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하계 올림픽 조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8년 하계 올림픽 조정은 1948년 8월 5일부터 8월 9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린 조정 경기를 말한다. 남자 종목만 7개 진행되었으며, 총 27개국 31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미국과 영국이 각각 금메달 2개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48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48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1948년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고, 여자 육상 종목에서 새로운 올림픽 기록이 다수 수립되었다. - 194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48년 하계 올림픽 역도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 역도는 남자 역도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 김성집이 동메달을 획득하여 해방 이후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기록했다. - 올림픽 조정 - 1900년 하계 올림픽 조정
1900년 파리 올림픽 조정은 남자 종목으로만 진행되었으며 싱글스컬, 유타페어, 유타포어, 에이트 총 4개 세부 종목에서 프랑스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특히 유타페어에서 네덜란드 팀이 어린 프랑스 소년을 키잡이로 영입하여 우승, 그는 최연소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여겨진다. - 올림픽 조정 - 1904년 하계 올림픽 조정
1904년 세인트루이스 하계 올림픽 조정은 크리브 코어 레이크에서 미국과 캐나다 2개국 4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5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했다. - 올림픽 조정에 관한 - 1900년 하계 올림픽 조정
1900년 파리 올림픽 조정은 남자 종목으로만 진행되었으며 싱글스컬, 유타페어, 유타포어, 에이트 총 4개 세부 종목에서 프랑스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특히 유타페어에서 네덜란드 팀이 어린 프랑스 소년을 키잡이로 영입하여 우승, 그는 최연소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여겨진다. - 올림픽 조정에 관한 - 1904년 하계 올림픽 조정
1904년 세인트루이스 하계 올림픽 조정은 크리브 코어 레이크에서 미국과 캐나다 2개국 4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5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했다.
1948년 하계 올림픽 조정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종목 | 조정 |
대회 | 1948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런던 |
기간 | 1948년 8월 5일 - 8월 9일 |
경기장 | 헨리 로열 레가타 코스 |
참가 선수 | 310명 |
참가 국가 | 27개국 |
이전 대회 | 1936 |
다음 대회 | 1952 |
세부 종목 | |
남자 싱글 스컬 | 남자 |
남자 더블 스컬 | 남자 |
남자 무타 페어 | 남자 |
남자 유타 페어 | 남자 |
남자 무타 포어 | 남자 |
남자 유타 포어 | 남자 |
남자 에이트 | 남자 |
2. 경기 종목
1948년 하계 올림픽 조정 경기는 남자 경기만 총 7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각 종목별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은 다음과 같다.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싱글 스컬 | 머빈 우드 (오스트레일리아) | 에두아르도 리소 (우루과이) | 로몰로 카타스타 (이탈리아) |
더블 스컬 | 리키 버넬, 버트 부시넬 (영국) | 에베 파르스너, 오게 라르센 (덴마크) | 윌리엄 존스, 후안 로드리게스 (우루과이) |
무타 페어 | 존 윌슨, 란 로리 (영국) | 한스 칼트, 요제프 칼트 (스위스) | 펠리체 파네티, 브루노 보니 (이탈리아) |
유타 페어 | 핀 페데르센, 타게 헨릭센, 칼-에베 안데르센 (덴마크) | 조반니 스테페, 알도 타를라오, 알베르토 라디 (이탈리아) | 안탈 센데이, 벌러 지트니크, 로버트 지모니 (헝가리) |
무타 포어 | 주세페 모이올리, 엘리오 모릴레, 조반니 인베르니치, 프랑코 파지 (이탈리아) | 헬게 할크야르, 아셀 본데, 헬게 묵솔 슈뢰더, 입 스톰 라르센 (덴마크) | 프레드 킹스버리, 스튜 그리핑, 그레그 게이츠, 로버트 페레우 (미국) |
유타 포어 | 워런 웨스트런드, 밥 마틴, 밥 윌, 고디 지오바넬리, 앨런 모건 (미국) | 루돌프 라이히링, 에리히 슈리버, 에밀 크네흐트, 페터 슈테블러, 앙드레 모캉 (스위스) | 에리크 라르센, 뵈르게 라호게 닐센, 헨리 라르센, 해리 크누센, 입 올센 (덴마크) |
에이트 | 이언 터너, 데이비드 터너, 제임스 하디, 조지 알그렌, 로이드 버틀러, 데이비드 브라운, 저스터스 스미스, 존 스택, 랄프 퍼체이스 (미국) | 크리스토퍼 바턴, 마이클 라페이지, 가이 리처드슨, 폴 비르처, 폴 매시, 브라이언 로이드, 존 메릭, 알프레드 멜로스, 잭 디어러브 (영국) | 크리스토퍼 렙쇠, 토르스테인 크로케네스, 한스 한센, 할프단 그란 올센, 하랄 크로케네스, 레이프 네스, 토르 페데르센, 칼 몬센, 시구르 몬센 (노르웨이) |
2. 1. 싱글 스컬
선수 | 국가 | 결과 |
---|---|---|
머빈 우드 | 금메달 | |
에두아르도 리소 | 은메달 | |
로몰로 카타스타 | 동메달 |
2. 2. 더블 스컬
1948년 하계 올림픽 조정 더블 스컬 경기에서는 영국의 디키 버널과 버트 부슈널이 금메달을 획득했다.[1] 덴마크의 에베 파르스네르와 아게 라르센은 은메달을,[1] 우루과이의 윌리암 호네스와 후안 로드리구에스는 동메달을 차지했다.[1]
2. 3. 무타 페어
선수 | 국가 |
---|---|
존 윌슨, 란 로리 | |
한스 칼트, 요세프 칼트 | |
펠리체 페네티, 브루노 보니 |
2. 4. 유타 페어
핀 페데르센타게 헨리크센
카를 안데르센
조반니 스테페
알도 타를라도
알베르토 라디
센데이 안탈
지트니크 벨러
지모니 로베르트