식을 활용했다.[354][144]
유엔 환경 계획(UNEP)은 전례 없는 상황에 대응하여 각 지역 정부와 협력하여 생태 영향의 심각성과 해결 방법을 결정했다.[355][145] UNEP는 긴급 자금을 조성하고 쓰나미 피해 국가의 지원 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태스크 포스를 수립하여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환경 복구 및 재난 위험 감소를 위해 약 930만 달러를 지원했다.[356][357][146][147] 이 기금은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페인, 영국 등 다른 국제기구와 국가로부터 지원받았다.[356][357][146][147]
연구에 따르면 해안에 맹그로브 숲이 있는 지역은 개발이나 양식장 조성을 위해 개간된 지역보다 쓰나미로부터 더 큰 보호를 받았고 피해도 적었다.[358][148] 그 결과, 여러 환경 복원 프로젝트에서 맹그로브 숲 복원을 목표로 했다.[358] 이러한 생태계 기반 재해 위험 감소 접근 방식은 지역사회가 진행 과정 전반에 걸쳐 이해관계자로 긴밀하게 참여하고 맹그로브가 번성할 수 있도록 선택된 장소의 물리적 조건에 주의를 기울일 때 가장 성공적이었다.[358][148]
4. 3. 경제적 영향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인한 경제적 피해 규모는 조사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국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피해 지역의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149] 특히 어업과 관광업이 가장 큰 피해를 본 산업으로 꼽힌다.[149]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들 산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았지만, 다른 경제학자들은 인프라 파괴의 심각성을 경고하며 장기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고 주장했다. 상수도와 농경지가 바닷물에 오염되어 수년간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150]해안 지역의 어촌과 주민들은 어선과 어구 손실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151][152] 스리랑카에서는 수공 어업이 지역 시장에 생선을 공급하는 주요 수단이었고, 산업 어업은 약 25만 명의 직접 고용을 창출하는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다. 그러나 쓰나미로 해안 지역 어선 및 산업 인프라의 66%가 파괴되었다.[153] 쓰나미 이후 타밀나두주의 조선소에서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쌍동선 수요가 급증하여 조선업이 호황을 누렸지만,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154]
쓰나미는 해안 지역뿐만 아니라 내륙 지역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언론 보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면서, 피해 지역이 아닌 곳으로의 여행까지 취소하는 관광객이 많아졌다.[155] 특히 태국의 끄라비주와 같이 다른 관광지의 출발점 역할을 하는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155] 피해를 입지 않은 태국의 해안 리조트들조차 예약 취소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156]
믈라카 해협의 해저 지형 변화는 해운업에도 영향을 미쳤다. 수심이 얕아져 선박 항행이 어려워지고 위험해졌으며, 구호품 전달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새로운 항해도를 작성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쓰나미로 해적 활동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2013-2014년에는 다시 쓰나미 이전 수준으로 증가했다.[158]

4. 4. 역사적 맥락
인도양에서 발생했던 가장 마지막의 거대 쓰나미 사태는 서기 1400년경에 일어났다.[369][370] 2008년 태국 서부에 있는 쓰나미를 막아낸 섬인 코쁘라똥에서 연구하던 연구팀은 지난 2,800년간 최소 3차례 거대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증거를 찾았으며, 가장 최근에 발생한 쓰나미는 약 700년 전 일어난 것으로 확인했다.[371] 또 다른 연구팀은 수마트라섬 북쪽 끝에 있는 아체에서도 비슷한 쓰나미 증거를 발견했으며, 두 번째 모래층 아래 토양에서 발견한 나무껍질 조각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2004년 발생한 쓰나미와 비슷한 이전 지진이 서기 1300년에서 1450년 사이에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161]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1976년 탕산 지진 이후 발생한 가장 사망자가 많은 자연재해이다.[372] 또한 2004년 지진은 1900년 이후 기록된 세 번째로 규모가 큰 지진이었다.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지진은 1556년 중국 명나라에서 발생한 섬서 대지진으로 83만 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역사지진이라 이 기간 발생한 지진의 사망자수를 신뢰하기 어렵다.[162]
2004년 이전에는 1883년 크라카타우산이 분화하여 인도와 태평양 해역에 퍼진 쓰나미로 36,000-120,000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인도양 지역에서 가장 큰 사망자를 일으킨 자연재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782년에는 남중국해에서 발생한 쓰나미(혹은 사이클론)로 약 4만명이 사망했다.[163] 2004년 이전까지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쓰나미는 1908년 메시나 지진으로 인해 지중해 전역에 닥친 쓰나미로, 지진과 쓰나미를 합쳐 총 123,000명이 사망했다.[164]
과거 수천 년 동안 여러 차례 대규모 쓰나미가 발생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2008년, 일본, 미국, 호주, 태국 등의 공동 조사팀은 태국 남부 인도양 연안에서 과거 약 2500년 동안의 지층에서 4개의 쓰나미에 의한 지층을 발견했다. 이 조사 결과로부터 2004년과 같은 대규모 쓰나미는 수백 년에 한 번 발생하며, 각각 550~700년 전, 2200~2400년 전 즈음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201]。
900년에 인도 남부의 벵골 만에 면한 타밀나두 주에 인도양에서 온 큰 해일이 덮쳐 수도원과 사원에 있던 수백 명이 희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인도의 언론인 칼키 크리슈나무르티(Kalki Krishnamurthy)의 소설 『폰니인 셀반(Ponniyin Selvan)』에도 이와 유사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인도 연구자들은 인도 동해안에 위치한 7~12세기 고고학 유적에서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이 900년경에 대규모 쓰나미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2004년과 같은 규모의 초대형 지진은 주기성을 가진다고 추정하고 있다.[204]
4. 5. 기타 영향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여러가지 면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많은 의료 전문가와 구호 요원들은 쓰나미 피해 주민들에게 광범위한 심리적 트라우마가 발생했음을 보고했다.[375] 피해 지역의 전통문화에서는 가족의 친척들이 사망자의 시신을 묻어야 했는데, 대다수의 경우 사망자를 묻어줄 친척들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아체 지역은 종교적으로 보수적인 이슬람 세가 강했던 지역으로, 인도네시아군과 자유 아체 운동(GAM) 사이의 내란인 아체 반란으로 인해 지진 발생 전 수년간 관광객이나 서구인이 없었다. 일부에서는 쓰나미가 매일 기도하지 않거나 물질주의적인 생활 방식을 따르는 무슬림 평신도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이들은 무슬림들이 계속되는 분쟁으로 서로를 죽이는 일에 대해 알라가 분노했다고 주장했다.[376] 사우디아라비아의 성직자인 무함마드 알무나지드는 이 지진해일이 크리스마스 휴가 기간 동안 "해변과 술집에 와인이 넘쳐나던" 비무슬림 관광객들에 대한 신의 보복이라고 주장했다.[377] 쓰나미로 아체는 광범위한 피해를 입었고, 자유 아체 운동은 2004년 12월 28일 휴전을 선포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평화회담을 재개했으며, 2005년 8월 15일 양 세력이 평화 협정을 맺는 데 성공했다. 아체 평화협정은 그 명분으로 2004년 쓰나미를 명확하게 언급한다.[378]

27개국에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5%가 한 해의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을 꼽았다. 그보다 더 많은 응답이 나온 사건은 이라크 전쟁 정도였다.[379][380] 쓰나미에 대해 국제 언론이 광범위한 규모로 보도했고, 재건 과정에서 매스미디어와 언론인의 역할에 대해서 아시아 태평양 저널리즘 센터가 특별히 마련한 특별화상회의에서 쓰나미 피해 지역의 신문과 방송 매체 편집자들이 논의하기도 했다.[381]
쓰나미로 인해 인도 국민과 정부는 경계심이 강해졌다. 쓰나미 발생 4일 후인 2004년 12월 30일, 테라 리서치 센터는 인도 정부에 지질 센서가 수마트라와 뉴질랜드 사이에서 향후 12시간 이내에 규모 M7.9-8.1의 지각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382] 이에 인도 내무부 장관은 이 지역에서 특별한 징후가 없었음에도 인도 남해안과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지역 전역에 치명적인 쓰나미가 또 다시 닥칠 수 있다고 발표했다.[382] 이 발표로 인도양 전역에서 공포가 일어났고 수천명이 집을 떠나면서 심각한 교통 정체가 발생했다.[383] 하지만 이 발표는 오경보였고 내무부 장관은 발표를 철회했다.[383] 추가 조사 결과 "테라 리서치 센터"라는 컨설팅 회사는 사실 자칭 지진 예측관이라는 한 남성의 자택에서 운영하던 회사였으며 그는 자신의 감지 시스템 사본을 판매하는 웹 사이트를 운영하기도 했다.[384]
쓰나미는 스웨덴에 심각한 인도주의적, 정치적 영향도 미쳤다. 아시아 외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국가인 스웨덴에서는 태국을 중심으로 총 543명이 사망하는 피해를 입었다. 이 당시 페르손 내각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큰 비판을 받았다.[385] 1994년에 지진과 쓰나미가 조만간 '확실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던 기상학자인 스미스 따마싸로자가 태국의 쓰나미 경보 체계를 설계했다.[386][387] 인도양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한 쓰나미 조기 경보 체계인 인도양 쓰나미 경보 시스템은 2005년 초가 되어서 구축되었다.[388]
지진으로 인해 지구의 내부질량이 재분포되어 몇 가지 지구적 변화도 발생했다. 우선 극운동으로 북극의 위치가 약 25 mm 이동했다. 또한 지구의 모양도 약간 바뀌었는데 특히 지구의 경사도가 약 100억분의 1만큼 감소해 지구의 자전 속도도 약간 빨라져 하루의 길이가 2.68 마이크로초 짧아졌다.[389]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켄 하드넛에 따르면, 이 지진의 영향으로 지축의 위치가 약 2cm 이동하여 지구 자전에 영향을 미쳐 지구의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68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212][213]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지축이 7cm 이동하여 하루 길이가 100만분의 2.32초 정도 짧아졌을 가능성이 있다.[214] 지구 전체의 세로 흔들림은 지진 직후 약 20~30cm였다(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진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일본에서도 지진 직후 지하수 수위의 변동이 40곳 이상에서 확인되었다(산업기술종합연구소).
M9.3의 지진 이후 2005년 2월 5일 필리핀 근해의 셀레베스 해에서 M7.1, 같은 해 3월 28일 니아스 섬 북부에서 M8.6 (수마트라 지진 (2005년)), 2007년 1월 21일 술라웨시 섬 남동부에서 M7.3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주변 지역에서 큰 지진이 빈발했다. M9.3의 지진 발생 약 3개월 반 후인 2005년 3월 12일 수마트라 섬 서부의 타랑 산이 분화했고, 다음 날 3월 13일에는 자바 섬 서부의 탕구반 쁘라후 산이 분화하는 등 인근에 있는 화산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주변 각지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PS) 측정으로 지각 변동(위치가 수 cm 이동)이 확인되었다.
5. 인도주의적 지원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발생 이후, 광범위한 인프라 손상, 식량 및 물 부족, 경제적 피해로 인해 대규모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했다.[390] 피해 지역의 높은 인구밀도와 열대성 기후는 콜레라, 디프테리아, 이질, 장티푸스, A형 간염, B형 간염 등 전염병 확산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인도주의 단체와 정부기관은 위생 시설과 깨끗한 식수 제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390] 질병과 기근 확산으로 인한 사망자 수 증가 우려가 있었으나, 신속한 초기 대응으로 이러한 위험은 최소화되었다.[390]
쓰나미 발생 후 며칠간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시신을 서둘러 매장하는 데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으나, 공중 보건 위협이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390] 세계 식량 계획(WFP)은 130만 명 이상의 이재민에게 식량을 제공했다.[391]
전 세계 각국은 140억 달러 이상의 원조를 제공했다.[392] 주요 지원 국가는 다음과 같다.
- 오스트레일리아: 8억 1,990만 달러 (인도네시아 지원 패키지 7억 6,060만 달러 포함)[392]
- 독일: 6억 6천만 달러[392]
- 일본: 5억 달러[392]
- 캐나다: 3억 4천만 달러[392]
- 와 네덜란드: 각각 1억 8,300만 달러[392]
- 미국: 초기 3,500만 달러에서 3억 5천만 달러로 증액[392]
- 세계은행: 2억 5천만 달러[392]
이탈리아 : 9,500만 달러 (이후 1억 1,300만 달러로 증액, 국민 기부금 4,200만 달러 포함)[393]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일본, 미국 4개국은 임시확증그룹을 결성했으며, 이는 쿼드(4자안보대화기구)의 모태가 되었다.[394]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쓰나미 피해 복구를 위한 장기적 지원을 약속했다.[395]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의회에 지원금 증액을 요청하고, 조지 H. W. 부시와 빌 클린턴 전 대통령에게 민간 지원 노력을 주도하도록 요청했다.[395]
2005년 3월 중순, 아시아 개발 은행은 각국 정부의 원조 약속 이행 지연을 보고했다.[396] 스리랑카는 외국 정부의 지원은 받지 못했지만, 개인 기부가 많았다고 밝혔다.[396] 영국에서는 대중의 기부금이 3억 3천만 파운드에 달해, 정부 지원금 7,500만 파운드를 크게 넘어섰다.[397][398]
2006년 8월, 스리랑카에서 쓰나미 복구 작업을 돕던 현지 구호요원 15명이 처형된 채 발견되기도 했다.[399]
UN과 유네스코, 적십자, WFP 등은 식량 지원과 의료 활동을 지속하고 있지만, 피해가 컸던 수마트라섬 북부와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서는 2006년 12월까지도 부흥 전망이 불투명했다. 푸껫 등 관광지는 관광객이 돌아오고 있으며, 쓰나미 대피 훈련도 실시되고 있다. 폐자재 재활용 주택이 피해 지역 부흥의 핵심으로 기대된다.
일본은 스리랑카에 국제 긴급 원조대 의료팀을 파견하고, 테러 대책 특별 조치법에 의거해 해상자위대 함정 3척을 태국 근해에 파견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5억 달러 무상 공여, 쓰나미 조기 경보 메커니즘 구축 협력, 자위대 추가 파견 등을 약속했다. 인도네시아 아체 주에는 해상 자위대 수송함 "쿠니사키" 등 3척, 항공자위대 수송기 2대, 육상자위대제7사단 등 800~900명이 파견되었다.
미국은 긴급 지원금을 3,500만 달러에서 10배로 인상하고, 민간에서도 막대한 의연금이 답지했다. 원자력 항공모함 "에이브러햄 링컨"을 비롯한 함정 약 20척, 항공기 약 60대 등 총 1만 2,600명의 미군이 구조 활동을 펼쳤다.
국제 연합은 전 세계에 지원을 요청하여, 1월 2일까지 약 40개국과 세계은행 등에서 총 20억 달러의 지원이 발표되었다.
한국은 당초 500만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일본의 지원금에 자극을 받아 5,000만 달러로 증액했다가, 최종적으로 610만 달러로 감액하고 그 중 310만 달러는 미납했다.
2005년 8월 15일 헬싱키에서 자유 아체 운동과 인도네시아 정부 간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반군 병사들이 일반 시민으로 돌아가 아체 부흥에 힘쓰고 있다.
각국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피해자 상담도 이루어지고 있다.
쓰나미로 인한 다량의 부패 시체로 페스트 등 전염병 유행이 우려되었으나, 신속한 매장 및 화장 등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전염병 유행으로 인한 대량 사망 보고는 없었다.
콜린 파월 당시 미국 국무부 장관은 피해 지역 시찰 후 "나는 다양한 전장과 재해 현장을 보았지만, 이번 재해는 나의 경험 중 가장 심하다"라고 발언했다.
2009년, 인도네시아 아체 주에 쓰나미 박물관이 개관했다.[215]
6. 대중 문화에서의 등장
- 《쓰나미: 그 후》(2006)는 그 여파를 다룬 2부작 텔레비전 미니시리즈이다.
- 《다사바타람》(2008)은 쓰나미를 다룬 타밀어 스릴러 영화이다.
- 《그 후》(2010)는 휴가 중 쓰나미에서 살아남은 주인공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을 다룬다.
- 《하파란 샬라트 델리사》(2011)는 쓰나미를 초기 사건으로 다룬 인도네시아 영화이다.
- 《더 임파서블》(2012)은 마리아 벨론과 그녀의 가족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영어권 스페인 영화이다.
- 《카얄》(2014)은 쓰나미로 절정에 달하는 타밀 드라마 영화이다.
- ''별로 하늘을 칠하세요: 2004년 박싱 데이 지진해일을 기리는 시 선집'' (2005)은 스티븐 로버트 쿠타가 편집했다.
- ''죽음의 바다'' (2006)는 쓰나미 이후 며칠 동안 두 십 대가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이다.
- ''파도'' (2013)는 소날리 데라니야갈라의 회고록이다.
- ''섬에서'' (2012)는 몰디브의 무인도에 갇힌 두 사람이 쓰나미로 인해 구조되는 이야기다.
- 킴야 다우슨의 "12/26"은 지진해일과 인도적 지원에 관한 내용으로, 재난으로 가족을 잃은 피해자의 시점을 담고 있다.
- 버스트의 "Where the Wave Broke"는 스웨덴의 그라인드코어 밴드 나섬의 프론트맨인 미에슈코 탈라르치크를 기리기 위해 쓰여졌으며, (버스트의 베이시스트 예스퍼 리버뢰드는 탈라르치크와 함께 연주하기도 했다.) 탈라르치크는 이 재난으로 사망했고, 나섬은 결국 해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 9.1 – 2004 Sumatra – Andaman Islands Earthquake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4-12-26
[2]
웹사이트
Indian Ocean Tsunami – Economic Aspects
http://indianoceants[...]
[3]
웹사이트
Astonishing Wave Heights Among the Findings of an International Tsunami Survey Team on Sumatra
http://soundwaves.u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
간행물
Nannoliths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tsunami deposits: example from the December 26, 2004 tsunami in Lhok Nga (north-west Sumatra, Indonesia)
http://journals.open[...]
2010-04-01
[5]
서적
Joint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the Indian Ocean Tsunami: Synthesis Report
https://cdn.sida.se/[...]
Tsunami Evaluation Coalition
[6]
웹사이트
Earthquakes with 50,000 or More Deaths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7]
간행물
The Great Sumatra-Andaman Earthquake of 26 December 2004
http://authors.libra[...]
2005-05-20
[8]
웹사이트
Tsunamis and Earthquakes: Tsunami Generation from the 2004 Sumatra Earthquake – USGS Western Coastal and Marine Geology
http://walrus.wr.usg[...]
Walrus.wr.usgs.gov
[9]
웹사이트
A decade after the 2004 Asian Tsunami: recalling the turning point for disaster managemen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12-24
[10]
서적
Tsunami: The World's Greatest Wav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간행물
Advances in earthquake and tsunami sciences and disaster risk reduction since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2014-11-13
[12]
간행물
Indian Ocean Tsunami: Disaster, Generosity and Recovery
https://onlinelibrar[...]
[13]
간행물
The rotational and gravitational signature of the December 26, 2004 Sumatran earthquake
2006-11-01
[14]
문서
M 9.2 – The 1964 Prince William Sound, Alaska Earthquake
1964
[15]
문서
M 9.5 – 1960 Great Chilean Earthquake (Valdivia Earthquake)
1960
[16]
뉴스
What are the biggest historical earthquakes?
https://earthobserva[...]
Earth Observatory of Singapore
[17]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Sumatra-Andaman Earthquake Reveals Longest Fault Rupture Ever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05-05-19
[18]
웹사이트
Scientists: Sumatra quake longest ever recorded
http://edition.cnn.c[...]
CNN
2005-05-20
[19]
간행물
Periodically Triggered Seismicity at Mount Wrangell, Alaska, After the Sumatra Earthquake
2005-05-20
[20]
간행물
Seismology: Earthquake risk on the Sunda trench
http://www.gps.calte[...]
2005-06-09
[21]
서적
The Asian Tsunami: Aid and Reconstruction after a Disaster
http://www.e-elgar.c[...]
Edward Elgar
2010
[22]
웹사이트
Long-term ocean observing for international capacity development around tsunami early warning {{!}} U.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3]
간행물
Seismological Aspects of the December 2004 Great Sumatra-Andaman Earthquake
http://journals.sage[...]
[24]
간행물
Multiple CMT source analysis of the 2004 Sumatra earthquake
https://agupubs.onli[...]
[25]
간행물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Tsunami source model from satellite altimetry
2006-02-01
[26]
간행물
Review of the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Sumatra–Andaman Islands earthquake of 2004
2006-11-01
[27]
간행물
Ultralong Period Seismic Study of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Implications for Regional Tectonics and the Subduction Process
https://pubs.geoscie[...]
2007-01-01
[28]
간행물
A Bayesian source model for the 2004 great Sumatra-Andaman earthquake
https://agupubs.onli[...]
[29]
간행물
Re-examination of Slip Distribution of the 2004 Sumatra–Andaman Earthquake (Mw 9.2) by the Inversion of Tsunami Data Using Green's Functions Corrected for Compressible Seawater Over the Elastic Earth
2021-12-01
[30]
간행물
Earthquake related tsunami hazard along the western coast of Thailand
https://hal.archives[...]
2006-11-30
[31]
간행물
26th December 2004 great Sumatra–Andaman earthquake: Co-seismic and post-seismic motions in northern Sumatra
http://wwz.ifremer.f[...]
2007-11-15
[32]
간행물
Rupture Properties of the Giant Sumatra Earthquake Imaged by Empirical Green's Function Analysis
http://igpphome.ucsd[...]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33]
간행물
Revised Tectonic Forecast of Global Shallow Seismicity Based on Version 2.1 of the Global Strain Rate Map
https://pubs.geoscie[...]
2015-02-01
[34]
웹사이트
Cumulative Moment Mag
https://www.iris.edu[...]
IRIS Consortium
[35]
웹사이트
How do you determine the magnitude for an earthquake that occurred prior to the creation of the magnitude scale?
https://www.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36]
웹사이트
How do they measure earthquakes from 250 years ago?
https://slate.com/ne[...]
2022-12-10
[37]
논문
A Flying Start, Then a Slow Slip
2005-05-20
[38]
웹사이트
Poster of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28 March 2005 – Magnitude 8.7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06-26
[39]
웹사이트
M 6.9 – 89 km WSW of Singkil, Indonesi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3-12-26
[40]
웹사이트
M 7.2 – 284 km WNW of Sabang, Indonesi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3-12-26
[41]
뉴스
Sumatra shaken by new earthquake
http://news.bbc.co.u[...]
BBC News
2012-12-24
[42]
웹사이트
USGS Earthquake Hazards Program: FAQ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2-12-24
[43]
웹사이트
Magnitude 9.1 Sumatra-Andaman Islands Earthquake FAQ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5-01-06
[44]
웹사이트
Thousands flee as Indonesian volcano spews into life
https://web.archive.[...]
2005-04-12
[45]
웹사이트
Volcano erupts on same Indonesian island as earlier quake
https://apnews.com/a[...]
2020-02-16
[46]
웹사이트
Volcano on Indonesia's Sumatra Erupts
https://abcnews.go.c[...]
2005-04-11
[47]
웹사이트
USGS Energy and Broadband Solution
http://neic.usgs.gov[...]
National Earthquake Information Center, US Geological Survey
2010-08-12
[48]
간행물
Studies of earth dynamics with the superconducting gravimeter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Helsinki
2009-09-21
[49]
간행물
NASA Details Earthquake Effects on the Earth
http://www.nasa.gov/[...]
NASA
2016-12-16
[50]
웹인용
Earthquakes vs. the Earth's Rotation
http://www.slate.com[...]
2004-12-27
[51]
뉴스
Italian scientists say Asian quakes cause Earth's axis shifted
http://news.xinhuane[...]
2004-12-29
[52]
뉴스
Quake moved Sumatra by only 20 centimeters: Danish scientists
2005-01-31
[53]
뉴스
After the Earth Moved
https://www.science.[...]
2016-12-16
[54]
뉴스
Asian tsunami seabed pictured with sonar
https://www.newscien[...]
2005-02-10
[55]
뉴스
NASA/French Satellite Data Reveal New Details of Tsunami
http://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NASA
2016-12-16
[56]
웹사이트
TOPEX/Poseidon Satellite Data on 26 December 2004 tsunami in the Indian Ocean
http://www.aviso.oce[...]
[57]
웹사이트
Rethinking the Causes of Giant Earthquakes
http://www.tectonics[...]
[58]
서적
Earthquakes and tsunamis: high school textbook
http://unesdoc.unesc[...]
2016-12-16
[59]
논문
Coastal sedimentation associated with the December 26, 2004 tsunami in Lhoknga, west Banda Aceh (Sumatra, Indonesia)
Elsevier
[60]
뉴스
NOAA Scientists able to Measure Tsunami Height from Space
http://www.noaanew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12-16
[61]
뉴스
Radar satellites capture tsunami wave height
https://www.newscien[...]
2005-01-06
[62]
뉴스
Tsunami: The impact will last for decades
https://www.newscien[...]
2005-01-15
[63]
웹사이트
Tsunami time travel map
https://web.archive.[...]
Tsunami Laboratory, Novosibirsk, Russia
2012-07-20
[64]
웹사이트
Time travel map: Active Faul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Japan
https://web.archive.[...]
Staff.aist.go.jp
2012-12-24
[65]
웹사이트
Indian Ocean Tsunami" at Syowa Station, Antarctica
http://www1.kaiho.ml[...]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Dept. Japan Coast Guard
2016-12-17
[66]
웹사이트
Indian Ocean Tsunami of 26 December 2004
http://wcatwc.arh.no[...]
West Coast/Alaska Tsunami Warning Center (USGS)
2004-12-31
[67]
웹사이트
Tsunami Waves Channeled Around the Globe in 2004 Disaster
http://www.livescien[...]
2016-12-17
[68]
웹사이트
The 2004 Boxing Day tsunami
http://www.australia[...]
Australian Geographic
2015-03-05
[69]
웹사이트
Sri Lankans Seek Lost Relatives After Tsunami
https://www.npr.org/[...]
NPR
2016-12-20
[70]
웹인용
Tsunami disaster: Focus: Nature's timebomb
https://www.thetimes[...]
2005-01-02
[71]
뉴스
Girl, 10, used geography lesson to save lives
https://www.telegrap[...]
2016-12-20
[72]
뉴스
Andaman aborigines' fate unclear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2-13
[73]
간행물
Compounded loss: the post tsunami recovery experience of Indian island communities
[74]
간행물
Tsunami: Psychosocial aspects of Andaman and Nicobar islan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in the early phase
[75]
뉴스
Tsunami folklore 'saved islanders'
http://news.bbc.co.u[...]
BBC News
2016-12-20
[76]
웹사이트
Field Survey northern Sumatra and Banda Aceh, Indonesia and after the Tsunami and Earthquake of 26 December 2004
https://www.eeri.or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6-12-20
[77]
웹사이트
Chapter 2 Earthquake, Tsunami and Damage in Banda Aceh and Northern Sumatra
http://www.tsunami.c[...]
2016-12-20
[78]
간행물
Northern Sumatra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Great Sumatra Earthquake and Indian Ocean Tsunami
http://2004tsunam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2016-09-25
[79]
간행물
Field Data and Satellite Imagery of Tsunami Effects in Banda Aceh
2005-06-10
[80]
Youtube
Seconds From Disaster S03E13 Asian Tsunami
https://www.youtube.[...]
2016-01-25
[81]
Youtube
Great Tsunami 12-26-04 at Banda Aceh, Sumatra, Indonesia 3 of 3
https://www.youtube.[...]
2008-11-30
[82]
Youtube
Boxing Day Tsunami Banda Aceh 4 of 4
https://www.youtube.[...]
2009-11-19
[83]
웹사이트
Report on December 26, 2004, Indian Ocean Tsunami, Field Survey on Jan 21–31 at North of Sumatra
http://faculty.vassa[...]
ITST of UNESCO IOC
2016-12-20
[84]
웹사이트
Tsunami Wave Run-ups: Indian Ocean – 2004
http://sos.noaa.gov/[...]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12-20
[85]
간행물
Survey of the December 26th 2004 Indian Ocean tsunami in Sri Lanka
http://www.nzsee.org[...]
2016-04-03
[86]
웹사이트
Tsunami Disaster in Sri Lanka
http://academic.ever[...]
University of Wisconsin-Eau Claire
2005-04
[87]
간행물
Sri Lanka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88]
간행물
Observations by the International Tsunami Survey Team in Sri Lanka
https://www.research[...]
2005-07-01
[89]
간행물
The 2004 Indian tsunami in Thailand: Surveyed runup heights and tide gauge records
http://www.marine.tm[...]
2016-08-03
[90]
간행물
Tsunami Reconnaissance Survey in Thailand Using Satellite Images and GPS
Chiba University
[91]
웹사이트
Chapter 4: Field Survey and Numerical Simulation on the 2004 Off-Sumatra Earthquake and Tsunami in Thailand
http://www.tsunami.c[...]
Tohoku University
2015-10-10
[92]
웹사이트
Tsunami Affected Areas in India 2004
http://www.mapsofind[...]
Maps of India
2015-10-17
[93]
웹사이트
Zoltán Grossman – Member of the Faculty in Geography & Native Studies
http://academic.ever[...]
The Evergreen State College
2016-06-09
[94]
서적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asters: Vulnerability, Preparedness and Mitig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6-06-09
[95]
간행물
Effects of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on the Indian Mainland
http://www.iitk.ac.i[...]
2016-08-04
[96]
뉴스
Velankanni: Death in the churchyard
http://www.rediff.co[...]
Rediff.com
2014-08-21
[97]
뉴스
Tsunami sufferers question faith
http://news.bbc.co.u[...]
BBC News
2014-08-21
[98]
웹사이트
Tsunami's Impact on India
http://academic.ever[...]
Evergreen College
2018-12-22
[99]
문서
Tsunami survey in Andaman and Nicobar group of Islands
Geological Survey of India Special Publication no. 89.
2007
[100]
웹사이트
Damage to Andaman & Nicobar Islands due to Earthquake and Tsunami of Dec. 26, 2004
http://iset.org.in/p[...]
Department of Earthquake Engineering, IIT Roorkee
2016-12-20
[101]
웹사이트
Tsunami in Andaman & Nicobar Islands
http://andamanconnec[...]
2016-12-20
[102]
서적
The Indian Ocean Tsunami of 26 December 2004: Mission Findings in Sri Lanka and Thailand
https://www.istructe[...]
Earthquake Engineering Field Investigation Team, Institution of Structural Engineers
2016-09-25
[103]
웹사이트
Quick Report on the Study of the 2004 Sumatra Earthquake and Tsunami Effects
http://www.nicee.or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2016-12-21
[104]
웹사이트
The Great Sumatra Earthquake and Indian Ocean Tsunami of December 26, 2004: The Effects in Mainland India and in the Andaman-Nicobar Islands
https://www.eeri.org[...]
2016-12-21
[105]
간행물
Inundation of sea water in Andaman and Nicobar Islands and parts of Tamil Nadu coast during 2004 Sumatra tsunami
http://www.iisc.erne[...]
2016-09-25
[106]
논문
Tsunami heights and damage along the Myanmar coast from the December 2004 Sumatra-Andaman earthquake
https://www.terrapub[...]
2018-12-22
[107]
논문
Somalia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http://2004tsunami.c[...]
2006-06
[108]
웹사이트
Tsunami death toll passes 283,000
https://www.smh.com.[...]
2005-01-28
[109]
웹사이트
International Tsunami Information Center – International Tsunami Information Center
http://itic.ioc-unes[...]
2015-10-17
[110]
웹사이트
Field Surveys of 2004 Indian Ocean Tsunami From Sumatra to East Africa
https://www.research[...]
2006-01-01
[111]
웹사이트
Unesco Yemen Tsunami
https://smartech.gat[...]
2017-11-13
[112]
웹사이트
WA feels the tsunami's ripples
https://www.smh.com.[...]
2004-12-28
[113]
서적
Joint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the Indian Ocean Tsunami: Synthesis Report
https://cdn.sida.se/[...]
Tsunami Evaluation Coalition
[114]
웹사이트
The Human Toll
http://www.tsunamisp[...]
2006-01
[115]
웹사이트
Home
http://www.islamicre[...]
Islamic Relief USA
2010-08-12
[116]
논문
A statistic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historical earthquake and tsunami disasters in Japan and Indonesia
[117]
뉴스
Indonesia quake toll jumps again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1-25
[118]
서적
Joint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the Indian Ocean Tsunami: Synthesis Report
https://cdn.sida.se/[...]
Tsunami Evaluation Coalition
[119]
웹사이트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killed as tsunamis devastate large swathes of South and Southeast Asia, coming as far as South Afric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2-11-15
[120]
뉴스
Most tsunami dead female – Oxfam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3-26
[121]
웹사이트
A2/2004Y Aasian luonnonkatastrofi 26.12.2004
https://turvallisuus[...]
Onnettomuustutkintakeskus
2004-12-26
[122]
논문
Housing Reconstruction in Northern Sumatra after the December 2004 Great Sumatra Earthquake and Tsunami
[123]
웹사이트
One year after the tsunami, Sri Lankan survivors still live in squalour
http://www.wsws.org/[...]
World Socialist Web Site
2005-12-29
[124]
웹사이트
TsunamiMemorial.or.th
http://www.tsunamime[...]
2007-09-28
[125]
논문
Prehospital care of tsunami victims in Thailand: description and analysis
[126]
뉴스
Tsunami: Somalia's slow recovery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2-26
[127]
웹사이트
India, Indonesia, Maldives, Myanmar, Somalia, Thailand: Earthquake and Tsunami OCHA Situation Report No. 14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0-08-12
[128]
뉴스
Asia-Pacific | 'Hundreds feared dead' in Burma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1-04
[129]
웹사이트
TsunamiMaldives.mv
http://www.tsunamima[...]
2012-12-24
[130]
웹사이트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Disaster: Evaluation of UNICEF's response (emergency and recovery phase). Maldives Report
http://www.unicef.or[...]
2006-05
[131]
웹사이트
Death toll in Asian tsunami disaster tops 159,000
http://english.peopl[...]
2010-08-12
[132]
웹사이트
Killer Waves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2012-12-24
[133]
웹사이트
Asian tsunami death toll passes 144,000
http://www.abc.net.a[...]
ABC
2010-08-12
[134]
웹사이트
The Seychelles raises its voice
http://www.reliefweb[...]
2010-08-12
[135]
웹사이트
Tsunami Evaluation Coalition: Initial Findings
http://www.alnap.org[...]
2010-08-12
[136]
논문
On the weak impact of the 26 December Indian Ocean tsunami on the Bangladesh coast
[137]
논문
The South Sandwich Islands earthquake of 27 June 1929: seismological study and inference on tsunami risk for the southern Atlantic
http://www.africaarr[...]
2011-06-26
[138]
웹사이트
YEMEN: Tsunami damage over US$1 million – UNEP assessment
http://www.irinnews.[...]
2005-02-22
[139]
뉴스
Tsunami devastates Somali island
http://news.bbc.co.u[...]
BBC News
2004-12-29
[140]
웹사이트
Impact of Tsunamis on Ecosystems
http://www.oceansatl[...]
2005-03-10
[141]
논문
Helping restore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after the tsunami
http://www.iwmi.cgia[...]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2021-08-11
[142]
웹사이트
Water sanitation and health: WHO technical notes for emergencies.
https://www.who.int/[...]
2011-02-25
[143]
웹사이트
Indian Ocean tsunami
https://www.dfat.gov[...]
2014-12-19
[144]
서적
Australia's response to the Indian Ocean tsunami REPORT FOR THE PERIOD ENDING 30 JUNE 2005
https://reliefweb.in[...]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5
[145]
웹사이트
Environmental Issues Emerging from Wreckage of Asian Tsunami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04-12-30
[146]
서적
UNEP Post-Tsunami Recover y Activities 2004-2007
https://postconflict[...]
UNEP Post-Tsunami Recover y Activities 2004-2007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8
[14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Environment for Development
http://www.unep.org/[...]
2006-04-22
[148]
논문
Many mangrove restorations fail. Is there a better way?
https://knowablemaga[...]
2021-07-22
[149]
논문
The 2004 Tsunami in Sri Lanka: Destruction and recovery
[150]
뉴스
Tsunami's salt water may leave islands uninhabitable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5-01-05
[151]
웹사이트
Tsunamis Devastate Fisherfolk of Indian Ocean and Arabian Sea
http://www.ukabc.org[...]
2019-03-11
[152]
웹사이트
Impacts of the Tsunami on Fisheries, Aquaculture and Coastal Livelihoods
https://reliefweb.in[...]
ReliefWeb
2005-01-07
[153]
웹사이트
Food supply and food security situation in countries affected by the Asia tsunami – Indonesia
https://reliefweb.in[...]
ReliefWeb
2005-02-18
[154]
웹사이트
Demand for FRP boats rise after tsunami
https://web.archive.[...]
2010-08-12
[155]
논문
The Indian Ocean Tsunami: Socio-Economic Impacts in Thailand.
http://dro.dur.ac.uk[...]
2005-12
[156]
서적
The Asian Tsunami: Aid and Reconstruction after a Disaster
[157]
뉴스
Tsunami redrew ship channels, ocean floor
NBC News
2005-01-05
[158]
웹사이트
Piracy in the Strait of Malacca: The geopolitical background behind piracy and its impacts on Global Financial Centres
https://theses.ubn.r[...]
Radboud University
[159]
뉴스
Tsunami in 2004 'not the fir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0-29
[160]
뉴스
Researchers uncover 2004 tsunami predecessor
http://www.radioaust[...]
ABC Radio Australia News
2008-10-30
[161]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Evidence of Tsunamis on Indian Ocean Shores Long Before 2004
http://newswise.com/[...]
Newswise.com
2008-10-27
[162]
웹사이트
Most Destructive Known Earthquakes on Record in the World (Earthquakes with 50,000 or More Deaths)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63]
논문
Written records of historical tsunamis in the northeastern South China Sea – challenges associated with developing a new integrated database
http://www.nat-hazar[...]
2010-09-01
[164]
웹사이트
The world's worst natural disasters
https://www.cbc.ca/n[...]
CBC News
2010-08-31
[165]
논문
Mental Health in Sumatra After the Tsunami
2008-09
[166]
논문
Exposure to the Indian Ocean Tsunami shapes the HPA-axis resulting in HPA "burnout" 14 years later
2023-10-16
[167]
뉴스
Divining a Reason for Devastation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5-01-08
[168]
웹사이트
Associated Press û Tsunami survivors cling tightly to faith across ravaged region
https://www.baylor.e[...]
[169]
뉴스
Memorandum of Understanding between Indonesian government and the Free Aceh Movement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8-15
[170]
뉴스
Most significant events of 2005
http://news.bbc.co.u[...]
BBC World Service
2005-12-30
[171]
서적
News Values
Sage
[172]
웹사이트
Asia Pacific Journalism Centre – Home Page
https://web.archive.[...]
2007-10-24
[173]
뉴스
Alert scaled down, capping day long confusion.
Press Trust of India
2004-12-30
[174]
뉴스
False tsunami alarm sparks panic in Indian Ocean region.
http://www.signonsan[...]
Associated Press
2004-12-30
[175]
뉴스
Suspect quake forecast causes panic
https://www.seattlet[...]
The Seattle Times
2004-12-31
[176]
뉴스
Ministers Admit Handling of Tsunami Crisis Caused Suffering – Radio Sweden
https://sverigesradi[...]
Sveriges Radio
2020-12-15
[177]
웹사이트
'Mad' Scientist Gets Belated Recognition
https://www.seapa.or[...]
2010-05-12
[178]
웹사이트
A 'Natural Disaster' Foretold
http://www.internati[...]
2020-12-16
[179]
웹사이트
Indian Ocean Tsunami Information Center {{!}} Indian Ocean Tsunami Warning System {{!}} What is IOTWS
http://iotic.ioc-une[...]
2019-03-11
[180]
뉴스
NASA Details Earthquake Effects on the Earth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5-01-11
[181]
뉴스
UN upbeat on tsunami hunger aid
http://news.bbc.co.u[...]
BBC News
2012-12-24
[182]
논문
Mass graves not necessary for tsunami victims
https://www.nature.c[...]
2023-09-13
[183]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Tsunami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3-09-13
[18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Report on the Tsunami Crisis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2-12-24
[185]
서적
The Asian Tsunami: Aid and Reconstruction after a Disaster
http://www.e-elgar.c[...]
Edward Elgar
2010
[186]
뉴스
Tsunami aid: Who's giving what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4-22
[187]
웹사이트
The Rise, Fall, and Rebirth of the 'Quad'
https://warontherock[...]
2021-02-22
[188]
뉴스
Clinton, Bush: Tsunami Aid Helping
https://www.cbsnews.[...]
CBS News
2005-02-21
[189]
뉴스
Tsunami aid shortfall over $4bn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3-18
[190]
논문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system and the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tsunamis
2007-03
[191]
웹사이트
Funding the Tsunami Response
https://www.unocha.o[...]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19-03-11
[192]
뉴스
15 tsunami aid staff executed in Sri Lanka
https://www.theguard[...]
2019-03-11
[193]
서적
Paint the sky with Stars
https://books.google[...]
Re-invention UK
2019-10-16
[194]
웹사이트
Book Review: The Killing Sea by Richard Lewis
https://www.thetcj.o[...]
2020-12-15
[195]
논문
Rupture Process of the 2004 Sumatra-Andaman Earthquake
https://science.scie[...]
2020-03-29
[196]
웹사이트
Magnitude 9.1 - OFF THE WEST COAST OF NORTHERN SUMATRA
http://earthquake.us[...]
アメリカ地質調査所
2012-02-15
[197]
웹사이트
スマトラ島沖地震発生から15年 近年も大きな地震発生が続く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ス
2020-07-29
[198]
간행물
衛星SAR画像分析による 2004・2005 年スマトラ沖地震に伴う隆起沈降域の把握
https://www.gsi.go.j[...]
[199]
간행물
全地球弾性応答シミュレーション
http://www.jamstec.g[...]
独立行政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200]
간행물
埋込式体積歪計の記録から推定されるスマトラ沖地震のMw
https://web.archive.[...]
気象庁
[201]
웹사이트
タイ南部沿岸の堆積物に記録された過去の巨大津波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プレスリリース
2008-10-30
[202]
뉴스
Was Nagapattinam hit by a tsunami in 900 AD?
http://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3]
문서
Naturer’s Wrath
https://web.archive.[...]
Macmillan Publishers India Ltd.
2010
[204]
문서
The Spatio-temporal Context of the December 26, 2004 Aceh-Andaman Earthquake
https://ui.adsabs.ha[...]
ハーバード大学
[205]
간행물
2004年M9.1スマトラ地震に先行した地震発生率の変化について 統計数理研究所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会報 第89巻
[206]
문서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スマトラ島沖地震における連動型地震の考察
https://doi.org/10.5[...]
JAMSTEC Repor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Vol.13 (2011) P 17-33
[207]
웹사이트
インド洋の地震・津波
http://staff.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8]
웹사이트
2004年スマトラ島沖地震によるインド領アンダマン諸島の地殻変動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9]
웹사이트
スマトラ島沖地震:地球を周回する地震波の検出
http://noreply.sci.h[...]
[210]
웹사이트
Tsunami Waves Channeled Around the Globe in 2004 Disaster
https://www.livescie[...]
livescience
2020-12-26
[211]
기타
IAC声明補足 米国は津波情報など出していない
http://groups.yahoo.[...]
[212]
뉴스
読売新聞
2004-12-29
[213]
뉴스
チリ大地震、1日が「100万分の1.26秒」短く NASA
http://www.cnn.co.jp[...]
[214]
웹사이트
Chilean Quake May Have Shortened Earth Days
http://www.nasa.gov/[...]
[215]
뉴스
津波博物館がオープン インドネシア・アチェ
http://sankei.jp.msn[...]
2022-10-30
[216]
웹인용
Magnitude 9.1 – Off the West Coast of Sumatra
https://earthquake.u[...]
U.S. Geological Survey
2012-08-26
[217]
웹인용
Astonishing Wave Heights Among the Findings of an International Tsunami Survey Team on Sumatra
https://web.archive.[...]
U.S. Geological Survey
2016-06-16
[218]
저널
Coastal sedimentation associated with the December 26, 2004 tsunami in Lhoknga, west Banda Aceh (Sumatra, Indonesia)
Elsevier
[219]
저널
Nannoliths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tsunami deposits: example from the December 26, 2004 tsunami in Lhok Nga (north-west Sumatra, Indonesia)
http://journals.open[...]
2020-06-02
[220]
웹인용
Joint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the Indian Ocean tsunami: Synthesis Report
http://www.tsunami-e[...]
TEC
2018-07-09
[221]
웹인용
Earthquakes with 50,000 or More Deaths
https://earthquake.u[...]
U.S. Geological Survey
[222]
웹인용
Indian Ocean tsunami anniversary: Memorial events held
https://www.bbc.com/[...]
2016-12-15
[223]
웹인용
Indian Ocean Tsunami – Economic Aspects
https://web.archive.[...]
2018-01-04
[224]
저널
The Great Sumatra-Andaman Earthquake of 26 December 2004
http://authors.libra[...]
2019-03-20
[225]
웹인용
Tsunamis and Earthquakes: Tsunami Generation from the 2004 Sumatra Earthquake – USGS Western Coastal and Marine Geology
http://walrus.wr.usg[...]
Walrus.wr.usgs.gov
2010-08-12
[226]
웹인용
Analysis of the Sumatra-Andaman Earthquake Reveals Longest Fault Rupture Ever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6-12-15
[227]
웹인용
Scientists: Sumatra quake longest ever recorded
http://edition.cnn.c[...]
2016-12-15
[228]
저널
Periodically Triggered Seismicity at Mount Wrangell, Alaska, After the Sumatra Earthquake
2005-05-20
[229]
저널
Seismology: Earthquake risk on the Sunda trench
https://web.archive.[...]
2009-05-16
[230]
서적
The Asian Tsunami: Aid and Reconstruction after a Disaster
https://web.archive.[...]
Edward Elgar
2010-12-06
[231]
저널
Earthquake related tsunami hazard along the western coast of Thailand
https://hal.archives[...]
2019-09-01
[232]
저널
26th December 2004 great Sumatra–Andaman earthquake: Co-seismic and post-seismic motions in northern Sumatra
https://www.webcitat[...]
2009-05-16
[233]
저널
Rupture Properties of the Giant Sumatra Earthquake Imaged by Empirical Green's Function Analysis
http://igpphome.ucsd[...]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6-02-10
[234]
웹인용
Power of tsunami earthquake heavily underestimated
https://www.newscien[...]
2005-02-09
[235]
웹인용
Long-term ocean observing for international capacity development around tsunami early warning {{!}} U.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2022-10-18
[236]
문서
EERI Publication 2006–06, page 14.
[237]
저널
Revised Tectonic Forecast of Global Shallow Seismicity Based on Version 2.1 of the Global Strain Rate Map
https://pubs.geoscie[...]
2015-02
[238]
웹인용
Cumulative Moment Mag
https://www.iris.edu[...]
2022-11-20
[239]
웹인용
How do you determine the magnitude for an earthquake that occurred prior to the creation of the magnitude scale?
https://www.usgs.gov[...]
2022-12-10
[240]
웹인용
How do they measure earthquakes from 250 years ago?
https://slate.com/ne[...]
2022-12-10
[241]
저널
Source parameters of the great Sumatran megathrust earthquakes of 1797 and 1833 inferred from coral microatolls
http://www.gps.calte[...]
2009-10-24
[242]
저널
A Flying Start, Then a Slow Slip
2005-05-20
[243]
웹인용
USGS Energy and Broadband Solution
http://neic.usgs.gov[...]
National Earthquake Information Center, US Geological Survey
2010-08-12
[244]
웹인용
USGS:Measuring the size of earthquakes
https://earthquake.u[...]
Earthquake.usgs.gov
2010-08-12
[245]
학위논문
Studies of earth dynamics with the superconducting gravimeter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Helsinki
2009-09-21
[246]
웹인용
Earthquake Facts and Statistics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2-11-29
[247]
보도자료
NASA Details Earthquake Effects on the Earth
http://www.nasa.gov/[...]
NASA
2016-12-16
[248]
웹사이트
Earthquakes vs. the Earth's Rotation
http://www.slate.com[...]
Slate
2004-12-27
[249]
뉴스
Italian scientists say Asian quakes cause Earth's axis shifted
http://news.xinhuane[...]
2004-12-29
[250]
서적
Spherical and Practical Astronomy as Applied to Geodesy
Frederick Ungar Publishing, NY
1969
[251]
뉴스
Quake moved Sumatra by only 20 centimeters: Danish scientists
2005-01-31
[252]
뉴스
After the Earth Moved
https://www.science.[...]
2016-12-16
[253]
뉴스
Asian tsunami seabed pictured with sonar
https://www.newscien[...]
2005-02-10
[254]
뉴스
NASA/French Satellite Data Reveal New Details of Tsunami
http://www.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NASA
2016-12-16
[255]
웹인용
TOPEX/Poseidon Satellite Data on 26 December 2004 tsunami in the Indian Ocean
http://www.aviso.oce[...]
[256]
웹인용
Poster of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28 March 2005 – Magnitude 8.7
https://earthquake.u[...]
2011-06-26
[257]
뉴스
Sumatra shaken by new earthquake
http://news.bbc.co.u[...]
2012-12-24
[258]
웹인용
USGS Earthquake Hazards Program: FAQ
http://www.usgs.gov/[...]
Earthquake.usgs.gov
2012-12-24
[259]
웹인용
Magnitude 9.1 Sumatra-Andaman Islands Earthquake FAQ
https://earthquake.u[...]
USGS
2015-01-06
[260]
웹인용
Thousands flee as Indonesian volcano spews into life
http://www.hindustan[...]
2005-04-12
[261]
웹인용
Volcano erupts on same Indonesian island as earlier quake
https://apnews.com/a[...]
2020-02-16
[262]
웹인용
Volcano on Indonesia's Sumatra Erupts
https://abcnews.go.c[...]
2005-04-11
[263]
서적
Earthquakes and tsunamis: high school textbook
http://unesdoc.unesc[...]
2016-12-16
[264]
저널
Coastal sedimentation associated with the December 26, 2004 tsunami in Lhoknga, west Banda Aceh (Sumatra, Indonesia)
Elsevier
[265]
뉴스
NOAA Scientists able to Measure Tsunami Height from Space
http://www.noaanew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6-12-16
[266]
뉴스
Radar satellites capture tsunami wave height
https://www.newscien[...]
2005-01-06
[267]
뉴스
Tsunami: The impact will last for decades
https://www.newscien[...]
2005-01-15
[268]
웹인용
Tsunami time travel map
http://tsun.sscc.ru/[...]
Tsunami Laboratory, Novosibirsk, Russia
2012-07-20
[269]
웹인용
Time travel map: Active Faul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Japan
http://staff.aist.go[...]
Staff.aist.go.jp
2012-12-24
[270]
웹인용
Indian Ocean Tsunami" at Syowa Station, Antarctica
http://www1.kaiho.ml[...]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Dept. Japan Coast Guard
2016-12-17
[271]
웹인용
Indian Ocean Tsunami of 26 December 2004
http://wcatwc.arh.no[...]
West Coast/Alaska Tsunami Warning Center (USGS)
2004-12-31
[272]
웹인용
Tsunami Waves Channeled Around the Globe in 2004 Disaster
http://www.livescien[...]
2016-12-17
[273]
웹인용
The 2004 Boxing Day tsunami
http://www.australia[...]
Australian Geographic
2015-03-05
[274]
웹인용
Sri Lankans Seek Lost Relatives After Tsunami
https://www.npr.org/[...]
NPR
2016-12-20
[275]
웹사이트
Tsunami disaster: Focus: Nature's timebomb
https://www.thetimes[...]
Times Online
2005-01-02
[276]
뉴스
Girl, 10, used geography lesson to save lives
https://www.telegrap[...]
2016-12-20
[277]
뉴스
Andaman aborigines' fate unclear
http://news.bbc.co.u[...]
2010-02-13
[278]
저널
Compounded loss: the post tsunami recovery experience of Indian island communities
[279]
저널
Tsunami: Psychosocial aspects of Andaman and Nicobar islands.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in the early phase
[280]
뉴스
Tsunami folklore 'saved islanders'
http://news.bbc.co.u[...]
2016-12-20
[281]
웹인용
Field Survey northern Sumatra and Banda Aceh, Indonesia and after the Tsunami and Earthquake of 26 December 2004
https://www.eeri.or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05-02-09
[282]
웹인용
Chapter 2 Earthquake, Tsunami and Damage in Banda Aceh and Northern Sumatra
http://www.tsunami.c[...]
null
[283]
저널
Northern Sumatra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Great Sumatra Earthquake and Indian Ocean Tsunami
http://2004tsunam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2006-06
[284]
저널
Field Data and Satellite Imagery of Tsunami Effects in Banda Aceh
https://archive.org/[...]
2005-06-10
[285]
웹인용
Seconds From Disaster S03E13 Asian Tsunami
https://www.youtube.[...]
2016-01-25
[286]
웹인용
Great Tsunami 12-26-04 at Banda Aceh, Sumatra, Indonesia 3 of 3
https://www.youtube.[...]
2008-11-30
[287]
웹인용
Boxing Day Tsunami Banda Aceh 4 of 4
https://www.youtube.[...]
2009-11-19
[288]
웹인용
Report on December 26, 2004, Indian Ocean Tsunami, Field Survey on Jan 21–31 at North of Sumatra
http://faculty.vassa[...]
ITST of UNESCO IOC
2005
[289]
웹인용
Tsunami Wave Run-ups: Indian Ocean – 2004
http://sos.noaa.gov/[...]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ull
[290]
웹인용
2004: OFF W. COAST OF SUMATRA
https://www.ngdc.noa[...]
NOAA
2023-03-16
[291]
저널
Survey of the December 26th 2004 Indian Ocean tsunami in Sri Lanka
http://www.nzsee.org[...]
2005-12
[292]
웹인용
Tsunami Disaster in Sri Lanka
http://academic.ever[...]
University of Wisconsin-Eau Claire
2005
[293]
저널
Sri Lanka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294]
저널
Observations by the International Tsunami Survey Team in Sri Lanka
https://www.research[...]
2005-07-01
[295]
저널
The 2004 Indian tsunami in Thailand: Surveyed runup heights and tide gauge records
http://www.marine.tm[...]
[296]
저널
Tsunami Reconnaissance Survey in Thailand Using Satellite Images and GPS
Chiba University
[297]
웹인용
Chapter 4: Field Survey and Numerical Simulation on the 2004 Off-Sumatra Earthquake and Tsunami in Thailand
http://www.tsunami.c[...]
Tohoku University
null
[298]
웹인용
Tsunami Affected Areas in India 2004
http://www.mapsofind[...]
Maps of India
null
[299]
웹인용
Zoltán Grossman – Member of the Faculty in Geography & Native Studies
http://academic.ever[...]
The Evergreen State College
null
[300]
서적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asters: Vulnerability, Preparedness and Mitig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
[301]
저널
Effects of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on the Indian Mainland
http://www.iitk.ac.i[...]
2006-06
[302]
뉴스
Velankanni: Death in the churchyard
http://www.rediff.co[...]
2004-12-28
[303]
뉴스
Tsunami sufferers question faith
http://news.bbc.co.u[...]
2005-03-27
[304]
웹인용
Tsunami's Impact on India
http://academic.ever[...]
Evergreen College
null
[305]
간행물
Tsunami survey in Andaman and Nicobar group of Islands
Geological Survey of India Special Publication no. 89
2007
[306]
웹인용
Damage to Andaman & Nicobar Islands due to Earthquake and Tsunami of Dec. 26, 2004
http://iset.org.in/p[...]
Department of Earthquake Engineering, IIT Roorkee
null
[307]
웹인용
Tsunami in Andaman & Nicobar Islands
http://andamanconnec[...]
null
[308]
서적
The Indian Ocean Tsunami of 26 December 2004: Mission Findings in Sri Lanka and Thailand
https://www.istructe[...]
Earthquake Engineering Field Investigation Team, Institution of Structural Engineers
2006-02
[309]
웹인용
Quick Report on the Study of the 2004 Sumatra Earthquake and Tsunami Effects
http://www.nicee.or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null
[310]
웹인용
The Great Sumatra Earthquake and Indian Ocean Tsunami of December 26, 2004: The Effects in Mainland India and in the Andaman-Nicobar Islands
https://www.eeri.org[...]
2005-04
[311]
저널
Inundation of sea water in Andaman and Nicobar Islands and parts of Tamil Nadu coast during 2004 Sumatra tsunami
http://www.iisc.erne[...]
2005-06-10
[312]
저널
Tsunami heights and damage along the Myanmar coast from the December 2004 Sumatra-Andaman earthquake
https://www.terrapub[...]
[313]
저널
Somalia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http://2004tsunami.c[...]
2006-06
[314]
웹인용
2004 Indian Ocean Tsunami in Malaysia
https://encyclopedia[...]
2023-03-02
[315]
저널
On the weak impact of the 26 December Indian Ocean tsunami on the Bangladesh coast
2007
[316]
웹인용
International Tsunami Information Center - International Tsunami Information Center
http://itic.ioc-unes[...]
2015-10-17
[317]
저널
Field Survey of the 1945 Makran and 2004 Indian Ocean Tsunamis in Baluchistan, Iran
Field Survey of the [...]
2015-08-15
[318]
저널
Field Surveys of 2004 Indian Ocean Tsunami From Sumatra to East Africa
https://www.research[...]
2006-01-01
[319]
웹인용
Unesco Yemen Tsunami
https://smartech.gat[...]
2017-11-13
[320]
저널
2004 SUMATRA-ANDAMAN TSUNAMI SURVEYS IN THE COMORO ISLANDS AND TANZANIA AND REGIONAL TSUNAMI HAZARD FROM FUTURE SUMATRA EVENTS
https://pubs.geoscie[...]
2009-12-01
[321]
저널
Madagascar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https://pubs.geoscie[...]
2006-06-01
[322]
저널
Rodrigues, Mauritius, and Réunion Islands Field Survey after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Tsunami
https://pubs.geoscie[...]
2006-06-01
[323]
웹인용
WA feels the tsunami's ripples
https://www.smh.com.[...]
2004-12-28
[324]
웹인용
Sumatra Tsunami at New Zealand Ports and Harbours
http://www.mulgor.co[...]
Mulgor Consulting Ltd
2005-02-01
[325]
웹인용
December 26, 2004 - Indian Ocean Tsunami Event
http://www-sci.pac.d[...]
Fisheries and Oceans Canada - Pacific Region
2005
[326]
웹인용
Home
http://www.islamicre[...]
Islamic Relief USA
2010-08-12
[327]
뉴스
Indonesia quake toll jumps again
http://news.bbc.co.u[...]
2005-01-25
[328]
웹인용
Myanmar is withholding true casualties figures, says Thai priest
http://www.asianews.[...]
AsiaNews.it
2005-01-04
[329]
웹인용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killed as tsunamis devastate large swathes of South and Southeast Asia, coming as far as South Afric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2-11-15
[330]
뉴스
Most tsunami dead female – Oxfam
http://news.bbc.co.u[...]
2005-03-26
[331]
웹인용
A2/2004Y Aasian luonnonkatastrofi 26.12.2004
https://turvallisuus[...]
Onnettomuustutkintakeskus
2004-12-26
[332]
저널
Housing Reconstruction in Northern Sumatra after the December 2004 Great Sumatra Earthquake and Tsunami
[333]
웹인용
One year after the tsunami, Sri Lankan survivors still live in squalour
http://www.wsws.org/[...]
World Socialist Web Site
2005-12-29
[334]
웹인용
TsunamiMemorial.or.th
http://www.tsunamime[...]
2007-09-28
[335]
저널
Prehospital care of tsunami victims in Thailand: description and analysis
[336]
뉴스
Tsunami: Somalia's slow recovery
http://news.bbc.co.u[...]
2005-12-26
[337]
웹인용
India, Indonesia, Maldives, Myanmar, Somalia, Thailand: Earthquake and Tsunami OCHA Situation Report No. 14
http://www.reliefweb[...]
Reliefweb.int
2010-08-12
[338]
뉴스
Asia-Pacific | 'Hundreds feared dead' in Burma
http://news.bbc.co.u[...]
2005-01-04
[339]
웹인용
TsunamiMaldives.mv
http://www.tsunamima[...]
[340]
웹인용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Disaster: Evaluation of UNICEF's response (emergency and recovery phase). Maldives Report
https://web.archive.[...]
2006-05
[341]
웹인용
Death toll in Asian tsunami disaster tops 159,000
http://english.peopl[...]
2005-01-13
[342]
웹인용
Killer Waves
http://www.channelne[...]
Channelnewsasia.com
[343]
웹인용
Asian tsunami death toll passes 144,000
https://web.archive.[...]
ABC
2005-01-03
[344]
웹인용
The Seychelles raises its voice
http://www.reliefweb[...]
[345]
웹인용
Tsunami Evaluation Coalition: Initial Findings
http://www.alnap.org[...]
[346]
저널
On the weak impact of the 26 December Indian Ocean tsunami on the Bangladesh coast
2007
[347]
저널
The South Sandwich Islands earthquake of 27 June 1929: seismological study and inference on tsunami risk for the southern Atlantic
http://www.africaarr[...]
[348]
웹인용
YEMEN: Tsunami damage over US$1 million – UNEP assessment
http://www.irinnews.[...]
Irinnews.org
2005-02-22
[349]
뉴스
Tsunami devastates Somali island
http://news.bbc.co.u[...]
2004-12-29
[350]
웹인용
Impact of Tsunamis on Ecosystems
https://web.archive.[...]
2005-03-10
[351]
저널
Helping restore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after the tsunami
http://www.iwmi.cgia[...]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2021-08-11
[352]
웹사이트
Water sanitation and health: WHO technical notes for emergencies.
https://www.who.int/[...]
[353]
웹인용
Indian Ocean tsunami
https://www.dfat.gov[...]
2021-08-11
[354]
서적
Australia's response to the Indian Ocean tsunami REPORT FOR THE PERIOD ENDING 30 JUNE 2005
https://reliefweb.in[...]
Commonwealth of Australia
2021-08-11
[355]
웹인용
Environmental Issues Emerging from Wreckage of Asian Tsunami
https://www.un.org/p[...]
2004-12-30
[356]
서적
UNEP Post-Tsunami Recover y Activities 2004-2007
https://postconflict[...]
UNEP Post-Tsunami Recover y Activities 2004-2007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21-08-11
[357]
웹인용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Environment for Development
http://www.unep.org/[...]
2006-04-22
[358]
저널
Many mangrove restorations fail. Is there a better way?
https://knowablemaga[...]
2021-08-11
[359]
저널
The 2004 Tsunami in Sri Lanka: Destruction and recovery
[360]
뉴스
Tsunami's salt water may leave islands uninhabitable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5-01-05
[361]
웹인용
Tsunamis Devastate Fisherfolk of Indian Ocean and Arabian Sea
http://www.ukabc.org[...]
2019-03-11
[362]
웹인용
Impacts of the Tsunami on Fisheries, Aquaculture and Coastal Livelihoods
https://reliefweb.in[...]
2019-03-10
[363]
웹인용
Food supply and food security situation in countries affected by the Asia tsunami – Indonesia
https://reliefweb.in[...]
2019-03-11
[364]
웹인용
Demand for FRP boats rise after tsunami
https://web.archive.[...]
2010-08-12
[365]
저널
The Indian Ocean Tsunami: Socio-Economic Impacts in Thailand.
http://dro.dur.ac.uk[...]
2019-03-20
[366]
서적
The Asian Tsunami: Aid and Reconstruction after a Disaster
Edward Elgar
2010
[367]
뉴스
Tsunami redrew ship channels, ocean floor
http://www.nbcnews.c[...]
NBC News
2005-01-05
[368]
웹인용
Piracy in the Strait of Malacca: The geopolitical background behind piracy and its impacts on Global Financial Centres
https://theses.ubn.r[...]
2021-08-11
[369]
뉴스
Tsunami in 2004 'not the first'
http://news.bbc.co.u[...]
2010-08-12
[370]
뉴스
Researchers uncover 2004 tsunami predecessor
http://www.radioaust[...]
2011-04-13
[371]
웹인용
Scientists Find Evidence of Tsunamis on Indian Ocean Shores Long Before 2004
http://newswise.com/[...]
Newswise.com
2012-12-24
[372]
웹인용
Most Destructive Known Earthquakes on Record in the World (Earthquakes with 50,000 or More Deaths)
https://earthquake.u[...]
미국 지질조사국
[373]
저널
Written records of historical tsunamis in the northeastern South China Sea – challenges associated with developing a new integrated database
http://www.nat-hazar[...]
2013-08-06
[374]
웹인용
The world's worst natural disasters
https://www.cbc.ca/n[...]
CBC News
2019-10-19
[375]
저널
Mental Health in Sumatra After the Tsunami
https://archive.org/[...]
2008-09
[376]
뉴스
Divining a Reason for Devastation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5-01-08
[377]
웹인용
Associated Press û Tsunami survivors cling tightly to faith across ravaged region
https://www.baylor.e[...]
2019-03-11
[378]
뉴스
Memorandum of Understanding between Indonesian government and the Free Aceh Movement
http://news.bbc.co.u[...]
2012-12-24
[379]
뉴스
Most significant events of 2005
http://news.bbc.co.u[...]
BBC World Service
2013-09-26
[379]
뉴스
Iraq war and tsunami top BBC poll
http://news.bbc.co.u[...]
BBC World Service
2013-09-26
[380]
서적
News Values
Sage
[381]
웹인용
Asia Pacific Journalism Centre – Home Page
https://web.archive.[...]
2007-10-24
[382]
뉴스
Alert scaled down, capping day long confusion.
Press Trust of India
2004-12-30
[383]
뉴스
False tsunami alarm sparks panic in Indian Ocean region.
http://www.signonsan[...]
Associated Press
2004-12-30
[384]
뉴스
Suspect quake forecast causes panic
https://www.seattlet[...]
2019-10-17
[385]
뉴스
Ministers Admit Handling of Tsunami Crisis Caused Suffering - Radio Sweden
https://sverigesradi[...]
2020-12-15
[386]
웹인용
"'Mad' Scientist Gets Belated Recognition"
https://www.seapa.or[...]
2010-05-12
[387]
웹인용
A "Natural Disaster" Foretold
http://www.internati[...]
2020-12-16
[388]
웹인용
Indian Ocean Tsunami Information Center {{!}} Indian Ocean Tsunami Warning System {{!}} What is IOTWS
http://iotic.ioc-une[...]
2019-03-11
[389]
웹인용
NASA Details Earthquake Effects on the Earth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5-01-11
[390]
뉴스
UN upbeat on tsunami hunger aid
http://news.bbc.co.u[...]
2012-12-24
[391]
웹인용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Report on the Tsunami Crisis
http://reliefweb.int[...]
Reliefweb.int
2012-12-24
[392]
서적
"The Asian Tsunami: Aid and Reconstruction after a Disaster"
http://www.e-elgar.c[...]
Edward Elgar
2011-07-22
[393]
뉴스
Tsunami aid: Who's giving what
http://news.bbc.co.u[...]
2006-04-22
[394]
웹인용
The Rise, Fall, and Rebirth of the 'Quad'
https://warontherock[...]
2021-02-22
[395]
뉴스
Clinton, Bush: Tsunami Aid Helping
http://www.cbsnews.c[...]
2005-02-21
[396]
뉴스
Tsunami aid shortfall over $4bn
http://news.bbc.co.u[...]
2005-03-18
[397]
저널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system and the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tsunamis
2007-03
[398]
웹인용
Funding the Tsunami Response
https://www.unocha.o[...]
2019-03-11
[399]
뉴스
15 tsunami aid staff executed in Sri Lanka
https://www.theguard[...]
2019-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